KR101912746B1 -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 방법 및 홍삼 농축액 - Google Patents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 방법 및 홍삼 농축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746B1
KR101912746B1 KR1020100002777A KR20100002777A KR101912746B1 KR 101912746 B1 KR101912746 B1 KR 101912746B1 KR 1020100002777 A KR1020100002777 A KR 1020100002777A KR 20100002777 A KR20100002777 A KR 20100002777A KR 101912746 B1 KR101912746 B1 KR 10191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purified water
filtration
charcoal
filtr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866A (ko
Inventor
박찬웅
김완기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0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7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2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8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ad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3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terilisation or pasteuris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홍삼을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한 숯 여과 정제수로 추출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및 아미노당 등의 유효성분의 함량 및 기호성을 높여주는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 방법 및 홍삼 농축액{Method for preparing red ginseng extracts using a charcoal filtration system and the red ginseng extracts}
본 발명은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홍삼 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홍삼은 생인삼(수삼)을 수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수삼을 찐 후 건조과정에서 갈색화 반응, 즉 갈변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띠게 된다. 인삼의 여러 가지 종류 중에서도 홍삼은 백삼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부분이 알려져 있다. 노화억제와 관련된 지질과산화 억제 및 항산화 활성(Matsunage, H. et al, Cancer Chemother Pharmacol. 33, 291-297. 1994., Kim, S. et al,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24. 161-166. 1981.), 알코올해독관련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과(Shin, M. Korean J. Ginseng Sci. 1. 59-78. 1976) 등에서 홍삼은 백삼보다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건강식품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는 홍삼은 분말, 절편 및 정과 등 다양한 형태로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추출 및 농축과정을 거쳐 섭취 및 음용이 용이한 100% 홍삼 농축액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홍삼 농축액은 홍삼을 물, 주정 또는 이들을 혼합한 용매로 추출 여과하여 가용성 홍삼 성분을 그대로 농축한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홍삼의 추출 공정은 3회에서 8회 가량 반복 추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 추출 횟수가 많아질수록 소모 비용 등을 감안할 때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적은 횟수의 추출을 통하여 홍삼의 가용성 유효성분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효율적인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모색하던 중,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한 정제수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할 경우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고 기호성이 우수한 홍삼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 함량을 높이고, 기호성이 우수한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홍삼 농축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얻어진 정제수를 포함하는 홍삼 농축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홍삼 추출에 적합한 성질의 숯을 이용하여 제조한 정제수를 추출용매로 하여 홍삼을 추출함으로써 홍삼 사포닌 등 유효성분이 일반 정제수의 미네랄과 같은 물질의 방해를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추출되어 홍삼 농축액 내의 유효성분 함량을 높일 수 있었고, 홍삼 고유의 맛과 향을 살려 기호성이 우수한 홍삼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었다.
도 1은 숯 여과 시스템을 통해 정제수를 제조하는 과정 및 상기 정제수를 사용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홍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다당체, 섬유질을 포함한 탄수화물이 60∼70% 가량 함유되어 있고, 단백질, 아미노산 등 질소화합물이 12∼16%, 사포닌이 3∼6%, 지방산을 비롯한 지질류가 1∼2% 가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부터 얼마나 효율적으로 가용성 성분들을 추출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느냐에 따라 홍삼 농축액의 품질은 큰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은 지하수 또는 암반수가 일반적이며, 이를 여과 및 살균하여 먹는물 수질검사에서 적합판정을 받으면 추출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미네랄 함량에 차이가 있어 이에 따라 경수와 연수로 성질이 나뉘게 되며, 이러한 미네랄과 잔류하고 있는 미세한 유기물들은 홍삼의 사포닌을 비롯한 유효성분들의 추출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품질의 원료 홍삼으로부터 동일한 공정의 물 추출 방법으로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추출에 사용하는 물의 성질에 따라 홍삼 농축액의 유효성분 함유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유효성분의 함유량을 최대로 높이기 위하여 숯 여과 시스템에 통과시켜 제조한 정제수를 추출용매로서 사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물을 숯 여과 시스템에 통과시켜 정제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수를 이용하여 홍삼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숯 여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숯 여과필터는 폴리프로필렌 필터에 숯을 내장시켜 1 ㎛의 공극을 갖도록 제조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판되는 제품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숯은 참나무, 적송 및 대나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나무로 만든 것이 바람직하며, 대나무인 경우에는 맹종죽, 왕대 및 솜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적절하다. 