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961B1 -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 Google Patents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961B1
KR101170961B1 KR1020100001191A KR20100001191A KR101170961B1 KR 101170961 B1 KR101170961 B1 KR 101170961B1 KR 1020100001191 A KR1020100001191 A KR 1020100001191A KR 20100001191 A KR20100001191 A KR 20100001191A KR 101170961 B1 KR101170961 B1 KR 101170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eg
safety
safety swing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787A (ko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Priority to KR102010000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9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8Full body harnesses covering at least shoulders and thigh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신체에 착용하는 안전그네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으로 작업자의 신체에 보다 편하고 안정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인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그네의 다리벨트 전면과 후면 각각의 벨트 상면에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암벨크로가 마련되고, 주벨트의 고리부 내면에 수벨크로가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벨크로파스너를 이용한 간단한 조작으로 안전그네를 해당 작업자 신체에 알맞게 고정 및 수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industrial safetybel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신체에 착용하는 안전그네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으로 작업자의 신체에 보다 편하고 안정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인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통상 각종 산업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 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그네를 착용하고, 상기 안전그네와 고정지지대에 고정된 안전로프를 상호 연결하되, 이들 상간에는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er)를 연결하여 추락 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도 1과 도 2 각각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일반적인 산업용 안전그네의 구성을 간다히 살펴보면 사용자의 허벅지 둘레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다리벨트(100)와, 양 끝단 각각이 상기 일 다리벨트(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연결구성되되 작업자의 어깨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주벨트(200), 그리고 양 어깨와 허리 및 허벅지를 지나는 주벨트(200) 각각을 연결하는 가슴 부근의 보조벨트, 작업자 등 부분에 구성되어 별도의 충격흡수장치와 연결하는 D링고정구, 매듭고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안전그네는 현장에서 작업하는 사용자의 몸을 구속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안전함뿐 아니라 더욱 편한 착용감을 주는 것이 안전그네의 제작시 중요한 문제점이었다.
이에, 종래의 안전그네의 경우, 도 1과 도 2 각각의 부분확대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다리벨트(100)와 주벨트(200)의 연결부위는 통상 도 3의 측단면도 같이 주벨트(200)의 말단을 다리벨트(100)에 말아 올려 고리부(210)를 형상하도록 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전방에 해당하는 다리벨트(100)의 전면에 연결되는 주벨트(200)는 박음질로 고정하고,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후방인 다리벨트(100)의 후면에는 작업자마다 다른 신체적 외형에 유동성 있도록 박음질하지 않아 구속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하지만,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다리벨트(100)와 주벨트(200)가 고정정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의 신체에 대하여 안정적이지 않아 착용한 안전그네의 움직임이 커 작업자의 활동에 매우 큰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안전그네의 착용 후 안정감을 위하여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연결부분인 다리벨트의 전면과 후변 모두 고정하는 경우에는 특정 작업자에게만 종속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으로 작업자의 신체에 보다 편하고 안정되게 안전그네의 착용을 보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종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신체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허벅지 둘레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다리벨트(100); 작업자의 어깨를 지나며 선단부에 상기 다리벨트가 끼워지도록 고리부(210)가 형성되는 주벨트(200); 상기 다리벨트(100)의 전면(110)과 후면(120) 각각의 벨트 상면에는,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암벨크로(150)가 마련되며; 상기 암벨크로(150)에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주벨트(200)의 고리부(210) 내면에는 수벨크로(250)가 구성되어; 벨크로파스너(150, 250)를 이용한 간단한 조작으로, 안전그네를 해당 작업자 신체에 알맞게 고정 및 수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는, 안전그네를 해당 작업자 신체에 알맞게 고정 및 수정할 수 있도록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고정수단을 개선함으로써, 불특정 작업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착용감을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산업용 안전그네를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산업용 안전그네에 있어서,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연결부분인 주벨트의 고리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전그네의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5와 도 6 각각은 도 4에서 보이는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그네에 있어서,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연결부분인 주벨트의 고리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산업용 안전그네의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와 도 9 각각은 도 7에서 보이는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그네에 있어서,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연결부분인 주벨트의 고리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신체에 착용하는 안전그네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으로 작업자의 신체에 보다 편하고 안정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인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에 관한 것이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살펴보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안전그네의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5와 도 6 각각은 도 4에서 보이는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그네에 있어서,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연결부분인 주벨트의 고리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산업용 안전그네의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8와 도 9 각각은 도 7에서 보이는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그네에 있어서,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연결부분인 주벨트의 고리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산업용 안전그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신체에 착용하며, 작업자의 허벅지 둘레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다리벨트(100) 및 작업자의 어깨를 지나며 상기 다리벨트(100)의 전면(110)과 후면(120) 각각에 고리부(210) 형태로 연결 구성되는 주벨트(200)가 구성된 안전그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 특히 불특정 다수가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으로 안전성 있는 안전그네의 착용이 가능하도록 다리벨트 및 주벨트의 연결부를 개선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가지의 구성을 제안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다리벨트(100)의 전면(110)과 후면(120) 각각의 벨트 상면에는,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암벨크로(15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암벨크로(150)에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주벨트(200)의 고리부(210) 내면에는 수벨크로(250)를 구성한다.
상술한 암벨크로(150) 및 수벨크로(250)로 이루어지는 벨크로파스너(150, 25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안전그네를 해당 작업자 신체에 알맞게 고정 및 수정할 수 있다.
상술한 안전그네의 사용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다리벨트(100)의 전면(110) 또는 후면(120)과, 이에 연결구성된 주벨트(200)의 고리부(210)가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작업자가 손가락을 이용 하여 도 4에서 보이는 고리부(210) 측면의 관통부에 삽지 후 맞닿아 고정된 암벨크로(150) 및 수벨크로(250) 각각을 이탈시키는 것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후, 안전그네를 작업자가 신체에 착용 후 알맞은 자리에 다리벨트(100)와 주벨트(200)의 자리를 선정한 다음, 작업자가 간단히 상기 주벨트(200)의 고리부(210)의 외면을 눌러주어 암벨크로(150) 및 수벨크로(250)가 서로 맞닿게 하여 부착시켜 준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 내지 도 9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다리벨트(100)의 전면(110)과 후면(120) 각각의 벨트 상면에는,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최소 3개 이상의 스냅홈(17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스냅홈(170)에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주벨트(200)의 고리부(210) 내면에는 스냅돌기(270)가 구성한다.
상술한 스냅홈(170)과 스냅돌기(270)로 이루어지는 스냅단추(똑딱이단추)(170, 27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안전그네를 해당 작업자 신체에 알맞게 고정 및 수정할 수 있다.
상술한 안전그네의 사용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다리벨트(100)의 전면(110) 또는 후면(120)과, 이에 연결구성된 주벨트(200)의 고리부(210)가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작업자가 손가락을 이용 하여 도 7에서 보이는 고리부(210) 측면의 관통부에 삽지 후 맞닿아 고정되어 있는 스냅홈(170)과 스냅돌기(270) 각각을 를 이탈시키는 것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후, 안전그네를 작업자가 신체에 착용 후 알맞은 자리에 다리벨트(100)와 주벨트(200)의 자리를 선정한 다음, 작업자가 간단히 상기 주벨트(200)의 고리부(210)의 외면을 눌러주어 스냅홈(170)과 스냅돌기(270)를 서로 맞닿게 하여 부착시켜 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다리벨트 200 : 주벨트
110 : 다리벨트의 전면 120 : 다리벨트의 후면
150 : 암벨크로 170 : 스냅홈
210 : 고리부 250 : 수벨크로
270 : 스냅돌기

