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554B1 -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554B1
KR101912554B1 KR1020180004559A KR20180004559A KR101912554B1 KR 101912554 B1 KR101912554 B1 KR 101912554B1 KR 1020180004559 A KR1020180004559 A KR 1020180004559A KR 20180004559 A KR20180004559 A KR 20180004559A KR 101912554 B1 KR101912554 B1 KR 101912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server
creation
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숙
Original Assignee
강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숙 filed Critical 강현숙
Priority to KR102018000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은 원작 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이야기 만들기 요청에 따라 상기 원작 데이터의 일부만을 표시 부분으로 선택하고,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영역은 미표시 부분으로 선택하여 제공하며, 사용자의 이야기 보기 요청에 따라 원작 데이터 또는 사용자 창작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및 사용자의 이야기 만들기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로부터 원작 데이터의 일부분을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내용은 상기 원작 데이터의 미표시 부분에 입력하여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완성된 창작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며, 사용자의 이야기 보기 요청에 따라 원작 데이터 또는 사용자 창작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FAIRY TALE CREATION AND SHARING SYSTEM}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기존에 알려진 동화의 일부분을 변경하여 창작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일부분이 변경된 창작 데이터를 타인과 공유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부모가 자녀를 교육하는 방법은 다양한 숫자카드나 게임기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산수학습, 동화책을 이용한 언어학습 등이 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를 이용한 어린이 교육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어린이용 교육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린이용 교육 어플리케이션의 대부분이 기존에 제작된 데이터를 일방향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는 컨텐츠를 공유하고 서로의 작품을 감상 및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교육 방식은 많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이러한 어린이용 교육 콘텐츠 제작에 관련된 특허로는 공개특허공보 10-2016-0063015호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명작 동화의 일부분을 창작하게 하고 이를 타 사용자들과 공유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보다 흥미를 가지고 창작활동을 수행하게 하고, 어린이의 창작 활동에 대한 평가 및 리워드를 제공하여 점차 향상된 작문 및 창작 실력을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은 원작 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이야기 만들기 요청에 따라 상기 원작 데이터의 일부만을 표시 부분으로 선택하고,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영역은 미표시 부분으로 선택하여 제공하며, 사용자의 이야기 보기 요청에 따라 원작 데이터 또는 사용자 창작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및 사용자의 이야기 만들기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로부터 원작 데이터의 일부분을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내용은 상기 원작 데이터의 미표시 부분에 입력하여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완성된 창작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며, 사용자의 이야기 보기 요청에 따라 원작 데이터 또는 사용자 창작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화 창작 및 공유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야기 만들기 모드 요청 및 선택된 원작 데이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원작 데이터의 일부분을 표시 부분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부분을 미표시 부분으로 선택하여 설정한 후 상기 표시 부분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표시 부분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삽화 및 텍스트 정보를 기록하여 사용자 창작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사용자 창작 데이터의 서버 업로드 및 공유 단계, 서버에 의한 상기 사용자 창작 데이터의 평가 정보 수집 및 분석 단계 및 상기 평가 정보 분석에 의한 우수자 선정 및 보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사용자의 작문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기존에 알려진 명작의 일부 내용을 새롭게 창작하게 하므로 사용자의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사용자의 창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관심사 분석 및 심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화 제작 및 평가 과정에 대한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심사 분석 동작의 순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화 창작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 만들기의 동작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면 설명하기 동작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리 분석 자료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100은 상기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버 110와 사용자 단말기 120, 학부모 단말기 130, 전문가 단말기 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서버 11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 120 들과 통신할 수 있고, 서버 110 내 저장된 다양한 동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 120 측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 120도 사용자 단말기 120 내에서 작성되고 편집된 동화 데이터를 서버 110측에 업로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 110는 학부모 단말기 13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 110는 특정 사용자의 계정 생성 당시 해당 사용자의 연령대가 기 설정된 특정 연령대(예, 13세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학부모 단말기 130를 해당 계정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 110는 계정 생성 시 또는 상기 서버 110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동화 창작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시 학부모 연락처를 입력하는 별도의 입력창을 사용자 단말기 120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학부모 연락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 110는 사용자 단말기 120에 설치된 동화 창작 어플리케이션 내 특정 코드를 학부모 단말기 130 내 동화 창작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기 120와 학부모 단말기 130를 연계시킬 수 있다. 