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754B1 -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 - Google Patents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754B1
KR101907754B1 KR1020160153150A KR20160153150A KR101907754B1 KR 101907754 B1 KR101907754 B1 KR 101907754B1 KR 1020160153150 A KR1020160153150 A KR 1020160153150A KR 20160153150 A KR20160153150 A KR 20160153150A KR 101907754 B1 KR101907754 B1 KR 101907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leeve
plate
rim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366A (ko
Inventor
김성복
Original Assignee
김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복 filed Critical 김성복
Priority to KR102016015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7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바닥층에 매입 시공된 슬리브몸체를 통해 건물의 실내 측으로 배선되는 케이블을 케이블지지판에 관통시키고, 이를 제1몸체 및 제2몸체측의 받침턱에 안치시키면서 제1몸체와 제2몸체를 하나의 원통형체로 조합하여 슬리브몸체에 삽입시키며, 상부에 마련된 케이블 안내판을 가림판부로부터 회전시켜 케이블들을 묶음 형태로 정리하여 인출되게 함으로써, 케이블 관통지지 및 건물 실내 측으로의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Cap sleeve-supported cable penetration}
본 발명은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 또는 벽면에 매입 설치되어 각종 케이블을 안내하는 관통 슬리브에 마련되는 슬리브 캡을 개선하여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안정된 고정은 물론, 외부로부터 누수를 방지하고, 슬리브 몸체에 관통된 케이블을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관통 슬리브에 간편하게 삽입 고정하여 여러 가닥의 케이블 수에 맞게 묶음형태로 정리시켜 인출되도록 한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시공에 있어서,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콘크리트 층에 에어콘, 가스관, 수도관, 하수관,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등의 배관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지점 또는 벽체지점의 거푸집에 설치된다.
이러한 건축용 관통 슬리브는 원통형의 슬리브몸체와, 슬리브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덮개와, 타측에 구비되는 거푸집 고정판을 포함하며, 배관 통로지점의 거푸집에 못으로 고정시켜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가 완료된 다음, 거푸집을 분리하고, 덮개를 제거하여 배관통로로 이용하거나, 상기 전기 및 통신케이블(이하, '케이블'로 총칭함)의 통로로 이용시에는 슬리브 내부를 통과하는 다수의 케이블이 안정된 고정과 함께 실내 측으로 케이블을 묶음형태로 안내할 수 있는 슬리브 캡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관통 슬리브의 슬리브몸체는 콘크리트에 부착된 상태로 따로 제거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콘크리트가 굳어짐에 따라 콘크리트에 접촉되는 부착된 슬리브몸체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거하지 않아도 각종 입상관 및 배관의 배관통로를 확보하는 건축용 관통 슬리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건축용 관통 슬리브와 관련된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9696호(명칭: 거푸집의 간격 폭에 맞게 길이를 가변되게 조절하여 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공고일자: 2016년 5월 11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이라 칭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벽체에 배관이나 전기선 등을 설치를 위해 관통홀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용 관통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재발생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벽체의 시공시에 벽체의 두께에 따라 가변되는 거푸집의 간격 폭에 맞게 관통슬리브의 길이를 시공현장에서 신속하게 조절하여 설치토록 한 것으로, 관체로 되어 일측면에 거푸집의 고정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절취선에 의해 분리되는 덮개판이 형성되고 측면에 가이드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측면으로 관체로 되어 본체의 내측으로 결합되면서 측면에 가이드홀에서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길이조절체와 상기 길이조절체가 본체의 내측에서 수축과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시공된 거푸집의 간격 폭에 따라서 정형화된 길이나 현장에서 직접 재단되는 관통배관을 길이조절체에 결합하여 거푸집의 간격 폭에 맞게 길이를 가변되게 조절하여 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된 본체의 내벽면에는 내측으로 결합된 길이조절체가 길이조절을 위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간격 폭에 맞게 길이를 가변되게 조절하여 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이다.
