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724Y1 - 방수용 시트 - Google Patents

방수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724Y1
KR200205724Y1 KR2020000016055U KR20000016055U KR200205724Y1 KR 200205724 Y1 KR200205724 Y1 KR 200205724Y1 KR 2020000016055 U KR2020000016055 U KR 2020000016055U KR 20000016055 U KR20000016055 U KR 20000016055U KR 200205724 Y1 KR200205724 Y1 KR 200205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waterproof
sheet
waterproofing
she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건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to KR2020000016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7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7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5/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exible material, e.g. supplied in roll form
    • E04D5/1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exible material, e.g. supplied in roll form by making use of compounded or laminated materials, e.g. metal foils or plastic films coated with bitum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수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1)나 기둥 등에 방수를 위해 도포되는 방수용 시트(2)가 구비되되, 상기 방수용 시트(2)는 하부면에 차단막(3)이 도포된 일정 크기의 시트 몸체(4)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 몸체(4)의 상부면에 그 테두리가 일정폭 만큼 균일하게 들어간 상태로 방수재(5)가 도포되며, 상기 방수재(5)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장공(6)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6)을 중심으로 수평되게 상기 시트 몸체(4)를 접어줄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방수용 시트에 의해 방수공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수용 시트의 장공에 의해 도포시 접착력이 향상되어 방수효과를 높여줄 수 있으며, 방수용 시트와 또다른 방수용 시트간의 접합작업이 간편해져 빠른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수용 시트{A seat for waterproofing}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바닥 등에 설치되는 방수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방수공사 기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방수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공법의 주류를 이루는 방수층의 내구성에는 종류 및 공법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방수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등 바탕재의 방수성능을 높임과 동시에 방수층의 성능을 높여 총합적으로 균형있게 시공하여야 비로소 방수성능이 보증된다.
즉, 상기 방수층을 구성하는 방수공법의 주류를 이루며 가장 오래된 실적을 가진 것이 아스팔트방수공법이고, 상기 방수층의 상부를 이루는 바탕재에는 신축거동과 방수성이 양호한 합성고분자(EPDM)로 이루어진 방수용 시트가 생산되어 그 공법이 현장의 에너지절약화와 연결되면서 점차 보급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 방수용 시트는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체 등에 도포되어 방수시공을 하게 되는 바, 상기 방수용 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본드(101)가 균일하게 도포된 다수의 방수용 시트(102)가 부착되되, 상기 방수용 시트(102)는 그 구배를 고려하여 낮은쪽으로부터 배치되며, 상기 방수용 시트(102)와 방수용 시트(102)가 겹쳐지는 부위는 최소 100㎜ 이상으로 설정되어 서로가 겹쳐지면서 바닥이나 벽체에 부착고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방수용 시트(102)와 방수용 시트(102)가 겹쳐지는 부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바닥이나 벽체에 본드(101)를 도포한 방수용 시트(102)와 방수용 시트(102)를 각각 부착시키고, 상기 방수용 시트(102)의 일측선단을 겹쳐지게 배치하여 하부의 방수용 시트(102) 접합부(103)에 본드(101)를 도포한 후 상부의 방수용 시트(102) 일측선단을 접착시키며, 그 접합부(103)의 선단은 시일링제(104)를 도포하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단층으로 이루어진 방수용 시트(102)를 본드(101)로 벽체에 부착할 경우 그 내구성이 떨어짐과 동시에 방수효과가 미흡하다는 결점이 있고, 또한 방수용 시트(102)와 방수용 시트(102)를 서로 겹쳐 일정한 면에 본드(101)를 도포하여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며, 이로 인하여 방수공사 기간이 길어지게 됨으로써 제반 공사비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수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방수공사 기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방수용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면에 차단막이 도포된 일정 크기의 시트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 몸체의 상부면에 그 테두리가 일정폭 만큼 균일하게 들어간 상태로 방수재가 도포되며, 상기 방수재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을 중심으로 수평되게 상기 시트 몸체를 접어줄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방수용 시트는 상기 시트 몸체의 하부면에 부착된 차단막을 통해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전달되는 열이나 냉기를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방수재를 통해 형성된 다수의 장공에 의해 부착시 접착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장공을 중심으로 간편하게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벽체의 모서리부 시공이 편리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방수용 시트에 의해 방수공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수용 시트의 장공에 의해 도포시 접착력이 향상되어 방수효과를 높여줄 수 있으며, 방수용 시트와 또다른 방수용 시트간의 접합작업이 간편해져 빠른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는 방수용 시트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바닥에 시공되는 방수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용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용 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바닥에 시공되는 방수구조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콘크리트 벽체 2 : 방수용 시트
3 : 차단막 4 : 시트 몸체
5 : 방수재 6 : 장공
7 : 방수재 보호막 8 : 플랜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용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용 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바닥에 시공되는 방수구조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1)나 기둥 등에 방수를 위해 도포되는 방수용 시트(2)가 구비되되, 상기 방수용 시트(2)는 하부면에 차단막(3)이 도포된 일정 크기의 시트 몸체(4)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 몸체(4)의 상부면에 그 테두리가 일정폭 만큼 균일하게 들어간 상태로 방수재(5)가 도포되며, 상기 방수재(5)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장공(6)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6)을 중심으로 수평되게 상기 시트 몸체(4)를 접어줄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방수용 시트(2)는 시트 끼리 겹쳐지는 부위를 본드로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또한 상기 방수재(5)와 시트 몸체(4)를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장공(6)에 의해 접착력이 강화되고, 방수용 시트(2)가 장공(6)을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로 콘크리트 벽체(1)의 모서리 등에 간편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방수용 시트(2)는 상기 시트 몸체(4)의 하부면에 부착된 차단막(3)을 통해 콘크리트 벽체(1)로부터 전달되는 열이나 냉기를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방수재(5)를 통해 형성된 다수의 장공(6)에 의해 부착시 접착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장공(6)을 중심으로 간편하게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벽체(1)의 모서리부 시공이 편리해지는 것이다.
즉, 상기 방수용 시트(2)를 콘크리트 벽체(1)에 시공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면에 본드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 몸체(4)의 차단막(3)을 부착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시트 몸체(4)의 상부면에 장공(6)이 형성된 방수재(5)가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방수용 시트(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재를 도포함으로써 방수용 시트(2)의 상부에 방수재 보호막(7)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재가 장공(6)에 삽입됨으로써 방수용 시트(2)의 접착력과 기밀유지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수용 시트(2)의 테두리에는 상기 방수재(5)와의 크기 차이에 의한 일정폭의 플랜지(8)가 형성되는 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연결되는 방수용 시트(2)의 플랜지(8)에 또다른 방수용 시트(2)의 플랜지(8)를 접착시킴으로써 서로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방수용 시트(2)의 플랜지(8)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수의 방수용 시트(2)를 콘크리트 벽체(1)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방수용 시트(2)는 다수의 장공(6)이 열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공(6)을 따라 횡방향으로 손쉽게 졉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방수용 시트(2)로 콘크리트 벽체(1)나 기둥의 모서리부를 감쌀 경우에는 방수용 시트(2)를 접은 상태로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방수용 시트(2)는 방수공사시 작업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트 몸체(4)에 부착된 차단막(3)과 방수재(5)를 통해 형성된 장공(6)에 의해 방수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콘크리트 벽체(1)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수용 시트에 의하면, 방수공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수용 시트의 장공에 의해 도포시 접착력이 향상되어 방수효과를 높여줄 수 있으며, 방수용 시트와 또다른 방수용 시트간의 접합작업이 간편해져 빠른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부면에 차단막(3)이 도포된 일정 크기의 시트 몸체(4)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 몸체(4)의 상부면에 그 테두리가 일정폭 만큼 균일하게 들어간 상태로 방수재(5)가 도포되며, 상기 방수재(5)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장공(6)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6)을 중심으로 수평되게 상기 시트 몸체(4)를 접어줄 수 있도록 된 방수용 시트.
KR2020000016055U 2000-06-07 2000-06-07 방수용 시트 KR200205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055U KR200205724Y1 (ko) 2000-06-07 2000-06-07 방수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055U KR200205724Y1 (ko) 2000-06-07 2000-06-07 방수용 시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399A Division KR100384950B1 (ko) 2001-07-19 2001-07-19 방수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724Y1 true KR200205724Y1 (ko) 2000-12-01

