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119B1 - 화장용 도구 - Google Patents

화장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119B1
KR101912119B1 KR1020170108604A KR20170108604A KR101912119B1 KR 101912119 B1 KR101912119 B1 KR 101912119B1 KR 1020170108604 A KR1020170108604 A KR 1020170108604A KR 20170108604 A KR20170108604 A KR 20170108604A KR 101912119 B1 KR101912119 B1 KR 101912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ressing
outlet
cam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희
변재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주식회사 케이알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08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30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4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the cosmetic being in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7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n axial action, e.g. by p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 도구에 대한 것으로서, 심 형태의 화장품을 수용하며 일측에 출구가 마련되는 외관부; 상기 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덮개부; 상기 외관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외관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 버튼부; 상기 외관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출구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압부;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를 개방시키는 개폐부; 상기 화장품을 밀어내는 피스톤부; 및 일측에 벌어지는 복수 개의 다리부를 갖고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상기 출구 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다리부가 벌어지면서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용 도구{cosmetic tool}
본 발명은 화장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 버튼 누름 시 동작 매커니즘을 개선한 화장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도구 중에는 펜슬 형태를 갖는 제품이 다수 존재한다. 일례로 눈썹의 화장을 위한 아이브로우, 눈 주변의 화장을 위한 아이라이너 등의 경우 심 형태의 고체 화장품을 내장하는 펜슬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펜슬 형태의 화장용 도구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이 편리하고 국소 부위에 대한 화장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고체 화장품을 내장하는 펜슬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고체 화장품을 감싸는 주변을 계속 깎아내어 화장품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버튼을 누르거나 돌리면 심 형태의 화장품이 일정 길이만큼 자동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샤프 형태의 화장용 도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화장용 도구는 심 형태의 화장품을 감싸는 주변을 깎아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다만 샤프 형태의 제품에 있어서 고체 화장품의 끝단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화장품이 오염되어 피부에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화장품의 끝단에 커버를 구비하는 제품이 개발되었다.
다만 사용자가 화장용 도구를 사용하고자 할 때 화장용 도구의 전단에 끼워진 커버를 직접 분리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어서, 최근에는 개폐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갖는 커버를 구비하도록 개선이 이루어진 바 있다.
이와 같이 버튼의 눌림에 의해 화장품이 소정 길이만큼 인출되며 커버가 자동 개폐되는 제품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동작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버튼을 누르면 화장품을 덮는 커버가 개방되면서 화장품이 소정 길이만큼 자동 인출되도록 하며, 버튼 누름에 의한 동작 매커니즘을 개선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인 화장용 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용 도구는, 심 형태의 화장품을 수용하며 일측에 출구가 마련되는 외관부; 상기 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덮개부; 상기 외관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외관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 버튼부; 상기 외관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출구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압부;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를 개방시키는 개폐부; 상기 화장품을 밀어내는 피스톤부; 및 일측에 벌어지는 복수 개의 다리부를 갖고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상기 출구 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다리부가 벌어지면서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 대비 상기 출구 측에 마련되는 내관부; 및 상기 내관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내관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를 상기 출구의 반대측으로 밀어내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관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화장품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화장품을 밀어내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를 개방시키며,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부를 기준으로 상기 개폐부를 상기 덮개부 측으로 밀어내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실린더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가압부를 기준으로 상기 실린더부를 상기 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시부의 외주에 마련되며 상기 다리부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타측에 맞물려 상기 출구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푸시부는, 상기 링부를 기준으로 상기 출구 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다리부가 벌어져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출구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외관부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외벽에 돌기가 마련되고 일측에 톱니를 갖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일측에 마련되며 외벽에 상기 톱니와 맞닿는 캠을 구비하는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관부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일측에 구비한 제1, 2 경사돌부 및 가이드홈이 반복적으로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기 전의 경우, 상기 돌기 및 상기 캠은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부가 1차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돌기 및 상기 캠이 상기 가이드홈에서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캠이 상기 가이드홈을 벗어나면서 상기 톱니에 의해 상기 캠부가 회전하며, 상기 버튼부가 2차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버튼이 상기 캠부를 일측으로 밀어내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캠부가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캠이 상기 경사면을 타고가면서 상기 캠부를 회전시킨 뒤 상기 제1 경사돌부와 상기 제2 경사돌부 사이에 걸쳐지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홈에 인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구는, 버튼 눌림에 의하여 커버 개방과 화장품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버튼 누름부터 버튼 위치 복원까지의 동작 매커니즘을 사용자 편의를 위한 방향으로 개선하여, 화장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서의 버튼부 및 외관부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도 2에서의 버튼부 및 외관부의 전개도이다.