상기 특허문헌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 슬리브는 벽체의 두께에 맞추어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기술로서 그 내부를 지나 외측으로 인출되는 전기 케이블의 배선부분에는 별도의 슬라브 전용 캡이 설치되어야 한다.
통상 상기와 같은 관통 슬리브를 경유하여 실내 측으로 인출되는 케이블은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공간에 맞게 배선되는 케이블의 수가 정해져 있지만 케이블의 안정적인 고정작업과 함께 외부로부터 방수처리 및 인출되는 케이블의 간단한 묶음 정리가 요구되기 위한 슬리브 캡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다층 건물에 바닥 또는 벽면에 매입 설치되어 각종 케이블을 안내하는 관통 슬리브에 마련되는 슬리브 캡을 개선하여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안정된 고정은 물론, 외부로부터 누수를 방지하고, 슬리브 몸체에 관통된 케이블을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관통 슬리브에 간편하게 삽입 고정하여 여러 가닥의 케이블 수에 맞게 묶음형태로 정리시켜 인출되도록 한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바닥 슬라브층에 매입되는 원통형의 슬리브몸체에 삽입되어 슬리브몸체를 지나는 다수개의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된 슬리브 캡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캡은, 상호 마주하는 양측이 원통형으로 조합 및 분리되는 반원형의 삽입부 및 삽입부 상부에 반원형의 테두리부를 갖는 제1몸체 및 제2몸체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1몸체는 테두리부의 종단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가림판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가림판부에는 케이블을 안내하는 반원형의 안내부가 형성되며, 가림판부의 길이 변 중간에는 회전공을 갖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종단되는 단부에는 결합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를 갖는 조립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는 테두리부의 종단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안내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부가 종단되는 단부에는 결합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를 갖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반원형상으로 상기 제1몸체의 지지편과 일치되는 지지편 및 제1몸체의 안내부와 대향되어 케이블을 안내하는 반원형의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을 통해 제1몸체측 지지편에 축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림판부의 상면 및 제2몸체의 테두리부측 내경에서 회전되는 케이블가이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삽입부 내경 측에는 받침턱이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 상에는 케이블을 관통 지지하는 케이블지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블지지판은, 케이블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열경화성수지판(Thermosetting resin plate)과, 상기 관통공의 위치에 일치되어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열십자형 절개부가 형성된 난연고무판을 한 겹 이상 교호로 적층 부착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은, 분할조립형으로 건물의 바닥층에 매입 시공된 슬리브몸체를 통해 건물의 실내 측으로 배선되는 케이블을 케이블지지판에 관통시키고, 이를 제1몸체 및 제2몸체측의 받침턱에 안치시키면서 제1몸체와 제2몸체를 하나의 원통형체로 조합하여 슬리브몸체에 삽입시키며, 상부에 마련된 케이블 안내판을 가림판부로부터 회전시켜 케이블들을 묶음 형태로 정리하여 인출되게 함으로써, 케이블 관통지지 및 건물 실내 측으로의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슬리브 캡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캡을 슬리브몸체에 삽입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지지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케이블 지지판에 케이블이 관통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캡이 슬리브몸체에 안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의 (a) 내지 (d)는 슬리브 캡의 케이블가이드판 회전상태를 다양하게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캡은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건물의 바닥 슬라브층에 매입되는 원통형의 슬리브몸체(10)에 삽입되어 슬리브몸체(10)를 지나는 다수개의 케이블(C)을 지지하도록 된 슬리브 캡(100)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캡(100)은, 부식이 없는 스테인레스스틸 소재로 제작되며, 그 형상은 상호 마주하는 양측이 원통형으로 조합 및 분리되는 반원형의 삽입부(111)(121) 및 삽입부 상부에 반원형의 테두리부(112)(122)를 갖는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110)는 테두리부(112)의 종단면에 결합돌기(112a)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가림판부(113)가 일체로 형성되되, 가림판부(113)에는 케이블(C)을 안내하는 반원형의 안내부(113a)가 형성되며, 가림판부(113)의 길이 변 중간에는 회전공(113b)을 갖는 지지편(113c)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11)가 종단되는 단부에는 결합홈(111a)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1a)이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11b)를 갖는 조립턱(111c)이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120)는 테두리부(122)의 종단면에 상기 결합돌기(112a)가 안내되는 삽입홈(122a)이 형성되고, 삽입부(121)가 종단되는 단부에는 결합홈(122b)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22b)이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22c)를 갖는 조립턱(122d)이 형성된다.
