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174B1 -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 Google Patents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174B1
KR101907174B1 KR1020180049535A KR20180049535A KR101907174B1 KR 101907174 B1 KR101907174 B1 KR 101907174B1 KR 1020180049535 A KR1020180049535 A KR 1020180049535A KR 20180049535 A KR20180049535 A KR 20180049535A KR 101907174 B1 KR101907174 B1 KR 101907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and
type safety
wais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수
Original Assignee
코스코엠알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코엠알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코엠알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이나 고압전신주 등의 고소작업시 벨트식 안전대 및 그네식 안전대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하여 작업 상황별 효율적으로 사용함을 제공하도록, 신체 중 허리에 대응하여 감싸지며 양단이 전방으로 연장하여 체결가능한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밴드 상에 끼움 결합하고 양단에 로프와 연결가능한 로프고리를 구비하는 밴드보강대와, 상기 허리밴드 및 상기 밴드보강대 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자의 허리를 받쳐 지지하는 허리보호대로 구성된 벨트식 안전대와; 신체 후방에서 벨트고정편을 매개로 "X"자로 교차 연결되어 양쪽 어깨에 걸쳐지되 신체 전방에서 평행을 이루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걸이밴드와, 상기 상부걸이밴드의 전방에 대응하여 신체의 가슴을 가로질러 결속가능하게 고정하는 가슴벨트와, 상기 상부걸이밴드의 전후 하단에 연결되어 신체의 양쪽 다리 대퇴부를 각각 감싸 고정가능한 하부고정밴드로 구성하는 그네식 안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그네식 안전대에는 상기 상부걸이밴드와 상기 하부고정밴드의 연결지점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벨트식 안전대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 여부를 원터치 조작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터치벨트착탈부를 포함하는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One Touch Separating Type Safety Belt}
본 발명은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이나 고압전신주 등의 고소작업시 벨트식 안전대 및 그네식 안전대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하여 작업 상황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이나 고가교량의 건설현장, 고압전신주 등의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고소작업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소의 작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구로서, 다양한 유형을 갖는 안전대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안전대는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건축물이나 전신주 등과 같은 고정지지대와 안전로프에 의해 연결하여 안전하게 작업에 임할 수 있게 사용되고, 안전대의 종류로는 크게 벨트식 안전대와 그네식 안전대로 구분하여 존재하며, 작업의 유형이나 상황에 맞춰 안전대를 선택적으로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안전대 중 벨트식 안전대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17730호(2006.05.25.)에는 전주에서 전기공사, 통신선로공사, 기타 높은 곳 작업시 작업자의 신체를 안정되게 유지하고 또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주상 안전대에 있어서, 작업자의 허리를 안전하게 감싸면서 보호하도록 일정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허리벨트가 끼워지도록 개구부가 구비된 허리보호대와, 상기 허리보호대의 배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양단에 전주를 감싸 지탱하는 로프와 연결되게 로프고리가 구비된 보강대와, 상기 허리보호대의 양단에 형성된 개구부에 각각 끼워짐과 아울러 보호대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일측에는 버클이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버클이 체결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리벳팅된 걸림공이 구비된 허리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허리벨트의 강도를 향상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주상 안전대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안전대 중 그네식 안전대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98030호(2014.05.15.)