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390B1 - 생맥주 거품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거품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망체가 구비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 - Google Patents

생맥주 거품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거품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망체가 구비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390B1
KR101911390B1 KR1020160153565A KR20160153565A KR101911390B1 KR 101911390 B1 KR101911390 B1 KR 101911390B1 KR 1020160153565 A KR1020160153565 A KR 1020160153565A KR 20160153565 A KR20160153565 A KR 20160153565A KR 101911390 B1 KR101911390 B1 KR 10191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ft beer
valve
outlet
foam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583A (ko
Inventor
이한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림테크
Priority to KR102016015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3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5Froth control promo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8Membranes

Abstract

본 발명은 생맥주 인출밸브에 관한 것으로, 생맥주 냉각기에 설치되어 차갑게 냉각된 생맥주를 인출하기 위한 생맥주 인출구와, 생맥주 거품을 인출하기 위한 거품 인출구를 함께 구비하고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에 있어서,
상기 거품 인출구의 내부에 거품 토출통로를 통해 토출되는 생맥주 거품이 잘게 부서지게 하여 아주 작은 크기의 기포 상태로 배출되게 하는 미세메쉬망체가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생맥주 거품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거품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망체가 구비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Draft beer brewer The draft beer brew valve which is equipped with a mesh for finely pulverizing and discharging the bubbles flowing out from the outflow port}
본 발명은 생맥주 거품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거품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망체가 구비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생맥주 냉각기에 설치되어 생맥주를 인출하기 위한 생맥주 인출밸브의 생맥주 거품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생맥주 거품을 잘게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맥주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생맥주잔에 담긴 생맥주의 수면(또는 표면) 위에 미세하게 분쇄된 미세거품이 고르게 확산되어 생맥주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가스가 천천히 방출되도록 하여 생맥주의 고유의 참맛을 느끼면서 생맥주를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생맥주 거품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거품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망체가 구비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는 병맥주와 생맥주로 구분되고 있으며, 병맥주의 경우는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및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며, 생맥주의 경우에는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및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되는 것을 말한다.
생맥주는 제조시 남아 있는 효모의 작용으로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항상 냉장보관을 해야만 그 맛과 향을 보존할 수 있고, 제조 후 2∼3일 정도가 지나면 신선하고 독특한 맛과 향이 줄어들 뿐 아니라 변질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생맥주는 마시기에 적합한 탄산가스가 소정의 함유율(대략 0.5% 정도)로 충전되어 있으며, 4∼6℃ 정도의 온도로 냉각처리되며, 압축붐베에 압축 저장되어 있는 탄산가스로 대략 1.2∼1.5 기압으로 가압되어 유통되고 있다.
또한 생맥주는 저장된 생맥주통에 탄산가스 압축붐베에 압축 저장되어 있는 가압탄산가스를 공급하여 탄산가스의 압력에 의해 생맥주통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생맥주가 냉각기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냉각되어 인출밸브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생맥주를 취급하는 영업소에서는 손님들에게 차갑게 냉각되어 시원하고 신선한 생맥주를 공급하기 위하여 생맥주 냉각기에 생맥주 인출밸브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생맥주통에 연결된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냉각기를 거치도록 한 후 드래프트타워에 장착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를 통해 생맥주를 인출하고 있다.
