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131B1 -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131B1
KR101907131B1 KR1020170043894A KR20170043894A KR101907131B1 KR 101907131 B1 KR101907131 B1 KR 101907131B1 KR 1020170043894 A KR1020170043894 A KR 1020170043894A KR 20170043894 A KR20170043894 A KR 20170043894A KR 101907131 B1 KR101907131 B1 KR 10190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coupled
rail
discharge port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기
김두한
Original Assignee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3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38Structurally associated means for storing and dispens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는, 내부에 골프공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공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는 작동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전방쪽에는 골프공을 하향으로 순차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낙하구가 마련되며, 전면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다단구조의 안내부재; 상기 낙하구를 통하여 공급된 골프공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기 낙하구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안내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배출구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골프공을 상기 하우징 외부의 퍼팅위치에 안착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골프공 공급수단; 및 상기 퍼팅위치에 골프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퍼팅위치에 골프공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이 골프공을 상기 퍼팅위치로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골프공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APPARATUS FOR GOLF BALL AUTO SUPPLYING}
본 발명은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 수거기 등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다수개의 골프공을 수용하고, 수용된 골프공을 퍼팅위치에 정확하고 일정하게 자동 공급시킴으로써 골프 퍼팅 훈련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훈련자의 반복되는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골프 퍼팅 훈련(연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골프공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부합하여 실내 골프 연습장의 건립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실내 골프 연습장에는 사용자에게 골프공을 공급하기 위한 골프공 공급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 골프공 공급장치는 골프공이 안착되는 티업핀, 상기 티업핀을 사용자의 스윙 및 준비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 기구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장치의 핵심은 사용자의 스윙 동작 여부에 따라 정확히 구동되는 신뢰성 있는 작동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자동화 정도, 그리고, 설치의 용이성을 위한 소형화의 정도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골프공 공급장치는 상기와 같은 성능 조건에 충분히 부합하지 못하여 사용시 적지 않은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즉, 장치의 작동시 사용자가 일일이 버튼을 눌러야 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티업핀이 정 타이밍에 승,하강 되지 못하거나, 승강된 티업핀에 골프공이 안착되지 않은 경우가 빈번하였는데, 특히, 이와 같은 오작동은 주로 장치가 기구학적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취하고, 골프공의 티업핀으로의 안착시 과도한 이동력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며, 장치 내부에서 골프공을 감지하거나 감지 여부에 따라 구성품을 제어하는 감지 및 제어수단의 구성이 최적화되지 않음에 기인한다.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12455호(공고일 : 2009.08.14)에는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97798호(공고일 : 2010.12.02)에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의 티업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는, 장치가 전반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충분히 소형화 되지 못하여 실내 골프 연습장의 설치시 애로사항이 많았고, 야외에 설치할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골프공 공급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퍼팅 연습을 하는 연습자가 버튼을 조작하여 골프공을 티업 작동시켜야 함으로써 퍼팅자세가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퍼팅을 마친 연습자가 다시 버튼을 조작해야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해야함으로써 연습자가 일정한 퍼팅 자세를 익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12455호(공고일 : 2009.08.14)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97798호(공고일 : 2010.12.02)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수용된 다수개의 골프공을 퍼팅위치에 정확하고 일정하게 자동 공급시킴으로써 골프 퍼팅 훈련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훈련자의 반복되는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골프 퍼팅 