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376B1 -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376B1
KR101710376B1 KR1020150086336A KR20150086336A KR101710376B1 KR 101710376 B1 KR101710376 B1 KR 101710376B1 KR 1020150086336 A KR1020150086336 A KR 1020150086336A KR 20150086336 A KR20150086336 A KR 20150086336A KR 101710376 B1 KR101710376 B1 KR 10171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ole
shaped main
main suppor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415A (ko
Inventor
서윤영
Original Assignee
서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영 filed Critical 서윤영
Priority to KR102015008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37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2Sit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의 선단에 마련된 안전결합고리와, 상기 와이어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고리와, 상기 제 2 고리에 연결되어 작업자 상체의 전면 및 둔부를 받침 할 수 있는 메인 받침밴드와, 상기 메인 받침밴드에 허리받침밴드 및 다리받침밴드가 연결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단에 구멍을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좌 우측에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1 체결부가 형성되며, 하단에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2 체결부가 형성되고, 표면에 밴드삽입공이 형성된 밴드연결클립과; 허리를 받침 할 수 있는 밴드체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3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3 체결부가 상기 제 1 체결부에서 착탈되는 허리받침밴드와; 중앙영역은 수평을 이루고 좌, 우측은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높이의 경사를 이루는 전후면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벽체 양측 각각에 제 1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공의 하부영역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간격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면벽체의 중앙영역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 1 볼트공 및 제 3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벽체의 저면을 연결하는 저면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벽체의 중앙에 밴드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중앙 하부에 마련되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와; 상단부는 상기 밴드삽입공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제 1 볼트와 제 3 볼트에 걸림되어 상기 제 1 볼트가가 상기 제 1 볼트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 3 볼트가 상기 제 3 볼트공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와; 양단에 걸이공이 각각 형성되고 표면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공이 상기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간격조절클립과; 하나의 밴드로 형성되어 밴드의 일단이 상기 밴드삽입공에 삽입되어 각 단부가 상기 간격조절클립의 삽입공에 걸이된 다리받침밴드와; 각각의 하부 영역 양측에 제 2 축공과 장공이 형성되고 상부 영역에 일측이 개방된 걸림편이 형성되어 제 1 축이 상기 제 2 축공에 삽입되어 회동하며 제 1 핀을 상기 장공 및 간격조절공에 삽입하는 것으로서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양측에 마련되어 회동하는 간격조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안전벨트에서 둔부를 받침 할 수 있는 "U" 자형 메인 받침밴드의 저면에 별도의 "U"자형 메인 받침밴드를 지지하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둔부 크기에 따라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좌우 폭을 조절하고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위치한 둔부의 양측이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의해 조여져 고통받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다리받침밴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클립을 설치하여 양다리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소작업용 안전벨트{HARNESS FOR HIGH PLACE WORK}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벨트에서 둔부를 받침 할 수 있는 메인 받침밴드의 저면에 별도의 메인 받침밴드를 지지하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둔부 크기에 따라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좌우 폭을 조절하고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위치한 둔부의 양측이 "U" 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의해 조여져 고통받는 것을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다리받침밴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클립을 설치하여 양다리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고층의 건축물 또는 특정 구조물 같은 곳에서 크레인 같은 기계에 의존하지 않고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안전로프에 의해 고정된 벨트체에 몸을 안정되게 고정하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는 작업자가 고공에서 일정시간 동안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둔부를 걸칠 수 있어야 하고, 허리를 받침 할 수 있어야 하며, 다리를 고정할 수 있어야 하고,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고정된 위치에서 안전벨트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수단의 조건도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다양하게 제시된 안전벨트는 상기 조건을 완벽하게 만족시킬만한 안전벨트의 제안이 없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4-0000642호(공개일자 2014. 01. 