한편, 생맥주는 생맥주잔에 따랐을 때 생맥주의 수면(또는 표면) 위에 적당량의 생맥주 거품이 존재하여야 생맥주 고유의 맛과 향을 보존할 수 있으며, 또한 생맥주 거품과 함께 마실 때 생맥주의 참맛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의 생맥주 인출밸브는 대부분 하나의 유출구 즉, 생맥주가 유출되는 하나의 생맥주 유출구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는바, 이렇게 하나의 생맥주 유출구만 있는 밸브를 사용하게 될 때에는 생맥주잔에 생맥주를 인출하게 될 때 생맥주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생맥주의 유출량을 조절해서 거품이 발생되게 할 경우에는 거품이 비교적 큰 기포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거품이 소멸되는 시간이 매우 짧은 단점이 있어 생맥주를 마시는 사람들에게 생맥주 특유의 톡쏘는 참맛을 느낄 수 없도록 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37185호의 생맥주 인출밸브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생맥주 인출밸브에 생맥주 인출구와 거품 인출구 2개의 인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생맥주 인출구를 통해서는 생맥주를 인출하는 한편, 상기 거품 인출구를 통해서는 거품을 인출하도록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거품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는 거품은 생맥주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는 생맥주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거품을 형성시키는 것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기포 상태로 인출되게 하는 이점은 있으나, 선행기술의 거품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는 거품의 기포 크기는 여전히 크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생맥주 인출밸브의 피스톤에 형성된 미세홀을 통해 유출되는 생맥주가 소정의 압력으로 좁은 통로의 미세홀의 끝단에서 세게 배출될 때 발생되는 기포는 작은 크기로 생성되는 상태가 되지만, 상기 미세홀의 좁은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즉시 큰 통로의 거품 토출구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거품이 커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 결국, 거품 토출구로 토출되는 거품은 기포가 점차로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거품 인출구로 인출되는 거품은 커진 기포 상태로 인출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7185호(2007. 11. 02.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생맥주 인출밸브에 생맥주 인출구와 거품 인출구를 함께 형성하여 상기 생맥주 인출구를 통해서는 생맥주가 인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거품 인출구를 통해서는 생맥주 거품이 인출되도록 하되, 상기 생맥주 거품이 인출되는 거품 인출구 내부에 미세메쉬망체를 삽입 설치하여 상기 거품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는 생맥주 거품이 미세메쉬망체를 통과하게 될 때 잘게 분쇄되면서 아주 작은 크기의 미세기포 상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생맥주잔에 담긴 생맥주 수면(또는 표면) 위로 배출되는 미세거품이 생맥주잔의 생맥주 수면 전체를 덮어주도록 하여 생맥주 속에 존재하는 탄산가스의 증발작용을 차단 내지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생맥주를 마시는 사람들에게 생맥주 특유의 톡 쏘는 맛을 느끼면서 생맥주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생맥주 인출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생맥주 냉각기에 설치되어 차갑게 냉각된 생맥주를 인출하기 위한 생맥주 인출구와, 생맥주 거품을 인출하기 위한 거품 인출구를 함께 구비하고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에 있어서,
상기 거품 인출구의 내부에 거품 토출통로를 통해 토출되는 생맥주 거품이 잘게 부서지게 하여 아주 작은 크기의 기포 상태로 배출되게 하는 미세메쉬망체가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품 인출구는 거품 토출통로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부에 나사조립으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품 인출구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미세메쉬망체는 거품 인출구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냅링에 의하여 고정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맥주 인출밸브는 생맥주 냉각기에 장착되어 상기 생맥주 냉각기에서 설정된 냉각온도로 냉각처리되는 생맥주를 생맥주 인출밸브를 통해 인출할 수 있으며, 상기 생맥주 인출밸브를 통해 일정량의 생맥주를 생맥주잔에 인출한 다음에는 생맥주 거품을 인출하기 위한 거품 인출구를 통해서는 아주 작은 크기로 잘게 부서져 미세기포의 생맥주 거품이 상기 생맥주잔에 담긴 생맥주 수면 위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생맥주 수면 전체로 확산되는 미세기포가 생맥주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가스가 증발하지 못하도록 차단 내지 억제하는 수단으로 생맥주잔에 담긴 생맥주를 처음 마실 때부터 끝까지 마실 때까지 미세기포의 생맥주 거품이 남아있도록 하여 생맥주를 마시는 사람들에게 생맥주잔에 담긴 생맥주를 다 마실 때까지 생맥주 특유의 톡 쏘는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생맥주 인출밸브의 설치상태 측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생맥주 인출밸브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도 2는 생맥주 유출밸브 및 거품 유출밸브를 폐쇄작동시킨 상태이며,