훈련(연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골프공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공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는 작동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전방쪽에는 골프공을 하향으로 순차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낙하구가 마련되며, 전면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다단구조의 안내부재; 상기 낙하구를 통하여 공급된 골프공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기 낙하구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안내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배출구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골프공을 상기 하우징 외부의 퍼팅위치에 안착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골프공 공급수단; 상기 퍼팅위치에 골프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퍼팅위치에 골프공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이 골프공을 상기 퍼팅위치로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골프공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공 투입구와 상기 낙하구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도록 2개 이상의 격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외측면에는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나 상기 구동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작동공간에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나사봉; 및 한쪽이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나사봉의 일부를 감싸는 이동체의 내부에서 상기 나사봉과 결합되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회전 모터로 이루어지질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작동공간에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수평 설치되는 나사봉을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나사봉이 회전할 때 상기 나사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쪽이 상기 나사봉에 결합되고 다른 쪽은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에 결합되는 이동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상기 나사봉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때,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을 상기 배출구 쪽으로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고, 구동기어를 구비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기어와 거리를 유지하여 상기 배출구 쪽의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기어벨트; 및 상기 기어벨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이 결합되는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을 전진 및 후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되는 중간레일; 및 상기 중간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상기 중간레일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어 결합되는 상부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의 전진 작동시에 중간레일과 상부레일이 상기 배출구 쪽으로 다단으로 인출되고, 후진 작동시에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레일; 및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어 결합되는 상부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의 전진 작동시에 상기 상부레일이 상기 배출구 쪽으로 인출되고, 후진 작동시에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은, 일단에 상기 안착부가 골프공이 통과되도록 안착공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가 상기 상부레일의 상면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중간에는 복수개의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이탈방지볼트에 의해 상기 상부레일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는 수직 연결단을 구비한 작동부재; 일단 상면이 상기 안착공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타단이 상기 상부레일의 한쪽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으로 공급된 골프공을 받쳐 골프공이 상기 안착공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받침판; 및 각 일단은 상기 작동부재의 타단 쪽에 결합되고, 각 타단은 상기 안착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공의 가장자리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안착공에 위치한 골프공을 가지고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퍼팅위치로 전진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와 같이 수평 전진하여 상기 낙하구로부터 낙하하는 차기 골프공을 받쳐 낙하를 방지하고, 상기 작동부재가 후진하여 상기 안착부가 상기 낙하구의 하부에 위치할 때 상기 작동부재와 같이 수평 후진하여 받쳐진 상기 차기 골프공을 상기 안착공으로 낙하시키는 한 쌍의 지지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은,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레일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돌기;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돌기; 및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고정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배출구 쪽으로 이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할 