29)에는 "산업용 그네식 안전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산업용 그네식 안전벨트는, 사용자인 작업자의 상체의 전면에서 어깨에 위치되는 어깨벨트 및 작업자의 등에 안착하는 등받이 벨트를 구비하고 있고, 가슴전방에서 수평으로 체결되는 가슴벨트 및 등받이 벨트에 설치되는 안전고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 등받이 벨트는, 어깨 벨트를 수평으로 연결하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와, 한 쌍의 수평 지지부재를 수직으로 서로 연결시켜주는 하나의 수직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안전 고리는 수직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안전 벨트의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서 체결하는 고리 형상인 한 쌍의 허벅지 체결벨트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그네식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둔부가 허벅지를 감싸서 체결하는 한 쌍의 허벅지 체결밸트 내측을 연결한 연결부위에 올려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둔부는 허벅지 체결벨트가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조여지는 것에 의한 통증이 전달되어 작업자가 고통을 느끼면서 장시간 고공작업을 한다는 것은 큰 고통을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실용신안등록 0462562호(공고일자 2012. 09. 14)에 개시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어깨에 착용되며 좌측밴드 및 우측밴드가 서로 교차하여 이웃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비되는 어깨고정밴드, 작업자의 하체에 착용되며 어깨고정밴드의 하단에 연결된 하체받침밴드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어깨고정밴드를 작업자가 착용하였을 때 작업자의 가슴부위에 위치되도록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상에서 전방측에 마련되는 로프연결 밴드부; 및 로프연결 밴드부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의자를 승, 하강시키는 메인 안전로프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안전로프와 결속하기 위한 안전로프 연결부를 포함하고, 로프연결 밴드부는 밴드연결클립, 밴드연결클립에 엑스(X)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끼워져서 양단이 좌측밴드 및 우측밴드에 고정되는 제1 밴드 및 제2 밴드, 밴드연결클립에 구비되며 안전로프 연결부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안전로프 연결부는 연결고리에 탈착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서의 하체받침밴드는 작업자의 하체에 착용되는데, 하체받침밴드가 작업자의 하체에 착용되기 위하여는 좌측 대퇴부 받침부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와 그리고 둔부 받침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좌측 대퇴부 받침부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는 일례로, 작업자의 대퇴부 둘레에 둘러지도록 착용되기 위하여, 대략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좌측 대퇴부 받침부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의 내측으로 작업자의 두 다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착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좌측 대퇴부 받침부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가 작업자의 사타구니 부위에 착용 위치되어 작업자의 두 다리의 대퇴부를 받치고, 둔부 받침부는 하체받침밴드를 작업자가 착용하였을 때 작업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둔부를 받쳐주는 별도의 좌판이 없다면 사용자의 둔부는 밴드만으로 이루어진 둔부 받침부가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둔부 양측을 조이는 것에 의한 통증이 전달되어 작업자가 큰 고통을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안전벨트에서 둔부를 받침 할 수 있는 "U" 자형 메인 받침밴드의 저면에 별도의 "U"자형 메인 받침밴드를 지지하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둔부 크기에 따라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좌우 폭을 조절하고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위치한 둔부의 양측이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의해 조여져 고통받는 것을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다리받침밴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클립을 설치하여 양다리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의 선단에 마련된 안전결합고리와, 상기 와이어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고리와, 상기 제 2 고리에 연결되어 작업자 상체의 전면 및 둔부를 받침 할 수 있는 메인 받침밴드와, 상기 메인 받침밴드에 허리받침밴드 및 다리받침밴드가 연결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단에 구멍을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좌 우측에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1 체결부가 형성되며, 하단에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2 체결부가 형성되고, 표면에 밴드삽입공이 형성된 밴드연결클립과; 허리를 받침 할 수 있는 밴드체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3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3 체결부가 상기 제 1 체결부에서 착탈되는 허리받침밴드와; 중앙영역은 수평을 이루고 좌, 우측은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높이의 경사를 이루는 전후면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벽체 양측 각각에 제 1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공의 하부영역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간격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면벽체의 중앙영역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 1 볼트공 및 제 3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벽체의 저면을 연결하는 저면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벽체의 중앙에 밴드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중앙 하부에 마련되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와; 상단부는 상기 밴드삽입공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제 1 볼트와 제 3 볼트에 걸림되어 상기 제 1 볼트가가 상기 제 1 볼트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 3 볼트가 상기 제 3 볼트공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와; 양단에 걸이공이 각각 형성되고 표면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공이 