도 12는 도 3에서의 버튼부 및 외관부의 전개도이다.
도 13은 도 4에서의 버튼부 및 외관부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일측, 일단은 출구에 가까운 쪽이고 타측, 타단은 출구에서 먼 쪽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러한 표현이 권리범위를 직접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3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1에서의 버튼부 및 외관부의 전개도이고, 도 11은 도 2에서의 버튼부 및 외관부의 전개도이며, 도 12는 도 3에서의 버튼부 및 외관부의 전개도이고, 도 13은 도 4에서의 버튼부 및 외관부의 전개도이다.
참고로 도 1, 5, 10은 버튼(21)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이고, 도 2, 6, 11은 버튼(21)을 1차로 가압한 상태이며, 도 3, 7, 12는 버튼(21)을 2차로 가압한 상태이고, 도 4, 8, 13은 버튼(21)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3에서 구성의 구분을 위하여 편의상 외관부(10)는 실선, 버튼(21)은 점선, 캠부(22)는 일점쇄선으로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1)는, 외관부(10), 버튼부(20), 덮개부(30), 가압부(40), 내관부(50), 개폐부(60), 실린더부(70), 피스톤부(80), 푸시부(90)를 포함한다.
외관부(10)는, 심 형태의 화장품(P)을 수용하며 일측에 출구(121)가 마련된다. 심 형태의 화장품(P)은 고체 화장품(P)을 고형화시킨 것일 수 있지만, 제형이나 성분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화장품(P)은 그 용도와 기능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음을 알려둔다.
외관부(10)는 관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파지부(11)와 출구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 일정 길이의 관 형태를 가지며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중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지부(11)에는 후술할 버튼부(20)의 돌기(211) 및 캠(221)이 인입되도록 하는 가이드홈(14a) 및 가이드홈(14a)을 형성하기 위한 제1, 2 경사돌부(13a, 13b)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출구부(12)는 파지부(11)의 일측에 마련되며 출구(121)를 갖는다. 파지부(11)와 출구부(12)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하여 서로 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출구부(12)와 파지부(11)의 연결 지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외관부(10)는 일측에 출구(121)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파지부(11)와 출구부(12)의 연결 지점은 직경이 작아지는 시작점보다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지부(11)는 직경이 일정한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튼부(20)는, 외관부(10)의 타측에 마련되며 누름 횟수에 따라 외관부(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다. 버튼부(20)는 외관부(10)에서 개방된 타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관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버튼부(20)의 가압에 의하여 화장품(P)은 노출 및 인출될 수 있다.
