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106B1 -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106B1
KR101909106B1 KR1020180062572A KR20180062572A KR101909106B1 KR 101909106 B1 KR101909106 B1 KR 101909106B1 KR 1020180062572 A KR1020180062572 A KR 1020180062572A KR 20180062572 A KR20180062572 A KR 20180062572A KR 101909106 B1 KR101909106 B1 KR 101909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resin sheet
ozone
panel
ste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
Original Assignee
(주)재인비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인비엔피 filed Critical (주)재인비엔피
Priority to KR102018006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1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 B65D90/042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pointwise or linewise
    • B65D90/043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pointwise or linewise the liners being in the form of tiles 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수조에 대한 시공품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방수에 치명적인 방수패널 간 틈새를 완벽히 제거하여 높은 수준의 방수품질을 확보하고, 향상된 내오존성 및 접착력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수조 벽체에 부착되도록 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내오존 PE 용융수지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전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내오존 PE 수지시트;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내오존 PE 수지시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가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접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PE 수지시트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이 형성된 부위를 초과하여 연장된 연장접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에 의해 일측에 인접하는 방수패널의 타측단부의 전면을 덮은 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방수패널 간 틈새를 전면에서 메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WATERPROOF PANEL FOR CONCRETE WATER TANK}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수조에 대한 시공품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방수에 치명적인 방수패널 간 틈새를 완벽히 제거하여 높은 수준의 방수품질을 확보하는 한편, 향상된 내오존성 및 접착력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이 다량의 용수를 소비하는 집단시설물에 설비되는 대형 수조는 주로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여 견고하게 제작되고 있다.
대형 콘크리트 수조의 콘크리트 벽체 내부 벽면에는 방수패널이 예컨대, 콘크리트용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되어 수조 내의 물이 콘크리트 벽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수조 내의 물의 오염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수패널은 통상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전면에 PE 시트가 접착되어 이루어지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경우 대략 0.4~0.8mm의 두께로, PE 시트의 경우 1.5~2.0mm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PE 시트 간 접합을 위해 접착제는 1.2~1.5mm 두께로 도포된다.
이같이 구성된 종래의 방수패널은 방수 성능이 우수하여 수조 내의 물의 오염을 방지한다.
그런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이 콘크리트 벽체에 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대형 콘크리트 수조 내의 강한 수압에 의해 방수패널에 움직임이 생기고,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0.4~0.8mm의 두께로 이루어진 박판의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이 변형되며, 결국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평탄도가 떨어지게 되면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PE 시트간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장된 물의 정화나 살균을 위해 오존이 사용되는 경우 오존의 강력한 산화력에 의해 대형 수조의 구조물은 물론이고, 특히 PE 수지로 이루어진 PE 시트의 경우에도 오존수와 직접 접촉하면서 균열이나 부식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방수패널의 경우 시공이 꼼꼼하게 이루어졌더라도 방수패널과 방수패널 간 틈새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며 이같은 틈새 부위가 방수에는 치명적인 결함이 될 수밖에 없는 관계로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방수패널(10) 간 틈새를 덮어주는 띠 형태의 시트(20)를 덧붙이는 마무리 작업을 행하곤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방수품질은 보완할 수 있더라도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느라 별도의 시트를 덧붙이는 관계로 시공시간이 늘어나고 군데군데 도드라지게 덧붙여진 띠 형태의 시트(20)가 전체 외관을 손상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60946호(2016.09.2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수조에 대한 시공품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방수에 치명적인 방수패널 간 틈새를 완벽히 제거하여 높은 수준의 방수품질을 확보하는 한편, 향상된 내오존성 및 접착력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은,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로서,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수조 벽체에 부착되도록 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내오존 PE 용융수지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전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내오존 PE 수지시트;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내오존 PE 수지시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가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접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접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PE 수지시트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이 형성된 부위를 초과하는 연장접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에 의해 일측에 인접하는 방수패널의 타측단부의 전면을 덮은 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방수패널 간 틈새를 전면에서 메울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접합부는 