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536B1 - 비상탈출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536B1
KR101910536B1 KR1020170061075A KR20170061075A KR101910536B1 KR 101910536 B1 KR101910536 B1 KR 101910536B1 KR 1020170061075 A KR1020170061075 A KR 1020170061075A KR 20170061075 A KR20170061075 A KR 20170061075A KR 101910536 B1 KR101910536 B1 KR 101910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bar
fixed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범
강유진
유지정
백혜인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6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은 상기 제1 고정부와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탈착이 가능하며, 상기 몸체부의 타측은 상기 제2 고정부와 회전결합을 통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상탈출용 손잡이{EMERGENCY ESCAPE HANDLE}
실시예는 비상탈출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위급상황 발생시 분리를 통해 망치로 사용될 수 있는 비상탈출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행 중인 버스는 다량의 인원을 수송하기 때문에 사고 또는 화재 발생으로 출입문이 폐쇄되는 경우 많은 인명의 사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최근에는 버스 내에 비상 탈출용 안전 망치의 배치를 의무화하고 일정 개수 이상의 비상탈출용 안전 망치를 배치하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그러나, 사고 발생시 차체가 변형되거나 뒤집어지는 경우, 비상 탈출용 망치가 비치된 곳까지 이동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비상 탈출용 망치 대신 승객이 앉은 자리에서 이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 목 받침대의 철심이나 안전벨트의 결합부분에 구비되는 쇠뭉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용 수단은 망치 기능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차 유리 등을 깨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승객의 앉은 자리 근처에서 비상시 망치기능을 할 수 있는 안전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2118호.
실시예는 평소에는 손잡이로 사용되나, 위급 상황 발생시 탈착되어 탈출용 망치로 사용될 수 있는 비상탈출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은 상기 제1 고정부와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탈착이 가능하며, 상기 몸체부의 타측은 상기 제2 고정부와 회전결합을 통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몸체부홀이, 상기 제1 고정부에는 고정부홀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홀과 상기 고정부홀에는 고정바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바의 이동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일측이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바에는 상기 몸체부홀 또는 상기 고정부홀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을 형성하는 내벽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는 탄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와 상기 고정바 사이에는 지지블럭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는 강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은 상기 제2 고정부와 회전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고정부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연결되며 관 형상으로 마련되는 고정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홈부가, 상기 고정부몸체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일 영역은 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내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 타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의 고정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는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1 삽입부의 직경은 상기 제2 삽입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의 후방에는 지지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사태 발생시 손쉽게 유리를 깨고 탈출할 수 있어, 인명 피해 또는 2차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 탈출용 망치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나 거치대가 필요치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성요소인 몸체부의 탈착 구조를 나타내는 A-A`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내부구조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구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는 도 1의 구성요소인 제2 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제2 고정부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서 몸체부와 제2 고정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9은 도 6의 몸체부의 타측 단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손잡이(1)는 차량을 대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상탈출을 위한 다양한 장소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몸체부의 탈착 구조를 나타내는 A-A`단면도이고, 도 4는 A-A`의 내부구조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A-A`의 내구구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손잡이(1)는 제1 고정부(100), 제2 고정부(200) 및 몸체부(300)를 포함하며, 몸체부(300)의 일측은 제1 고정부(100)와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탈착이 가능하며, 몸체부(300)의 타측은 상기 제2 고정부(200)와 회전결합을 통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는 몸체부(300)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막대형상으로 마련되어 양측이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300)의 일측에는 몸체부홀(310)이, 제1 고정부(100)에는 고정부홀(111)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몸체부홀(310)과 고정부홀(111)에는 고정바(400)가 삽입되며, 고정바(400)의 이동을 통해 상기 몸체부(300)의 일측이 상기 제1 고정부(1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고정부(100)에는 제1 고정부몸체(11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정부몸체(110)는 절곡된 형상으로 일측이 제1 고정부(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은 고정바(400)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부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00)에 형성되는 고정부홀(111)과 몸체부(300)에 형성되는 몸체부홀(310)은 고정바(400)가 삽입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고정부홀(111)과 몸체부홀(310) 내부에서 고정바(400)가 이동하게 되며, 고정부홀(111)과 몸체부홀(310)의 길이는 고정바(400)가 이동시 일측의 홀에서 고정바(400)가 이탈되는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바(400)의 이탈로 몸체부(300)가 제1 고정부(100)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400)에는 몸체부홀(310) 또는 고정부홀(11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330)는 몸체부(300) 및 고정부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바(400)를 외부에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33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몸체부(300)에는 손잡이부(330)가 