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109B1 - 숙취 해소능이 있는 쌀 음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능이 있는 쌀 음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109B1
KR101908109B1 KR1020160177317A KR20160177317A KR101908109B1 KR 101908109 B1 KR101908109 B1 KR 101908109B1 KR 1020160177317 A KR1020160177317 A KR 1020160177317A KR 20160177317 A KR20160177317 A KR 20160177317A KR 101908109 B1 KR101908109 B1 KR 101908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added
mushroom
cucumber
mal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847A (ko
Inventor
이용선
원선이
서재순
강희윤
이해길
박인태
김순재
Original Assignee
경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filed Critical 경기도
Priority to KR102016017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1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23L7/25Fermentation of cereal malt or of cereal by mal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기재는,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 단계, 엿기름과 물을 혼합한 뒤 수침하여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알코올 분해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부재료를 첨가하는 단계, 밥에 엿기름 추출액을 첨가하고 당화시켜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당화액에 설탕을 넣고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며, 부재료는, 콩나물, 표고 버섯, 백다다기 오이 및 무를 포함하는 쌀 음료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쌀 음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숙취 해소능이 있는 쌀 음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RICE BEVERAGE FOR ELIMINATING HANG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기재는 알코올의 분해 성능이 향상된 쌀 음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식이 잦은 우리 나라의 직장 문화 특성과 음주 전후 건강을 챙기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됨에 따라 숙취 해소 음료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다만,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숙취 해소 음료는 대부분이 약용 식물 농축액으로 제조되어 기호도가 떨어지고, 제품 가격이 대체로 높아 소비자들의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에 기호도가 높아 마시기 편하면서도 숙취 해소 성능이 뛰어난 숙취 해소 음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농산물의 소비가 위축됨으로 인해 농민들의 사정이 어려워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농산물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농산물을 이용한 새로운 숙취 해소 음료가 개발된다면 농산물의 소비를 촉진시키면서, 계속해서 증대되고있는 숙취 해소 음료 시장의 수요를 맞출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숙취 해소 음료를 소비자들이 꾸준히 접해와서 익숙하고 거부감이 적은 전통 음료와 결합한다면, 숙취 해소 음료에 대한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기재는, 알코올 분해 효소 및 아세트 알데히드 분해 효소의 활성을 돕는 쌀 음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제조 방법은,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 단계, 엿기름과 물을 혼합한 뒤 수침하여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밥에 알코올 분해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부재료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부재료가 첨가된 상기 밥에 상기 엿기름 추출액을 첨가하고 당화시켜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당화액에 설탕을 넣고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료는, 콩나물, 표고 버섯, 백다다기 오이 및 무를 포함한다.
상기 부재료는 분말 형태로 상기 밥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분말은 상기 부재료의 원료를 건조시킨 뒤 분쇄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재료는 취청 오이, 느타리 버섯 및 노루궁뎅이 버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화액에 배 퓨레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에 의하면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의 분해에 관여하는 알코올 탈수소 효소 및 아세트 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의 활성을 돕는 부재료가 첨가된 쌀 음료를 제조할 수 있어 음주 후 보다 신속한 숙취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숙취 해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동물 행동 분석 실험을 진행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20%의 알코올을 경구 투여 후 이동 거리를 음료별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40%의 알코올을 경구 투여 후 이동 거리를 음료별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기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기재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기재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기재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제조 방법은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 단계,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부재료를 첨가하는 단계,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당화액에 설탕을 넣고 끓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쌀을 이용하여 30분 내지 1시간 정도 물에 물린 뒤 찜기를 이용하여 밥을 짓는 단계이다. 이때 본 실시예의 밥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고두밥의 형태로 지어질 수 있다.
엿기름 추출액은 엿기름의 중량 대비 7배 내지 15배의 물에 망에 넣은 엿기름을 1시간 내지 2시간 정도 수침한 후, 망에 들어있는 엿기름을 주물러 추출한다.
부재료는 알코올 탈수소 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을 돕는 콩나물, 표고버섯 백다다기 오이, 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부재료는 추가로 느타리 버섯, 취청 오이 및 노루궁뎅이 버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료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재료는 분말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분말은 부재료의 원료를 건조시킨 뒤 분쇄하여 제조한다.