상기 PE 수지시트의 일측단부가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폭을 초과하여 연장 형성된 것이며, 상기 PE 수지시트의 타측단부 전면에는 상기 연장접합부가 대응하여 안착되는 오목한 요부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PE 수지시트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PE 수지시트의 다른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 수지시트의 안착부 전면에 안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오목한 반구형의 위치잡기용 오목홈이 다수 구비되고, 상기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 후면에는 상기 위치잡기용 오목홈에 대응하여 인입되는 볼록한 반구형의 위치잡기용 볼록돌기가 다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 수지시트의 위치잡기용 오목홈에는 상기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 임시 고정을 위한 반고형의 점착제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에는 연장접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앵커의 시공위치를 잡기 위한 다수의 스팟이 일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가 덮게 되는 방수패널의 타단부 전면에는 앵커의 시공위치를 잡기 위한 다수의 스팟이 일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패널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연장접합부가 대응하여 안착되도록 해당 부위의 PE 수지시트가 배제되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만 남은 형태로 오목한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접합부는 PE 수지를 소재로 하는 별개의 띠를 상기 PE 수지시트의 일측단부 전면에 덧붙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표면은 상기 PE 수지시트와의 접합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압연롤러에 의해 일정 패턴을 갖도록 엠보싱 처리되되,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표면 중 PE 수지시트에 접합되는 표면의 패턴은, 볼록라인을 변으로 하는 제1정육각형과 제2정육각형이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표면 전체를 빈틈없이 채우되, 하나의 제1정육각형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변을 공유하는 여섯 개의 제2정육각형이, 하나의 제2정육각형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변을 공유하는 세 개의 제1정육각형과 세 개의 제2정육각형이 배치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정육각형 내부 중앙에는 볼록라인을 변으로 하는 동심형, 동방향의 제1내부 정육각형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정육각형 내부 중앙에는 볼록라인을 변으로 하는 동심형, 동방향의 제2내부 정육각형이 형성되되, 상기 제1내부 정육각형과 제2내부 정육각형의 변은 상기 제1정육각형과 제2정육각형의 변과 비교하여 1/3 길이의 것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정육각형의 내부에는 상기 제1내부 정육각형을 중심으로 하되 상기 제1내부 정육각형의 꼭지점을 기점으로 상기 제1정육각형의 꼭지점으로 뻗은 복수의 방사상라인이 볼록라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정육각형의 내부에는, 상기 제2정육각형과 제2내부 정육각형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 제2내부 정육각형의 꼭지점에서 외접하면서 상기 제2정육각형의 변까지 뻗어 상기 제2정육각형과 제2내부 정육각형 중간 영역을 이등분하는 한 쌍의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에 의해 이등분된 영역에서 제2정육각형의 변과 제2내부 정육각형의 변과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 중간선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꺾임라인이 볼록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PE 수지시트에 대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표면의 접촉 가능 표면적이 패턴 형성 전과 대비하여 25% 이상 향상되되, 상기 제1정육각형에 의한 패턴보다 상기 제2정육각형에 의한 패턴의 PE 수지시트 접촉 가능 표면적이 9%~10% 높게 편차를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 수지시트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상기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20~30 중량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30~50 중량부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 5~10 중량부가 더 포함되어 내후성, 내오존성, 내오염성이 더욱 보강되도록 하며, 상기 접착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계열의 접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접착강도 향상을 위한 탄산칼슘(CaCO3) 10~20 중량부,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오염성 향상을 위한 불소 5~10 중량부, 내수성, 향균성 및 탈취성 향상을 위한 세리사이트 분말 1~5 중량부가 포함된 접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과 PE 수지시트는,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을 히터에 통과시켜 가열한 후,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접착층 형성을 위한 용융 접착제를 190~200℃로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일정 두께 도포하며, 상기 PE 수지시트 형성을 위한 용융 수지를 용융 접착제가 도포된 후 80~90초 경과한 후 용융 접착제 도포면에 도포하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용융 접착제와 용융수지가 도포된 상태로 평탄롤러에 통과시키는 공정을 거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은 콘크리트 수조에 대한 시공품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방수에 치명적인 방수패널 간 틈새를 완벽히 제거하여 높은 수준의 방수품질을 확보하는 한편, 향상된 내오존성 및 접착력까지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방수패널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의 연결부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전면 사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형성된 패턴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이 시공된 모습의 상태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을 콘크리트 수조 벽체에 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이기 위한 참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의 연결부위 단면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의 연결부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전면 사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형성된 패턴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이 시공된 모습의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은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 PE 수지시트(120), 접착층(13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PE 수지시트(12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대응하면서 안착된 상태로 접합될 수 있도록 한 연장접합부(122)와 안착부(121)를 구비한 독특한 구성을 갖는다.