버튼부(20)는 버튼(21), 캠부(22)를 포함한다. 버튼(21)은 외관부(10)의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길이는 버튼부(20)가 가압될 때 후술할 푸시부(90)에 의하여 피스톤부(80)가 화장품(P)을 밀어올릴 수 있을 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
버튼(21)의 외관부(10)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외벽에 돌기(211)가 마련된다. 돌기(211)는 버튼(21)의 외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4개의 돌기(211)가 버튼(2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버튼(21)의 일측에는 톱니(212)가 마련된다. 톱니(212)에는 후술할 캠(221)이 맞닿아 있을 수 있는데, 캠(221)이 톱니(21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캠부(22)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캠부(22)는, 버튼(21)의 일측에 마련된다. 캠부(22)는 적어도 타측이 버튼(21) 내에 수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버튼(21)과 일체로 고정되지 않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캠부(22)는 버튼(21) 대비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캠부(22)는 외벽에 톱니(212)와 맞닿는 캠(221)을 구비한다. 캠(221)은 돌기(211)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캠(221)은 4개가 캠부(2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캠(221) 및 돌기(211)의 개수를 상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덮개부(30)는, 출구(121)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덮개부(30)는 일례로 십자 모양으로 벌어지는 절개선을 갖는 판막 형태일 수 있지만, 덮개부(3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덮개부(30)에 마련되는 판막은 개폐부(60)에 의해 서로 벌어지면서 덮개부(3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개폐부(60)가 덮개부(30)로부터 멀어지면 덮개부(30)는 탄성력 등을 이용하여 다시 밀폐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덮개부(30)는 외관부(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고, 따라서 출구(121)를 통해 외관부(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화장품(P)은 덮개부(30)에 의하여 위생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가압부(40)는, 외관부(10)의 내부에 위치하며 버튼부(20)의 가압에 의해 출구(121)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압부(40)는 중공의 관 형태를 가지며 타측이 버튼부(20)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버튼부(20)에 의해 가압부(40)가 가압되면 가압부(40)는 푸시부(90)를 일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가압부(40)가 버튼부(20)에 의해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면, 가압부(40)와 내관부(50) 사이에 마련되는 제1 탄성부재(51)가 압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부(40)의 타측은 외측으로 단턱(4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단턱(41)에는 제1 탄성부재(51)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40)가 버튼부(20)에 의해 이동할 때, 가압부(40)에 마련되는 제3 탄성부재(74)에 의해 실린더부(70)가 출구(12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부(40)는 내측에 푸시부(90)를 둘러싸며 일측에 제3 탄성부재(74)가 맞닿는 환테(42)가 마련될 수 있으며, 환테(42)는 가압부(4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부(70)가 출구(121) 측으로 이동할 때, 개폐부(60)가 실린더부(70)에 의해(실린더부(70)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 탄성부재(73)에 의해)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면서 덮개부(30)가 개방될 수 있고, 따라서 실린더부(70) 내에 마련되는 화장품(P)은 출구(1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 매커니즘은 이하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내관부(50)는, 외관부(10)의 내부에 마련되며 가압부(40) 대비 출구(121) 측에 마련된다. 내관부(50)는 가압부(40)가 버튼부(20)에 의해 출구(121) 측으로 이동한 뒤 버튼부(20)의 가압이 해제될 때, 가압부(40)를 원 위치로 되돌리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내관부(50)와 가압부(40) 사이에는, 내관부(50)를 기준으로 가압부(40)를 출구(121)의 반대측으로 밀어내는 제1 탄성부재(5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내관부(50)는 타측이 가압부(40)의 단턱(41)에 마련되는 제1 탄성부재(51)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일 수 있다.
내관부(50)는 중공의 관 형태일 수 있고, 내관부(50)의 일측은 출구부(12)의 타측에 맞물려 출구(121)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내관부(50)는 외관부(10)의 내부에서 위치가 구속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내관부(50)는, 외관부(10)의 내부에서 이동이 필요하지 않은 구성일 수 있으므로, 외관부(1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부(10)의 내벽에 단턱(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고, 외관부(10)의 단턱과 가압부(40)의 단턱(41) 사이에 마련되는 제1 탄성부재(51)가 가압부(40)의 이동에 의하여 압축되었다가 가압부(40)를 타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개폐부(60)는, 버튼부(20)의 가압에 의하여 덮개부(30)를 개방시킨다. 개폐부(60)는 버튼부(20)가 가압될 때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면서, 덮개부(30)를 구성하는 판막을 밀어내 판막이 서로 벌어지도록 하면서 덮개부(30)를 개방할 수 있다.
개폐부(60)는 실린더부(70)의 외측에 마련되어 버튼부(20)의 가압에 의해 덮개부(3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개폐부(60)는 실린더부(70)가 출구(121) 측으로 이동할 때 실린더부(70)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 탄성부재(73)에 의하여 탄성력을 받아 출구(12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개폐부(60)의 타측 내벽에는 돌기(61)가 마련되고, 돌기(61)는 실린더부(70)의 걸림턱(711)에 의해 걸려서 개폐부(60)가 제2 탄성부재(73)에 의해 탄성력을 받더라도 출구(121) 측으로의 이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다만 버튼부(20)의 가압에 의하여 실린더부(70)가 출구(121) 측으로 이동할 경우, 개폐부(60)는 덮개부(30)를 개방시킨 후 덮개부(3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개폐부(60)의 돌기(61)가 실린더부(70)의 걸림턱(711)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며 동시에 제2 탄성부재(73)를 압축시키게 된다.