상기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간격조절클립과; 하나의 밴드로 형성되어 밴드의 일단이 상기 밴드삽입공에 삽입되어 각 단부가 상기 간격조절클립의 삽입공에 걸이된 다리받침밴드와; 각각의 하부 영역 양측에 제 2 축공과 장공이 형성되고 상부 영역에 일측이 개방된 걸림편이 형성되어 제 1 축이 상기 제 2 축공에 삽입되어 회동하며 제 1 핀을 상기 장공 및 간격조절공에 삽입하는 것으로서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양측에 마련되어 회동하는 간격조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부영역에 제 4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4 볼트공에는 제 4 볼트가 삽입되며 상기 제 4 볼트에는 탄성밴드의 고리부가 삽입되어 상기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밴드가 상기 간격조절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는 일측에 걸림편이 형성되고 타측 표면에 연결편이 연결되며 전후면벽체의 일측에 상호 대향하는 축공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과 일정한 간격을 둔 주변에 다수의 간격조절공이 대향하게 형성된 제 1 지지부재 및 제 2 지지부재로 형성되어 제 2 축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핀이 상기 간격조절공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제 2 지지부재가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동조절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벨트에서 둔부를 받침 할 수 있는 "U" 자형 메인 받침밴드의 저면에 별도의 "U"자형 메인 받침밴드를 지지하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둔부 크기에 따라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좌우 폭을 조절하고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위치한 둔부의 양측이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의해 조여져 고통받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다리받침밴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클립을 설치하여 양다리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의 외관을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다른 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의 외관을 보인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와이어(1)의 선단에 마련된 안전결합고리(2)는 구조물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제 1 고리(3)에는 메인안전로프가 연결되며, 제 2 고리(4)에는 밴드연결클립(10)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단에 구멍(11)을 갖는 연결부(12)가 형성되고, 좌 우측에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1 체결부(13)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2 체결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체결부(13)는 이하에서 설명될 제 3 체결부(21)와 체결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받침밴드(20)는 허리를 받침 할 수 있는 밴드체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3 체결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제 3 체결부(21)가 상기 제 1 체결부(13)에서 착탈되어 작업자의 허리를 안전하게 받침 한다.
본 발명에 따른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는, 중앙영역은 수평을 이루고 좌, 우측은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높이의 경사를 이루는 전후면벽체(41)(42)로 이루어지며, 전후면벽체(41)(42) 양측 각각에는 제 1 축공(59)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축공(59)의 하부영역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간격조절공(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면벽체(41)(42)의 중앙영역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 1 볼트공(43) 및 제 3 볼트공(45)을 형성하고 있고, 전후면벽체(41)(42)는 저면판(46)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전후면벽체(41)(42)의 중앙에는 밴드삽입공(41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밴드삽입공(41a)에는 한 가닥의 밴드로 형성된 다리받침밴드(60)가 걸림된다. 그리고 "U"자형 메인 받침밴드(40)의 상단부는 밴드삽입공(15)(15a)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제 1 볼트(47)와 제 3 볼트(49)에 걸림되어 제 1 볼트가(47)가 제 1 볼트공(43)에 삽입되고 제 3 볼트(49)가 제 3 볼트공(45)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U"자형 메인 받침밴드(40)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의 표면에 위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클립(80)은 양단에 걸이공(8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표면 일측에는 삽입공(82)이 형성되어 걸이공(81)이 "U"자형 메인 받침밴드(40)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며, 삽입공(82)에는 다리받침밴드(60)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서 다리받침밴드(60)는 양다리 사이인 사타구니에 위치하면서 다리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고정하여 준다.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부재(70)는 각각의 하부 영역 양측에 제 2 축공(71)과 장공(7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영역에는 일측이 개방된 걸림편(73)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제 1 축(74)이 제 2 축공(71)에 삽입되어 회동하며, 제 1 핀(75)을 장공(72) 및 간격조절공(76)에 선택적으로 삽입하는 것으로서 간격조절부재(70)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의 양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둔부 크기에 따라 폭 조절되어 사용자의 둔부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부재(70)는 상부영역에 제 4 볼트공(76)을 더 형성하고 있다. 제 4 볼트공(71)에는 제 4 볼트(72)가 삽입되며, 제 4 볼트(72)에는 탄성밴드(90)의 고리부(91)가 삽입되어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의 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탄성밴드(90)가 상기 간격조절부재(7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의 다른 예이다.