반원형상으로 상기 제1몸체(110)의 지지편(113c)과 일치되는 지지편(131) 및 제1몸체(110)의 안내부(113a)와 대향되어 케이블(C)을 안내하는 반원형의 안내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131)을 통해 제1몸체(110)측 지지편(113c)에 축핀(P)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림판부(113)의 상면 및 제2몸체(120)의 테두리부(122)측 내경에서 회전되는 케이블가이드판(130)이 설치된다
상기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의 삽입부(111)(121) 내경 측에는 받침턱(111-1)(121-1)이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111-1)(121-1) 상에는 케이블(C)을 관통 지지하는 케이블지지판(14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지지판(140)은, 슬리브몸체를 관통하여 지나는 케이블을 잡아주기 위한 고정체로써, 케이블 관통공(141)이 다수개 형성된 열경화성수지판(Thermosetting resin plate, 142)과, 상기 관통공(141)의 위치에 일치되어 케이블(C)의 통과를 위한 열십자형 절개부(143a)가 형성된 난연고무판(143)을 한 겹 이상 교호로 적층 부착되어 제조된다.
상기 열십자형 절개부(143a)는 케이블을 난연고무판(143)에 통과시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잡아줌과 동시에 관통된 케이블 주변의 틈새를 난연고무판의 소재특성상 탄력성으로 주변을 메워줄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 및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케이블(C)의 굵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십자형 절개부(143a)의 형상에 따라 상기 열결화성수지판(142)의 관통공(141의 크기는 케이블(C)이 충분히 관통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미설명 부호 1은 슬라브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의 적용 설치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슬라브층(1) 즉, 바닥시공시 케이블 배선을 보호하고, 적정위치에서 케이블(C)을 인출시켜 사용하기 위해 매입되는 슬리브몸체(10)에 본 발명인 슬라브 캡(100)을 슬리브몸체(10)의 내경에 삽입하고, 케이블(C)은 상기 슬리브 캡(100)의 내측에 마련되는 케이블지지판(140)을 통해 슬리브 캡(100)의 외부로 케이블(C)을 정리하여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브 캡(100)은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분할된 것으로, 이는 건물의 슬라브층(1)에 매입된 슬리브몸체(10)를 통해 통과하는 케이블(C)들을 먼저 상기 케이블지지판에 관통지지시켜 준다.
상기 케이블(C)의 관통은 상기 케이블지지판(140)을 구성하는 난연고무판(143)의 열십자형 절개부(143a)를 관통시켜 통과시켜 준다. 이때 관통된 케이블은 상기 난연고무판(143)의 열십자형 절개부(143a)를 통과하고, 열경화수지판(142)의 관통공(141)을 최종 통과하도록 한다.
통상 정해진 케이블(C)들의 개수는 상기 케이블지지판(140)을 통해 관통되고,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블지지판(140)은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조합과 동시에 그 내벽에 형성된 받침턱(111-1)(121-1)에 안착시켜준다.
상기와 같이 받침턱(111-1)(121-1)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지지판(140)의 가장자리는 별도의 실링재로서 마감하여 케이블지지판(140)을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조합은 삽입부의 단부에 상호 반대되게 형성된 결합홈(111a)(122b)과 다수개의 결합돌기(111b)(122ㅊ)를 갖는 조립턱(111c)(122d)을 상호 마주한 형태로 합쳐 조합한다.