이같이 PE 수지시트(12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형성된 연장접합부(122)와 안착부(121)에 의해 콘크리트 수조에 대한 시공품질은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방수에 치명적인 방수패널 간 틈새를 완벽히 제거하여 높은 수준의 방수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방수패널의 시공은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은 보다 향상된 내오존성 및 접착력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PE 수지시트(120)는 내오존 PE 용융수지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 전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것으로 방수패널에서 실질적인 방수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PE 수지시트(120)는 일측단부에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이 형성된 부위를 초과하여 연장된 연장접합부(122)가 형성되고, PE 수지시트(120)의 타측단부 전면에는 상기 연장접합부(122)가 대응하여 안착되는 오목한 요부 형태의 안착부(121)가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PE 수지시트(120)의 연장접합부(122)를 이용하여 일측에 인접한 방수패널 타측단부의 안착부(121) 전면을 덮은 후 접합함으로써 별도의 이음매 연결용 PE 수지시트(120) 없이도 방수패널 간 틈새를 전면에서 간단히 메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같은 PE 수지시트(120)의 연장접합부(122)와 안착부(121)의 형태를 도 2와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장접합부(122)가 안착부(121)에 안착된 상태에서 PE 수지시트(12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즉, PE 수지시트(120)의 다른 부위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부(121)는 전면에서 요입된 형태로 얇게 형성되고 연장접합부(122)는 후면에서 요입된 형태로 얇게 형성된다. 이같이 연장접합부(122)와 안착부(121)만 차별화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PE 수지시트(120)의 가압성형이나 평탄화 작업시 사용되는 가압롤러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돌출되도록 변형한 것으로 사용하여 PE 수지시트(12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더 강하게 가압하면 된다.
나아가 상기 PE 수지시트(120)의 안착부(121) 전면에 안착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오목한 반구형의 위치잡기용 오목홈(123a)이 다수 구비되고, PE 수지시트(120)의 연장접합부(122) 후면에는 상기 위치잡기용 오목홈(123a)에 대응하여 인입되는 볼록한 반구형의 위치잡기용 볼록돌기(123b)가 다수 구비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3과 같이 이웃한 방수패널의 연장접합부(122)와 안착부(121)를 교차시켜 위치를 잡을 때 상기 위치잡기용 오목홈(123a)과 위치잡기용 볼록돌기(123b)를 이용하여 신속하면서도 오차 없는 정확한 시공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PE 수지시트(120)의 위치잡기용 오목홈(123a)에는 도 2의 오른편 확대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반고형의 점착제(140)가 채워진다. 이같은 독특한 구성에 따르면 연장접합부(122)로 안착부(121) 전면을 덮은 후 완전히 접합하기 전에(일반적으로 열을 가하여 융착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됨) PE 수지시트(120)의 연장접합부(122)를 안착부(121)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접합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같은 반고형의 점착제(140)는 도 8a에서 도 8c에 이르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위치잡기용 볼록돌기(123b)가 위치잡기용 오목홈(123a)에 인입될 때 가벼운 압력에 의해 위치잡기용 오목홈(123a) 주변으로 얇게 퍼지면서 시공시에는 보다 넓은 면적에서 연장접합부(122)를 임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반고형의 점착제(140)는 이미 시중에서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으나 수질 오염을 야기하지 않는 것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E 수지시트(120)의 연장접합부(122)에는 도 2의 왼편 확대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연장접합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앵커의 시공위치를 잡기 위한 다수의 스팟(124)이 일렬로 형성된다. 이같은 스팟(124)의 형성으로 인해 도 8d와 같이 콘크리트 수조의 벽면에 대하여 방수패널을 보다 강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앵커(A)를 박아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앵커의 무분별한 남용을 막고 필요한 부분에만 규칙적이면서도 정확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PE 수지시트(120)를 형성하는 용융수지는, LD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EVA 20~30 중량부, POE 30~15 중량부, 불소 5~10 중량부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에서, EVA는 소재 특성에 의해 유연성과 고무탄성을 갖게 하고, 성형 가공성을 양호하게 하며, 스트레스 크래킹(stress-cracking)에도 잘 견디게 하며, 또한 위생적으로 무독한 성질을 갖는다.