이 같은 학부모 단말기 130 등록을 통해 서버 110는 사용자 단말기 120를 통해 새로운 동화가 창작됨을 확인하면 이를 학부모에게 알리기 위해 학부모 단말기 130에 알림 메시지 또는 푸쉬 알림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120가 다수의 타 사용자들로부터 신고될만한 내용으로 글을 게재한 경우(예컨대, 욕설, 비방 등의 문제로 신고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접수된 경우) 서버 110는 해당 사실을 학부모 단말기 130측에 전달하여 자녀를 지도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학부모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는 동일한 기기일 수도 있다. 학부모가 본인의 단말기 130를 통해 상기 동화 창작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자녀에게 상기 동화 창작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동화 창작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를 위해 상기 서버 110는 회원가입 대상자의 연령대가 성인(예컨대, 20세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계정의 경우 자녀가 볼 수 있는 탭(학부모도 함께 볼 수 있는 영역)과 학부모 인증을 통해 학부모만 볼 수 있는 탭을 별도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자녀가 볼 수 있는 탭의 내용은 사용자 단말기 120에 제공되는 내용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동화 창작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회원이 학부모로 판단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학부모에게 제공되는 별도의 표시 영역(예, 학부모 페이지)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학부모에게만 제공되는 영역 내에는 자녀(사용자)가 창작하는 동화 내용을 통해 드러나는 심리 검사, 관심사 검사 등을 요청하는 버튼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검사 결과도 표시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서버 110는 제출된 창작 동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로 자녀가 관심 하는 분야를 판단할 수 있고 관심 분야의 신작 도서 및 판매정보를 학부모 페이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전문가 단말기 140는 상기 서버 110를 통해 요청된 심리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버 110는 전문가 단말기에 심리 분석이 요청된 계정을 통해 업로드된 다수개의 창작 동화 데이터를 상기 전문가 단말기 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 110는 서버 110 내 전문가에 자문을 바탕으로 제작된 기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간단한 심리 분석 및 관심사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10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 140를 통해 그 프로그램 내용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 서버 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를 참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상기 서버 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환경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객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 110는 중계 서버, 중개 서버 및/또는 클라이언트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110의 일예로 클라우드(Cloud) 서버,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 11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객체를 지칭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10는 타 전자장치(사용자 단말기, 학부모 단말기, 전문가 단말기 등)들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210는 사용자 단말기 120, 학부모 단말기 130 및 전문가 단말기 140와 서버 11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 5G(Five Generation)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부 210는 사용자 단말기 12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창작 데이터(예,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글 및 삽화)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 210는 서버 110에 저장되어 있는 원작 데이터 221을 사용자 단말기 1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원작 데이터 221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기 120를 이용해 서버 110에 접속하여 동화를 창작할 시, 그 틀이 되는 원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원작 데이터 221는 완성본의 형태만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완성본 및 미완성본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완성본의 형태로 저장되는 경우라면, 제어부 230에 의해 특정 지점 이후의 내용을 삭제한 후 사용자 단말기 12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버 110는 저장부 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2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작 데이터 221와 사용자 창작 데이터 222를 포함하여 동화 창작 기능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저장부 220는 회원가입된 사용자 계정 등을 저장할 수 있고, 관심사 검사, 심리 검사 등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2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행되는 장면 제작 과정에 요구되는 다양한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원작 데이터 221는 동화 창작의 틀이 되는 원작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신데렐라 원작이 상기 원작 데이터 221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는 '신데렐라'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창작하고자 할 시 상기 원작 데이터 221의 일부를 불러 표시하고, 표시된 내용 이후의 이야기를 제작하여 동화를 완성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창작 활동을 하고자 할 시 상기 원작 데이터 221는 일부가 제공되지 않는 미완성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창작 활동이 아니라 단순히 이야기를 읽는 활동만 하고자 한다면 상기 원작 데이터 221는 완성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창작 데이터 222는 통신부 210를 통해 수신되는 완성본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서버 110 측 저장부 220에 저장된 사용자 창작 데이터 222는 상기 서버 110에 접속한 타 사용자 단말기들에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서버 110는 제어부 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 230는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 관심사 분석부 232, 평가 정보 처리부 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3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 23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상기 저장부 220에 저장되어 제어부 23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 230 내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사용자 단말기 120에 동화 창작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 120를 통해 요청한 특정 동화의 유형(예, 전래동화, 우화, 해외명작 등의 분류) 내지는 제목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사용자 단말기 120에서 요청된 작품을 저장부 220로부터 불러와 사용자 단말기 120측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은 사용자 단말기 120에서 요청한 모드가 이야기 만들기 모드라면 상기 작품을 전체 표시하지 않고 일부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사용자가 이야기 만들기를 요청하는 경우 동화의 완성본이 아닌 미완성 상태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동화의 장면을 구성하는 것과 관련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사용자 단말기 120로부터 요청된 이야기 만들기 모드에서 삽화를 생성하기 위한 일련의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 때 삽화를 구성하는 배경화면, 등장인물, 동물, 자연물 등의 다양한 이미지 정보를 저장부 220로부터 불러올 수 있다. 