몸체부(300) 외부로 관통하기 위한 손잡이부관통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관통홀(320)은 고정바(400)가 제1 고정부(100)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어 돌출부(233)가 이동시 고정바(400)가 제1 고정부(1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손잡이부(330)가 몸체부(300)를 관통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고정부(100)를 관통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홀(310)을 형성하는 내벽(350)과 고정바(400) 사이에는 탄성체(370)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370)는 고정바(400)를 지지하여 돌출부(233)가 의도치않게 밀리거나, 완전하지 않게 밀리는 경우, 몸체부(3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체(370)의 일측은 몸체부홀(310)을 형성하는 내벽(35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측은 고정바(4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탄성체(370)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370)와 고정바(400) 사이에는 지지블럭(34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블럭(340)은 탄성체(370)가 고정바(400)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력을 고정바(400) 전체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일실시예로, 내벽(350)에는 스프링의 일단을 안착하기 위한 몸체부안착홀(35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안착홀(352)에는 스프링의 내부로 삽입되어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몸체부돌기(35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블럭(340)에는 몸체부안착홀(352)과 마주보도록 지지블럭안착홀(3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블럭안착홀(342)에는 지지블럭돌기(344)가 마련되어 스프링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은 고정바(400)의 형상에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스프링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몸체부안착홀(352)과 지지블럭안착홀(342) 또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바(400)가 제1 고정부(100)에 삽입되어 몸체부(300)가 고정되는 경우, 지지바와 몸체부홀(310)의 내벽(350) 사이 공간은 제1 고정부(100)에 삽입되는 고정바(400)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어 고정바(400)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2 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고정부에서 제2 고정부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2 고정부(200)는 몸체부(300)의 타측과 회전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300) 일측에 위치하는 고정바(400)를 이동시켜 일측의 고정을 해제한 후, 몸체부(300)의 타측을 회전시켜 제2 고정부(200)와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제2 고정부(200)는 고정플레이트(210), 삽입블럭(220), 고정부몸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210)는 제2 고정부(20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 기초가 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2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고정수단도 접착제, 나사결합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삽입블럭(220)은 일정높이를 구비하는 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고정플레이트(2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부몸체(230)에 삽입결합되어 몸체부(300)의 회전시 고정부몸체(23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블럭(220)은 고정부몸체(23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고정부몸체(230)에 몸체부(300)의 타단이 삽입고정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고정부몸체(230)는 고정플레이트(210)와 연결되며, 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블럭(220)에는 홈부(221)가, 고정부몸체(230)에는 돌기(231)가 형성되며, 돌기(231)는 홈부(221)에 삽입되어 고정부몸체(2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삽입블럭(220)과 고정플레이트(210)가 별도의 구조로 나타나고 있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몸체부와 제2 고정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9은 몸체부의 타측 단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관 구조로 형성되는 제2 고정부(200)의 내벽(350)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33)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233)는 제2 고정부(200)의 내벽(350)의 끝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돌출부(233)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고정부(200)의 내벽(350)을 따라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호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233)의 후방에는 회전지지부(363)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방지부(235)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방지부(235)는 돌출부(233)의 끝단에 배치되어 몸체부(300)의 회전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회전방지부(235)는 몸체부(300)에 구비되는 지지부(363)가 회전시 지지부(363)의 측면과 맞닿아 몸체부(300)의 회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위치는 고정바(400)가 몸체부(300)에서 이동할 수 있는 위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방지부(235)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며, 지지부(363)와 맞물려 회전을 제한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몸체부(300) 타측 단부(360)의 외주면에는 지지부(363)가 마련되어 제2 고정부(200)에 삽입되며, 몸체부(300) 고정상태에서 지지부(363)가 제2 고정부(200)에 형성되는 돌출부(2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몸체부(300) 타측 단부(360)는 제1 삽입부(361)와 제2 삽입부(365)로 구획되며, 지지부(363)는 제1 삽입부(361)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삽입부(361)와 제2 삽입부(365)는 서로 다른 크기의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삽입부(361)의 직경은 제2 삽입부(36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361)의 직경은 원호의 형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돌출부(233)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2 고정부(200)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삽입부(365)의 직경은 원호의 형태로 배치되는 돌출부(233)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되어 몸체부(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삽입부(365)의 폭은 돌출부(233)가 삽입되어 유동을 방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삽입부(361)에 배치되는 지지부(363)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삽입부(365)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제1 삽입부(361)에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지지부(363)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200)에 삽입되어 회전시 돌출부(233)와 접촉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63)의 측면에는 회전가이드부(367)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부(367)는 지지부(363)가 회전시 잘못된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회전가이드부(367)는 몸체부(300)가 제2 고정부(200)에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몸체부(300)가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회전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300)는 고정바(400)에 의한 고정이 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잘못된 방향으로 조립했음을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손잡이(1)의 착탈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적으로, 사용자는 손잡이부(330)를 이동시켜 고정바(400)를 제1 고정부(100)에서 해제하게 된다. 