에는 인체의 배면에서 교차시켜 양 어깨에 거는 한 쌍의 어깨걸이부와, 인체의 양 대퇴부를 각각 감싸 고정되는 한 쌍의 대퇴부고정부와, 상기 어깨걸이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인체의 허리에서 서로 결속되는 체결부와, 상기 배면의 교차점에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되는 안전대와; 상기 체결부에 내장되어 체결부 버클의 결속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상기 안전대의 연결부와 체결되는 죔줄과; 상기 죔줄의 타측과 연결되어 추락방지대에 체결되며, 훅 풀림방지부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훅과; 상기 제1,2센서의 감지신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고, 상기 검출신호를 중앙센터로 송수신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사고원인을 신속히 규명할 수 있는 하네스형 안전대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벨트식 안전대 및 그네식 안전대로 서로 구분된 구조로 적용되기 때문에 초고층이나 초고압선 등의 위험수위가 높은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상 안정성이 미비하고, 산업현장에서의 각종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위험을 대처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 벨트식 안전대와 그네식 안전대가 서로 별개의 구성을 이루기 때문에 착용시 불편하면서 착용시간이 더디고, 이동시 벨트식 안전대가 흘러내려 불편함이 가중되며, 별도 2개의 장구를 구입해야만 하여 추가적이 비용발생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벨트식 안전대와 그네식 안전대가 일체화된 통합형 안전대가 요구되고 있으나, 통합형 안전대의 경우 착용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중 위기상황이나 사고에 따른 안전대의 탈거가 복잡하고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7730호 (2006.05.25.)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98030호 (2014.05.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벨트식 안전대 및 그네식 안전대의 이분된 구조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안전대의 착용 및 탈거가 용이하면서 시간을 최소화하고,현장에서의 위기상황이나 사고상황에서 대처능률을 높임은 물론 초 고소작업현장에서의 작업상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는 신체 중 허리에 대응하여 감싸지며 양단이 전방으로 연장하여 체결가능한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밴드 상에 끼움 결합하고 양단에 로프와 연결가능한 로프고리를 구비하는 밴드보강대와, 상기 허리밴드 및 상기 밴드보강대 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자의 허리를 받쳐 지지하는 허리보호대로 구성된 벨트식 안전대와; 신체 후방에서 벨트고정편을 매개로 "X"자로 교차 연결되어 양쪽 어깨에 걸쳐지되 신체 전방에서 평행을 이루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걸이밴드와, 상기 상부걸이밴드의 전방에 대응하여 신체의 가슴을 가로질러 결속가능하게 고정하는 가슴벨트와, 상기 상부걸이밴드의 전후 하단에 연결되어 신체의 양쪽 다리 대퇴부를 각각 감싸 고정가능한 하부고정밴드로 구성하는 그네식 안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그네식 안전대에는 상기 상부걸이밴드와 상기 하부고정밴드의 연결지점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벨트식 안전대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 여부를 원터치 조작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터치벨트착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식 안전대의 허리보호대에는 작업자 허리와의 접촉면 상에 요철형태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요철패턴부를 구비한다.
상기 그네식 안전대에는 상기 하부고정밴드와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를 상기 하부고정밴드 상에 접합 고정하는 부동부착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는 상기 상부걸이밴드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착탈벨트와, 상기 제1착탈벨트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고정밴드 상에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2착탈벨트와, 상기 제1착탈벨트 및 상기 제2착탈벨트를 서로 연결하여 결속 고정하되 분리조작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터치버클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그네식 안전대의 하부고정밴드와 상기 벨트식 안전대 간의 접촉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벨트식 안전대를 상기 그네식 안전대 상에 접합 고정하는 결합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에 의하면 벨트식 안전대 및 그네식 안전대의 구조를 일체형에서 분리형으로 원터치 방식에 의해 구조 전환하므로, 현장상황에 맞춰 용도의 다양성 및 활용능률을 증진시키고, 고위험지역에서의 위기상황이나 사고상황에 탄력적인 대처방안을 제시하면서 작업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는 벨트식 안전대와 그네식 안전대가 기본적으로 일체형을 구현하므로, 안전대의 착용이 매우 간편하면서 착용 신속성을 도모하고, 추가적인 비용발생이 없어 장비마련에 대한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는 벨트식 안전대의 분리형 구조에서 그네식 안전대의 상부걸이밴드에 원터치벨트착탈부를 접합 고정상태로 유지하므로, 평소 원터치벨트착탈부가 부동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장애물과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면서 작업상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는 벨트식 안전대와 그네식 안전대의 일체형 구조에서 안전대 간에 접합 고정하므로, 벨트식 안전대가 돌아가는 등의 이탈현상을 방지하면서 안전대 착용 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원터치벨트착탈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벨트식 안전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벨트식 안전대의 허리보호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그네식 안전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상부걸이밴드의 교차 연결지점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원터치벨트착탈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원터치벨트착탈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확대도.