때 복원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보조 탄성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또는 상면이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공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골프공 이송부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전면에는 퍼팅위치에 골프공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공급수단이 골프공을 퍼팅위치로 자동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골프공 감지센서가 설치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다수개의 골프공을 퍼팅위치에 정확하고 일정하게 자동 공급시킬 수 있고, 따라서 골프 퍼팅 훈련자(연습)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훈련자의 반복되는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골프 퍼팅 훈련(연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일부확대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구동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일부확대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일부확대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10)는, 퍼팅위치(P)에 골프공이 없음을 감지하여 내부에 수용된 골프공을 퍼팅위치(P)에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골프공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S1)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공 투입구(22)가 형성되며, 수용공간(S1)의 하부에는 작동공간(S2)이 마련되고, 수용공간(S1)의 하부 전방쪽에는 골프공을 하향으로 순차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낙하구(24)가 마련되며, 전면 하부에는 배출구(26)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작동공간(S2)에 설치되는 구동수단(30)과, 배출구(26)를 향하여 작동공간(S2)의 바닥에 설치되는 다단구조의 안내부재(40)와, 낙하구(24)를 통하여 공급된 골프공이 안착되는 안착부(52A)가 낙하구(24)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쪽에 마련되고 안내부재(40)에 결합되어 구동수단(30)의 작동에 의해 배출구(26) 쪽으로 이동하면서 안착부(52A)에 안착된 골프공을 하우징(20) 외부의 퍼팅위치(P)에 안착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골프공 공급수단(50)과, 퍼팅위치(P)에 골프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퍼팅위치(P)에 골프공이 존재하지 않으면 구동수단(30)을 작동시켜 골프공 공급수단(50)이 골프공을 퍼팅위치(P)로 공급하도록 하우징(20)의 전면(F)에 설치되는 골프공 감지센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20)은, 각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작동공간(S2)과 골프공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 육면체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전면(F)에서 배면(B)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수용공간(S1)에는, 공 투입구(22)와 낙하구(24)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연결통로(25)가 형성되도록 2개 이상의 격판(27)이 설치된다. 이러한 격판(27)들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부쪽의 격판(27)은 공 투입구(22) 쪽에서 그 반대 방향(배면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아래 쪽 격판(27)은 배면(B) 쪽에서 낙하구(24)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각 격판(27)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은, 공 투입구(22)로 투입된 골프공이 경사지게 설치된 연결통로(25)의 각 격판(27)에 안내되어 낙하구(24)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20)을 폭이 좁고(골프공의 지름보다 10-30% 더 큰 폭, 대략 46 - 70mm) 길이가 긴(대략 30 - 50cm) 직사각 육면체로 형성한 것은, 공 투입구(22)로 투입된 골프공이 지그재그 또는 일렬로 연이어 수용됨으로써 각각의 골프공이 순차적으로 낙하구(24)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연결통로(25)의 폭이 넓다면(대략 42 - 43mm의 지름을 갖는 2개의 골프공이 폭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는 정도) 각 골프공이 서로 간섭되어 낙하구(24)로 원활하게 순차 낙하하지 못한다. 따라서 수용된 골프공들이 순차적으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골프공들이 연결통로(25)에 일렬로 또는 지그재그로 연이어 수용되도록 하우징(20)의 폭(연결통로의 내부 폭)은 2개의 골프공이 동시에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20)의 상면에는, 배면(B)이나 하우징(20)의 측면, 상면 또는 작동공간(S2)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는 배터리(BA)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패널(29)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패널(29)과 배터리(BA)에 의해 구동수단(30) 및 골프공 감지센서(60)가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10)는 휴대가 간편하게 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배출구(26)는 작동공간(S2)에 설치되는 골프공 공급수단(50)과 안내부재(40)가 외부로 인출되어 퍼팅위치(P)로 접근하도록 하우징(20)의 전면(F) 하부에 형성된다.