실린더부(70)는, 내관부(50)의 내부에 위치하며 화장품(P)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실린더부(70)의 내부에는 심 형태의 화장품(P)이 수용될 수 있으며, 버튼부(20)의 1차 가압에 의하여 실린더부(70)가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화장품(P)은 실린더부(70) 내에서 이동하지 않은 상태로 실린더부(7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버튼부(20)가 추가로 가압되어 피스톤부(80)가 실린더부(70) 내에서 이동하게 되면 화장품(P)이 실린더부(70)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실린더부(70)는, 화장품(P)을 수용하는 일측 실린더부(71)와, 일측 실린더부(71)의 타측에 마련되는 타측 실린더부(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측 실린더부(71)와 타측 실린더부(72)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일측 실린더부(71)에는 앞서 언급한 걸림턱(711)이 마련될 수 있고, 걸림턱(711)은 개폐부(60)의 돌기(61)보다 출구(121)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개폐부(60)가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일측 실린더부(71)에서 개폐부(60)의 타측에는 단턱(712)이 마련되고, 단턱(712)에는 제2 탄성부재(73)의 타측이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탄성부재(73)는 실린더부(70)와 개폐부(60) 사이에 마련되어 실린더부(70)를 기준으로 개폐부(60)를 덮개부(30) 측으로 밀어내서 개폐부(60)가 덮개부(30)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부재(73)는, 일측이 개폐부(60)에 맞닿고 타측이 일측 실린더부(71)의 단턱(712)이 맞닿게 되며, 실린더부(70)의 이동 시 개폐부(60)는 제2 탄성부재(73)를 다소 압축시키면서도 제2 탄성부재(73)의 탄성력에 의하여 실린더부(70)와 함께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일측 실린더부(71)에서 단턱(712)이 마련되는 부분의 인근에는 피스톤부(80)의 삽입을 위한 구멍(713)이 형성되며, 구멍(713)을 통해 피스톤부(80)는 일측 실린더부(71)를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측 실린더부(71)의 타측 내벽에는 링부(92)가 안착될 수 있는데, 일측 실린더부(71)의 타측 내벽은 계단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측 실린더부(71)의 타측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부분에는 링부(92)가 맞닿을 수 있고, 타측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부분에는 푸시부(90)의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측 실린더부(71)의 내벽 구조를 통해, 푸시부(90)는 링부(92)를 기준으로 출구(121)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며, 푸시부(90)의 이동에 의하여 피스톤부(80)가 실린더부(7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일측 실린더부(71)는 일단이 출구(121)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갖고, 일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의 일 지점에서 출구(121)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부(70)가 버튼부(20)에 의하여 가압되어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일측 실린더부(71)는 화장품(P)을 수용한 상태로 일단이 출구(121)를 관통하여 화장품(P)이 충분히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되, 일 지점이 출구(121)에 의해 걸려서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타측 실린더부(72)는, 일측 실린더부(71)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가압부(40)와의 사이에서 제3 탄성부재(74)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74)는 가압부(40)와 실린더부(70) 사이에 마련되어, 가압부(40)를 기준으로 실린더부(70)를 출구(121)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즉 실린더부(70)는 가압부(40)에 의해 직접 가압되는 대신, 제3 탄성부재(74)에 의하여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제3 탄성부재(74)는, 실린더부(70)가 화장품(P)을 출구(121)로 노출시킨 이후 버튼부(20)가 추가로 가압될 때, 가압부(40)가 푸시부(90)를 밀어내어 푸시부(90)가 피스톤부(80)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압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피스톤부(80)는, 화장품(P)을 밀어낸다. 피스톤부(80)는 실린더부(70)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화장품(P)을 밀어낼 수 있으며, 실린더부(70) 내에서 출구(121)를 향하는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 피스톤부(80)는 타측 방향으로 되돌아오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피스톤부(80)에는 오링(8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오링(81)은 실린더부(70)의 내벽에 밀착되어 피스톤부(80)의 불필요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피스톤부(80)는 일측 실린더부(71)의 구멍(713)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눕혀진 T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피스톤부(80)의 타측은 가압부(4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부(20)가 가압부(40)를 밀어내면, 가압부(40)가 피스톤부(80)를 출구(121)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다만 버튼부(20)가 1차로 가압될 때 가압부(40)가 피스톤부(80)를 밀어내더라도, 실린더부(70) 역시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실린더부(70) 내에서 피스톤부(80)의 위치는 변동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버튼부(20)가 추가로 가압되면서 푸시부(90)가 링부(92)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푸시부(90)의 다리부(91)가 벌어지면서 피스톤부(80)를 자연스럽게 일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 경우 피스톤부(80)는 실린더부(70) 내에서 점차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화장품(P)을 인출시킬 수 있다.