본 발명은 신체 중 허리에 대응하여 감싸지며 양단이 전방으로 연장하여 체결가능한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밴드 상에 끼움 결합하고 양단에 로프와 연결가능한 로프고리를 구비하는 밴드보강대와, 상기 허리밴드 및 상기 밴드보강대 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자의 허리를 받쳐 지지하는 허리보호대로 구성된 벨트식 안전대와; 신체 후방에서 벨트고정편을 매개로 "X"자로 교차 연결되어 양쪽 어깨에 걸쳐지되 신체 전방에서 평행을 이루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걸이밴드와, 상기 상부걸이밴드의 전방에 대응하여 신체의 가슴을 가로질러 결속가능하게 고정하는 가슴벨트와, 상기 상부걸이밴드의 전후 하단에 연결되어 신체의 양쪽 다리 대퇴부를 각각 감싸 고정가능한 하부고정밴드로 구성하는 그네식 안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그네식 안전대에는 상기 상부걸이밴드와 상기 하부고정밴드의 연결지점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벨트식 안전대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 여부를 원터치 조작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터치벨트착탈부를 포함하는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식 안전대(100)와, 원터치벨트착탈부(250)를 구비하는 그네식 안전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식 안전대(100)는 고압전신주 등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세운 기둥형태의 구조물에서 작업할 때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벨트식 안전대(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연장 형성된 벨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개의 기능을 갖는 3중의 보강구조로서, 허리밴드(110) 및 밴드보강대(120), 허리보호대(130)를 겹겹이 적층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허리밴드(110)는 작업자의 신체 중 허리에 대응하여 감싸지며 양단이 전방으로 연장하여 체결가능하게 형성한다. 즉 상기 허리밴드(110)는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을 위한 기능을 중점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양단에 암수형태로 구분하여 결속가능한 벨트버클(111)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허리밴드(110)는 작업자의 체형에 맞춰 착용할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밴드보강대(120)는 상기 허리밴드(110) 상에 끼움 결합하고, 양단에 별도의 로프와 연결할 수 있는 로프고리(121)를 구비한다. 즉 상기 밴드보강대(120)는 상기 로프고리(121)를 구비하여 전신주 등에 걸릴 수 있는 로프와의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허리보호대(130)는 실질적으로 작업자의 허리를 받쳐 접촉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허리밴드(110) 및 상기 밴드보강대(120) 상에 탈착가능한 설치구조를 이루도록 착탈수단(131)을 구비한다.
상기 허리보호대(130)는 작업자의 허리에 직접적으로 접하여 지지한다는 특성상 내측에 쿠션재를 내장한다.
상기 착탈수단(131)은 상기 허리보호대(130)의 일면에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 개(도 3에는 3개)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착탈수단(131)은 상기 허리보호대(130)의 상/하단에 서로 대응하여 띠 형태로 연장형성되고, 상호 접촉면 상에 벨크로테이프를 형성하므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허리보호대(13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 허리와의 접촉면 상에 요철형태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요철패턴부(135)를 구비한다.
상기 요철패턴부(135)는 단순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된 패턴이나 특정 문자형태를 갖는 패턴으로 배치하여 형성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허리보호대(130)에 요철패턴부(135)를 형성하게 되면, 작업자 착용에 따른 접촉면적의 마찰력으로 인해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네식 안전대(200)는 작업자의 어깨와 다리의 대퇴부에 걸어 착용하는 구조로서, 고소작업시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그네식 안전대(2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의 양쪽 어깨에 걸쳐질 수 있게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걸이밴드(210)와, 작업자의 가슴 부분에서 고정하는 가슴벨트(220)와, 작업자의 신체 중 양쪽 다리 대퇴부를 각각 감싸 고정하는 하부고정밴드(230)로 구성한다.