그리고 POE는 소재 특성에 의해, 제품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고탄성을 갖게 하며, 인장 특성을 양호하게 한다.
또한, 불소는 내후성, 내오존성, 내오염성을 더욱 강화하여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용융수지를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 전면에 도포함으로써, 고탄성을 갖고,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내오존성까지 구비할 수 있도록 1.0mm 이상의 두께로 PE 수지시트(120)를 형성한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수조 벽체에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표면은 PE 수지시트(120)와의 접합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패턴 형성을 위해 요철부가 형성된 압연롤러에 의해 일정 패턴을 갖도록 엠보싱 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 표면에 패턴이 형성된 모습은 도 4의 사진에서 볼 수 있으며, 그 세부 형상은 도 5 및 도 6을 통해 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 표면에 형성된 패턴은 볼록라인을 변으로 하는 제1정육각형(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됨)과 제2정육각형(도 6에 구체적으로 도시됨)이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 표면 전체를 빈틈없이 채우는데, 하나의 제1정육각형을 중심으로는 그 주변에 변을 공유하는 여섯 개의 제2정육각형이 둘러싼 형태이면서, 하나의 제2정육각형을 중심으로는 그 주변에 변을 공유하는 세 개의 제1정육각형과 세 개의 제2정육각형이 교번하여 둘러싼 형태를 갖는다. 이로써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정육면체 형상의 패턴이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의 표면 전체를 채우게 된다.
상기 제1정육각형 내부 중앙에는 볼록라인을 변으로 하는 동심형, 동방향의 제1내부 정육각형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정육각형 내부 중앙에도 볼록라인을 변으로 하는 동심형, 동방향의 제2내부 정육각형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내부 정육각형과 제2내부 정육각형의 변은 상기 제1정육각형과 제2정육각형의 변과 비교하여 1/3 길이의 것으로 형성된다. 여기에 더해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1정육각형의 내부에는 상기 제1내부 정육각형을 중심으로 하되 상기 제1내부 정육각형의 꼭지점을 기점으로 상기 제1정육각형의 꼭지점으로 뻗은 복수의 방사상라인이 볼록라인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제2정육각형의 내부에는, 상기 제2정육각형과 제2내부 정육각형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 제2내부 정육각형의 꼭지점에서 외접하면서 상기 제2정육각형의 변까지 뻗어 상기 제2정육각형과 제2내부 정육각형 중간 영역을 이등분하는 한 쌍의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에 의해 이등분된 영역에서 제2정육각형의 변과 제2내부 정육각형의 변과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 중간선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꺾임라인이 볼록라인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1정육각형과 제2정육각형의 변과 비교하여 1/3 길이의 변을 갖는 제1내부 정육각형과 제2내부 정육각형이 추가로 형성되고, 제1내부 정육각형의 내부에 방사상라인, 제2내부 정육각형의 내부에 연결라인 및 꺾임라인까지 형성되면 제1정육각형과 제2정육각형의 변 길이를 기준으로 1배, 2/3배, 1/3배의 볼록라인들로 채워지면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를 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PE 수지시트(120)에 대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 표면의 접촉 가능 표면적을 27.7%나 증가시켜준다. 이는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과 PE 수지시트(120) 간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지는데 기반이 된다. 나아가 주목할 점으로 제1정육각형과 제2정육각형 내부에 형성된 문양의 차이로 인해 PE 수지시트(120)와의 접촉 가능 표면적이 편차를 두고 형성되기 때문에 혹독한 조건에서도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로부터 PE 수지시트(120)가 박리되지 않는데 도움이 된다. 도 5에 도시된 제1정육각형 패턴의 경우 시트 접촉가능 면적이 85.8㎟에서 106.0㎟로 20.2 ㎟ 증가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도 6에 도시된 제2정육각형 패턴의 경우 시트 접촉가능 면적이 85.8㎟에서 115.7㎟로 29.8 ㎟ 증가한 것으로 측정되어 서로 간에 약 10% 정도의 편차를 두고 시트 접촉가능 면적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접착층(130)은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과 내오존 PE 수지시트(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120)가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에 접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착층(130)을 형성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에 도포되는 용융 접착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계열의 접착성 수지(PE 수지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돌가루 또는 석분인 탄산칼슘(CaCO3) 20~30 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약 250℃로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만든 접착제이다.