이후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정보가 배치하여 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삽화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삽화에 포함될 배경화면, 등장인물, 동물 및 자연물 등의 이미지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사용자 단말기 231로부터 전송된 사진 정보, 사용자 단말기 231에서 그려진 그림 정보 등에 기반하여 삽화에 배치할 이미지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응용하면 사용자 단말기 120로 촬영된 자연(예, 바다) 배경화면에 서버 110 의 저장부 22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인 만화 캐릭터가 배치된 삽화가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저장부 220 내 기 저장된 일러스트 배경화면에 사용자 단말기 120로 촬영된(또는 웹에서 다운로드한) 인물사진이 배치된 삽화가 생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미완성 데이터를 제공할 시, 미표시 부분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동화 작품의 전체 이야기 내용이 1,2,3,4의 구성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할 때,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1 및 2 부분을 제공하고 3 및 4의 부분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1,4 부분을 제공하고 2,3부분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사용자 단말기 120로부터 수신되는 동화의 완성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이야기 만들기 모드에서 이야기의 전개 방향 내지 주제에 대한 미션을 사용자에게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사용자가 '신데렐라'를 선택하고 이 이야기의 중간 이후부터 사용자 임의로 이야기를 '효도'라는 주제에 맞춰 작성하도록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션 주제는 효도 이외에 배려, 성실, 질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1는 사용자가 주제를 직접 선택한 후 동화의 미표시 부분을 작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 230 내 관심사 분석부 232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사용자 계정의 학부모 단말기 130에서 전송된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기 작성된 사용자의 완성본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심사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심사 분석부 232는 사용자의 완성본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 축적된 상태일 때 관심사 분석에 대한 요청이 가능함을 사용자 단말기 120측에 알릴 수 있다. 상기 관심사 분석부 232는 기 저장된 원작 데이터 221의 분류 방식에 근거하여 각 작품의 유형 및 작품 전체의 분위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평가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사 분석부 232는 사용자가 주로 선택한 작품의 유형 및 작품의 주제 등의 정보를 사용자의 관심사로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인어공주'라는 작품을 자주 선택한다고 가정할 때, 상기 관심사 분석부 232는 사용자의 관심사 분야를 '해외명작', '공주', '사랑', '비극적 결말' 등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신데렐라'라는 작품이 추가로 자주 선택된다고 가정할 때 상기 관심사 분석부 232는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분석 시 상기 '인어공주'와 '신데렐라'의 공통 특징인 '해외명작', '공주', '사랑'의 키워드에 보다 우선순위를 책정하고 '비극적 결말'은 관심사의 후순위로 책정할 수 있다.
상기 관심사 분석부 232는 추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분석된 관심사 정보를 분석하기 편하도록 그래프 등의 자료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 120 또는 학부모 단말기 1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 233는 사용자가 작성한 완성본 데이터가 서버 110에 등록되어 타 사용자들에게 공유될 때 이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평가 정보 및 전문가들의 평가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 233는 자체적으로 등록된 완성본 데이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 233는 욕설, 비방, 무의미한 문자의 나열 등으로 작성된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신고 메시지를 수집하거나 자체적으로 해당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 233는 자체적으로 프로그래밍된 기준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작된 완성본 데이터의 비문학적 사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 233는 완성본 데이터의 문장 구조, 주어 서술어의 호응관계, 맞춤법 등을 판단하고 평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 233는 해당 창작 작품이 타 사용자들에 의해 열람된 조회수 정보, 평점 등을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 233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창의성, 유익성 등의 평가 항목을 평가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가자는 해당 작품에 대한 평가 수행 시, 각 항목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 233는 작품이 타 사용자에 의해 평가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또는 타 사용자에 의해 평가된 정보 및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 233 자체적으로 평가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그래프를 작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 233는 기 설정된 기간(예, 1주일)동안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사용자 순서대로 작품을 나열할 수 있으며, 평가 성적이 우수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 120는 통신부 310, 표시부 320, 센서부 330, 카메라 340, 사용자 입력부 350, 오디오 처리부 360, 저장부 370, 제어부 3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 380는 이미지 편집부 3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310는 서버 110 및 타 사용자 단말기 120들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310는 LTE를 포함하여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310는 서버 110로부터 전송된 원작 데이터 221와 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사용자 창작 데이터 222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3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120에서 작성된 완성본 데이터를 서버 11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310는 상기 완성본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관심사 분석 및 심리 분석에 대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320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예를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 320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320는 동화 창작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표시부 320는 서버 110로부터 수신되는 동화 창작에 관련된 원작 데이터를 