푸시부(90)는, 일측에 벌어지는 복수 개의 다리를 갖고, 가압부(40)에 의하여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면 다리부(91)가 벌어지면서 피스톤부(80)를 출구(121) 측으로 밀어낸다. 다만 푸시부(90)의 둘레에는 다리부(91)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링부(92)가 마련되며, 링부(92)는 계단 형태의 단면을 갖고, 일측 실린더부(71)의 타측 내벽에 맞물려 출구(121)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버튼부(20)가 가압되지 않을 때 링부(92)는 푸시부(90)의 다리부(91)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20)가 1차로 가압되더라도, 실린더부(70)가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링부(92)와 푸시부(90)는 함께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다리부(91)는 링부(92)에 의해 벌어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화장품(P)의 인출 후 버튼부(20)가 추가로 가압되면, 실린더부(7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출구(121)에 의해 걸리면서 더 이상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가압부(40)에 의해 푸시부(90)는 이동하되 링부(92)는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푸시부(90)는 링부(92)를 기준으로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다리부(91)가 링부(92)로부터 이탈되면서 벌어지게 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다리부(91)는 벌어지려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푸시부(90)가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다리부(91)가 벌어지면, 다리부(91)에 의해 파지되어 있던 피스톤부(80)는 자연스럽게 일측으로 밀려나갈 수 있다. 따라서 푸시부(90)에 의해 피스톤부(80)가 화장품(P)을 밀어내게 되므로, 화장품(P)의 인출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 매커니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먼저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외관부(10) 및 버튼부(20)가 서로 맞물리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외관부(10)는 제1 경사돌부(13a), 제2 경사돌부(13b), 가이드홈(14a)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2 경사돌부(13a, 13b)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일측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돌부(13a)와 제2 경사돌부(13b)는 서로 맞닿아 마련될 수 있고, 따라서 제1, 2 경사돌부(13a, 13b)의 일측은 톱니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때 톱니 모양은, 버튼(21)의 톱니(212) 모양과는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21)의 톱니(212)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면이 좌우 대칭인 형태이나, 제1, 2 경사돌부(13a, 13b)에 의해 형성되는 톱니 모양은 경사면이 좌우 비대칭인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캠부(22)를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외관부(10)의 내벽에는 제1 경사돌부(13a), 제2 경사돌부(13b), 가이드홈(14a)이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경사돌부(13a)와 제2 경사돌부(13b) 사이에는 보조 가이드홈(14b)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 가이드홈(14b)은 돌기(211)를 수용하여 돌기(211)의 이동을 허용하되 캠(221)의 인입은 허용하지 않는 형태(함몰 깊이가 돌기(211) 보다는 크고 캠(221)보다는 작은 형태 등)를 가질 수 있다. 보조 가이드홈(14b)은 돌기(211)의 개수가 캠(221)의 개수보다 많을 때 이용될 수 있으며, 돌기(211)와 캠(221)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보조 가이드홈(14b)은 생략될 수 있다.