밥 및 엿기름 추출액에 부재료가 첨가되고 나면, 이를 당화시켜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당화 공정은 엿기름 추출액에 의해 쌀에 포함된 전분이 당으로 분해되는 공정이다. 당화 공정은 쌀에 의해 제조된 밥의 중량 대비 8배 내지 10배의 엿기름 추출액을 첨가하고, 이를 65℃ 내지 80℃의 온도에서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유지시킴으로써 진행된다.
이후 당화 공정에 의해 당화가 완료된 당화액이 제조되면, 여기에 감미를 위하여 설탕을 추가로 첨가하고 가열하여 쌀 음료를 완성할 수 있다. 추가되는 설탕의 양은 쌀 중량 대비 3% 내지 10%일 수 있다. 다만 이는 감미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기호에 따라 설탕의 양이 증감될 수 있으며 혹은 설탕을 첨가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열은 5분 내지 15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제조 방법은 엿기름 추출액과 밥을 혼합한 뒤 당화시켜 제조된 당화액에 부재료를 첨가한다. 다시 말해, 당화 공정이 진행된 이후에 부재료를 첨가하는 점에서, 당화 공정 이전에 부재료를 첨가하여 당화시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제조 방법과 차이가 있다. 앞서 설명한 쌀 음료의 제조 방법과 부재료의 첨가 순서만 상이할 뿐 이 외에는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제조 방법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 각각 제조된 쌀 음료는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의 분해에 관여하는 알코올 탈수소 효소 및 아세트 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의 활성을 돕는 부재료가 첨가된 쌀 음료를 제조할 수 있어 음주 후 보다 신속한 숙취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기재의 쌀 음료에 첨가되는 부재료의 첨가 방법 및 첨가 시기 별로 쌀 음료의 품질 특성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표 1에는 쌀 음료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조사 항목 및 각각의 항목별 조사 방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조사항목 조사방법 비고
1. 당도 당화가 완료된 식혜의 당도는 당화액을 Adventec No. 2로 여과한 액 1ml를 취하여 굴절당도계를 사용하여 측정 ATAGO(oBrix)
2. 탁도 식혜물의 탁도는 식혜액을 잘 흔들어준 후 탁도계로 투과도(% transmittance)를 측정. 탁도가 진할 경우 2배로 희석하여 측정 탁도계(2100N Turbidimeter, HACH, Colorado, USA)
3. pH 여과액을 pH meter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측정 ATAGO(oBrix)
4. 색도 식힌 식혜물을 액체 측정 cell에 담아 color difference meter로 측정하여 Hunter 방식인 L, a, b값으로 표시
L : lightness(100 : white, 0 : black)
a : redness(- : green, + : red)
b : yellowness(- : blue, + : yellow)
색도색차계(Rovibond RT850i) 이용
5. 기호도 시제품을 투명한 컵에 80ml 담아 준비하며, 전체적인 기호도 등의 항목을 5단계 평점법으로 평가함
1 : 매우나쁨, 3 : 나쁨, 5 : 보통, 7 : 좋음, 9 : 매우좋음
5단계 평점법
(전체적 기호도)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알코올 탈수소 효소(ADH)의 활성측정은 ethanol assay kit(ab65343, Abcam, MA, USA)의 procedure에 따라 Bucher과 Redetzki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Potassium diphosphate buffer (pH9.0) 3ml에 NAD 1 tablet (0.8mg)을 녹여 20℃가 되도록 한 뒤, 이 혼합액 300ul에 50ul의 시료액을 가하고, 그 다음 상온에서 3분 방치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A1)한 후 알코올 탈수소 효소를 5ul씩 샘플에 넣고 상온에서 10분 방치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A2)해 2의 값과 1의 값의 차이(△)를 사용해 ADH(%)=(△sample(A2-A1)/△control(A2-A1))×100의 결과 값을 계산한 결과이다.