구동수단(30)은, 골프공 공급수단(50)을 배출구(26) 쪽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작동공간(S2)에 배출구(26)를 향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나사봉(32)과, 한쪽이 골프공 공급수단(50)에 결합되고 나사봉(32)의 일부를 감싸는 이동체(34)의 내부에서 나사봉(32)과 결합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회전모터로 이루어진다. 즉, 브라켓과 배면(B) 내측 벽에 각각 지지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나사봉(32)에 회전모터를 구비한 이동체(34)가 결합되어 전원의 공급에 따라 회전모터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되고 이에 따라 이동체(34)가 나사봉(32)을 따라 배출구(26) 쪽으로 이동되거나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왕복운동 작동은 이동체(34) 내부에 설치되어 나사봉(32)과 결합되는 회전모터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데, 회전모터와 이동체(34) 및 나사봉(32)은 일종의 리니어 직류 모터(linear DC motor)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한 것으로서, 나사봉(32)에 결합되고 모터의 출력축 역할을 하는 부싱과, 부싱과 이동체(34)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체(34)의 회전을 방지하는 베어링과, 부싱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회전자와, 외전자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회전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재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자가 회전에 따라 출력축인 부싱이 회전하게 되므로, 이동체(34) 전체는 나사봉(32)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게 된다. 즉 나사봉(32)이 회전하는 구조가 아니고, 이동체(34) 내부의 회전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체(34)가 나사봉(32)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수단(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공간(S2)에 배출구(26)를 향하여 수평 설치되는 나사봉(32)을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5)와, 나사봉(32)이 회전할 때 나사봉(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쪽이 나사봉(32)에 결합되고 다른 쪽은 골프공 공급수단(50)에 결합되는 이동체(3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구동수단(30)과 반대 구조를 갖는 것이나, 골프공 공급수단(50)을 직선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목적은 동일하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동수단(30)은 유압 또는 에어로 작동되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수단(30)이 기어벨트로 구성되는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30)은 기어벨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기어(33A)를 구비하여 작동공간(S2)의 바닥이나 측벽 또는 배면쪽 벽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5)와, 구동기어(33A)와 거리를 유지하여 배출구(26) 쪽의 작동공간(S2)의 측벽이나 바닥에 설치되는 피동기어(33B)와 구동기어(33A)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기어벨트(33)와, 기어벨트(33)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골프공 공급수단(50)이 결합되는 이동체(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구동수단(30)은, 구동모터(35)의 정회전 및 역회전 작동에 의해 기어벨트(33)가 이동체(34)를 왕복 운동시킴에 따라 골프공 공급수단(50)의 작동부재(52)가 전진 및 후진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동수단(30)이 벨트타입으로 구성됨으로써 구동수단(30)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고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안내부재(40)는, 작동공간(S2)의 바닥에 설치되어 구동수단(30)이 골프공 공급수단(50)을 배출구(26)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킬 때 이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다단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레일구조로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엘엠가이드(LM guide)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부재(40)는, 작동공간(S2)의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레일(42)과, 고정레일(42)에 결합되어 배출구(26)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고정레일(42)에 결합되는 중간레일(44)와, 중간레일(44)에 결합되어 배출구(26)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중간레일(44)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이동체(34)와 연결되어 결합되는 상부레일(46)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레일(42)과 중간레일(44) 그리고 상부레일(46) 사이에는 슬라이딩이 원활하도록 강철볼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엘엠 가이드 구조로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안내부재(40)의 구조에 의해 상부레일(46)에 결합된 골프공 공급수단(50)이 구동수단(30)에 의해 배출구(26) 쪽으로 이동할 때 중간레일(44)과 상부레일(46)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펼쳐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부재(40)이 다단으로 인출되어 펼쳐지도록 한 것은 좁은 작동공간(S2) 내에서 골프공 공급수단(50)을 퍼팅위치(P)로 충분히 직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공간(S2)의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레일(42)와, 고정레일(42)에 결합되어 배출구(26)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고정레일(42)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작동부재(52)가 결합되는 상부레일(46)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레일(42)과 상부레일(46)은 엘엠 가이드 구조로 상호 결합된다. 