도면 기준으로 제2 경사돌부(13b)의 좌측에는 앞서 언급한 보조 가이드홈(14b)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경사돌부(13b)의 우측에는 가이드홈(14a)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14a)은 제2 경사돌부(13b)가 제1 경사돌부(13a)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고, 보조 가이드홈(14b)은 제2 경사돌부(13b) 자체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마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홈(14a)의 함몰 깊이는 보조 가이드홈(14b)의 함몰 깊이보다 크며, 캠(221)은 가이드홈(14a)에는 인입되고 보조 가이드홈(14b)에는 인입되지 못하는 크기를 갖고, 돌기(211)는 가이드홈(14a) 및 보조 가이드홈(14b) 모두에 인입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 매커니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튼부(20)가 가압되기 전의 경우, 돌기(211) 및 캠(221)은 외관부(10)의 가이드홈(14a)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판막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개폐부(60)는 화장품(P)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키도록 닫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때 캠(221)은 버튼(21)의 톱니(212)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데, 캠(221)이 가이드홈(14a) 내에 위치하는 한, 도면상 제2 경사돌부(13b)의 우측에 캠(221)이 맞닿아 있게 되므로, 캠(221)은 톱니(21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이후 도 7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튼부(20)가 1차로 가압되는 경우, 버튼(21) 및 캠부(22)가 일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돌기(211)와 캠(221)이 가이드홈(14a)에서 일측으로 이동하여 캠(221)이 가이드홈(14a)을 벗어나게 된다. 이때 캠(221)은, 톱니(21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캠(221)이 톱니(212)의 경사면을 타고 가면서 이동하여, 캠부(22)가 회전될 수 있다.
버튼부(20)의 1차 가압 시 일측으로 이동하는 캠부(22)에 의하여 가압부(40)가 일측으로 이동하며, 가압부(40)의 이동 시 제1 탄성부재(51)가 압축되고, 제3 탄성부재(74)에 의해 실린더부(70)가 일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실린더부(70)에 맞닿은 제2 탄성부재(73)에 의해 개폐부(60)가 출구(121) 측으로 이동하여 덮개부(30)를 개방시키며, 다만 개폐부(60)는 개방된 덮개부(30)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므로, 개폐부(60)와 실린더부(70) 사이의 제2 탄성부재(73)는 압축될 수 있다.
덮개부(30)의 개방 후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실린더부(70)의 일측이 출구(121)를 관통하여 화장품(P)을 출구(121)로 노출시키게 된다.
이 경우 링부(92)가 푸시부(90)의 다리부(91)를 벌어지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면서 푸시부(90)와 함께 가압부(40)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푸시부(90)에 의한 피스톤부(80)의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실린더부(70) 내에서 화장품(P)은 이동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8 및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튼부(20)가 2차로 가압되는 경우, 돌기(211)가 가이드홈(14a)에서 일측으로 더 이동하면서 버튼(21)이 캠부(22)를 일측으로 더 밀어낸다.
이때 실린더부(70)는 일단이 출구(121)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므로, 버튼부(20)에 의해 가압부(40)가 이동하더라도 실린더부(70)의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대신 제3 탄성부재(74)가 압축될 수 있다.