상기 그네식 안전대(200)의 구성 중 상기 상부걸이밴드(210) 및 상기 하부고정밴드(230)의 구성은 서로 봉재마감 방식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일체된 구조체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상부걸이밴드(210)는 2개의 밴드가 한 쌍을 이루되 신체의 후방에서 벨트고정편(211)을 매개로 "X"자로 교차 연결된 구조로서, 작업자의 양쪽 어깨에 걸쳐지며, 신체의 전방에서 평행을 이루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상부걸이밴드(210)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벨트고정편(211)에 의해 서로 교차 연결된 지점에 별도의 로프를 걸어 체결할 수 있게 설치하는 로프걸이구(213)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고정편(211)과 함께 상기 상부걸이밴드(210)를 연결 고정하면서 작업자 신체(등 부분)를 접촉 지지하는 완충지지부재(215)를 구비한다.
상기 로프걸이구(213)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고정편(211)과 함께 2개의 밴드를 연결 고정한다.
상기 완충지지부재(215)는 상기 벨트고정편(211)의 일면에 면 접촉하게 위치하고, 내측에 쿠션재를 내장하므로, 작업자의 신체에 벨트고정편(211)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완충지지부재(215)는 상기 상부걸이밴드(210) 상에 끼움 결합하면서 한 쌍의 상부걸이밴드(210)를 연결하기 위한 끼움편(216)을 형성하므로, 상부걸이밴드(210)의 교차 연결영역을 확장하면서 상부걸이밴드(210)의 교차 연결효율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슴벨트(220)는 상기 상부걸이밴드(210)의 전방에 대응하여 신체의 가슴을 가로질러 결속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상부걸이밴드(210)에는 상기 가슴벨트(220)를 연결하기 위한 벨트결속부재(221)를 구비한다. 즉 상기 벨트결속부재(221)는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걸이밴드(210)에 가슴벨트(220)가 종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게 결속 연결한다.
상기 벨트결속부재(221)는 상기 상부걸이밴드(210) 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위치 가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체형에 따라 탄력적으로 위치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고정밴드(230)는 신체의 양쪽 다리 대퇴부를 감싸 고정하기 위한 구조의 구성으로서, 상기 상부걸이밴드(210)의 전후 하단에 구분 연장하여 봉재마감 방식으로 연결한다.
상기 하부고정밴드(230)에는 다리 대퇴부를 감싼 상태로 서로 결속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밴드버클(231)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밴드버클(231)은 전방의 상기 상부걸이밴드(210)로부터 연장된 상기 하부고정밴드(230)의 끝단에 설치되는 제1하부밴드버클(231a)과, 후방의 상기 상부걸이밴드(210) 하단에 설치되는 제2하부밴드버클(231b)을 구비한다.
상기 그네식 안전대(200)에는 좌우 한 쌍의 하부고정밴드(230)를 연결하며 작업자의 둔부를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둔부받침밴드(235)를 구비한다.
상기 그네식 안전대(200)에 구비된 원터치벨트착탈부(250)는 상기 벨트식 안전대(100)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 여부를 원터치 조작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250)는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걸이밴드(210)와 상기 하부고정밴드(230)의 연결지점에 탈착 설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25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응하여 연장 형성된 제1착탈벨트(251) 및 제2착탈벨트(253)와, 원터치버클(255)로 구성한다.
상기 제1착탈벨트(251)는 상기 상부걸이밴드(21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착탈벨트(253)는 상기 제1착탈벨트(251)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고정밴드(230) 상에 상향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착탈벨트(251) 및 상기 제2착탈벨트(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장 길이를 조절가능한 구조로 구성한다.
상기 원터치버클(255)은 상기 제1착탈벨트(251) 및 상기 제2착탈벨트(253)를 서로 연결하여 결속 고정하되 분리조작가능하게 형성한다. 즉 상기 제1착탈벨트(251)의 하단에 제1원터치버클(255a)을 설치하고, 상기 제2착탈벨트(253)의 상단에 상기 제1원터치버클(255a)에 결속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원터치버클(255b)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그네식 안전대(200)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250)를 상기 하부고정밴드(230) 상에 접합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부동부착수단(24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동부착수단(240)은 상기 하부고정밴드(230)와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250) 중 상기 제2착탈벨트(253)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응하여 부착가능한 형태로 형성한다.