미완성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창작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타 사용자에 의해 제작된 동화 데이터를 서버 110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120는 센서부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 330는 근접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생체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120는 센서부 3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 120 착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 120는 상기 센서부 33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 120가 정해진 시간당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움직임이 감지되면 이를 이를 특정 기능으로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화 창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삽화 제작 기능을 수행할 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 120를 흔드는 동작을 수행하면 센서부 33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 380에 해당 입력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 380는 이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삽화 배경에 비 또는 눈 등이 내려지는 효과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의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 120는 카메라 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340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카메라 340는 삽화 제작시 사용할 배경 이미지 또는 등장인물 및 기타 구성 요소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350는 터치 패널, 키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은 표시부 3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3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 360는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 360는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 360는 텍스트 정보를 입력하는 대신 음성으로 동화를 제작하고자 할 경우, 또는 삽화 제작시 입혀지는 효과음 등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운드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부 370는 내장메모리 또는 외장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370는 서버 110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340로 촬영된 이미지 정보 및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및 이에 의해 편집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380는 사용자 단말기 120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38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 38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 380는 이미지 편집부 3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편집부 381는 사용자가 카메라 340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통신부 310를 통해 상기 서버 110 또는 기타 웹 또는 타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정보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편집부 381는 삽화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특정 대상을 사진에서 추출하여 삽화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버 11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이미지 외에도 사용자 개인적으로 촬영하거나 다운로드한 이미지 정보를 활용하여 삽화를 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편집부 381은 동영상 정보, 움직이는 사진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정보를 편집하여 삽화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편집부 38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그린 이미지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편집하여 삽화에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제어부 380는 사용자 단말기 120에서 입력된 텍스트 정보 등을 확인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화 작성이 완성되면 완성된 데이터를 서버 110에 업로드하거나 사용자 단말기 120 내에서만 보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화 제작 및 평가 과정에 대한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 120는 동화 창작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상태에서 이야기 만들기 모드를 선택하는 40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 120는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원작 데이터를 선택하는 403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110는 선택된 원작 데이터를 판단하고 해당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원작 데이터의 종류는 서버 110 측에 기 저장된 데이터 종류에 한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서버 110는 이야기 만들기 모드이므로 원작 데이터를 전체 표시하는 것이 아닌, 미완성 상태로 일부분만 사용자 단말기 120측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 110는 표시 부분(제 1부분)과 미표시 부분(제 2부분)을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 설정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 120는 상기 서버 110로부터 수신한 원작 데이터의 제 1부분(표시부분)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4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표시된 제 1부분을 읽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120는 미표시 부분인 제 2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면 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저장을 요청함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407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거쳐 동화의 창작이 완성되면, 이후 사용자는 완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 120 내에 저장할 수도 있고, 서버에 업로드하여 타 사용자들과 공유하여 평가를 받을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서버에 업로드하여 평가되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 120는 407동작 이후 완성된 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409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 110는 서버에 등록된 완성 데이터는 자동으로 공유대상으로 판단하고 이를 타 사용자가 자유롭게 접근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 사용자는 업로드된 사용자의 완성된 데이터를 열람하고 이를 자유롭게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서버 110는 이후 각 작품별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41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평가 항목은 단순 점수 또는 조회수 정보일 수도 있으나, 이와 더불어 별도의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창의성, 개연성, 유익성 등의 기준을 평가자에게 제공하고 평가자는 제공된 상기 평가 항목에 따라 평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서버 