다만 가압부(40)의 이동에 의하여 푸시부(90)는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실린더부(70)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링부(92)의 이동 역시 제한된다. 따라서 푸시부(90)는 링부(92)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푸시부(90)의 다리부(91)가 벌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푸시부(90)는 이동 및 다리부(91)의 벌어짐 동작을 통해 다리부(91)가 파지하고 있던 피스톤부(80)를 출구(121) 측으로 밀어낼 수 있고, 피스톤부(80)는 화장품(P)을 실린더부(70)에서 출구(121)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사용자는 도 7 및 도 11의 상태에서 도 8 및 도 12의 상태로 반복적으로 전환되도록, 버튼부(20)를 1차 가압한 후 적어도 1회 이상 2차 가압하여 화장품(P)의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버튼부(20)의 반복적인 2차 가압 시 화장품(P)은 지속적으로 인출이 가능하므로, 화장품(P)을 지나치게 인출한 상태에서 버튼부(20)의 가압을 해제하여 캠(221)이 가이드홈(14a)에 인입되는 경우에는, 길게 인출된 화장품(P)이 걸리면서 덮개부(30)가 닫히지 못할 수도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내문구 등이 외관부(10)에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도 9 및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튼부(20)의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제1 탄성부재(51)에 의해 캠부(22)가 타측으로 이동하여 캠(221)이 제1, 2 경사돌부(13a, 13b)의 경사면을 타고가면서 캠부(22)를 회전시킨 뒤, 제1 경사돌부(13a)와 제2 경사돌부(13b) 사이에 걸쳐지거나, 또는 가이드홈(14a)에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21)이 외관부(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캠(221)이 제1 경사돌부(13a)와 제2 경사돌부(13b) 사이에 걸쳐지는 경우보다, 캠(221)이 가이드홈(14a)에 인입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다. 이는 캠부(22)가 제1 탄성부재(51)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캠(221)이 제1, 2 경사돌부(13a, 13b) 사이에 걸쳐지게 되면 캠(221)이 가이드홈(14a)에 인입되는 경우보다 캠부(22)의 타측 방향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버튼부(20)를 몇 번 누르는지에 따라, 캠(221)이 놓이는 위치는 제1, 2 경사돌부(13a, 13b) 사이 또는 가이드홈(14a)으로 반복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만약 버튼부(20)의 가압이 해제된 상태에서 캠(221)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경사돌부(13a, 13b) 사이에 놓이게 된다면 화장품(P)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버튼부(20)의 가압이 해제된 상태에서 캠(221)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4a)에 인입된다면 화장품(P)은 수납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버튼부(20)의 누름 횟수에 따라, 버튼부(20)의 가압 해제 시 화장품(P)의 인출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버튼부(20)의 가압 해제 시 도 10의 상태가 되는 경우, 가압부(40)와 결합될 수 있는 푸시부(90)가 가압부(40)와 함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링부(92)가 푸시부(90)에 걸려 타측으로 이동하고, 일단이 링부(92)에 걸려있는 타측 실린더부(72)가 일측 실린더부(71)와 함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일측 실린더부(71)에 마련되는 걸림턱(711)이 개폐부(60)의 돌기(61)와 맞물리면서 개폐부(60)를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개폐부(60)의 이동 및 덮개부(30)의 복원력에 의하여 덮개부(30)는 닫힌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버튼부(20)의 2차 가압을 통하여 화장품(P)의 노출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작 매커니즘을 구현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간편하게 화장품(P)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해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용 도구 P: 화장품
10: 외관부 11: 파지부
12: 출구부 121: 출구
13a: 제1 경사돌부 13b: 제2 경사돌부
14a: 가이드홈 14b: 보조 가이드홈
20: 버튼부 21: 버튼
211: 돌기 212: 톱니
22: 캠부 221: 캠
30: 덮개부 40: 가압부
41: 단턱 42: 환테
50: 내관부 51: 제1 탄성부재
60: 개폐부 61: 돌기
70: 실린더부 71: 일측 실린더부
711: 걸림턱 712: 단턱
713: 구멍 72: 타측 실린더부
73: 제2 탄성부재 74: 제3 탄성부재
80: 피스톤부 81: 오링
90: 푸시부 91: 다리부
92: 링부

Claims (7)

  1. 심 형태의 화장품을 수용하며 일측에 출구가 마련되는 외관부;
    상기 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덮개부;
    상기 외관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외관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 버튼부;
    상기 외관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출구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압부;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를 개방시키는 개폐부;
    상기 화장품을 밀어내는 피스톤부;
    일측에 벌어지는 복수 개의 다리부를 갖고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상기 출구 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다리부가 벌어지면서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푸시부;
    상기 외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 대비 상기 출구 측에 마련되는 내관부;
