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557B1 -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557B1
KR101912557B1 KR1020180019605A KR20180019605A KR101912557B1 KR 101912557 B1 KR101912557 B1 KR 101912557B1 KR 1020180019605 A KR1020180019605 A KR 1020180019605A KR 20180019605 A KR20180019605 A KR 20180019605A KR 101912557 B1 KR101912557 B1 KR 101912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fixed
crankshaft
crank arm
c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택
Original Assignee
강경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택 filed Critical 강경택
Priority to KR102018001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557B1/ko
Priority to US16/772,773 priority patent/US11046387B2/en
Priority to CN201980012533.2A priority patent/CN111712428B/zh
Priority to CA3087357A priority patent/CA3087357C/en
Priority to PCT/KR2019/001455 priority patent/WO2019164158A1/ko
Priority to TW108105599A priority patent/TWI681900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6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with elliptical or other non-circular rota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2003/006Crank arrangements to overcome dead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크랭크축(120)과;
상기 크랭크축(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전위 스프로켓(130)과;
상기 전위 스프로켓(13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크랭크축(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함께 회동하는 제1 크랭크암(131)과;
상기 프레임(110)과 암부재(1411)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결합되며, 상기 전위 스프로켓(130)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부에 제1 홀(1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상기 제1 홀(1412)에 관통되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더라도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된 제1 회전 스프로켓(142)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 스프로켓(142)과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보조 크랭크암(151)과;
상기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상기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161)와;
상기 크랭크축(120)의 타측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함께 회동하는 제2 크랭크암(132)과;
상기 프레임(110)과 고정되어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홀(14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상기 제2 홀(1432)에 관통되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상기 제2 크랭크암(132)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된 제2 회전 스프로켓(144)과;
상기 제2 크랭크암(132)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 스프로켓(144)과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 보조 크랭크암(152)과;
상기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상기 제2 회전 스프로켓(144)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재(162)를 포함하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Torque boosting apparatus of bicycle}
본 발명은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큰 동력을 전달하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종래의 자전거 구동장치(10)는 도 1의 측면도와 같이, 프레임(11)과,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크랭크축(12)과, 크랭크축(12)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크랭크암(13a,13b)과, 크랭크암(13a, 13b)의 말단에 결합된 페달(14a, 14b)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의 자전거 구동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3과 같이, 좌측 페달(14a)은 크랭크축(12)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회전한다. 이때, 좌측 페달(14a)이 전위(A1에서 A3 구간)에 있을 때, 탑승자가 왼발로 힘을 크랭크축(12)에 가할 수 있다. 좌측 페달(14a)이 A2에 있을 때, 지렛대의 원리상 가장 강한 힘을 크랭크축(12)에 가할 수 있다. 한편, 좌측 페달(14a)이 후위(A3에서 A1 구간)에 있을 때는, 힘을 가할 수 없다. 좌측 페달(14a)이 후위에 있을 때는, 우측 페달(14b이 전위에 있기 때문에, 우측 발로 크랭크축(12)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크랭크축(12)에 전달되는 힘은 크랭크암(13a, 13b)의 길이가 길수록 좋다. 그러나 사람의 신체구조를 고려하여 크랭크암(13a, 13b)의 길이는 거의 표준으로 정해져 있다.
한편, 좌측 페달(14a)이 도 3의 A1의 위치에 있을 경우, 탑승자가 중력방향으로 왼발에 힘을 주면, 그 힘은 모두 크랭크축(12)을 미는 힘으로 전달된다. A1 위치에서 중력방향으로 좌측 페달(14a)에 힘을 주어서는 크랭크축(12)을 회전시킬 수 없다.