물론, 고정레일(42)과 상부레일(46) 사이에는 강철볼(볼베어링 구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골프공 공급수단(50)은, 구동수단(30)에 의해 배출구(26) 쪽으로 이동하여 낙하구(24)로부터 낙하되어 공급된 골프공을 퍼팅위치(P)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낙하구(24)를 통하여 공급된 골프공이 안착되는 안착부(52A)가 낙하구(24)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쪽에 마련되고 안내부재(40)에 결합되어 구동수단(30)의 작동에 의해 배출구(26) 쪽으로 이동하면서 안착부(52A)에 안착된 골프공을 하우징(20) 외부의 퍼팅위치(P)에 안착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골프공 공급수단(50)은, 일단에 안착부(52A)가 골프공이 통과되도록 안착공(52B)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안착부(52A)가 상부레일(46)의 상면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향으로 절곡된 절곡부(52C)가 형성되며, 중간에는 복수개의 장공(52D)이 형성되어 상부레일(46)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하도록 장공(52D)을 관통하는 이탈방지볼트(52E)에 의해 상부레일(46)에 결합되며, 타단은 이동체(34)에 결합되는 수직 연결단(52F)을 구비한 작동부재(52)와, 일단 상면이 안착공(52B)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타단이 상부레일(46)의 한쪽 상면에 결합되어 안착공(52B)으로 공급된 골프공을 받쳐 골프공이 안착공(52B)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받침판(54)과, 각 일단은 작동부재(52)의 타단 쪽에 결합되고, 각 타단은 안착부(52A)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배출구(26)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안착공(52B)의 가장자리 상부에 위치하며, 작동부재(52)가 안착공(52A)에 위치한 골프공을 가지고 배출구(26)를 통하여 퍼팅위치(P)로 전진함과 동시에 작동부재(52)와 같이 수평 전진하여 낙하구(24)로부터 낙하하는 차기 골프공을 받쳐 낙하를 방지하고, 작동부재(52)가 후진하여 안착부(52A)가 낙하구(24)의 하부에 위치할 때 작동부재(52)와 같이 수평 후진하여 받쳐진 차기 골프공(G2)을 안착공(52B)으로 낙하시키는 한 쌍의 지지로드(56)로 이루어진다. 이때, 안착부(52A)는 절곡부(52C)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절곧된 수평단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골프공 공급수단(50)이 안착부(52A)를 구비한 작동부재(52)와 차기 골프공(G2)을 임시로 받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로드(56)로 이루어짐으로써, 연결통로(25)에 수용된 골프공을 순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한 쌍의 지지로드(56)는, 안착부(52A)가 배출구(26)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 낙하구(24)로 공급되는 차기 골프공(G2)을 받치도록 구성됨으로써 골프공들은 안착부(52A)가 외부로 인출되고 다시 복귀하는 동작마다 순차적으로 안착공(52B)에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지지로드(56) 간의 간격은 골프공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지지로드(56)들 사이로 골프공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탈방지볼트(52E)가 작동부재(52)에 형성된 장공(52D)을 통하여 상부레일(46)에 결합되는 것은, 구동수단(30)이 전진 작동하여 작동부재(52)를 배출구(26) 쪽으로 직선 이동시킬 때, 중간레일(44)이 배출구(26) 쪽으로 슬라이딩 된 후 이어서 상부레일(46)이 배출구(26) 쪽으로 슬라이딩 된 후 작동부재(52)가 일정거리 만큼(장공의 길이만큼) 추가적으로 퍼팅위치(P)로 이동하여 안착공(52B)가 퍼팅위치(P)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장공(52D)은 작동부재(52)의 길이방향으로 2개 형성되므로 작동부재(52)는 장공(52D)의 길이범위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작동부재(52)에는 보조 탄성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 탄성수단은 안착부(52A)가 퍼팅위치(P)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작동부재(52)가 구동수단(30)에 의해 배출구(26)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안내부재(40)의 중간레일(44)과 상부레일(46)의 이동이 완료되거나, 상부레일(46)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작동부재(52)가 장공(52D)의 길이만큼 더 전진하여 안착부(52A)가 퍼팅위치(P)로 이동할 때, 작동부재(52)가 복귀 탄성력에 의해 서서히 퍼팅위치(P)로 이동하여 골프공을 부드럽게 퍼팅위치(P)에 낙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보조 탄성수단은, 안착부(52A)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작동부재(52)가 후진할 때 작동부재(52)에 복귀 탄성을 부여하여 후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 탄성수단은, 장공(52D)을 관통하여 상부레일(46)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돌기(55A)와, 작동부재(52)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돌기(55B)와, 일단이 제1 고정돌기(55A)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고정돌기(55B)에 결합되며 작동부재(52)가 배출구(26) 쪽으로 이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할 때 복원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55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성부재(55C)는 고무줄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보조 탄성수단의 탄성부재(55C)가 탄성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구동수단(30)의 전진 작동에 의해 작동부재(52)가 최종적으로 서서히 전진할 수 있게 되므로, 안착부(52A)로 골프공을 퍼팅위치(P)에 놓는 동작(낙하시키는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안착부(52A)가 최종 공급단계에서 균일한 속도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퍼팅위치(P)에 가까울수록 탄성부재(55C)의 탄성에 의해 천천 히 이동하게 되므로 그 동작이 부드럽게 느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조 탄성수단은 필요에 따라 안내부재(40)와 작동부재(52) 사이에 구비된다.
골프공 감지센서(60)는, 퍼팅위치(P)에 골프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골프공 감지센서(60)는 하우징(20)의 전면(F)에 설치된다.