도 3은 생맥주 유출밸브를 개방작동시킨 상태이고,
도 4는 서품 유출밸브를 개방작동시킨 상태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거품 인출구에 장착되는 미세메쉬망체의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맥주 인출밸브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생맥주 인출밸브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생맥주 인출밸브(1)의 밸브몸체(11)에는 생맥주 냉각기(2)에 나사조립식으로 부착되는 후방부착부(12)와 생맥주 냉각기(2)의 전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전방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몸체(11)는 전방부(13) 쪽으로 편중된 위치의 상부에 밸브핸들(14)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몸체(11)의 하부에는 생맥주 인출구(3) 및 거품 인출구(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생맥주 인출밸브(1)의 밸브몸체(11)에 형성된 후방부착부(12)의 내측에는 유선형으로 뾰죽하게 형성된 콕플런저(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콕플런저(6)에는 생맥주 냉각기(2)에서 냉각된 생맥주가 유입되는 생맥주 유입통로(6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콕플런저(6)는 후방부착부(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조절밸브(62)의 회전작동에 따라 생맥주 냉각기(2) 쪽으로 돌출하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그 반대방향의 밸브몸체(11)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몸체(11)의 내부에는 밸브핸들(14)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또는 좌측방향으로 밀어주는 작동에 따라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생맥주 유출밸브(5)가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생맥주 유출밸브(5)의 좌,우측 부분에는 밸브헤드(51)와 피스톤밸브(5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생맥주 유출밸브(5)의 밸브헤드(51) 중심에서부터 피스톤밸브(52) 중심까지 아주 작은 직경으로 된 미세통로(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세통로(53)의 끝단에는 상기 피스톤밸브(52)의 후단으로 노출되어 미세통로(53)로 유입되는 생맥주가 거품상태로 토출되도록 하는 거품 토출구(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밸브(52)의 후단에는 안내로드(5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로드(55)의 끝단에는 프런트캡(56)이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밸브(52)와 프런트캡(56) 사이에는 안내로드(55)를 감싼 상태로 설치되는 거품유출밸브(7)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거품유출밸브(7)는 밸브핸들(14)을 도 3의 도시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작동간(15)에 의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생맥주유출밸브(5)의 밸브헤드(51)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생맥주 유출통로(16)를 개방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밸브핸들(14)을 좌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됨에 따라 작동간(15)에 의해 거품유출밸브(7)가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밸브헤드(51)를 폐쇄작동시키는 한편, 거품토출구(54)는 개방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의 확대부분 참조)
상기 거품유출밸브(7)의 일단(도면상 좌측부분 참조)에는 거품토출구(54)를 개폐시키기 위한 기밀패킹(7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핸들(14)을 도 3의 도시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작동간(15)이 생맥주유출밸브(5)의 밸브헤드(51)가 생맥주 유출통로(16)를 개방작동시켰을 때에는 콕플런저(6)의 생맥주 유입통로(61)를 통해 유입되는 생맥주가 밸브몸체(11)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생맥주 유출통로(16)를 통해 생맥주 인출구(3)로 배출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밸브핸들(14)을 도 4의 도시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됨에 따라 작동간(15)이 거품유출밸브(7)를 밸브몸체(11)의 전방부(13) 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이에 따라 밸드헤드(51)는 생맥주 유출통로(16)를 폐쇄작동시키는 반면에, 거품 토출구(54)는 개방시키게 된다.(도 4의 확대부분 참조)