반면, A1을 기준으로 좌측 페달(14a)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좌측 페달(14a)에 수직 방향의 힘(F)이 작용한다 가정하자. 이때는, A1 위치를 기준으로 한 회전각(θ)에 대하여 F*sinθ의 힘이 회전 에너지로 크랭크축(12)에 전달된다. 아울러, F*cosθ으로 크랭크축에 수평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힘을 손실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9769호( 자전거 페달의 회전반경 가변장치)
본 발명은 페달의 회전 궤적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페달이 전위에 있을 때 크랭크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강한 힘을 크랭크축에 전달할 수 있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의 궤적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페달이 상부의 정점에 있더라도, 힘의 손실을 줄이고 크랭크축의 회전에 힘을 전달하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의 궤적의 크기는 종래와 동일하여, 탑승자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크랭크축(120)과;
상기 크랭크축(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전위 스프로켓(130)과;
상기 전위 스프로켓(13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크랭크축(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함께 회동하는 제1 크랭크암(131)과;
상기 프레임(110)과 암부재(1411)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결합되며, 상기 전위 스프로켓(130)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부에 제1 홀(1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상기 제1 홀(1412)에 관통되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더라도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된 제1 회전 스프로켓(142)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 스프로켓(142)과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보조 크랭크암(151)과;
상기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상기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161)와;
상기 크랭크축(120)의 타측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함께 회동하는 제2 크랭크암(132)과;
상기 프레임(110)과 고정되어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홀(14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상기 제2 홀(1432)에 관통되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상기 제2 크랭크암(132)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된 제2 회전 스프로켓(144)과;
상기 제2 크랭크암(132)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 스프로켓(144)과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 보조 크랭크암(152)과;
상기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상기 제2 회전 스프로켓(144)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재(162)를 포함하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161)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162)는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페달의 회전 궤적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페달이 전위에 있을 때 크랭크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강한 힘을 크랭크축에 전달할 수 있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의 궤적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페달이 상부의 정점에 있더라도, 힘의 손실을 줄이고 크랭크축의 회전에 힘을 전달하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의 궤적의 크기는 종래와 동일하여, 탑승자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의 좌측 페달의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가 적용된 자전거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A 방향에서 본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의 도면.
도 7은 도 4의 B-B'의 단면도.
도 8은 크랭크암의 회전동작을 보여주는 측면 예시도.
도 9는 크랭크암들의 C 지점과 D 지점의 회전궤적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치합하다"라는 의미는 동력전달부재와 스프로켓이 맞물려서 돌아감으로써, 동력이 전달된다는 의미이다.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부재"는 체인, 돌기가 형성된 벨트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프로켓"은 체인에 대응하는 형태의 원형의 톱니형 판부재일 수도 있고, 벨트형의 동력전달부재 치합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200)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크랭크축(120)과;
상기 크랭크축(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전위 스프로켓(130)과;
상기 전위 스프로켓(13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크랭크축(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함께 회동하는 제1 크랭크암(131)과;
상기 프레임(110)과 암부재(1411)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결합되며, 상기 전위 스프로켓(130)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부에 제1 홀(1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상기 제1 홀(1412)에 관통되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더라도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된 제1 회전 스프로켓(142)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 스프로켓(142)과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보조 크랭크암(151)과;
상기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상기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161)와;
상기 크랭크축(120)의 타측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함께 회동하는 제2 크랭크암(132)과;
상기 프레임(110)과 고정되어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홀(14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상기 제2 홀(1432)에 관통되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상기 제2 크랭크암(132)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된 제2 회전 스프로켓(144)과;
상기 제2 크랭크암(132)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 스프로켓(144)과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 보조 크랭크암(152)과;
상기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상기 제2 회전 스프로켓(144)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재(162)를 포함하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자전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프레임과 자전거 구동장치 및 타이어와 같은 부속자재로 구성된다.
프레임(110)은 자전거의 바디부분으로서 알루미늄, 철과 같은 금속소재나, 카본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10)에는 크랭크축(120)이 결합된다, 크랭크축(120)은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도 6 및 도 7 참조) 회전마찰력을 줄이기 위해서 프레임(110)과 크랭크축(120) 사이에 베어링과 같은 부자재를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110) 중에서 크랭크축(120)이 결합되는 부분을 소켓으로 칭할 수 있다.