또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ALDH)의 활성측정은 acetaldehyde assay kit(10668613035, Roche, Penzgerg, Germany)의 procedure에 따라 Lundquist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Potassium diphospate buffer (pH 9.0) 3ml에 NAD 1 tablet (0.8mg)을 녹여 20℃가 되도록 한 뒤, 이 혼합액 300ul에 50ul의 시료 건조물을 가하여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A1)한 후,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를 5ul씩 샘플에 넣은 후 상온에서 5분간 방치하고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A2)해 ALDH(%)는 A2의 값과 A1의 값의 차이(△)를 사용해 ALDH(%)는 (△sample(A2-A1)/△control(A2-A1))×100의 결과 값을 계산한 결과이다.
표 2 내지 표 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재료에 포함되는 각 원료들의 알코올 탈수소 효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각각의 부재료들은 생즙, 추출액 및 분말과 같이 첨가 형태별로 기재되어 있으며, 기재된 백분율은 쌀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 백분율(wt%)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 2 내지 표 6의 실험들은 쌀가루는 100 내지 200g, 부재료 중 분말은 1% 및 0.5%로 조정하면서 첨가되었다. 엿기름 추출액은 800~1600g(쌀가루의 8배 내지 10배 해당하는 량)를 첨가하여 당화과정을 거쳐 쌀 음료를 제조하였다. 높은 효소 활성이나 기호도를 나타내는 결과값은 표 상에서 해당 값을 가지는 칸에 음영으로 표시하였다.
표 2는 당화 전 후에 따라 쌀 중량 대비 부재료의 분말 1%를 첨가 시의 쌀 음료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첨가
시기
부재료 효소활성 당도
(oBx)
pH 탁도
(NTU)
색도 기호도♩
ALDH ADH L a b
당화전 콩나물 51.4 43.9 14.3 6.33 164.7 38.4 -0.3 10.1 3.0±0.0
취청오이 255.3 42.5 13.7 6.19 65.5 38.5 -0.7 5.7 3.9±1.1
백다다기
오이
390.4 44.7 13.6 6.18 228.3 41.2 -0.6 5.1 2.5±0.8
249.6 26.8 13.9 6.29 112.7 39.0 -0.5 6.0 5.0±0.5
느타리 버섯 438.3 17.5 15.0 6.40 52.4 36.1 -0.1 8.0 3.1±0.4
표고
버섯
538.3 38.8 13.2 6.33 81.8 40.0 -0.8 5.5 1.4±0.5
노루궁뎅이 버섯 185.6 25.8 14.3 6.18 11.7 35.5 -0.4 6.8 4.3±0.7
당화후 콩나물 200.5 26.1 14.6 6.21 83.0 39.3 -0.8 18.9 1.9±0.4
취청오이 249.5 25.4 14.0 6.12 132.7 37.3 -0.8 4.7 4.0±1.2
백다다기
오이
234.1 32.8 14.6 6.15 132.0 34.3 -0.3 2.7 2.4±0.9
304.5 28.3 14.7 6.27 115.7 38.8 -0.6 4.1 4.9±1.1
느타리 버섯 230.1 28.5 14.3 6.33 62.9 39.0 -0.8 5.6 2.8±0.5
표고
버섯
203.4 25.1 14.5 6.25 143.0 42.1 -1.2 4.4 1.1±0.4
노루궁뎅이 버섯 303.9 36.5 15.8 6.60 26.7 36.8 -0.6 7.8 3.9±0.4
표 3은 당화 전 후에 따라 쌀 중량 대비 부재료의 분말 0.5%를 첨가 시의 쌀 음료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첨가
시기
부재료 효소활성 당도
(oBx)
pH 탁도
(NTU)
색도 기호도♩
ALDH ADH L a b
당화전 콩나물 428.7 18.4 13.0 6.0 53.0 39.0 -0.7 5.2 3.0±1.1
취청오이 358.2 22.4 12.9 6.1 86.4 39.5 -0.7 4.3 5.8±0.9
백다다기
오이
274.6 21.2 13.8 6.2 30.8 38.0 -0.6 6.4 5.9±0.8
235.2 19.3 12.7 6.1 144.3 40.2 -0.7 4.7 7.4±0.7
느타리 버섯 428.0 27.8 13.6 6.3 51.2 37.6 -0.4 6.4 3.8±1.2
표고
버섯
581.7 23.7 13.1 6.1 82.0 39.5 -0.8 5.2 3.8±1.2