상기와 같이 거품 토출구(54)가 개방작동될 경우에는 콕플런저(6)의 생맥주 유입통로(61)로 유입되는 생맥주는 1차거품발생부(53,54,71)를 통해 거품으로 변환되어 거품 인출구(4)를 통해 거품을 배출하게 되는 데, 이를 위해 생맥주는 밸브헤드(51)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통로(53)로 유입되어 끝단에 형성된 거품 토출구(54)를 통해 토출되는데, 이때 상기 미세통로(53)의 아주 작은 직경으로 유입되는 생맥주가 거품 토출구(54)를 경유하여 넓은 직경의 거품토출통로(71) 쪽으로 토출될 때에는 거품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거품을 일으키는 기포는 점차로 커지면서 토출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생맥주가 1차거품발생부(53, 54, 71)를 통과하면서, 즉, 상기 미세통로(53)의 작은 직경으로 유입되는 생맥주가 거품 토출구(54)를 통해 토출됨과 동시에 넓은 직경의 거품토출통로(71)로 토출될 때 1차로 거품이 부풀어 오르면서 토출되어지게 되는 데, 이 같은 거품을 2차로 다시 거품 인출구(4) 내부에 구비된 2차거품발생부를 통해서 더욱 잘게 부서진 거품 상태가 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거품 인출구(4)의 내부에 2차거품발생부로 기능하는 미세메쉬망체(8)를 삽입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거품 인출구(4)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품토출통로(71)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부(72)에 거품 인출구(4)를 나사조립식으로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거품 인출구(4)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미세메쉬망체(8)를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품 인출구(4)의 내면에 형성된 환형홈(41)에 스냅링(9)이 걸림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생맥주유출밸브(5)의 피스톤밸브(52) 후단에 돌출 형성된 안내로드(55)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거품유출밸브(7)와 프런트캡(56) 사이에는 스프링(57)이 탄력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핸들(14)을 잡아당기거나 밀어줌에 따라 작동간(15)이 스프링(57)으로 탄력설치되어 있는 거품유출밸브(7)를 콕플런저(6)의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밀어내거나 또는 프런트캡(56)의 방향을 향해 탄력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생맥주 인출밸브(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생맥주 인출밸브(1)는 생맥주 냉각기(2)에 장착되어 생맥주 및 거품을 따로따로 인출하기 위한 생맥주 인출구(3)와 거품 인출구(4)가 함께 형성되어 있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밸브핸들(15)을 도 2의 도시와 같이 작동시키지 아니한 상태에서 유량조절밸브(62)를 회전조작하여 콕플런저(6)가 밸브몸체(11)의 후방부착부(12) 속으로 몰입되도록 작동시켰을 때에는 밸브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생맥주유출밸브(5)의 밸브헤드(51)가 폐쇄상태로 유지하고 있게 되며, 또한 거품유출밸브(7)도 거품 토출구(54)를 폐쇄시키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생맥주 냉각기(2)에 설치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1)를 통해 설정온도로 차갑게 냉각된 생맥주를 인출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생맥주 인출밸브(1)의 후방부착부(12)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량조절밸브(62)를 회전조작하여 콕플런저(6)가 생맥주 냉각기(2) 쪽으로 전진 이동되도록 조절시킨 다음, 이어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핸들(14)을 도면상 우측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작동간(15)이 거품유출밸브(7)를 콕플런저(6)의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이에 따라 밸브헤드(51)가 개방작동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와 같이 밸브헤드(51)가 개방작동되면, 콕플런저(6)의 생맥주 유입통로(61)로 유입되는 생맥주는 개방된 밸브헤드(51)를 거쳐 생맥주유출통로(16)를 통해 생맥주 인출구(3)로 유출되어 생맥주잔(100)에 담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밸브핸들(14)을 잡아당기는 작동으로 생맥주 냉각기(2)에서 설정된 냉각온도로 냉각된 생맥주가 생맥주 인출구(3)로 인출되어 생맥주잔(100)에 일정량 담기게 될 때까지에는 상기 밸브핸들(14)을 계속 잡아당기게 되며, 생맥주잔(100)에 생맥주가 일정량 담긴 상태가 될 때에는 상기 밸브핸들(14)을 원위치(도 2 도시 참조)로 작동시키게 되며, 이어서 생맥주가 일정량 담겨있는 생맥주잔(100)의 생맥주 수면 위에 생맥주 거품을 배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밸브핸들(14)을 도면상 좌측방향(화살표 참조)으로 밀어주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데, 이와 같이 밸브핸들(14)을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작동간(15)이 거품유출밸브(7)를 프런트캡(56) 쪽을 향해 탄력적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생맥주유출밸브(5)의 밸브헤드(51)는 폐쇄작동되는 반면에, 상기 거품유출밸브(7)는 거품토출구(54)를 개방시키게 된다.(도 4의 확대부분 참조)