상기와 같은 조합에서 제1몸체(110)의 테두리부(112) 단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12a)는 제2몸체(120)의 테두리부(122)측 삽입홈(122a)의 상호 끼워 맞춤에 따라 본 발명의 슬리브 캡(100)의 조합된 형태는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테두리부(112)(122)와 원통형의 삽입부(111)(121)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조합상태에서 상기 슬리브몸체(10)의 개구된 내경에 삽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제1몸체(110)의 가림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가이드판(130)은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 캡(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C)의 수에 맞게 상기 케이블가이드판(130)을 회전시켜 최대한 케이블(C)이 묶음 형태가 되게 정리시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몸체(110)에 대해 반쪽이 되는 제2몸체(120)는 상기 케이블가이드판(130)의 회전 정도로서 그 상부를 케이블들이 인출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막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가이드판(130)의 회전은 그 길이변측의 지지편(131)과 가림판부(113)의 지지편(113c)에 관통된 축핀(P)을 중심으로 가림판부(113)의 상부 및 제2몸체의 상부측에서 요구하는 각도로 선회하여 인출되는 케이블(C)에 맞게 상기 케이블가이드판(130)의 안내부(132)를 위치시켜 인출된 케이블(C)들을 묶음형태가 되게 정리시켜 준다.
상기 가림판부(113)의 안내부(113a) 및 케이블가이드판(130)의 안내부(132)는 이들이 상호 맞대응되었을 때 원형으로 배치되어 가림판부(113)에 대해 케이블가이드판(130)이 최대한 케이블(C)의 인출된 주변의 공간을 최소한의 크기로 줄여줄 수 있거나 최대한으로 늘려 케이블들의 인출지점을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캡(100)은 슬리브몸체(10)에서 인출되는 케이블(C)들을 케이블지지판(140)에 관통시켜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배치시킴과 동시에 이들을 상호 하나의 몸체가 되게 조합한 다음, 상기 슬리브몸체(10)에 삽입시킴으로써, 슬리브몸체(10)를 통과하여 건물의 실내 측에 배치한 각종 장비들과 연결되는 각각의 전력선 용도로 이용되는 케이블들의 관통설치가 쉽고, 케이블들의 안정된 고정은 물론, 케이블 수에 맞게 케이블가이드판(130)으로서 묶음형태가 되게 정리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슬리브몸체 100: 슬리브캡
110: 제1몸체 111, 121: 삽입부
111c,122d: 조립턱 111-1,121-1: 받침턱
112,122: 테두리부 112a: 결합돌기
113: 가림판부 113a, 132: 안내부
113c, 131: 지지편 120: 제2몸체
130: 케이블가이드판 140: 케이블 지지판 141: 케이블 관통공 142: 열경화수지판
143: 난연고무판 143a: 열십자형 절개부
C: 케이블 P: 축핀

Claims (3)

  1. 건물의 바닥 슬라브층에 매입되는 원통형의 슬리브몸체(10)에 삽입되어 슬리브몸체(10)를 지나는 다수개의 케이블(C)을 지지하도록 된 슬리브 캡(100)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캡(100)은,
    상호 마주하는 양측이 원통형으로 조합 및 분리되는 반원형의 삽입부(111)(121) 및 삽입부 상부에 반원형의 테두리부(112)(122)를 갖는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1몸체(110)는 테두리부(112)의 종단면에 결합돌기(112a)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가림판부(113)가 일체로 형성되되, 가림판부(113)에는 케이블(C)을 안내하는 반원형의 안내부(113a)가 형성되며, 가림판부(113)의 길이 변 중간에는 회전공(113b)을 갖는 지지편(113c)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11)가 종단되는 단부에는 결합홈(111a)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1a)이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11b)를 갖는 조립턱(111c)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120)는 테두리부(122)의 종단면에 상기 결합돌기(112a)가 안내되는 삽입홈(122a)이 형성되고, 삽입부(121)가 종단되는 단부에는 결합홈(122b)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22b)이 형성된 반대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22c)를 갖는 조립턱(122d)이 형성되고,
    반원형상으로 상기 제1몸체(110)의 지지편(113c)과 일치되는 지지편(131) 및 제1몸체(110)의 안내부(113a)와 대향되어 케이블(C)을 안내하는 반원형의 안내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131)을 통해 제1몸체(110)측 지지편(113c)에 축핀(P)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림판부(113)의 상면 및 제2몸체(120)의 테두리부(122)측 내경에서 회전되는 케이블가이드판(130)이 설치되며,
    상기 제1몸체(110)의 결합홈(111a)에는 제2몸체(120)의 결합돌기(122c)가 삽입되고, 상기 제1몸체(110)의 결합돌기(111b)는 제2몸체(120)의 결합홈(122b)에 삽입되며,