도 8에서는 상기 부동부착수단(240)으로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구조의 벨크로테이프를 적용하여 구성하였지만, 요면과 철면이 쌍을 이룬 금속성의 스냅파스너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그네식 안전대(200)에 부동부착수단(240)을 구성하게 되면, 벨트식 안전대(100)의 분리형 구조에서 그네식 안전대(200)의 상부걸이밴드(210)에 원터치벨트착탈부(250)를 접합 고정상태로 유지하므로, 평소 원터치벨트착탈부(250)가 부동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장애물과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면서 작업상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에 의하면, 벨트식 안전대(100) 및 그네식 안전대(200)의 구조를 일체형에서 분리형으로 원터치 방식에 의해 구조 전환하므로, 현장상황에 맞춰 용도의 다양성 및 활용능률을 증진시키고, 고위험지역에서의 위기상황이나 사고상황에 탄력적인 대처방안을 제시하면서 작업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벨트식 안전대(100)와 그네식 안전대(200)가 기본적으로 일체형을 구현하므로, 안전대의 착용이 매우 간편하면서 착용 신속성을 도모하고, 추가적인 비용발생이 없어 장비마련에 대한 지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의 다른 실시예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250)에 의한 상기 벨트식 안전대(100)의 결합시 상기 벨트식 안전대(100)를 상기 그네식 안전대(200) 상에 접합 고정하는 결합결속수단(2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결속수단(260)은 상기 그네식 안전대(200)의 하부고정밴드(230)와 상기 벨트식 안전대(100) 간의 접촉면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250)에 따른 상기 벨트식 안전대(100)의 연결지점에서 상기 하부고정밴드(230)와 함께 상기 하부고정밴드(230) 상에 접하는 상기 벨트식 안전대(100)의 접촉면에 각각 상기 결합결속수단(260)을 구비하여 접합 고정한다.
도 9에서는 상기 결합결속수단(260)으로 금속의 요면과 철면이 한 쌍을 이루어 결속가능한 구조를 갖는 스냅파스너를 적용하여 구성하였지만, 상기 결합결속수단(260)으로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구조의 벨크로테이프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벨트식 안전대와 그네식 안전대의 일체형 구조에서 안전대 간에 접합 고정하므로, 벨트식 안전대가 돌아가는 등의 이탈현상을 방지하면서 안전대 착용 상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벨트식 안전대 110 : 허리밴드 111 : 벨트버클
120 : 밴드보강대 121 : 로프고리 130 : 허리보호대
131 : 착탈수단 135 : 요철패턴부 200 : 그네식 안전대
210 : 상부걸이밴드 211 : 벨트고정편 213 : 로프걸이구
215 : 완충지지부재 216 : 끼움편 220 : 가슴벨트
221 : 벨트결속부재 230 : 하부고정밴드 231 : 하부밴드버클
231a : 제1하부밴드버클 231b : 제2하부밴드버클
235 : 둔부받침밴드 240 : 부동부착수단 250 : 원터치벨트착탈부
251 : 제1착탈벨트 253 : 제2착탈벨트 255 : 원터치버클
255a : 제1원터치버클 255b : 제2원터치버클 260 : 결합결속수단

Claims (5)

  1. 신체 중 허리에 대응하여 감싸지며 양단이 전방으로 연장하여 체결가능한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밴드 상에 끼움 결합하고 양단에 로프와 연결가능한 로프고리를 구비하는 밴드보강대와, 상기 허리밴드 및 상기 밴드보강대 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자의 허리를 받쳐 지지하는 허리보호대로 구성된 벨트식 안전대와; 신체 후방에서 벨트고정편을 매개로 "X"자로 교차 연결되어 양쪽 어깨에 걸쳐지되 신체 전방에서 평행을 이루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걸이밴드와, 상기 상부걸이밴드의 전방에 대응하여 신체의 가슴을 가로질러 결속가능하게 고정하는 가슴벨트와, 상기 상부걸이밴드의 전후 하단에 연결되어 신체의 양쪽 다리 대퇴부를 각각 감싸 고정가능한 하부고정밴드로 구성하는 그네식 안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그네식 안전대에는 상기 상부걸이밴드와 상기 하부고정밴드의 연결지점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벨트식 안전대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 여부를 원터치 조작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터치벨트착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식 안전대의 허리보호대에는 작업자 허리와의 접촉면 상에 요철형태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요철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네식 안전대에는 상기 하부고정밴드와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를 상기 하부고정밴드 상에 접합 고정하는 부동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그네식 안전대의 상부걸이밴드에는 내측에 쿠션재를 내장하며, 상기 벨트고정편과 함께 상기 상부걸이밴드를 연결 고정하면서 작업자 신체를 접촉 지지하고, 