이후, 몸체부(300)를 회전하여 제2 고정부(200)의 돌출부(233)와 몸체부(300)의 타측 단부(360)에 구비되는 지지부(363)의 접촉을 해제하여 몸체부(300)를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몸체부(300)의 타측 단부(360)는 강성 재질로 마련되어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차 유리를 깨고 탈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타측 단부(360)는 카본 스틸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0)는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며, 사용자가 유리를 깨기 위해 몸체부(300)를 휘두르는 경우 손이 유리에 닿아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비상탈출용 손잡이
100 : 제1 고정부 110 : 제1 고정부몸체
111 : 고정부홀
200 : 제2 고정부 210 : 고정플레이트
220 : 삽입블럭 221 : 홈부
230 : 고정부몸체 231 : 돌기
233 : 손잡이부 235 : 회전방지부
300 : 몸체부 310 : 몸체부홀
320 : 몸체부관통홀 330 : 돌출부
340 : 지지블럭 342 : 지지블럭안착홀
344 : 지지블럭돌기 350 : 내벽
352 : 몸체부안착홀 354 : 몸체부돌기
360 : 타측 단부 361 : 제1 삽입부
363 : 지지부 365 : 제2 삽입부
367 : 회전가이드부 370 : 스프링
400 : 고정바

Claims (12)

  1.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는 몸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은 상기 제1 고정부와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탈착이 가능하며, 상기 몸체부의 타측은 상기 제2 고정부와 회전결합을 통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몸체부홀이, 상기 제1 고정부에는 고정부홀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홀과 상기 고정부홀에는 고정바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바의 이동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일측이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탈착되며,
    상기 고정바에는 상기 몸체부홀 또는 상기 고정부홀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홀을 형성하는 내벽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는 탄성체가 배치되는 비상탈출용 손잡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와 상기 고정바 사이에는 지지블럭이 배치되는 비상탈출용 손잡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는 강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손잡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손잡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측은 상기 제2 고정부와 회전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손잡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연결되며 관 형상으로 마련되는 고정부몸체, 및
    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몸체에 삽입결합되는 삽입블럭
    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블럭에는 홈부가, 상기 고정부몸체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손잡이.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의 일 영역은 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내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 타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의 고정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손잡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는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1 삽입부의 직경은 상기 제2 삽입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비상탈출용 손잡이.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후방에는 지지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방지부가 구비되는 비상탈출용 손잡이.
KR1020170061075A 2017-05-17 2017-05-17 비상탈출용 손잡이 KR101910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075A KR101910536B1 (ko) 2017-05-17 2017-05-17 비상탈출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075A KR101910536B1 (ko) 2017-05-17 2017-05-17 비상탈출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536B1 true KR101910536B1 (ko) 2018-10-22

Family

ID=6410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075A KR101910536B1 (ko) 2017-05-17 2017-05-17 비상탈출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5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048A (ja) * 2000-10-02 2002-04-09 Yoshio Hatanaka ハンマー付アシストグリップ
US7089629B2 (en) 2004-08-13 2006-08-15 Hyundai Motor Company Mounting structure of an inner handle for a vehicle
KR101570707B1 (ko) 2014-07-30 2015-11-20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048A (ja) * 2000-10-02 2002-04-09 Yoshio Hatanaka ハンマー付アシストグリップ
US7089629B2 (en) 2004-08-13 2006-08-15 Hyundai Motor Company Mounting structure of an inner handle for a vehicle
KR101570707B1 (ko) 2014-07-30 2015-11-20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5124B2 (en) Child restraint having indicator device
US9187937B2 (en) Collapsible door trim pull handle
EP2361816A2 (en) Steering column device
KR101623438B1 (ko) 휴대용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CA2668435A1 (en) Eye protectors
WO2010139101A1 (zh) 可拆卸式滚轮装置和移动式箱包
KR101910536B1 (ko) 비상탈출용 손잡이
US20050236857A1 (en) Remote control unit storage device
JP2012102870A (ja) 制御ケーブルの鞘を取付けブラケットに固定するためのクイックフィット固定装置
JP4739601B2 (ja) 物品ホルダーのエアコン吹き出し口ルーバーへの取付具
KR20110019923A (ko) 버튼형 토잉 후크 캡
EP2277734A2 (en) Safety device used in combination with child seat assembly
US9245701B2 (en) Pressure switch for a motor vehicle
CN218961237U (zh) 一种快换结构、按摩装置及按摩机器人
JP6292386B2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5714121B2 (ja) キャスター
EP2412578B1 (en) Device for detachably attaching a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0657668B1 (ko) 차량용 암레스트
JP2003512234A (ja) 保持エレメントと板ガラス用ワイパ装置とから成る構成ユニット
AU2014100324A4 (en) Child restraint having indicator device
JP4937869B2 (ja) ペダル軸結合構造
WO2016034659A1 (en) Joint locator
EP1866180B1 (en) Infant seat
JP610353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801774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