110는 평가정보들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분석된 정보 기반으로 우수자를 선택하는 413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 110는 기 설정된 기간(예컨대, 1주일)동안 가장 총점이 높은 순서대로 우수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10는 우수자로 선택된 계정에 보상을 제공하는 4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심사 분석 동작의 순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4를 설명함에 있어, 이야기 만들기 모드에서 동화를 완성하여 서버에 업로드하는 상기 409동작 이후의 과정은 도 4에서처럼 평가 동작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한편 완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관심사를 분석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도 5에서 설명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는 특정 계정에 의해 완성된 데이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확인하는 50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10는 501동작 결과 완성된 데이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해당 계정의 관심사를 분석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 110는 501동작에서 완성된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이 아닐 경우 관심사 분석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관심사 분석에 대한 요청이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지 않도록 설정(예컨대, 관심사 분석 버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반면, 특정 사용자에 의해 완성된 데이터가 일정 개수 이상으로 축적된 경우, 서버 110는 사용자 단말기 120에 표시되는 화면에 관심사 분석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503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10는 사용자 단말기 120로부터 관심사 분석 요청을 수신하는 505동작을 수행하고, 이후 상기 서버 110는 동화 제작자(사용자)의 관심사를 분석하고, 분석 자료를 사용자 단말기 120측에 제공하는 507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자료란 그래프 등으로 관심사항목별로 점수를 매긴 자료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석 자료는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게 나오는 분야의 추천 서적이나 박람회 일정 등을 포함하는 자료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녀를 양육하는 학부모는 자녀가 은연중에 자주 선택하는 책 정보를 기반으로 자녀의 관심사를 알게 되며, 이로 인해 학부모는 관심사를 고려한 양육 및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려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석자료는 사용자가 특정 분야에만 지나치게 편중된 도서 선택을 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학부모는 상기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자녀의 관심이 부족한 분야를 알 수 있고,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교육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화 창작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610을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 120 화면에서 동화 창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시 표시될 수 있는 초기 메뉴가 표시되고 있다. 610화면에서는 이야기 보기 601, 이야기 듣기 603, 이야기 만들기 605의 메뉴가 도시되고 있다. 상기 이야기 보기 601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 120는 원작 동화의 전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야기 보기 601 버튼을 선택할 경우 타 사용자가 업로드한 작품들을 열람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야기 듣기 버튼 603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 120는 원작 동화의 전체 텍스트 데이터 또는 타 사용자에 의해 창작된 완성본 데이터를 사람의 음성과 유사하게 플레이하는 TTS(Text to Sound)기능에 의해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야기 듣기 버튼 603은 기 저장된 구연동화를 실행하는 버튼일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 만들기 605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 120는 동화 창작 방식을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610화면에서 이야기 만들기 605버튼이 선택되면 620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620화면을 살펴보면, 이어 만들기 621와 장면 설명하기 623 버튼이 표시됨을 볼 수 있다. 이 때 620화면에 제시된 버튼 종류 외에도 다양한 동화 창작 방식 버튼이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먼저 이어 만들기 621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은 동화 창작시 원작 데이터의 일부만을 표시하고 표시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사용자가 새롭게 작성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장면 설명하기 623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은 동화 창작시 소수의 삽화만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 삽화를 보고 구상한 내용을 입력하여 작성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630 화면은 이어 만들기 621를 선택하거나 장면 설명하기 623를 선택한 후 표시되는 장르 선택 화면일 수 있다. 상기 630화면에는 전래동화 631, 공상과학 633 등 다양한 유형의 원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야기 만들기 605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에는 이어 만들기, 장면 설명하기 외에도 이야기를 처음부터 온전히 사용자에 의해 작성하는 순수 창작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삽화 및 이야기를 작성하여 완성한 경우 이를 서버 110에 업로드하여 타 사용자들과 공유하고 평가받을 수 있다.
그리고 620화면에서 동화 창작의 작성 방식을 선택한 이후 표시되는 630화면에는 도 6에서 도시되는 분류 방법인 '장르' 이외에 작가, 분위기, 주제, 교훈, 엔딩 종류(해피엔딩, 새드엔딩) 등의 분류 방법이 더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분류 과정을 거쳐 표시되는 원작 데이터는 동화 뿐 아니라, 판타지 소설, 세계 명작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영화나 연극 대본을 옮긴 작품 또는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책 내용에 기반한 작품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도 7B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삽화 및 이야기 제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 만들기의 동작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A는 삽화 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를 살펴보면, 삽화 제작 화면에는 702와 같이 이미지 아이템의 카테고리와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이미지 아이템 701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카테고리는 도 7A에 따르면 집, 나무, 사람, 동물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만화 캐릭터, 날씨 이미지(예, 눈), 배경화면 이미지(예, 바다, 산, 도심, 실내 등)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아이템 701은 사용자의 터치 등에 의해 선택된 후 드래그 앤 드롭 등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A에서 도시된 이미지에 따르면 동물 카테고리의 일 이미지(제비 이미지)가 삽화 제작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705와 같은 삽화를 제작할 수 있다.