    상기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의 삽입부(111)(121) 내경 측에는 받침턱(111-1)(121-1)이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111-1)(121-1) 상에는 케이블(C)을 관통 지지하는 케이블지지판(140)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지지판(140)은, 케이블 관통공(141)이 다수개 형성된 열경화성수지판(Thermosetting resin plate, 142)과, 상기 관통공(141)의 위치에 일치되어 케이블(C)의 통과를 위한 열십자형 절개부(143a)가 형성된 난연고무판(143)을 한 겹 이상 교호로 적층 부착되어 제조되며,
    케이블(C)은 상기 열십자형 절개부(143a)와 케이블 관통공(141)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
  2. 삭제
  3. 삭제
KR1020160153150A 2016-11-17 2016-11-17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 KR101907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150A KR101907754B1 (ko) 2016-11-17 2016-11-17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150A KR101907754B1 (ko) 2016-11-17 2016-11-17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366A KR20180055366A (ko) 2018-05-25
KR101907754B1 true KR101907754B1 (ko) 2018-10-12

Family

ID=6229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150A KR101907754B1 (ko) 2016-11-17 2016-11-17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8583B (zh) * 2018-08-17 2023-1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固线夹及具有其的空调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8758A (ja) * 2006-11-02 2008-05-22 Yazaki Corp ジョイントボックス及び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KR200461047Y1 (ko) * 2011-04-11 2012-06-22 서상원 케이블 인출용 커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7766B2 (ja) * 1998-10-19 2009-04-02 株式会社イトーキ テーブル用配線ダクト装置
CN101930862A (zh) * 2009-06-26 2010-12-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面板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按键面板
KR101358242B1 (ko) * 2012-03-30 2014-02-12 안병득 입상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8758A (ja) * 2006-11-02 2008-05-22 Yazaki Corp ジョイントボックス及び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KR200461047Y1 (ko) * 2011-04-11 2012-06-22 서상원 케이블 인출용 커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366A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754B1 (ko) 케이블 관통 지지형 슬리브 캡
CN1860394A (zh) 表面嵌入的光纤网络安装
TW201742971A (zh) 耐火被覆處理方法
KR102214567B1 (ko) 건물의 전기 통신 공사 시공 방법
KR20210135197A (ko)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1520287B1 (ko) 전선배선용 배관박스
JP284874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直埋敷設方法
KR20210036680A (ko) 전주용 접지몰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주
KR100830928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KR102073408B1 (ko) 전기, 통신, 소방 배관용 캡
JP4690821B2 (ja) 光複合電力ケーブル用接続箱
JP2006265891A (ja) 防水器具
RU2333582C1 (ru) Проходка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оммуникаций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101903094B1 (ko) 그레이팅용 슬리브
KR102327130B1 (ko) 건축물의 배전선 보호기구
JP5008473B2 (ja) 引込管路
JP2007113197A (ja) マンホール構造及びケーブル敷設方法
KR102638261B1 (ko) 배관박스형 노말밴드
JP3121141U (ja) ケーブル類の立上り配線保護管路装置
JP2002374613A (ja) 管引出具
JPH10229618A (ja) ケーブル管の地中埋設装置及び埋設方法
WO2021176534A1 (ja) 光ケーブル敷設方法
EP3724545B1 (en) A system consisting of a fire safe sealing and an aperture in a floor or a ceiling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sealing an aperture in a floor or a ceiling of a building
WO2021245828A1 (ja) 光ケーブル敷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