골프공 감지센서(60)는, 포토센서나 적외선 센서, 동작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골프공 감지센서(60)는 각조조절이 가능하도록 센서용 케이스에 내장되며, 센서용 케이스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축에 의해 하우징(20)의 전면(F)에 설치 된다.
이러한 골프공 감지센서(60)는, 퍼팅위치(P)에 골프공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를 감지하여 골프공이 감지되지 않음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제공하여 제어부가 구동수단(30)을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 감지센서(60)가 감지신호를 구동수단(30)에 전달함에 따라 구동수단(30)의 회전 모터가 온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골프공 감지센서(60)와 구동수단(30)은 하우징(20)의 배면(F)에 설치된 충전식 배터리(BA)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배터리(BA)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특히 하우징(20)의 상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패널(29)로부터 발전된 전원이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 수거장치(100)가 공 투입구(22)에 결합되어 골프공들이 공급되면, 골프공들은 격판(27)들에 의해 지그재그로 형성된 연결통로(25)에 수용된다.
각 격판(27)들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 투입구(22)로 투입된 골프공은 원활하게 낙하구(24) 쪽으로 이동된다.
낙하구(24)으로 이동된 첫번째 골프공은 낙하구(24)를 통과하여 안착부(52A)의 안착공(52B)에 삽입된다. 이때, 안착공(52B)의 하부에는 받침판(54)이 위치하므로 골프공은 안착공(52B)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착공(52B)에 임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시작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온 시키게 되면(최초 작동), 구동수단(30)의 이동체(34)에 내장된 회전모터를 정회전시키게 되므로, 이동체(34)는 나사봉(32)을 따라 배출구(26)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작동에 의해 이동체(34)가 작동부재(52)를 배출구(26) 쪽으로 밀게 되고, 작동부재(52)는 안내부재(40)의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수평 슬라이딩 작동을 한다.
작동부재(52)가 이동체(34)에 의해 배출구(26)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작동부재(52)의 일단에 형성된 안착부(52A)가 상부레일(46)과 동시에 배출구(26)를 통과하여 퍼팅위치(P)로 이동한다. 이때에는 중간레일(44)과 상부레일(46)이 동시에 전진(퍼팅위치로 이동하는 것) 슬라이딩한다.
한편, 작동부재(52)가 이동할 때 작동부재(52)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지지로드(56)도 작동부재(52)와 같이 배출구(26) 방향으로 이동하여 첫번째 골프공(G1)이 안착부(52A)에 의해 배출구(26) 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낙하하는 차기 골프공(G2)은 지지로드(56)가 받치게 된다. 즉, 지지로드(56)의 단부가 안착공(52B)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지지로드(56)의 높이가 첫번째 골프공(G1)와 차기 골프공(G2) 사이와 같거나 대략 2 - 5mm 정도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지지로드(56)가 전진하면서 낙하하는 차기 골프공(G2)을 받쳐 하향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므로 차기 골프공(G2)이 낙하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작동은 한 쌍의 지지로드(56) 끝단이 안착공(52B)에 접한 상태에서 작동부재(52)와 같이 배출구(26)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첫번째 골프공(G1)이 받치고 있던 차기 골프공(G2)은 첫번째 골프공(G1)이 낙하구(24) 하부 위치를 벗어남과 동시에 낙하되나, 첫번째 골프공(G1)이 낙하구(24) 하부 위치를 벗어남고 동시에 한 쌍의 지지로드(56)가 낙하구(24)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지지로드(56)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로드(56)의 길이는 안착부(52A)가 퍼팅위치(P)까지 전진하더라도 차기 골프공(G2)를 받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착부(52A)가 원위치로 복귀하기 전까지 지지로드(56)는 차기 골프공(G2)을 받쳐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하부레일(42)과 중간레일(44)의 슬라이딩 한계점에서는 중간레일(44)이 멈춘 후 상부레일(46)이 전진 슬라이딩하며, 상부레일(46)의 슬라이딩 한계점에서는 상부레일(46)이 멈춘다.