    상기 내관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내관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를 상기 출구의 반대측으로 밀어내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내관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화장품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화장품을 밀어내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를 개방시키며,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부를 기준으로 상기 개폐부를 상기 덮개부 측으로 밀어내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실린더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가압부를 기준으로 상기 실린더부를 상기 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의 외주에 마련되며 상기 다리부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타측에 맞물려 상기 출구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푸시부는, 상기 링부를 기준으로 상기 출구 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다리부가 벌어져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외관부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외벽에 돌기가 마련되고 일측에 톱니를 갖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일측에 마련되며 외벽에 상기 톱니와 맞닿는 캠을 구비하는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관부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일측에 구비한 제1, 2 경사돌부 및 가이드홈이 반복적으로 내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기 전의 경우, 상기 돌기 및 상기 캠은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부가 1차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돌기 및 상기 캠이 상기 가이드홈에서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캠이 상기 가이드홈을 벗어나면서 상기 톱니에 의해 상기 캠부가 회전하며,
    상기 버튼부가 2차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버튼이 상기 캠부를 일측으로 밀어내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캠부가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캠이 상기 경사면을 타고가면서 상기 캠부를 회전시킨 뒤 상기 제1 경사돌부와 상기 제2 경사돌부 사이에 걸쳐지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홈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KR1020170108604A 2017-08-28 2017-08-28 화장용 도구 KR10191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604A KR101912119B1 (ko) 2017-08-28 2017-08-28 화장용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604A KR101912119B1 (ko) 2017-08-28 2017-08-28 화장용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119B1 true KR101912119B1 (ko) 2018-10-29

Family

ID=6410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604A KR101912119B1 (ko) 2017-08-28 2017-08-28 화장용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1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566Y1 (ko) 2000-01-21 2000-07-15 박세호 뚜껑이 없는 유성펜
JP2002166693A (ja) * 2000-12-01 2002-06-11 Kotobuki:Kk ノック式ホルダ
JP2005007850A (ja) 2002-11-18 2005-01-13 Pentel Corp 出没式筆記具
JP2010125602A (ja) * 2008-11-25 2010-06-10 Mitsubishi Pencil Co Ltd 出没式塗布具
KR101177411B1 (ko) 2011-04-20 2012-08-27 오세만 버튼 잠금수단을 갖는 펜슬형 립글루스 용기
KR101602925B1 (ko) 2015-06-24 2016-03-14 주식회사 리치코스 누름 작동식 립스틱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566Y1 (ko) 2000-01-21 2000-07-15 박세호 뚜껑이 없는 유성펜
JP2002166693A (ja) * 2000-12-01 2002-06-11 Kotobuki:Kk ノック式ホルダ
JP2005007850A (ja) 2002-11-18 2005-01-13 Pentel Corp 出没式筆記具
JP2010125602A (ja) * 2008-11-25 2010-06-10 Mitsubishi Pencil Co Ltd 出没式塗布具
KR101177411B1 (ko) 2011-04-20 2012-08-27 오세만 버튼 잠금수단을 갖는 펜슬형 립글루스 용기
KR101602925B1 (ko) 2015-06-24 2016-03-14 주식회사 리치코스 누름 작동식 립스틱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696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spring-biased mirror
KR101625329B1 (ko) 스틱형 화장품용기
KR101831873B1 (ko) 3색 화장용 펜슬
KR101912115B1 (ko) 화장용 도구
KR101912119B1 (ko) 화장용 도구
KR101912114B1 (ko) 화장용 도구
JP3770636B2 (ja) 固形化粧料容器
JP3202178B2 (ja) 化粧料塗布容器
KR100797769B1 (ko) 원터치 오픈형 화장품케이스
KR20170043817A (ko) 아이샤도우 펜슬
JP6741404B2 (ja) 化粧料容器
US10477939B2 (en) Cushion compact container
KR101986283B1 (ko) 길이 조절 스틱을 갖는 화장 브러쉬
WO2011058936A1 (ja) スライド機構
EP1269883B1 (en) Make-up set and cosmetics storage case
KR100834449B1 (ko) 화장용 브러시
KR102078686B1 (ko) 화장품 용기
KR101312411B1 (ko) 화장 브러시용 케이스
KR200248344Y1 (ko) 브러쉬 일체형 속눈썹 성형구
KR200430442Y1 (ko) 화장품 용기
KR101867274B1 (ko) 화장료의 형상이 유지되는 화장용구
KR0118270Y1 (ko) 화장 용기 조립체
JP3193004B2 (ja) カートリッジ式繰り出し容器
JPH0710669Y2 (ja) コンパクト
KR200202816Y1 (ko) 화장용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