전위 스프로켓(130)은 크랭크축(120)의 일측에 결합된다.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전위 스프로켓(130)도 함께 회전한다. 전위 스프로켓(130)은 체인으로 후위 스프로켓(미도시)에 연결되며, 전위 스프로켓(130)이 회전하면 후위 스프로켓(미도시)과 결합된 뒷바퀴가 회전하여 자전거가 앞으로 이동한다.
제1 크랭크암(131)은 전위 스프로켓(130)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 크랭크암(131)은 크랭크축(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함께 회동한다.
제1 고정 스프로켓(141)은 프레임(110)과 암부재(1411)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결합된다. 제1 고정 스프로켓(141)은 전위 스프로켓(130)과 제1 크랭크암(131) 사이에 위치한다. 도 7과 같이, 제1 고정 스프로켓(141)의 중심부에는 제1 홀(1412)이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축(120)이 제1 홀(1412)에 관통되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더라도 제1 고정 스프로켓(141)은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암부재(1411)는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전위 스프로켓(130)의 회전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공간으로 연장되어 제1 고정 스프로켓(141)에 결합된다. 암부재(1411)는 프레임(110)에 어떤 부위에 결합되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암부재(1411)의 결합위치는 다양한 위치일 수 있다. 암부재(1411)는 뒷바퀴가 결합되는 프레임 부분에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은 제1 크랭크암(131)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은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은 같은 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동력전달부재(161)로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이 연결되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 고정 스프로켓(141)은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어서 회전하지 않는다. 반면,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은 제1 크랭크암(131)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동력전달부재(161)는 체인일 수 있다.
제1 보조 크랭크암(151)은 제1 크랭크암(131)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보조 크랭크암(151)은 제1 회전 스프로켓(142)과 고정되어 함께 회전한다.
제1 크랭크암(131)이 크랭크축(120)을 중심으로 한 바퀴 회동하면, 제1 동력전달부재(161)는 제1 고정 스프로켓(141)의 한 바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제1 동력전달부재(161)와 제1 고정 스프로켓(141)이 치합하면서 이동한다. 제1 동력전달부재(161)가 이동하는 거리만큼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이 회전한다. 제1 동력전달부재(161)와 제1 고정 스프로켓(141)이 한 바퀴 정도로 치합하였기 때문에, 제1 회전 스프로켓(142)과 체인도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이 한 바퀴 돌아갈 수 있을 정도만 치합을 한다.
그 결과,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1 보조 크랭크암(151)과 제1 크랭크암(131)의 회동운동이 완성된다. 또한, 제2 보조 크랭크암(152) 및 제2 크랭크암(132)도 동일한 궤적으로 회동한다. 도 9는 도 8의 C 지점과 D지점의 궤적을 보여준다.
여기서 핵심적인 구성은, 또한,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은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제1 고정 스프로켓(141)은 회전하지 않고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제1 동력전달부재(161)가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 스프로켓(143)은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고,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제2 회전 스프로켓(144)은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동력전달부재(162)가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제2 회전 스프로켓(144)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제2 크랭크암(132)은 크랭크축(120)의 타측의 말단에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다. 제2 크랭크암(132)은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함께 회동한다. 제1 크랭크암(132)과 제2 크랭크암(132)은 180도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과 같이, 제2 고정 스프로켓(143)은 프레임(110)과 고정되어 결합된다. 제2 고정 스프로켓(143)의 중심부에 제2 홀(1432)이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축(120)이 상기 제2 홀(1432)에 관통되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더라도 제2 고정 스프로켓(143)은 회전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해보면, 제2 홀(1432)이 형성되어 있고, 크랭크축(120)이 제2 홀(1432)을 관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랭크축(130)이 회전하더라도 제2 고정 스프로켓(143)은 회전하지 않는다.