특히 대나무 숯 필터를 사용할 경우 미세공극이 매우 많아 다른 숯에 비해 탈취력이 높고, 흡착율이 좋아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숯 여과 시스템을 거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추가의 여과 시스템을 통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숯 여과 시스템을 거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정제수를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을 공급펌프에 공급한 후 여과필터로 1차 여과하고 숯 여과필터로 2차 여과한 다음 초정밀 여과필터로 3차 여과한 후 220∼250 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과정을 거쳐 숯 여과 정제수를 제조하였다. 이때, 숯 여과 시스템 이전에 거치는 조(crude) 여과 과정은 물리적 여과의 의미가 있으며, 약 3 내지 6 ㎛, 예를 들면 5 ㎛의 여과 필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숯 여과 시스템은 물에 있는 미네랄과 유기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숯 여과 필터는 1 ㎛ 전후의 공극을 가질 수 있다. 숯 여과 시스템 이후에 거치는 여과는 정제수를 보다 깨끗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약 0.5 내지 1.5 ㎛, 예를 들어 1 ㎛의 초정밀 여과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외선 살균은 정제수 중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다. 상기 필터들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이 적절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숯 여과 정제수를 홍삼 부피 대비 5∼10 배로 가하여 80∼100℃에서 6∼10시간씩 추출하는 과정을 3∼4회 반복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정제수의 부피가 5배 미만인 경우에는 추출효율이 저하되고, 1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농축 비용 과다로 비경제적이 된다. 또한 추출온도가 80℃ 미만인 경우에는 추출효율이 저하되고,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파괴되며, 추출시간이 6시간 미만에서는 추출효율이 저하되고, 10시간 초과 시 수율에 변화가 없어 비효율적이며, 반복추출횟수가 3회 미만인 경우에는 가용성분이 잔존하게 되고, 4회 초과 시에는 에너지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참고예 1] 홍삼 제조
수삼 50 kg을 세척한 후 98℃에서 2∼3시간 가량 증삼하고 70℃에서 건조시켜 홍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홍삼 농축액 제조
도 1에 도시된 숯 여과 시스템을 통하여 숯 여과 정제수를 제조하였다. 먼저, 물을 공급펌프에 공급한 후 5 ㎛의 여과필터로 1차 여과하고 대나무숯 여과필터로 2차 여과한 다음 1 ㎛의 초정밀 여과필터로 3차 여과한 후 220 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였다.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한 홍삼 5 kg에 홍삼 부피 대비 10 배의 숯 여과 정제수를 가하여 90℃에서 8시간씩 3회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실시예 1의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한 홍삼 5 kg에 홍삼 부피 대비 1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90℃에서 8시간씩 3회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비교예 1의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대나무 숯 여과 정제수 및 일반 정제수의 수질검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검사항목 실시예 1의 대나무 숯 여과 정제수 일반 정제수
경도(mg/L) 37.1 86.3
과망간산칼륨 소비량(mg/L) 1.01 4.21
냄새 무취 무취
무미 무미
색도(도) 1.0 1.0
수소이온농도 6.5 6.0
상기에서 경도는 물의 연수/경수 구분 시 사용되는 척도로서 경도가 높을수록 물에 미네랄 함유량이 높아서 홍삼의 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데 방해가 된다. 또한 과망간산칼륨 소비량이란 물에 함유된 유기물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과망간산칼륨의 양으로서 이 수치가 높을수록 물에 유기물 함량이 많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이 값이 낮을수록 가용성 성분 추출에 적합하다.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실시예 1의 대나무 숯 여과 정제수는 일반 정제수에 비해 경도가 낮고, 과망간산칼륨 소비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시험예 2] 홍삼 농축액의 성분 분석
HPLC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홍삼 농축액의 사포닌(진세노이드) 성분을 각각 분석하였으며, 그 중 사포닌의 대표적인 성분인 진세노사이드-Rb1과 진세노사이드-Rg1 함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홍삼의 특이적 성분 중 아미노당으로서 항산화효과 및 혈당상승 억제효과 등이 알려진 말툴로실 아르기닌(MA: Maltulosyl arginine) 및 프럭토실 아르기닌(FA: Fructosyl arginine) 함량을 각각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1
(일반 정제수)
실시예 1
(대나무 숯 여과 정제수)
진세노사이드-Rb1(mg/g) 3.0 4.2
진세노사이드-Rg1(mg/g) 2.4 3.2
MA(mg/g) 21.1 28.9
FA(mg/g) 15.6 22.4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대나무 숯 여과 정제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홍삼 농축액(실시예 1)이 일반 정제수로 제조한 홍삼 농축액(비교예 1) 보다 인체에 유익한 유효성분인 사포닌 및 아미노당을 유의적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홍삼 농축액의 기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30대 이상 남녀 각각 20명씩의 패널에게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홍삼 농축액을 시음하게 한 후 단맛, 쓴맛, 신맛, 홍삼 특유의 향미 및 전체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5점척도법으로 블라인드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결과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맛이 강하거나 향미 및 기호도가 우수한 것이다.