이와 같이, 접착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접착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CaCO3) 20~30 중량부를 혼합하게 되면, 탄산칼슘(CaCO3)의 특성상 접착제의 강도를 높여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과 수지패널과의 접착 강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 용융 접착제(예컨대, Adpoly EM-510/520/530 : 제품명)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CaCO3) 10~20 중량부가 혼합되었을 때, 가장 접착 강도가 우수하였다. 예컨대, 용융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CaCO3)이 10 중량부 이하로 혼합된 경우에는 접착 강도 향상 정도가 미약했으며, 용융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CaCO3)이 20 중량부 이상 혼합된 경우에는 접착제의 혼합 비율이 떨어져 접착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탄산칼슘(CaCO3) 이외에 접착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 5~10 중량부와 세리사이트 분말 1~5 중량부를 더 혼합해주면, 첨가된 불소로 인해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되고, 세라사이트 분말로 인해 내수성, 항균성, 탈취성까지 향상된다. 이같이 수조 내 수질을 위해 PE 수지시트(120)에만 국한하지 않고 접착층(130)까지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려하여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오염성을 갖는 불소와 내수성, 항균성, 탈취성을 갖는 세리사이트 분말을 함께 첨가하여 기능성을 부여하는 독자적인 구성을 통해 수조 내 수질을 보다 안전하고 고품질의 것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접착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 5 중량부 미만, 세리사이트 분말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각각의 기능성이 미미한 반면, 불소 10 중량부, 세리사이트 분말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산칼슘과 함께 포함된 것을 고려하여 접착 품질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서 그 사이 영역대의 조성비인 경우가 품질면에서 가장 적당하였다.
이와 같이 조성된 접착제 조성물을 190~200℃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만들어 분사하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적용된 용융 접착제는 용융점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특히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돌가루인 탄산칼슘(CaCO3)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더 고온으로 용융한 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의 가열온도일 때, 대체적으로 접착 성능이 우수했으며, 접착제 도포기를 이용한 분사(스프레이) 작업성도 가장 양호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수패널의 제조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을 히터에 통과시켜 가열한 후,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에 접착층(130) 형성을 위한 용융 접착제를 190℃로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일정 두께 도포하며, 상기 PE 수지시트(120) 형성을 위한 용융 수지를 용융 접착제가 도포된 후 80~90초 경과한 후 용융 접착제 도포면에 도포하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에 용융 접착제와 용융수지가 도포된 상태로 평탄롤러에 통과시키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130)이 100~120㎛ 두께로 형성되었을 때,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과 PE 수지시트(120)와의 접착 정도가 가장 양호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130)의 두께가 100㎛ 이하인 경우에는 접착 성능이 떨어졌고, 120㎛ 이상인 경우에는 접착 성능 향상 정도에 비해 코스트가 과도하고 작업성이 떨어졌다.