Family

ID=1965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055U KR200205724Y1 (ko) 2000-06-07 2000-06-07 방수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7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5168A (ko) 콘크리트 접합형 지수판 및 그 시공방법
KR200205724Y1 (ko) 방수용 시트
KR100384950B1 (ko) 방수용 시트
KR20050015091A (ko) 방수방법 및 방수시트 연결방법
KR20070085022A (ko) 옥상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JP4794375B2 (ja) 外装材及び外装構造
KR100942375B1 (ko)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KR200434864Y1 (ko)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
JP2653994B2 (ja) 道路橋伸縮装置のシール構造
KR100416107B1 (ko) 루핑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JP2011032864A (ja) 外装材及び外装構造
KR100556019B1 (ko) 방수시트 고정용 레일식 고정구
KR200335573Y1 (ko) 방수시트 고정용 레일식 고정구
JP2795887B2 (ja) 屋根の止水方法
JP2004270375A (ja) 伸縮継手用止水材
JP3084190B2 (ja) 継手ジョイナと該ジョイナ利用の目地部の施工構造
KR200181977Y1 (ko) 루핑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JP4167375B2 (ja) 外壁の目地構造及び外壁目地施工方法
JPH0941586A (ja) 防水シート接合固定構造
KR100206517B1 (ko) 저수조 내면 라이닝 시공 구조
JP3627935B2 (ja) 複合防水材
JPH04174154A (ja) 塩化ビニル樹脂製シートの防水絶縁工法
JP3326494B2 (ja) 長尺屋根の防水構造
JPH10169099A (ja) 屋根パネル端部の防水部材および屋根パネル接合部の防水構造並びにその防水方法
JP2004124430A (ja) 屋根材の接合構造及び屋根材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