노루궁뎅이 버섯 324.5 24.7 13.4 6.1 31.9 37.6 -0.6 6.3 6.1±0.6
당화후 콩나물 189.5 26.7 13.6 6.0 36.1 38.2 -0.3 4.2 3.8±1.4
취청오이 194.5 22.7 13.7 6.0 44.4 37.9 -0.4 3.5 6.3±1.7
백다다기
오이
228.7 22.4 13.7 5.9 65.3 37.7 -0.2 4.2 5.6±1.1
170.7 26.0 13.9 6.0 59.1 38.3 -0.4 4.6 6.9±0.4
느타리 버섯 141.7 23.2 13.6 6.0 79.4 37.9 -0.6 5.9 2.8±1.3
표고
버섯
156.8 28.4 13.5 6.2 87.2 39.1 -0.6 4.8 3.0±0.9
노루궁뎅이 버섯 144.6 30.7 13.4 5.8 20.1 38.0 -0.5 5.1 4.9±1.3
표 2 내지 표 3에 기재된 것과 같이 알코올 탈수소 효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 각각의 활성이 높은 결과를 가지는 결과값은 당화 전이 당화 후보다 더 많은 경우를 가지며, 분말 1% 첨가 시에 대체로 높은 경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분말 시료 중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의 경우에는 표고 버섯, 느타리 버섯, 백다다기 오이에서 활성이 높았으며, 알코올 탈수소 효소의 경우에는 백다다기 오이, 콩나물, 취청에서 활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 2를 참고하면, 분말 1% 첨가 시 기호도와 효소활성은 당화 전에 첨가하는 것이 좋았으며, 무와 노루궁뎅이 버섯을 제외하고는 기호도에서 낮았다. 효소 활성은 ADH와 ALDH에서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5 및 표 6을 참고하면, 분말 0.5% 첨가 시 1%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ALDH는 1%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ADH는 낮은 값을 나타냈다. 기호도는 당화 전 부재료를 분말 형태로 0.5% 첨가할 때가 우수하였으며, 무와 노루궁뎅이 버섯 첨가 시 가장 높았다.
알코올은 섭취 시 체내에 흡수되어 전신에 고루 분포되며, 대부분은 간에서 알코올 탈수소 효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와 같은 특정한 효소들에 의해서 대사되고 흡수된 알코올의 10% 미만은 대사되지 않은 채 신장이나 폐를 통하여 배설된다.
체내 알코올 대사에 1차적으로 관여하는 효소는 알코올 탈수소 효소로,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을 분해하여 아세트 알데하이드로 변환시킨다. 알코올의 분해 산물인 아세트 알데하이드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아세트 알데하이드가 체내에 축적되어 숙취 증상을 나타낸다. 체내에 아세트 알데하이드의 축적이 증가되면 심한 숙취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생성된 아세트 알데하이드는 아세트 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변환된다. 아세트 알데하이드가 아세트산으로 완전히 변환되고 나면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의 분해가 완료되고 숙취가 제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제조 방법은,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의 분해에 관여하는 알코올 탈수소 효소 및 아세트 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의 활성을 돕는 부재료가 첨가된 쌀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음주 후 보다 신속한 숙취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제조 방법은 배 퓨레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 퓨레는 당화 공정을 거친 당화액에 첨가될 수 있다.
표 4에는 각각의 비교예(T1 내지 T3)에 배 퓨레를 각각 5%, 10%, 15%, 20% 첨가한 실험예와 시판음료 1 및 2의 효소 활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때 기재된 비교예 및 실험예들에 첨가된 부재료는 당화 전에 첨가되었다. 각 원료들의 기재된 첨가 비율은 쌀의 중량 대비 백분율 단위이다.