한편, PE 수지시트(120)의 연장접합부(122)가 안착되도록 타측단부에 마련된 오목한 형태의 안착부(121)는 PE 수지시트(120)에 형성되는 대신 해당 부위의 PE 수지시트(120) 타측단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 전면에 곧바로 형성시키는 변형실시예도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변형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의 연결부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은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 타측단부에 PE 수지시트(120)를 형성시키기 않는 형태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 전면에 곧바로 안착부(121)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PE 수지시트(120)의 연장접합부(122)의 두께를 다른 부위에 비해 얇게 형성시키지 않아도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접합부(122)가 안착부(1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접합되어도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연장접합부(122)를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의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10)에 곧바로 열접착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수지 대 수지를 열접착하는 변형 전과 비교하여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안착부(121)에 위치잡기용 오목홈(123a)을 형성시키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의 연결부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은, 연장접합부(122)가 PE 수지를 소재로 하는 별개의 띠를 상기 PE 수지시트(120)의 일측단부 전면에 덧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기존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을 거의 그대로 사용하되, PE 수지를 소재로 하는 별개의 띠인 연장접합부(122)를 공장에서 미리 PE 수지시트(120) 일측단부를 따라 간단히 열융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여 출하한다. 그러면 방수패널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연장접합부(122)를 인접한 방수패널의 타측단부 전면에 열융착하여 접합시켜주기만 하면 방수패널과 방수패널 간 틈새를 간단히 메울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변형실시예에의 경우 변형 전과 비교하여 방수패널 간 이음매가 거칠어질 수 있다는 단점은 있으나 PE수지시트(120)를 성형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 방수패널을 그대로 히용하여 별개의 띠인 연장접합부(122)를 공장에서 미리 덧붙이는 방법으로 간단히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다른 변형실시예의 경우에도 연장접합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앵커의 시공위치를 잡기 위한 다수의 스팟(124)이 일렬로 형성된다. 이같은 스팟(124)의 형성으로 인해 콘크리트 수조의 벽면에 대하여 방수패널을 보다 강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앵커(A)를 박아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앵커의 무분별한 남용을 막고 필요한 부분에만 규칙적이면서도 정확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120 : 수지시트
121 : 안착부 122 : 연장접합부
123a : 위치잡기용 오목홈 123b : 위치잡기용 오목돌기
124 : 스팟 130 : 접착층

Claims (13)

  1.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로서,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수조 벽체에 부착되도록 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내오존 PE 용융수지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전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내오존 PE 수지시트;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내오존 PE 수지시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가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접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접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이 형성된 부위를 초과하는 연장접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에 의해 일측에 인접하는 방수패널의 타측단부의 전면을 덮은 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방수패널 간 틈새를 전면에서 메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에는 연장접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앵커의 시공위치를 잡기 위한 다수의 스팟이 일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2.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로서,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수조 벽체에 부착되도록 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내오존 PE 용융수지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전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내오존 PE 수지시트;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내오존 PE 수지시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가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접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접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이 형성된 부위를 초과하는 연장접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에 의해 일측에 인접하는 방수패널의 타측단부의 전면을 덮은 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방수패널 간 틈새를 전면에서 메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가 덮게 되는 방수패널의 타단부 전면에는 앵커의 시공위치를 잡기 위한 다수의 스팟이 일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3.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로서,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수조 벽체에 부착되도록 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내오존 PE 용융수지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전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내오존 PE 수지시트;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내오존 PE 수지시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가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접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접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이 형성된 부위를 초과하는 연장접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에 의해 일측에 인접하는 방수패널의 타측단부의 전면을 덮은 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방수패널 간 틈새를 전면에서 메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표면은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와의 접합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압연롤러에 의해 일정 패턴을 갖도록 엠보싱 처리되되,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표면 중 내오존 PE 수지시트에 접합되는 표면의 패턴은, 볼록라인을 