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558B1 -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558B1
KR101909558B1 KR1020170085885A KR20170085885A KR101909558B1 KR 101909558 B1 KR101909558 B1 KR 101909558B1 KR 1020170085885 A KR1020170085885 A KR 1020170085885A KR 20170085885 A KR20170085885 A KR 20170085885A KR 101909558 B1 KR101909558 B1 KR 101909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used
fusion
present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박철우
Original Assignee
다이텍연구원
주식회사 삼우텍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텍연구원, 주식회사 삼우텍스텍 filed Critical 다이텍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웨어용 직편물 의류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융착가연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급원사의 장력조절을 통한 모우 및 불량을 감소시키고 융착부와 반융착부가 반복된 융착가연사를 형성하는 사가공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융착가공사를 이용하여 직편물로 제편할 경우 폴리에스테르 적용시보다 다소 벌키감을 가지며 융착부와 반융착부의 반복패턴화를 이루어 공극을 만들어 고시감, 통기성이 부여되고 NP 분할에 따른 원단상에서 소프트한 접촉감이 부여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Process Of Producing Fused And False Twisted Nylon/Polyester Conjugate Yarn For Inner―wear Knit And Fabrics}
본 발명은 이너웨어용 직편물 의류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융착가연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급원사의 장력조절을 통한 모우 및 불량을 감소시키고 융착부와 반융착부가 반복된 융착가연사를 형성하는 사가공방법이다.
최근 라이프 사이클이 빨라지고 있는 감성 및 기능성 의류제품 시장에서 새로운 원사나 소재가 접목된 신기술 제품이라 하더라도 기존 제품에 비해 가치나 수요가 낮으면 개발도상국과의 경쟁에서 뒤쳐지고 출시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기존의 기능성 POY사를 이용하여 사가공 단계에서의 집적된 기술개발을 통해 고기능성과 우수한 감성이 동시에 발현되고, 시장 요구사항에 즉각적 대응 및 쉽게 접근이 가능한 상용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한 만큼 아웃웨어 시장 만큼이나 패션에 죄우되는 이너웨어 시장의 매출이나 경쟁도 치열하며, 최근 들어 아웃도어와 레저인구 증가에 따라 이너웨어 제품도 기능성 제품군이 강화되고 있다. 이너웨어 기본 개념의 기능성 이너웨어 뿐만 아니라 활동성이 많아지면서 특히 하절기에는 아웃웨어 개념으로서 몸에 핏되는 스포츠 이너웨어 의류를 착용하고 운동하는 일반인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렇게 몸에 Fit되거나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는 이너웨어 의류들은 의류와 피부에 마찰이 자극되어 피부에 가려움이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이너웨어 특성상 얇고, 통기성이 있으며 패션성이 가미된 외관변화가 있는 이너웨어가 시장에서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소재로서 합성섬유를 사가공하여 마조 촉감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제10-2003-0076827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와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연신사로 구성되며, 섬유 길이방향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연신사를 휘감고 있는 형태를 갖는 융착ㅇ집속부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와 폴리에스테르 고배향 연신사가 복합, 개섬된 형태를 갖는 권축부가 불규칙적으로 반복되며, 상기 융착ㅇ집속의 점유율이 20~80%인 폴리에스테르 융착가연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에스테르 융착가연사의 경우에도 마조 촉감을 발현하여 까실까실한 느낌을 부여할 수는 있었으나 부드럽지 못하여 피부접촉감이 양호하지 못하고 비융착 부분의 외관도 조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제10-2003-0076827호(2003년09월29일 공개)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융착가연사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NP분할사를 사용하여 융착가연사를 제조함으로써 촉감이나 외관확보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고 모우발생이 적고 마조 촉감과 소프트감을 동시에 가지는 융착가연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50~120de/36~48f의 N/P분할부분연신복합필라멘트를 가이드롤러를 통과시켜 장력 5~9g의 저장력으로 제1피드롤러로 공급하고 225∼237℃ 의 제1차히터에서 열처리한 후, 마찰벨트 또는 디스크로 이루어진 가연장치를 이용하여 가연하면서 제2피드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연신한 후, 제2차히터에서 열고정한후, 오일처리하여 사속 380∼400m/분으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너웨어용 및 하절기 직편물 의류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융착형 가연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급원사의 장력조절을 통한 모우 및 불량을 감소시키고 융착부와 반융착부의 반복패턴화를 형성하는 사가공방법이다.