도 7B는 삽화 제작 후 이야기 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야기 만들기 605 선택 및 이어 만들기 621를 선택한 후 전래동화 631 장르 내 '흥부 놀부'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120에 표시되는 원작 데이터는 미완성된 데이터로서 710화면에 도시되는 화면이 마지막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710화면 이후의 이야기를 직접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7A에서 도시된 방법으로 삽화가 제작된 이후라면, 사용자는 제작된 삽화를 이야기 제작 화면에 불러올 수 있고 상기 제작된 삽화는 제작 화면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720화면의 상단에 표시되고 있는 삽화 705가 그 예시가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 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를 입력창 722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창 722에 원하는 텍스트 정보를 다 입력한 경우 사용자는 저장 725버튼을 눌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추가의 삽화와 함께 이야기를 계속해서 작성하고자 할 경우, 추가 버튼 727을 눌러 새로운 삽화 작성 및 이야기 작성을 수행하고 이를 추후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면 설명하기 동작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110는 원작 데이터가 선택되면 해당 원작에 대응하는 삽화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에 따르면 제시된 삽화의 개수는 4개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개수의 삽화가 제시될 수도 있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일부 삽화는 삭제되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 120는 사용자에 의해 제시된 삽화들 중 첫 번째 삽화 810가 선택되면 811과 같은 입력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삽화 820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입력화면인 821이, 830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입력화면인 831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입력화면상에는 저장 버튼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삽화에 대응하는 이야기를 작성한 후 저장하여 하나의 전체 이야기를 완성하는 방식으로 완성본 데이터가 제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마지막 삽화에 대응하는 입력화면에는 미리보기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사용자가 이야기 전체를 완성하지 않고 일부만을 완성한 형태(예컨대, 811 내지 831까지 만을 작성한 상태)로 서버 110에 업로드하면 타 사용자가 해당 데이터에 추가로 840 삽화에 대응하는 이야기를 작성하여 작품을 완성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가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 120를 이용하여 완성본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데 완성본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를 910에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910화면은 평가하기 911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선택하여 타 사용자가 작성한 작품을 평가할 수 있다. 평가하기 버튼 911을 누른 후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은 920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920화면은 평가 항목과 각 평가 항목별 점수를 표시하고 있다. 평가 항목은 편의상 A, B, C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각각 창의성, 유익성, 개연성 등의 항목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920화면에 도시된 점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이며, 점수를 입력하여 평가를 완료하면 사용자 단말기 120는 930화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현재 평가 순위에 따른 타 사용자 작품명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리 분석 자료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버 1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제작된 창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심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 110는 심리 분석을 수행하는 전문가 단말기 140와의 통신을 통해 심리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심리 분석 결과는 다수개의 심리 분석 항목(예컨대, 불안, 애정결핍, 분노, 우울, 강박성, 낮은 긍정정서, 폭력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10는 전문가 단말기 140로부터 수신된 결과를 바탕으로 그래프를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작할 수 있으며 해당 자료는 사용자 단말기 120 뿐 아니라 학부모 단말기130에서도 열람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 110는 사용자 단말기 1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창작 데이터의 필터링을 수행하고 삭제가 요구되는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해당 데이터를 작성한 사용자의 학부모 단말기 130 측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필터링은 타 사용자 계정에 의한 신고 접수가 발생한 경우 및 상기 사용자 창작 데이터 내 포함된 텍스트 내 욕설 및 비방 관련 문구 검출 횟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및 상기 사용자 창작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원작 데이터 선택에 근거하여 판단된 관심사 정보가 폭력, 전투, 싸움, 죄 등으로 구성되는 분야에 해당할 경우에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서버 110는 관심사 분석 결과 위험 수위로 판단된 사용자 계정에 한하여 심리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관심사 분석 및 심리 분석 결과 모두 위험 수위로 판단되는 계정에 한하여 상기 계정의 학부모 단말기 130 측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서버 110는 심리 분석 결과가 접수된 계정 중 위험 수위에 해당하는 계정을 검출하고 해당 계정에 대하여 관심사 분석을 수행한 후 상기 심리 분석 및 관심사 분석 모두에서 위험 수위로 판단되는 계정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학부모 단말기 13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 110는 또한 관심사 분석 및 심리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 계정에 대하여 제 1유형, 제 2 유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제 1유형은 다시 제 1-1유형, 제 1-2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유형은 경쟁에 있어서 특이 성향을 보이는 유형을 의미할 수 있고, 1-1유형은 경쟁 지수가 과다한 유형, 1-2 유형은 경쟁지수가 현저히 낮은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유형은 예컨대 감성적 특성에 있어서 특이 성향을 보이는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1 유형은 평균에 비해 감성 지수가 높고 이성 지수가 낮은 