Claims (2)

  1. 각종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신체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허벅지 둘레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다리벨트(100);
    작업자의 어깨를 지나며 선단부에 상기 다리벨트가 끼워지도록 고리부(210)가 형성되는 주벨트(200);
    상기 다리벨트(100)의 전면(110)과 후면(120) 각각의 벨트 상면에는,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암벨크로(150)가 마련되며;
    상기 암벨크로(150)에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주벨트(200)의 고리부(210) 내면에는 수벨크로(250)가 구성되어;
    벨크로파스너(150, 250)를 이용한 간단한 조작으로, 안전그네를 해당 작업자 신체에 알맞게 고정 및 수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2. 삭제
KR1020100001191A 2010-01-07 2010-01-07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KR101170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191A KR101170961B1 (ko) 2010-01-07 2010-01-07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191A KR101170961B1 (ko) 2010-01-07 2010-01-07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204A Division KR101121437B1 (ko) 2011-10-07 2011-10-07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787A KR20110080787A (ko) 2011-07-13
KR101170961B1 true KR101170961B1 (ko) 2012-08-03

Family

ID=4491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191A KR101170961B1 (ko) 2010-01-07 2010-01-07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174B1 (ko) * 2018-04-30 2018-10-11 코스코엠알오 주식회사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4404A1 (ja) * 2019-12-16 2021-06-24 株式会社谷沢製作所 安全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580A (ja) * 1999-07-16 2001-02-27 Zedel オフセット取付片を有するロープ具
JP3519792B2 (ja) 1994-08-15 2004-04-19 安藤建設株式会社 安全帯
KR200441930Y1 (ko) * 2007-04-06 2008-09-23 김경혜 임산부를 위한 자동차 시트벨트 고정용 깔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9792B2 (ja) 1994-08-15 2004-04-19 安藤建設株式会社 安全帯
JP2001054580A (ja) * 1999-07-16 2001-02-27 Zedel オフセット取付片を有するロープ具
KR200441930Y1 (ko) * 2007-04-06 2008-09-23 김경혜 임산부를 위한 자동차 시트벨트 고정용 깔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174B1 (ko) * 2018-04-30 2018-10-11 코스코엠알오 주식회사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787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9404B1 (en) Pants with waist protection belt
KR20180104836A (ko)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및 그 착용방법
JP6049026B2 (ja) 着脱可能な墜落防止用安全帯を備えた落石防護用救命胴衣
KR101170961B1 (ko)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JP3853804B2 (ja) 胴ベルト型安全帯とハーネス型安全帯の連結方法
JP2017064294A5 (ko)
JP2017064294A (ja) 安全帯
JP3769551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RU2013140577A (ru) Страховочная привязь
KR101121437B1 (ko) 다리벨트와 주벨트의 위치 조정이 간편한 산업용 안전그네
CN210447904U (zh) 一种易穿着的高空安全带
JP5754862B2 (ja) サスペンダー付き下衣
KR200461050Y1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N201897971U (zh) 汽车驾驶员防晒防辐射服
JP3142686U (ja) 安全帯を一体化した作業服
TWI617335B (zh) Seat belt clothing elastic structure
CN215781092U (zh) 溯溪、攀岩安全吊带的护垫结构
KR101907174B1 (ko)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KR102669714B1 (ko) 안전 작업복 세트
CN210258338U (zh) 宠物安全带
CN210540259U (zh) 一种便于单人使用的婴儿背带
KR102669715B1 (ko) 안전 작업복 세트
CN215427033U (zh) 一种便于消防员穿戴的安防套装
CN220987671U (zh) 腰封
CN203763703U (zh) 马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