본 발명의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공급원사로는 50~120de/36~48f의 N/P분할부분연신복합필라멘트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세섬사를 사가공함에 있어서는 공급 원사의 장력 증가로 인해 최종 가공사의 모우 및 불량의 원인이 되므로 원사 공급시 장력을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1)를 파이프 가이드(2)와 가이드롤러(3)를 통과시켜 장력 5~9g의 저장력으로 제1피드롤러(4)로 공급한다. 이는 세섬사가공에서 저장력으로 원사공급을 원활하게하기 위해 롤러가이드를 사용하여 공급 원사의 변형을 최소화하였다. 만약 9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장력과다로 인해 공급원사의 변형과 최종 가공사의 모우발생 증가 및 원하는 융착 가공사 특성 발현이 어려운 우려가 있다.
이후 232∼237℃ 의 제1차히터(5)에서 열처리한 후, 마찰벨트 또는 디스크로 이루어진 가연장치(6)를 이용하여 가연하면서 연신비 1.25 ∼ 1.35로 연신한다.
일반가연가공기술시 원사를 투입하고 제1피드롤러와 제1히터를 통과하면서 꼬임부분 열셋팅이 이루어지는데 가연장치에서 꼬임을 만들어주며 다시 풀림과정이 일어나 가공사의 벌키성과 신축성이 발현되고 제2피드롤러(7)와 제2차히터(8)로 공급하여 가공사 안정화를 시켜서 제3피드롤러를 통과하며 가공사 와인딩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가공속도를 700m/min 수준의 고속가연가공 과정에서 210℃수준의 제1히터열을 부여하고, 충분한 연신을 주어서 꼬임 작업(twist)과 풀림작업(untwist)을 수행함으로써 높은 벌키성과 신축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에서는 225∼ 237℃ 의 제1차히터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열처리하여 원사를 융착부분(도 2)와 반융착부분(도 3)이 반복하는 상태로 만들게 되어 제편시 도 4와 같은 패턴화를 이루게 된다. 융착부분은 제1차히터의 뒤에 있는 가연기로부터 이루어지는 가연이 미해연되는 구간으로서 가공사가 타이트하게 이루어진 부분이며, 반융착부분은 가연기로부터 이루어지는 가연이 해연되어 벌키하게 이루어진 부분이다.
상기 융착부와 반융착부의 반복주기나 길이간격은 가연장치의 Nip belt의 접압력과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225℃미만에서는 비융착 부분이 많이 나타나므로 최종가공사의 물성 목표인 코시감의 감소가 발생하며, 237℃초과시에선 융착부분이 매우 많이 나타나므로 터치감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반 가연가공사에 비해서 다소 낮은 가공속도 380∼400m/분의 저속가연가공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일반 가연가공사보다 상대적으로 연신을 적게 주면서(연신비 1.25 ∼ 1.35) 꼬임(twist)과 풀림작업(untwist)작업을 수행하여 벌키성을 줄여 강연사와 일반가연사의 중간 정도의 벌키성을 가진 가공사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제2피드롤러를 통과시킨 후 제2차히터(8)에서 가공사의 열고정작업후, 오일처리하여 사속 380∼400m/분으로 권취롤러(9)로 권취하여 본 발명의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분할세섬 융착가연사를 사용하여 직편물을 제조한 후 감량분할공정을 하게 되면 고시감, 통기성이 부여되고 원단상에서 soft한 접촉감이 부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할세섬원사를 사용하여 가연가공하여 모우가 적은 반융착부와 융착부가 반복되는 상태로 가공함으로써 직편물로 사용할 경우 폴리에스테르 적용시보다 다소 벌키감을 가지며 융착부와 반융착부의 반복패턴화를 이루어 공극을 만들어 고시감, 통기성이 부여되고 NP 분할에 따른 원단상에서 소프트(Micro) 돌기 발생으로 미감이 향상되고 소프트한 접촉감이 부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융착가연사의 제조공정의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융착가연사의 융착부의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융착가연사의 반융착부의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융착가연사로 제편한 직편물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융착가연사의 감량후 반융착부분의 단면형상 SEM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융착가연사의 감량후 융착부분의 단면형상 SEM사진이다.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를 제조하는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사용 원사는 N/P분할사 POY 115de/48f(P/N 7/3,8분할)을 원사로 하여 가이드롤러를 통과시켜 장력 7g의 저장력으로 제1피드롤러로 공급하고 235℃ 의 제1차히터에서 열처리한 후, 마찰벨트 또는 디스크로 이루어진 가연장치를 이용하여 연신비 1.35로 가연하면서 제2피드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제2차히터에서 열고정후, 오일처리하여 사속 400m/분으로 권취하였다. 제조된 융착가연사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강도(g/d) 신도(%) 융착형성 특성 태실험 결과
실시예 1 3.42 36.4 반융착/융착 혼재 KOSHI 5.06
SOFUTOSA 5.39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융착가연사를 하기 조건에 의해 감량가공하였다.