상기와 같이 거품유출밸브(7)가 스프링(57)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밸브헤드(51)는 폐쇄작동되는 반면에, 상기 거품 토출구(54)는 개방되는 것이며, 이 경우 콕플런저(6)의 생맥주 유입통로(61)를 통해 유입되는 생맥주는 1차거품발생부(53, 54, 71)를 통해 거품으로 변환되어 배출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밸브헤드(51)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통로(53)로 생맥주가 유입되어 흘러 개방된 거품 토출구(54)로 토출되는데, 이때 상기 거품 토출구(54)를 통해 토출되는 생맥주가 직경이 작은 미세통로(53)를 통해 흐르다가 직경이 큰 거품토출통로(71) 쪽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압력차이로 인해 거품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은 직경의 거품 토출구(54)를 통해 직경이 큰 거품토출통로(71)로 토출될 때 1차로 발생된 생맥주 거품은 상기 거품토출통로(71)에서 거품 인출구(4)로 이동하는 동안 1차 생맥주 거품의 기포가 점차로 커지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거품 인출구(4)로 토출되는 생맥주 거품이 거품 인출구(4)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2차거품발생부인 미세메쉬망체(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더욱 잘게 부서져 배출된다. 이 같이 2차거품발생부인 상기 미세메쉬망체(8)에 의하여 2차로 기포가 더욱 작아지도록 잘게 부서지면서 토출되는 생맥주 거품은 생맥주잔(100)에 담긴 생맥주의 수면 위에 고르게 확산되어 생맥주 속에 존재하는 탄산가스가 증발하는 것을 억제하게 되므로 생맥주잔(100)에 담겨있는 생맥주에는 처음 인출되었을 때부터 생맥주가 다 없어질 때까지 탄산가스가 잔존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생맥주를 마시는 사람들은 생맥주에 담겨있는 생맥주를 다 마실 때까지 생맥주 특유의 톡 쏘는 맛과 향을 느끼면서 더욱 부드러운 맛의 생맥주를 음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생맥주 인출밸브(1)를 장기간 동안 사용한 후 거품 인출구(4)를 깨끗하게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거품 인출구(4)를 수나사부(72)에서 나사풀림하여 세척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거품 인출구(4)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미세메쉬망체(8)를 위생적으로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수나사부(72)에서 거품 인출구(4)를 나사풀림하여 분리한 후 상기 거품 인출구(4) 내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냅링(9)를 환형홈(41)에서 빼내는 방법으로 미세메쉬망체(8)를 분리하여 위생적으로 세척한 후 다시 거품 인출구(4) 내부에 조립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맥주 인출밸브(1)는 1차거품발생부(53, 54, 71)를 거쳐 1차로 형성한 거품을, 다시 2차로 거품 인출구(4) 내부에 삽입 설치된 2차거품발생기인 미세메쉬망체(8)를 이용하여 아주 작은, 즉, 더욱 더 미세한 기포상태로 잘게 부서뜨려서 거품 토출구(54)를 통해 생맥주잔(100)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생맥주의 상부를 덮고 있는 미세입자의 거품들이 생맥주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가스의 증발을 억제하여 생맥주를 마시는 사람들에게 생맥주에 들어있는 탄산가스의 톡 쏘는 맛과 고운 거품 입자들에 의한 부드러움을 느끼면서 생맥주를 음미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 생맥주 인출밸브 11 : 밸브몸체
12 : 후방부착부 13 : 전방부
14 : 밸브핸들 15 : 작동간
16 : 생맥주유출통로 2 : 생맥주 냉각기
3 : 생맥주 인출구 4 : 거품 인출구
41 : 환형홈 5 : 생맥주유출밸브
51 : 밸브헤드 52 : 피스톤밸브
53 : 미세통로 54 : 거품 토출구
55 : 안내로드 56 : 프런트캡
57 : 스프링 6 : 콕플런저
61 : 생맥주 유입통로 62 : 유량조절밸브
7 : 거품유출밸브 71 : 거품토출통로
72 : 수나사부 73 : 기밀패킹
8 : 미세메쉬망체 9 : 스냅링

Claims (3)

  1. 차갑게 냉각된 생맥주를 인출하기 위하여 생맥주 냉각기에 장착되는 생맥주 인출밸브에 있어서, 밸브몸체(11)와, 상기 밸브몸체(11)에 마련되는 생맥주 인출구(3)와; 생맥주 거품을 인출하기 위해 생맥주 인출구(3)와 나란히 마련된 거품 인출구(4)와; 상기 생맥주 인출구(3)와 상기 거품 인출구(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작동되는 밸브핸들(14)과; 상기 밸브몸체(11)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밸브핸들(14)의 작동 방향에 따라 상기 생맥주 냉각기에 대해 상기 생맥주 인출구(3)를 개폐하는 밸브헤드(51)를 구비한 생맥주유출밸브(5)와; 상기 생맥주유출밸브(5)를 지지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핸들(14)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11) 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거품 인출구(4)로 거품을 배출하도록 개폐되는 거품유출밸브(7)와; 거품 발생을 위한 상기 밸브핸들(14)의 작동 시 거품 형성을 위한 생맥주가 거품 인출구(4) 측으로 흐르도록 생맥주유출밸브(5)에 형성되는 미세통로(53)와, 그 미세통로(53)에 연통하도록 거품유출밸브(7)에 형성되는 거품 토출구(54) 및 그 거품 토출구(54)에 연통하여 거품 인출구(4)의 접속부위에 형성되는 큰 거품토출통로(71)로 구성되는 1차거품발생부(53, 54, 71)와; 상기 거품 인출구(4)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거품발생부(53,54,71)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생맥주 거품을 2차로 더욱 잘게 부서지게 하여 미세 기포 상태의 거품으로 배출되게 하는 미세메쉬망체(8)로서 되는 2차거품발생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2차거품발생부를 형성하는 미세메쉬망체(8)의 선단에는 스냅링(9)이 장착되어 상기 스냅링(9)에 의하여 거품 인출구(4)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거품 인출구(4)는 거품 토출통로(7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 인출밸브.