여기서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는 일측에 걸림편(10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표면에는 연결편(102)이 연결되어 있으며, 전후면벽체(103)(104)의 일측에는상호 대향하는 축공(105)을 형성하고 축공(105)과 일정한 간격을 둔 주변에 다수의 간격조절공(106)이 대향하게 형성된 제 1 지지부재(100) 및 제 2 지지부재(100a)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지지부재(100) 및 제 2 지지부재(100a)는 제 2 축(107)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핀(108)이 상기 간격조절공(106)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 1 지지부재(100)와 제 2 지지부재(100a)가 제 2 축(107)을 중심으로 좌우 회동조절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안락하고 편안하게 받침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안전벨트에서 둔부를 받침 할 수 있는 "U" 자형 메인 받침밴드의 저면에 별도의 "U"자형 메인 받침밴드(40)를 지지하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둔부 크기에 따라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의 좌우 폭을 조절하고 탄성력을 부여하여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위치한 둔부의 양측이 "U자형 "메인 받침밴드에 의해 조여져 고통받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U"자형 메인 받침밴드(40)에 다리받침밴드(6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클립(80)을 설치하여 양다리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와이어
2 : 안전결합고리
3 : 제 1 고리
4 : 제 2 고리
10 : 밴드연결클립
11 : 구멍
12 : 연결부
13 : 제 1 체결부
14 : 제 2 체결부
15, 15a : 밴드삽입공
20 : 허리받침밴드
21 : 제 3 체결부
30 :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
40 : U자형 메인 받침밴드
41 : 전면벽체
42 : 후면벽체
43 : 제 1 볼트공
44 : 간격조절공
45 : 제 3 볼트공
46 : 저면판
47 : 제 1 볼트
49 : 제 2 볼트
59 : 제 1 축공
60 : 다리받침밴드
70 : 간격조절부재
71 : 축공
72 : 장공
73 : 걸림편
74 : 제 1 축
75 : 제 1 핀
76 : 제 4 볼트공
80 : 간격조절클립
81 : 걸이공
82 : 삽입공
90 : 탄성밴드
91 : 고리부
100 : 제 1 지지부재
100a : 제 2 지지부재
101 : 걸림편
102 : 연결편
103 : 전면벽체
104 : 후면벽체
105 : 축공
106 : 간격조절공
107 : 제 2 축
108 : 제 2 핀

Claims (3)

  1. 와이어(1)의 선단에 마련된 안전결합고리(2)와, 상기 와이어(1)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고리(3)(4)와, 상기 제 2 고리(4)에 연결되어 작업자 상체의 전면 및 둔부를 받침 할 수 있는 메인 받침밴드와, 상기 메인 받침밴드에 허리받침밴드 및 다리받침밴드가 연결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단에 구멍(11)을 갖는 연결부(12)가 형성되고, 좌 우측에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1 체결부(13)가 형성되며, 하단에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2 체결부(14)가 형성되고, 표면에 밴드삽입공(15)(15a)이 형성된 밴드연결클립(10)과;
    허리를 받침 할 수 있는 밴드체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 텅부와 버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 3 체결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제 3 체결부(21)가 상기 제 1 체결부(13)에서 착탈되는 허리받침밴드(20)와;
    중앙영역은 수평을 이루고 좌, 우측은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높이의 경사를 이루는 전후면벽체(41)(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벽체(41)(42) 양측 각각에 제 1 축공(59)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공(59)의 하부영역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간격조절공(44)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면벽체(41)(42)의 중앙영역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 1 볼트공(43) 및 제 3 볼트공(45)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벽체(41)(42)의 저면을 연결하는 저면판(4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벽체(41)(42)의 중앙에 밴드삽입공(41a)이 형성되어 "U"자형 메인 받침밴드(40) 중앙 하부에 마련되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와;
    상단부는 상기 밴드삽입공(15)(15a)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제 1 볼트(47)와 제 3 볼트(49)에 걸림되어 상기 제 1 볼트(47)가 상기 제 1 볼트공(43)에 삽입되고 상기 제 3 볼트(49)가 상기 제 3 볼트공(45)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의 표면에 위치하는 "U"자형 메인 받침밴드(40)와;
    양단에 걸이공(81)이 각각 형성되고 표면 일측에 삽입공(82)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공(81)이 상기 "U"자형 메인 받침밴드(40)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간격조절클립(80)과;
    하나의 밴드로 형성되어 밴드의 일단이 상기 밴드삽입공(41a)에 삽입되어 각 단부가 상기 간격조절클립(80)의 삽입공(82)에 걸이된 다리받침밴드(60)와;