제2 회전 스프로켓(144)은 제2 크랭크암(132)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제2 회전 스프로켓(144)은 동일한 크기로서, 돌기의 수도 동일하다. 제2 동력전달부재(162)는 체인일 수 있다. 제2 크랭크암(132)이 한 바퀴 회동하면, 체인 형태의 제2 동력전달부재(162)는 제2 고정 스프로켓(143)의 돌기의 수만큼 치합하여 이동하며, 그 결과 제2 회전 스프로켓(144)을 한 바퀴 회전시킨다.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제2 회전 스프로켓(144)의 돌기들이 1:1의 비율이기 때문에, 제2 고정 스프로켓(143)의 한 바퀴를 체인이 치합하면, 제2 회전 스프로켓(144)도 한 바퀴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도 8과 같이 제2 보조 크랭크암(152)과 제2 크랭크암(132)이 회동하게 되고, C 지점과 D 지점의 궤적은 도 9와 같다.
C는 종래의 구동장치에서 자전거의 페달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원형의 형태의 궤적을 유지한다. 도 9의 E1은 C 지점의 궤적의 중심으로서, 크랭크축(120)이 위치하는 지점이다. 도 8의 (a)에서 종래와 같이 C 지점에 페달이 위치할 경우 상부에서 페달을 밟아도, 상사점이 되어서 크랭크축(120)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반면, 본 발명과 도 8의 (a)에서 같이 D 지점에 페달이 결합될 경우 θ의 각도만큼 전방으로 페달이 돌출되어 있어서, 상사점이 되지 않고 힘이 크랭크축(120)에 전달된다.
또한, 도 8의 (b)는 페달링을 할 때, 가장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지점인데, 종래에는 C 지점에서 페달링을 하였으나, 이건 출원발명은 페달이 D 지점에 위치하여 제2 보조 크랭크암(152)의 길이만큼 전체 크랭크암의 길이가 더 길어졌다. 그 결과 동일한 힘으로 누르더라도 더 강한 힘(토크)이 크랭크축(120)에 전달된다.
한편, 도 9와 같이 C 지점의 회동 궤적과, D 지점이 회동 궤적을 보면, 그 반경이 동일하다. 반면, C의 회동 궤적의 중심은 E1이고, D의 회동 궤적의 중심은 E2이다. 궤적의 중심이 종래의 E1에서 E2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회전반경은 C 지점과 D 지점은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자전거 구동장치의 페달이 결합되는 C 지점의 회동 궤적의 중심은 E1{크랭크축(120)이 위치한 지점}이었으나, 이건 출원발명의 페달이 결합되는 D 지점의 궤적의 중심은 E2로서 제2 보조 크랭크암(152)의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결국, 이건 출원발명은 전반적인 페달링의 궤적(거리)은 증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동 궤적의 중심을 E2로 옮김으로써 상사점을 없애주고 페달링시 힘을 강하게 크랭크축(120)에 전달하게 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프레임(110) 크랭크축(120)
전위 스프로켓(130) 제1 크랭크암(131)
제1 고정 스프로켓(141) 제1 홀(1412)
제1 회전 스프로켓(142) 제1 보조 크랭크암(151)
제1 동력전달부재(161) 제2 크랭크암(132)
제2 고정 스프로켓(143) 제2 홀(1432)
제2 회전 스프로켓(144) 제2 보조 크랭크암(152)
제2 동력전달부재(162)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200)

Claims (2)

  1.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크랭크축(120)과;
    상기 크랭크축(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전위 스프로켓(130)과;
    상기 전위 스프로켓(13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크랭크축(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함께 회동하는 제1 크랭크암(131)과;
    상기 프레임(110)과 암부재(1411)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결합되며, 상기 전위 스프로켓(130)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부에 제1 홀(1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상기 제1 홀(1412)에 관통되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더라도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된 제1 회전 스프로켓(142)과;
    상기 제1 크랭크암(131)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 스프로켓(142)과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보조 크랭크암(151)과;
    상기 제1 고정 스프로켓(141)과 상기 제1 회전 스프로켓(142)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161)와;

    상기 크랭크축(120)의 타측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함께 회동하는 제2 크랭크암(132)과;
    상기 프레임(110)과 고정되어 결합되며, 중심부에 제2 홀(14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상기 제2 홀(1432)에 관통되며 상기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상기 제2 크랭크암(132)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1:1의 비율로 돌기가 형성된 제2 회전 스프로켓(144)과;
    상기 제2 크랭크암(132)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 스프로켓(144)과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 보조 크랭크암(152)과;
    상기 제2 고정 스프로켓(143)과 상기 제2 회전 스프로켓(144)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재(162)를 포함하는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161)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162)는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구동장치.