변으로 하는 제1정육각형과 제2정육각형이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표면 전체를 빈틈없이 채우되, 하나의 제1정육각형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변을 공유하는 여섯 개의 제2정육각형이, 하나의 제2정육각형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변을 공유하는 세 개의 제1정육각형과 세 개의 제2정육각형이 배치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정육각형 내부 중앙에는 볼록라인을 변으로 하는 동심형, 동방향의 제1내부 정육각형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정육각형 내부 중앙에는 볼록라인을 변으로 하는 동심형, 동방향의 제2내부 정육각형이 형성되되, 상기 제1내부 정육각형과 제2내부 정육각형의 변은 상기 제1정육각형과 제2정육각형의 변과 비교하여 1/3 길이의 것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정육각형의 내부에는 상기 제1내부 정육각형을 중심으로 하되 상기 제1내부 정육각형의 꼭지점을 기점으로 상기 제1정육각형의 꼭지점으로 뻗은 복수의 방사상라인이 볼록라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정육각형의 내부에는, 상기 제2정육각형과 제2내부 정육각형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 제2내부 정육각형의 꼭지점에서 외접하면서 상기 제2정육각형의 변까지 뻗어 상기 제2정육각형과 제2내부 정육각형 중간 영역을 이등분하는 한 쌍의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에 의해 이등분된 영역에서 제2정육각형의 변과 제2내부 정육각형의 변과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 중간선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꺾임라인이 볼록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에 대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표면의 접촉 가능 표면적이 패턴 형성 전과 대비하여 25% 이상 향상되되, 상기 제1정육각형에 의한 패턴보다 상기 제2정육각형에 의한 패턴의 내오존 PE 수지시트 접촉 가능 표면적이 9%~10% 높게 편차를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4.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로서,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수조 벽체에 부착되도록 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내오존 PE 용융수지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전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내오존 PE 수지시트;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내오존 PE 수지시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가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접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접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이 형성된 부위를 초과하는 연장접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에 의해 일측에 인접하는 방수패널의 타측단부의 전면을 덮은 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방수패널 간 틈새를 전면에서 메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상기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20~30 중량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30~50 중량부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 5~10 중량부가 더 포함되어 내후성, 내오존성, 내오염성이 더욱 보강되도록 하며,
    상기 접착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계열의 접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접착강도 향상을 위한 탄산칼슘(CaCO3) 10~20 중량부,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오염성 향상을 위한 불소 5~10 중량부, 내수성, 향균성 및 탈취성 향상을 위한 세리사이트 분말 1~5 중량부가 포함된 접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접합부는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일측단부가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폭을 초과하여 연장 형성된 것이며,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타측단부 전면에는 상기 연장접합부가 대응하여 안착되는 오목한 요부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다른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안착부 전면에 안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오목한 반구형의 위치잡기용 오목홈이 다수 구비되고,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 후면에는 상기 위치잡기용 오목홈에 대응하여 인입되는 볼록한 반구형의 위치잡기용 볼록돌기가 다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위치잡기용 오목홈에는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 임시 고정을 위한 반고형의 점착제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패널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연장접합부가 대응하여 안착되도록 해당 부위의 내오존 PE 수지시트가 배제되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만 남은 형태로 오목한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접합부는 PE 수지를 소재로 하는 별개의 띠를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일측단부 전면에 덧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내오존 PE 수지시트는,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을 히터에 통과시켜 가열한 후,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접착층 형성을 위한 용융 접착제를 190~200℃로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일정 두께 도포하며,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 형성을 위한 용융 수지를 용융 접착제가 도포된 후 80~90초 경과한 후 용융 접착제 도포면에 도포하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용융 접착제와 용융수지가 도포된 상태로 평탄롤러에 통과시키는 공정을 거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13.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수조 벽체에 부착되도록 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내오존 PE 용융수지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전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내오존 PE 수지시트;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내오존 PE 수지시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가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에 접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이 형성된 부위를 초과하는 연장접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내오존 PE 수지시트의 연장접합부에 의해 일측에 인접하는 방수패널의 타측단부의 전면을 덮은 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방수패널 간 틈새를 전면에서 메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의 시공방법으로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후면을 콘크리트 수조의 내벽면에 대면하여 접합시키면서 다수의 방수패널을 나란히 배열하는 단계;
    각각의 방수패널 일측단부에 형성된 연장접합부를 이웃하고 있는 방수패널의 타측단부 전면을 덮은 상태로 열접합함으로써 방수패널 간 틈새를 메우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의 시공방법.