유형, 2-2 유형은 평균에 비해 이성 지수가 높고 감성지수가 낮은 유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학부모 동의하에 상기 서버 110는 1차 분류 유형 사용자(예, 1유형)들에 있어서 서로 반대되는 성향의 사용자를 1:1로 매칭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 110는 1-1 유형 사용자와 1-2 유형 사용자를 1:1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10는 매칭된 사용자들이 서로 하나의 이야기를 창작하게 하되, 번갈아가면서 창작하도록 이야기 작성창을 각각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이야기가 1부분, 2부분, 3부분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경우, 상기 서버 110는 1부분은 원작 데이터의 일부분을 불러와 표시하고, 2부분은 1-1 유형 사용자에게 작성하도록 작성창을 제공하고, 3부분은 1-2유형 사용자에게 작성하도록 작성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특정 성향이 과도하게 치우친 사용자의 경우, 반대 성향을 가진 타 사용자와 함께 이야기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사회성을 기르고 부족한 성향의 강점을 보완하도록 도울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서버
210 : 서버의 통신부
220 : 서버의 저장부
221 : 원작 데이터
222 : 사용자 창작 데이터
230 : 서버의 제어부
231 : 창작 데이터 처리부
232 : 관심사 분석부
233 : 평가 정보 처리부

Claims (10)

  1.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원작 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이야기 만들기 요청에 따라 상기 원작 데이터의 일부만을 표시 부분으로 선택하고,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영역은 미표시 부분으로 선택하여 제공하며, 사용자의 이야기 보기 요청에 따라 원작 데이터 또는 사용자 창작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및
    사용자의 이야기 만들기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로부터 원작 데이터의 일부분을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내용은 상기 원작 데이터의 미표시 부분에 입력하여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완성된 창작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며, 사용자의 이야기 보기 요청에 따라 원작 데이터 또는 사용자 창작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다수개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원작 데이터 및 사용자 창작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이야기 만들기 요청에 대응하여 원작 데이터의 일부만을 표시 부분으로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삽화를 제작하는 삽화 제작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창작 데이터 처리부; 및
    특정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사용자 창작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임이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창작 데이터의 기반이 되는 원작 데이터의 작품 유형 및 주제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관심사를 분석하는 관심사 분석부;를 포함하고,
    관심사 분석이 수행된 사용자 계정을 성향별로 분류하되, 특정 성향에 대한 2가지의 서로 반대되는 유형 중 해당하는 유형으로 분류하고, 특정 사용자에 대한 타 사용자 매칭 시 반대 유형으로 분류된 사용자끼리 매칭하고, 매칭된 사용자들이 번갈아가면서 이야기를 창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야기 작성창을 상기 매칭된 사용자 각각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전문가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특정 계정으로 작성된 창작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심리 분석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심리 분석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에 심리 분석 요청 신호 및 상기 특정 계정에 의해 작성된 창작 데이터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항목별 심리 분석 결과를 수신한 후 상기 결과를 그래프로 작성하여 학부모 단말기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삽화 제작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및 편집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여 삽화 제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회수, 타 사용자들의 평가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기준에 의해 사용자 창작 데이터의 평가를 수행하고, 기 설정된 기간 내 우수한 평가점수를 획득한 계정에 리워드를 제공하는 평가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는
    특정 사용자 창작 데이터 내용에서 금지하고 있는 단어 또는 문장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창작 데이터 내 금지된 단어 또는 문장의 사용이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 창작 데이터를 삭제하고, 금지된 단어 또는 문장의 사용으로 인한 삭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수행된 경우 해당 계정의 학부모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정보 처리부는
    특정 사용자 창작 데이터가 우수한 평가 점수를 획득하여 해당 계정에 리워드 제공시 해당 계정의 학부모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10.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에 의한 동화 창작 및 공유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야기 만들기 모드 요청 및 선택된 원작 데이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선택된 원작 데이터의 일부분을 표시 부분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부분을 미표시 부분으로 선택하여 설정한 후 상기 표시 부분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삽화 및 텍스트 정보를 상기 미표시 부분에 표시하여 사용자 창작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서 작성된 상기 사용자 창작 데이터를 서버로 업로드하며 타 사용자들에게 공유하는 단계;
    서버에 의한 상기 사용자 창작 데이터의 평가 정보 수집 및 분석 단계; 및
    서버에서 상기 평가 정보 분석에 의한 우수자 선정 및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정보 수집 및 분석 단계는
    서버가 특정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사용자 창작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임을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창작 데이터의 기반이 되는 원작 데이터의 작품 유형 및 주제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관심사를 분석하는 단계;
    서버가 관심사 분석이 수행된 사용자 계정을 성향별로 분류하되, 특정 성향에 대한 2가지의 반대 유형을 포함하도록 분류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반대 유형으로 분류된 사용자를 매칭하는 단계; 및
    서버가 매칭된 사용자들이 번갈아가면서 이야기를 창작할 수 있도록 이야기 작성창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 창작 및 공유 방법.