  2. 삭제
  3. 삭제
KR1020160153565A 2016-11-17 2016-11-17 생맥주 거품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거품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망체가 구비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 KR10191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565A KR101911390B1 (ko) 2016-11-17 2016-11-17 생맥주 거품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거품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망체가 구비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565A KR101911390B1 (ko) 2016-11-17 2016-11-17 생맥주 거품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거품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망체가 구비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583A KR20180055583A (ko) 2018-05-25
KR101911390B1 true KR101911390B1 (ko) 2018-10-25

Family

ID=6229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565A KR101911390B1 (ko) 2016-11-17 2016-11-17 생맥주 거품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거품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망체가 구비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234B1 (ko) 2020-09-08 2021-10-19 이정민 거품을 억제하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6990A1 (ko) * 2022-03-15 2023-09-21 강성하 세척이 용이한 생맥주 인출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03Y1 (ko) * 2006-05-10 2006-07-20 이양준 생맥주 인출장치
JP5506688B2 (ja) * 2007-11-14 2014-05-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分配器及び飲料を生成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03Y1 (ko) * 2006-05-10 2006-07-20 이양준 생맥주 인출장치
JP5506688B2 (ja) * 2007-11-14 2014-05-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分配器及び飲料を生成す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234B1 (ko) 2020-09-08 2021-10-19 이정민 거품을 억제하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583A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574B1 (ko) 커피 제조 방법 및 장치
CN105011305B (zh) 碳酸饮料制造方法及其使用的碳酸饮料制造机
KR101911390B1 (ko) 생맥주 거품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거품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망체가 구비되어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
EP3087014B1 (en) Brewable beverage making cup adaptor for cartridge type coffee making machines
CN103079437B (zh) 饮料泡制设备和方法
WO2017080097A1 (zh) 打奶泡方法、冲泡咖啡方法及用于该方法的饮料机
DE102017001151B4 (de) Schankanlage, Zapfhahn dafü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nitrogenisierten Kaffees oder Biers
WO2008156283A1 (en) Extractor for green tea
CH703027A2 (de) Druckknopf-Dispenser mit Druckgas-Kapsel für Getränkeflaschen.
CN114423853A (zh) 酿造方面的改进
KR200422003Y1 (ko) 생맥주 인출장치
KR20170085350A (ko) 생맥주 인출밸브
US10390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CN108652366B (zh) 一种可快速饮用温水的保温杯
DE102014213798A1 (de)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Wasserspendereinheit die eine Aufnahmeeinheit zum Einsetzen eines Geschmacksmittel-Behälters aufweist
KR200437185Y1 (ko) 생맥주 인출밸브
CN210944842U (zh) 长嘴不锈钢龙头氮气酒矛
KR101331508B1 (ko) 알콜 및 탄산음료병 마개
KR101576398B1 (ko) 탄산 수정과의 제조방법
TWI714383B (zh) 一種防止結凍的充氣嘴裝置
KR200273100Y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102310614B1 (ko) 맥주 콕밸브
CN108652367A (zh) 保温杯内热水的快速冷却方法
CN109528003B (zh) 一种氮气冷萃饮料机
JP2005263327A (ja) 発泡飲料注出コ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