상기 상부걸이밴드 상에 끼움 결합하면서 한 쌍의 상부걸이밴드를 연결하기 위한 끼움편을 형성하는 완충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원터치벨트착탈부는 상기 상부걸이밴드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착탈벨트와, 상기 제1착탈벨트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고정밴드 상에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2착탈벨트와, 상기 제1착탈벨트 및 상기 제2착탈벨트를 서로 연결하여 결속 고정하되 분리조작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터치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그네식 안전대의 하부고정밴드와 상기 벨트식 안전대 간의 접촉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벨트식 안전대를 상기 그네식 안전대 상에 접합 고정하는 결합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49535A 2018-04-30 2018-04-30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KR101907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535A KR101907174B1 (ko) 2018-04-30 2018-04-30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535A KR101907174B1 (ko) 2018-04-30 2018-04-30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174B1 true KR101907174B1 (ko) 2018-10-11

Family

ID=6386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535A KR101907174B1 (ko) 2018-04-30 2018-04-30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1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093B2 (ja) * 1991-05-16 2001-09-25 オムロン株式会社 ファジィ推論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293828Y1 (ko) * 2002-07-15 2002-11-02 주식회사 청문 허리 보호용 벨트
KR101170961B1 (ko) * 2010-01-07 2012-08-03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JP2017042358A (ja) * 2015-08-26 2017-03-02 藤井電工株式会社 ハーネス型安全帯に胴ベルトを結合するための結合具および結合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093B2 (ja) * 1991-05-16 2001-09-25 オムロン株式会社 ファジィ推論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293828Y1 (ko) * 2002-07-15 2002-11-02 주식회사 청문 허리 보호용 벨트
KR101170961B1 (ko) * 2010-01-07 2012-08-03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JP2017042358A (ja) * 2015-08-26 2017-03-02 藤井電工株式会社 ハーネス型安全帯に胴ベルトを結合するための結合具および結合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8315A (en) Fall arrest safety harness and tool belt
US5960480A (en) Fall protection safety suit
US5220976A (en) Safety harness
AU2017245405B2 (en) Leg strap assembly and safety harness including the same
JP2009066259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JP6049026B2 (ja) 着脱可能な墜落防止用安全帯を備えた落石防護用救命胴衣
JP2011224257A (ja) 2本の巻取り式ランヤードを備えたハーネス型安全帯
KR101907174B1 (ko)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JP2017064294A (ja) 安全帯
KR101424597B1 (ko) 그네식 안전벨트
JP3218351U (ja) 工事作業用安全具
KR200480530Y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장치
KR101662948B1 (ko) 공구 착용 벨트
KR200471729Y1 (ko) 산업용 그네식 안전벨트
KR200461050Y1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JP2022034433A (ja) ハーネス型安全帯用パッド
KR101170961B1 (ko)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KR200395619Y1 (ko) 허리끈의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한 그네식 안전벨트
CN213609500U (zh) 多功能全方位安全带
KR200463003Y1 (ko) 조끼형 차량안전벨트 보조구
JP7199130B1 (ja) 墜落制止用器具
JP2018011817A (ja) 工具吊り具
KR200393658Y1 (ko) 안전벨트가 부착된 작업복
KR101710376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20200114257A (ko) 안전조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