- 융착가연사 감량 전처리 실험조건
· NP분할사 융착가연사 90d 각 7g±0.5g
· 정련제 Sera-Wash 0.5%Soln.
· 알칼리 조제 처리 조건 (온도 : 100℃, 농도별 : 2~30%Soln., 처리시간: 30min)
·욕비 1:20, ·감량율 25%
상기 조건의 감량에 의해 비융착부의 NP분할성은 양호하였으며(도 5참조), 융착부위의 원사가 조밀하게 모인상태에서 비교적 양호한 분할현상을 보여 30%수준의 분할성을 보였다(도 6참조).
1 : 원사 2 : 파이프 가이드
3 : 가이드롤러 4 : 제1피드롤러
5 : 제1차히터 6 : 가연장치
7 : 제2피드롤러 8 : 제2차히터
9 : 권취롤러

Claims (2)

  1. 50~120de/36~48f의 N/P분할부분연신복합필라멘트를 가이드롤러를 통과시켜 장력 5~9g의 저장력으로 제1피드롤러로 공급하고 225∼237℃ 의 제1차히터에서 열처리한 후, 마찰벨트 또는 디스크로 이루어진 가연장치를 이용하여 연신비 1.25 ∼ 1.35로 가연하면서 제2피드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연신한 후, 제2차히터에서 열고정한후, 오일처리하여 사속 380∼400m/분으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70085885A 2017-07-06 2017-07-06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1909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85A KR101909558B1 (ko) 2017-07-06 2017-07-06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85A KR101909558B1 (ko) 2017-07-06 2017-07-06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558B1 true KR101909558B1 (ko) 2018-10-18

Family

ID=6413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885A KR101909558B1 (ko) 2017-07-06 2017-07-06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5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3353A (ko) * 1994-12-30 1996-07-18 백영배 복합 극세 가연사의 제조방법
KR20030076827A (ko) 2002-03-22 2003-09-29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에스테르 융착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80774A (ko) * 2007-03-02 2008-09-05 (주)예지텍스 다중융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205666B1 (ko) * 2011-05-30 2012-11-27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다운프루프 직물용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JP2013204197A (ja) * 2012-03-29 2013-10-07 Unitika Trading Co Ltd ポリエステル潜在捲縮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3353A (ko) * 1994-12-30 1996-07-18 백영배 복합 극세 가연사의 제조방법
KR20030076827A (ko) 2002-03-22 2003-09-29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에스테르 융착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80774A (ko) * 2007-03-02 2008-09-05 (주)예지텍스 다중융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205666B1 (ko) * 2011-05-30 2012-11-27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다운프루프 직물용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JP2013204197A (ja) * 2012-03-29 2013-10-07 Unitika Trading Co Ltd ポリエステル潜在捲縮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1172B (en) Garment, composite elastic yarns and air-jet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elastic yarns
KR101979655B1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KR20150069598A (ko)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226839B1 (ko) 투톤 발현이 가능한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직물
KR101909558B1 (ko) 이너웨어 직편물용 분할세섬 융착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1367037B1 (ko) 심색성, 신축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편직물
KR20070072048A (ko) 편평단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9672A (ko) 촉감 및 보온성이 우수한 복합사의 제조방법
KR20190036309A (ko)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05047B1 (ko) 경편에 적합한 천연복합 사이로-컴팩트 방적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편물
KR101667340B1 (ko) 나일론-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혼합사의 제조방법
KR20080088306A (ko) 고신율 사염사를 이용한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0013B1 (ko)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0473407B1 (ko)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가연 가공사 제조방법
KR101989743B1 (ko)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2420053B1 (ko) 벌키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9745B1 (ko) 대나무사를 이용한 신축성 및 멜란지톤 발현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에어텍스쳐 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1788020B1 (ko) 천연소재의 느낌 및 스트레치성이 우수한 에어텍스쳐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2115537B1 (ko) 우수한 외관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9742B1 (ko) 대나무사를 이용하는 멜란지 효과 및 광택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ity 복합사의 제조방법
KR950004073B1 (ko)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KR100583867B1 (ko)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가연 가공사
JP2019073807A (ja) 仮撚加工糸および織編物
KR960014768B1 (ko) 복합가연사 직물의 제조방법
JP2002249944A (ja) 複合被覆弾性糸および複合被覆弾性糸の製造方法並びに編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