KR1020180019605A 2018-02-20 2018-02-20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 KR101912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605A KR101912557B1 (ko) 2018-02-20 2018-02-20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
US16/772,773 US11046387B2 (en) 2018-02-20 2019-01-02 Bicycle driving device having increased torque
CN201980012533.2A CN111712428B (zh) 2018-02-20 2019-02-01 增加扭矩的自行车驱动装置
CA3087357A CA3087357C (en) 2018-02-20 2019-02-01 Bicycle driving device having increased torque
PCT/KR2019/001455 WO2019164158A1 (ko) 2018-02-20 2019-02-01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
TW108105599A TWI681900B (zh) 2018-02-20 2019-02-20 增加扭矩的自行車驅動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605A KR101912557B1 (ko) 2018-02-20 2018-02-20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557B1 true KR101912557B1 (ko) 2018-10-26

Family

ID=6409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605A KR101912557B1 (ko) 2018-02-20 2018-02-20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8801B1 (ja) * 2020-10-08 2021-12-08 雄一郎 小池 S字クランク連動シャフト
KR20220052088A (ko) 2020-10-20 2022-04-27 김민호 자전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156B1 (ko) * 2009-11-10 2010-04-19 김인규 구동력 증대용 자전거
KR20130019769A (ko) 2011-08-17 2013-02-27 주재권 바이패스 배관을 이용한 배관의 동파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156B1 (ko) * 2009-11-10 2010-04-19 김인규 구동력 증대용 자전거
KR20130019769A (ko) 2011-08-17 2013-02-27 주재권 바이패스 배관을 이용한 배관의 동파방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8801B1 (ja) * 2020-10-08 2021-12-08 雄一郎 小池 S字クランク連動シャフト
WO2022075374A1 (ja) * 2020-10-08 2022-04-14 雄一郎 小池 ペダル動力伝達装置
KR20220052088A (ko) 2020-10-20 2022-04-27 김민호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557B1 (ko)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
CN111712428B (zh) 增加扭矩的自行车驱动装置
KR101931477B1 (ko) 토크가 증가된 자전거 구동장치
RU95109866A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него привода для велосипеда
KR20100117028A (ko) 구동력 증대용 자전거
JP2008201397A (ja) 自転車のクランクギヤ構造
US20210155318A1 (en) Derailleur for human-powered vehicle
JP6839191B2 (ja) サイクルへの動作伝達のための装置
KR101705496B1 (ko) 자전거 가변 구동장치
KR101159800B1 (ko) 무체인 자전거
KR20100116054A (ko) 자전거의 구동장치
US20060066073A1 (en) Pedal drive
US20210155317A1 (en) Derailleur for human-powered vehicle
KR20170104036A (ko) 자전거의 페달 크랭크장치
KR101444376B1 (ko) 자전거 구동장치
KR20150069647A (ko) 자전거 구동장치
KR101639973B1 (ko) 자전거 구동장치
JP4119953B2 (ja) 自転車用回転動力伝達装置
KR20170061532A (ko)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JP3096841U (ja) 自転車の動力導入機構
KR20050032552A (ko)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KR101899315B1 (ko) 핸드 사이클 크랭크
JP4157728B2 (ja) 作業機のレバー装置
JP3038300B2 (ja) 自転車
JP2002037172A (ja) 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