KR1020180004559A 2018-01-12 2018-01-12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KR101912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559A KR101912554B1 (ko) 2018-01-12 2018-01-12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559A KR101912554B1 (ko) 2018-01-12 2018-01-12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554B1 true KR101912554B1 (ko) 2018-10-26

Family

ID=6409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559A KR101912554B1 (ko) 2018-01-12 2018-01-12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773A1 (ko) * 2018-11-23 2020-05-28 샘코포레이션 주식회사 이미지 카드를 이용한 갈등 구조 이야기 생성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279A (ko) * 2001-05-04 2001-08-04 김종원 멀티미디어 동화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KR20010108923A (ko) * 2000-06-01 2001-12-08 신태용 인터넷을 통한 동화 제공방법
KR20020086422A (ko) * 2002-10-22 2002-11-18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습방법과 그 시스템 및그 유아 창의성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040079194A (ko) * 2003-03-06 2004-09-14 이신애 웹을 이용한 독서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65016A (ko) * 2007-01-08 2008-07-11 임현수 온라인 상에서의 적절한 글감선정을 통한 글쓰기지도시스템및 그 운영방법
KR20100130503A (ko) * 2009-06-03 2010-12-13 방일권 인터넷을 이용한 단계별 언어확장 패턴 학습방법
KR20130088619A (ko) * 2012-01-31 2013-08-08 주식회사 스마트앱 자작 동화 제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작 동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36054A (ko) * 2015-05-19 2016-11-29 트윈워드 주식회사 글에 반영된 사용자의 심리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923A (ko) * 2000-06-01 2001-12-08 신태용 인터넷을 통한 동화 제공방법
KR20010074279A (ko) * 2001-05-04 2001-08-04 김종원 멀티미디어 동화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KR20020086422A (ko) * 2002-10-22 2002-11-18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습방법과 그 시스템 및그 유아 창의성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040079194A (ko) * 2003-03-06 2004-09-14 이신애 웹을 이용한 독서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65016A (ko) * 2007-01-08 2008-07-11 임현수 온라인 상에서의 적절한 글감선정을 통한 글쓰기지도시스템및 그 운영방법
KR20100130503A (ko) * 2009-06-03 2010-12-13 방일권 인터넷을 이용한 단계별 언어확장 패턴 학습방법
KR20130088619A (ko) * 2012-01-31 2013-08-08 주식회사 스마트앱 자작 동화 제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작 동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36054A (ko) * 2015-05-19 2016-11-29 트윈워드 주식회사 글에 반영된 사용자의 심리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773A1 (ko) * 2018-11-23 2020-05-28 샘코포레이션 주식회사 이미지 카드를 이용한 갈등 구조 이야기 생성 방법
US11527029B2 (en) 2018-11-23 2022-12-13 Sam corporation Inc. Method of creating conflict structure story by using image c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54117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with improved conversational abil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US93494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capture of two video streams
JP6574937B2 (ja) 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7254772B2 (ja) ロボットインタラクションの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US11783369B2 (en) Interactive advertising with media collections
CN111294663A (zh) 弹幕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ilden Mobile learning
KR20160054392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300188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Life Experience Information
KR101847200B1 (ko) 객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132089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mpose a story for a user depending on an attribute of the user
CN113010698A (zh) 多媒体的交互方法、信息交互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0965629B1 (en) Method for generating imitated mobile messages on a chat writer server
CN104125333A (zh) 终端设备及其内容显示方法、服务器及其控制方法
KR101912554B1 (ko)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Axelsson Travel Selfie: A commodification of the tourist experience and culture?
Stay TikTok For Dummies
CN107154173B (zh) 一种语言学习方法及系统
Syeda et al. Photo Alive!: elderly oriented social communication service
JPWO2021229692A5 (ko)
JP7064159B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Watson Smaller Lens, Bigger Picture: Exploring Zulu Cultural Tourism Employees' Identity by Using Cellphilms as a Medium for Participatory Filmmaking Methods
US20230396572A1 (en) Contextual reply augmentation system
WO2022262560A1 (zh) 图像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989912A (zh) 一种娱乐文件的生成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