평가항목 비교예 1
(일반 정제수)
실시예 1
(대나무 숯 여과 정제수)
단맛 2.5 3.0
쓴맛 3.0 3.0
신맛 2.5 2.5
홍삼 특유의 향미 3.0 4.0
전체 기호도 3.0 4.5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대나무 숯 여과 정제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홍삼 농축액(실시예 1)이 일반 정제수로 제조한 홍삼 농축액(비교예 1)과 맛은 유사하면서도 홍삼 특유의 향미와 전체 기호도는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한 숯 여과 정제수를 추출용매로 사용함으로써 홍삼 농축액 내 사포닌과 아미노산 유도체 성분 등의 함량을 증가시켰고, 기호성에 있어서도 관능적 품질이 전체적으로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8)

  1. 여과 필터를 구비한 숯 여과 시스템을 통해 물을 여과시킨 다음, 0.5~1.5 ㎛의 공극을 갖는 초정밀 여과필터를 통해 여과시켜, 경도 및 과망간산칼륨 소비량이 감소된 숯 여과 정제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수를 사용하여 홍삼의 유효 성분을 80~100℃의 온도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은 참나무, 적송 및 대나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나무로 만든 숯인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은 맹종죽, 왕대 및 솜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대나무로 만든 숯인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숯 여과 정제수를 홍삼 부피 대비 5∼10 배로 가하여 6∼10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을 3∼4회 반복한 후 여과 및 농축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인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 여과 시스템을 통한 여과 단계 이전에 추가의 여과 시스템을 통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 여과 시스템을 통한 여과 단계 이후에 상기 정제수를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은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100002777A 2010-01-12 2010-01-12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 방법 및 홍삼 농축액 KR10191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777A KR101912746B1 (ko) 2010-01-12 2010-01-12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 방법 및 홍삼 농축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777A KR101912746B1 (ko) 2010-01-12 2010-01-12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 방법 및 홍삼 농축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866A KR20110082866A (ko) 2011-07-20
KR101912746B1 true KR101912746B1 (ko) 2018-10-30

Family

ID=4492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777A KR101912746B1 (ko) 2010-01-12 2010-01-12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 방법 및 홍삼 농축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7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866A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268B1 (ko)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의 산업화 이용 방법 및 이의 스테비오사이드와 클로로겐산
KR101447486B1 (ko)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603733B1 (ko)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
KR20160083304A (ko) 대추 및 대추씨를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KR100817876B1 (ko) 소나무 수피로부터 프로안토시아니딘의 분리방법
CN113142352A (zh) 一种刺梨青钱柳速溶茶的制备方法
KR101912746B1 (ko) 숯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 방법 및 홍삼 농축액
KR101703276B1 (ko) 땅콩새싹 추출물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
KR100760263B1 (ko) 자미고구마를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의제조방법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KR20130032624A (ko) 녹차 혼합 조성물
KR101968891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알콜농도 저감 촉진용 조성물
KR101007869B1 (ko) 식품보존성이 우수한 수용성 감초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292313B1 (ko) 흑대추의 제조방법
KR20110033348A (ko) 항산화, 혈전용해능을 가지는 양파가공부산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557899B1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파프리카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100650016B1 (ko) 복분자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의 분리방법
KR101548165B1 (ko) 맛과 향이 증가된 오가피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잎 추출물
Mun Efficacy and reusability of commercial adsorbent for isolation of proanthocyanidins from hot water extract of Pinus radiata bark
KR101980735B1 (ko) 황칠을 포함하는 기능성 된장의 제조방법
US11780937B2 (en) Method for extracting polysaccharides
WO2017103831A1 (en) Bitterless bacopa monnieri extract composition for memory improvement and a method of synthesizing the same
KR20180134657A (ko) 미성숙 감으로부터 폴리페놀을 추출하는 방법
Zhao et al. Extraction, Purifica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Evalu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California Olive Pomace. Foods 2022, 11, 174
KR100567564B1 (ko) 도토리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도토리의 유효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67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06

Effective date: 201809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