KR1020180062572A 2018-05-31 2018-05-31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KR101909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72A KR101909106B1 (ko) 2018-05-31 2018-05-31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72A KR101909106B1 (ko) 2018-05-31 2018-05-31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106B1 true KR101909106B1 (ko) 2018-10-17

Family

ID=6409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572A KR101909106B1 (ko) 2018-05-31 2018-05-31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1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81B1 (ko) 2021-04-01 2021-05-18 주식회사 문창 강도향상 및 결로수 배출이 용이한 저수조용 스테인레스 패널
KR102428758B1 (ko) * 2022-04-05 2022-08-05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내오존성이 강화된 도류패널 및 그 도류패널을 이용한 수처리장의 슬러지 잔류방지 도류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976A (ja) 2003-03-17 2004-10-07 Ishii Iron Works Co Ltd コンクリート製貯槽のライニング構造とその施工法
KR100878587B1 (ko) * 2007-12-27 2009-01-15 주식회사 시스턴 수조(水曹)용 패널
KR101660946B1 (ko) * 2015-11-26 2016-09-28 (주)재인비엔피 콘크리트 수조용 벽체패널 제조방법
KR101731873B1 (ko) * 2016-07-27 2017-05-11 (주)재인비엔피 콘크리트 물탱크용 라이닝부재 시공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976A (ja) 2003-03-17 2004-10-07 Ishii Iron Works Co Ltd コンクリート製貯槽のライニング構造とその施工法
KR100878587B1 (ko) * 2007-12-27 2009-01-15 주식회사 시스턴 수조(水曹)용 패널
KR101660946B1 (ko) * 2015-11-26 2016-09-28 (주)재인비엔피 콘크리트 수조용 벽체패널 제조방법
KR101731873B1 (ko) * 2016-07-27 2017-05-11 (주)재인비엔피 콘크리트 물탱크용 라이닝부재 시공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81B1 (ko) 2021-04-01 2021-05-18 주식회사 문창 강도향상 및 결로수 배출이 용이한 저수조용 스테인레스 패널
KR102428758B1 (ko) * 2022-04-05 2022-08-05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내오존성이 강화된 도류패널 및 그 도류패널을 이용한 수처리장의 슬러지 잔류방지 도류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618B1 (ko) 개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도막 방수시공방법
US5868399A (en) Sealing web with fiber coated marginal areas
KR101909106B1 (ko) 콘크리트 수조용 방수패널
KR20070006001A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050015091A (ko) 방수방법 및 방수시트 연결방법
KR101072343B1 (ko) 고분자 복합 방수 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적층한 건식 시트 방수 공법
JPH0369424B2 (ko)
KR100783116B1 (ko) 방수시트의 고정 구조물 및 그 고정 구조물을 이용한방수시트의 고정방법
JP2011157694A (ja) 床被覆材の継目構造及び継目施工法
JP2010106595A (ja) 床被覆材の継目構造及び継目施工法
KR20060011052A (ko) 자착식 방수시트 테이프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연결 구조
JPH0519624B2 (ko)
JP2795887B2 (ja) 屋根の止水方法
JP3898327B2 (ja) 建築板の接合構造
JPH049772Y2 (ko)
JP3629456B2 (ja) 出隅柱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出隅部施工構造
JPH0518059A (ja) 瓦棒屋根構造
JP4087965B2 (ja) コーナー外壁及びその塗装方法
JP2001279832A (ja) 外壁施工構造
JP2001329660A (ja) 波形スレート既設屋根における改修屋根及びその工法
KR101558457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옥상방수공법
JPH0348979Y2 (ko)
JP2504665Y2 (ja) 防水シ―トの接合部構造
KR200205724Y1 (ko) 방수용 시트
KR100384950B1 (ko) 방수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