T1 : 표고 버섯 0.25% + 무 0.5% + 콩나물 0.125% + 백다다기 오이 0.125%
T2 : 표고 버섯 0.375% + 무 0.375% + 콩나물 0.125% + 백다다기 오이 0.125%
T3 : 표고 버섯 0.5% + 무 0.25% + 콩나물 0.125% + 백다다기 오이 0.125%
처리 효소활성
(10배 희석)
당도
(oBx)
pH 탁도
(NTU)
색도 기호도
ALDH ADH L a b
T1 125.5 32.2 14.6 6.3 17.6 39.3 -0.7 6.0 3.6±0.5
T2 135.6 31.4 14.4 6.3 17.6 38.3 -0.6 5.5 3.9±1.0
T3 133.4 30.0 14.6 6.3 18.1 38.0 -0.5 5.7 4.0±1.9
실험예 1
(T3 + 배퓨레 5%)
169.3 43.2 15.2 6.1 37.9 39.3 -0.4 6.1 5.1±0.8
실험예 2
(T3 +배퓨레 10%)
157.6 65.0 15.5 6.1 46.4 39.2 -0.3 6.6 6.4±0.6
실험예 3
(T3 +배퓨레 15%)
139.6 75.2 15.6 6.0 60.2 38.2 -0.3 5.8 4.8±1.4
실험예 4
(T3 +배퓨레 20%)
122.9 55.6 15.8 5.9 69.8 38.7 -0.2 6.3 4.4±1.0
시판음료 1 1276.4 42.1 11.8 4.5 397.0 25.8 2.0 3.9 -
시판음료 2 231.7 83.9 14.5 3.6 469.3 29.8 6.5 7.2 -
실험에 사용된 배 퓨레는 시판 제품으로, 국산 배 90% 및 설탕을 포함한 배 퓨레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배 퓨레의 특성은 표 8에 기재되어 있다.
구분 당도
(oBx)
pH 탁도
(NTU)
색도
L a b
배 퓨레(국산) 21.7 5.3 762.3 43.3 2.1 8.5
표 5를 참고하면, 효소활성과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표고 버섯 0.5 + 무 0.25 + 콩나물 0.125 + 백다다기 오이 0.125 혼합 조성물(T3)에 배퓨레 5% 및 10% 첨가한 실험예 1 및 실험예 2의 경우 효소 활성과 기호도가 더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표 7의 T3의 음료를 이용한 동물 행동 분석 실험을 진행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숙취 해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동물 행동 분석 실험을 진행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진이며, 도 2는 20%의 알코올을 경구 투여 후 이동 거리를 음료별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은 40%의 알코올을 경구 투여 후 이동 거리를 음료별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먼저 실험에 사용되는 각 음료를 음주 이전에 쥐에게 경구 투여한다. 이때 투여되는 음료의 양은 사람의 체질량 대비 섭취되는 음료의 양을 쥐의 체질량에 비례하도록 환산하여 적용한 것이다. 음료가 투여된 이후 30분이 경과되면 알코올을 경구로 투여한다. 투여되는 알코올의 양 역시 사람의 체질량 대비 섭취되는 음료의 양을 쥐의 체질량에 비례하도록 환산하여 적용한 것이다. 이후 1 시간, 2 시간 및 4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쥐의 행동을 5분 동안 촬영하고 추후 30분이 경과된 이후에 이동 거리를 분석한다. 도 1의 실험에 의해 투여된 알코올의 농도에 따른 쥐의 이동 거리 결과가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동물행동 실험결과 혼합 조성물이 20%, 40% 알코올 경구투여 후 1~2시간까지 이동거리가 많아 숙취해소능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쌀 음료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음료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쌀 음료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기재에 따르면,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의 분해에 관여하는 알코올 탈수소 효소 및 아세트 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의 활성을 돕는 부재료가 첨가된 쌀 음료를 제조할 수 있어 음주 후 보다 신속한 숙취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 단계;
    엿기름과 물을 혼합한 뒤 수침하여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밥에 알코올 분해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부재료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부재료가 첨가된 상기 밥에 상기 엿기름 추출액을 첨가하고 당화시켜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당화액에 설탕을 넣고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료는,
    콩나물 0.1 중량% 내지 1 중량%, 표고 버섯 0.1 중량% 내지 1 중량%, 백다다기 오이 0.1 중량% 내지 1 중량% 및 무 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쌀 음료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는 분말 형태로 상기 밥에 첨가되는, 쌀 음료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은 상기 부재료의 원료를 건조시킨 뒤 분쇄하여 제조되는, 쌀 음료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는 취청 오이, 느타리 버섯 및 노루궁뎅이 버섯을 더 포함하는, 알코올 분해 활성이 향상된 쌀 음료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액에 배 퓨레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알코올 분해 활성이 향상된 쌀 음료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쌀 음료.