    각각의 하부 영역 양측에 제 2 축공(71)과 장공(72)이 형성되고 상부 영역에 일측이 개방된 걸림편(73)이 형성되어 제 1 축(74)이 상기 제 2 축공(71)에 삽입되어 회동하며 제 1 핀(75)을 상기 장공(72) 및 간격조절공(44)에 삽입하는 것으로서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의 양측에 마련되어 회동하는 간격조절부재(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간격조절부재(70)는 상부영역에 제 4 볼트공(76)이 형성되고 상기 제 4 볼트공(76)에는 제 4 볼트(72)가 삽입되며 상기 제 4 볼트(72)에는 탄성밴드(90)의 고리부(91)가 삽입되어 상기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의 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밴드(90)가 상기 간격조절부재(7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메인 받침밴드 지지부재(30)는 일측에 걸림편(101)이 형성되고 타측 표면에 연결편(102)이 연결되며 전후면벽체(103)(104)의 일측에 상호 대향하는 축공(105)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105)과 일정한 간격을 둔 주변에 다수의 간격조절공(106)이 대향하게 형성된 제 1 지지부재(100) 및 제 2 지지부재(100a)로 형성되어 제 2 축(107)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핀(108)이 상기 간격조절공(106)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지지부재(100)와 제 2 지지부재(100a)가 상기 제 2 축(107)을 중심으로 좌우 회동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20150086336A 2015-06-18 2015-06-18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171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336A KR101710376B1 (ko) 2015-06-18 2015-06-18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336A KR101710376B1 (ko) 2015-06-18 2015-06-18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415A KR20160149415A (ko) 2016-12-28
KR101710376B1 true KR101710376B1 (ko) 2017-02-27

Family

ID=5772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336A KR101710376B1 (ko) 2015-06-18 2015-06-18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712B1 (ko) * 2023-07-26 2024-05-03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412B2 (ja) 1998-01-16 2000-11-20 韓國電氣通信公社 セルポインタを利用した光バッファー
KR200281844Y1 (ko) 2002-04-08 2002-07-13 주식회사 국민아이앤에스 안전 벨트의 하부 고정 구조
KR200438945Y1 (ko) 2006-12-29 2008-03-13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8718B2 (ja) * 1989-09-26 1998-12-16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距離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600771Y2 (ja) * 1992-05-01 1999-10-25 和司 平岡 柱上安全帯のd環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412B2 (ja) 1998-01-16 2000-11-20 韓國電氣通信公社 セルポインタを利用した光バッファー
KR200281844Y1 (ko) 2002-04-08 2002-07-13 주식회사 국민아이앤에스 안전 벨트의 하부 고정 구조
KR200438945Y1 (ko) 2006-12-29 2008-03-13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415A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9094C2 (ru) Обвязка
CA2772262C (en) Carrying device for receiving a baby or an infant
US4712513A (en) Suspension harness
US7490610B2 (en) Fall protection harness
US20120012421A1 (en) Harness and Lift Sling
JP3159873U (ja) ハーネス型安全帯
US10105276B2 (en) Strap for inversion therapy table
US7669743B2 (en) Adjustable infant carrier
KR101710380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US20150060195A1 (en) Harness with Integral Relief Loops for Suspension Trauma
AU2011209912B2 (en) Attachable arrangement for a harness
KR101710376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RU1208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носки ребенка
US20220305307A1 (en) Self-adjusting safety harness
KR200471729Y1 (ko) 산업용 그네식 안전벨트
EP3034133B1 (en) Safety harness with vertically adjustable belt
KR20110125903A (ko) 유아용 운반구
JP2022034433A (ja) ハーネス型安全帯用パッド
JP2011024838A (ja) 柱上安全帯の尻掛けベルト
JPH11333010A (ja) 高所作業用などのハーネス
JP2004275581A (ja) フルボディハーネス
JP7199130B1 (ja) 墜落制止用器具
CN214762964U (zh) 舒适型配套锚点链接器安全带
CN209955938U (zh) 一种舒适型儿童座椅安全带
JPH11333013A (ja) ハーネスの命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