KR1020160177317A 2016-12-23 2016-12-23 숙취 해소능이 있는 쌀 음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08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317A KR101908109B1 (ko) 2016-12-23 2016-12-23 숙취 해소능이 있는 쌀 음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317A KR101908109B1 (ko) 2016-12-23 2016-12-23 숙취 해소능이 있는 쌀 음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847A KR20180073847A (ko) 2018-07-03
KR101908109B1 true KR101908109B1 (ko) 2018-10-15

Family

ID=6291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317A KR101908109B1 (ko) 2016-12-23 2016-12-23 숙취 해소능이 있는 쌀 음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1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69B1 (ko) * 2009-11-23 2010-11-01 한국식품연구원 콩나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음료
KR101352655B1 (ko) * 2012-12-20 2014-01-17 경기도 침전 안정성이 우수한 아미노산 고함유 쌀음료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405U (ko) * 1994-03-09 1995-10-16 박희득 구두굽
KR20070074723A (ko) * 2006-01-10 2007-07-18 이 에프바이오(주)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식혜 및 그 제조방법
KR100972354B1 (ko) * 2008-04-01 2010-07-26 김유조 유산균 식혜 제조방법 및 유산균 식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69B1 (ko) * 2009-11-23 2010-11-01 한국식품연구원 콩나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음료
KR101352655B1 (ko) * 2012-12-20 2014-01-17 경기도 침전 안정성이 우수한 아미노산 고함유 쌀음료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847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01804B (zh) 用于生产高必需氨基酸稻米的水稻植物营养剂
CN101658537B (zh) 降血糖用酵母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361567B (zh) 一种多营养元素复合酵母粉
CN105559089A (zh) 护肝排毒果蔬酵素及其制备方法
CN110092688B (zh) 一种黄腐酸螯合硒生物肥及其在核桃种植中的应用
CN104140908B (zh) 一种苦荞发酵干酒及其生产方法
CN103911244A (zh) 一种玉米格瓦斯发酵饮料及其制备工艺
CN103601580A (zh) 一种兔粪发酵叶面肥及其制备方法
CN105010462A (zh) 一种马铃薯面包及其制备方法
CN103704017A (zh) 一种虫草培养基的高营养配方
KR101908109B1 (ko) 숙취 해소능이 있는 쌀 음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Tovar et al. Pulque, an alcoholic drink from rural Mexico, contains phytase. Its in vitro effects on corn tortilla
Maziya‐Dixon et al. Retention of iron and zinc in yam flour and boiled yam processed from white yam (D. rotundata) varieties
KR20120078549A (ko) 연을 첨가한 막걸리 제조방법
KR100496453B1 (ko) 복분자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6805B1 (ko) 천연발효종 및 이를 이용한 천연발효 빵의 제조방법
JP7018158B1 (ja) 味噌の製造方法及び味噌製造キット
CN115462473B (zh) 一种改善产蛋后期蛋壳品质的日粮及其制备方法
Caba et al. Sweet sorghum-an alternative for Romanian farmers in the conditions of the current climate change.
KR20170119008A (ko) 잡곡 발효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150837A (zh) 亚铁血红素肽咀嚼片配方及制作方法
Sunano Nutritional Value of the Alcoholic Beverage “Parshot” as a Staple and Total Nutrition Food in Dirashe Special Worenda, Sounthern Ethiopia
Khadka STUDY ON CHEMICAL PARAMETERS AND CYANOGENS CONTENT OF CASSAVA (Manihot esculenta Crantz) JAND DURING TRADITIONAL FERMENTATION.
CN115806866A (zh) 迷你功能草莓果酒及其生产方法
JPS6336772A (ja) 酒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