그러나, 작동부재(52)는 장공(52D)이 허용하는 길이만큼 퍼팅위치(P) 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부레일(46)이 멈추고 작동부재(52)만 추가로 이동하게 되면, 골프공이 받침판(54)의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골프공(G1)은 안착공(52B) 하부로 낙하하여 퍼팅위치(P)에 안착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골프공은 정확하게 퍼팅위치(P)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퍼팅위치(P)에 골프공이 낙하되면, 구동수단(30)의 회전모터는 역회전 작동하여 작동부재(52)를 후진 슬라이딩 시킨다. 이때, 작동부재(52)의 전진 작동 완료 감지는 하부쪽 격판(27)에 설치되어 수직 연결단(52F)에 간섭되어 완료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나 포토 스위치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수단(30)을 후진 작동시키는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수단(30)이 자동으로 전진 작동이 완료된 후 곧바로 후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제어부에 회전수 또는 회전시간이 제어되어 후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작동부재(52)가 구동수단(30)에 의해 후진 슬라이딩 작동하하여 지지로드(56)의 단부가 낙하구(24)의 하부 위치를 벗어나고 안착공(52B)이 낙하공(24)의 저부에 위치하게 되면, 차기 골프공(G2)은 낙하하여 안착공(52B)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물론, 안착부(52A)가 원위치로 복귀했을 때 안착공(52B)의 하부에는 받침판(54)이 위치하게 되므로 차기 골프공(G2)은 안착공(52B)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안착부(52A)가 퍼팅위치(P) 까지 이동한 후 다시 복귀할 때, 작동부재(52)가 작동(52D)의 거리만큼 후진하면, 안착부(52A)이 받침판(5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낙하하는 골프공(G2)이 안착공(52B)에 안정되게 수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퍼팅위치(P)에 안착된 골프공을 퍼팅하게 되면, 골프공 감지센서(60)는 퍼팅위치(P)에 골프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 또는 구동수단(30)에 전달한다. 이 감지신호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골프공 공급 작동이 다시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동작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퍼팅 연습자)는 퍼팅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골프공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행위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퍼팅연습에만 집중할 수 있어서 연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공급장치 20 : 하우징
22 : 공 투입구 24 : 낙하구
25 : 연결통로 26 : 배출구
27 : 격판 30 : 구동수단
32 : 나사봉 34 : 이동체
40 : 안내부재 42 : 하부레일
44 : 중간레일 46 : 상부레일
50 : 골프공 공급수단 52 : 작동부재
52A : 안착부 52B : 안착공
52C : 절곡부 52D : 장공
52E : 이탈방지볼트 52F : 수직 연결단
60 : 골프공 감지센서 S1 : 수용공간
S2 : 작동공간 G1,G2 : 골프공

Claims (10)

  1. 내부에 골프공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공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는 작동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전방쪽에는 골프공을 하향으로 순차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낙하구가 마련되며, 전면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다단구조의 안내부재;
    상기 낙하구를 통하여 공급된 골프공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기 낙하구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안내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배출구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골프공을 상기 하우징 외부의 퍼팅위치에 안착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골프공 공급수단; 및
    상기 퍼팅위치에 골프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퍼팅위치에 골프공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이 골프공을 상기 퍼팅위치로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골프공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작동공간에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나사봉; 및 한쪽이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나사봉의 일부를 감싸는 이동체의 내부에서 상기 나사봉과 결합되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회전 모터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작동공간에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수평 설치되는 나사봉을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나사봉이 회전할 때 상기 나사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쪽이 상기 나사봉에 결합되고 다른 쪽은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에 결합되는 이동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상기 나사봉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때,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을 상기 배출구 쪽으로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공 투입구와 상기 낙하구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도록 2개 이상의 격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외측면에는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나 상기 구동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되는 중간레일; 및 상기 중간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상기 중간레일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어 결합되는 상부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의 전진 작동시에 중간레일과 상부레일이 상기 배출구 쪽으로 다단으로 인출되고, 후진 작동시에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레일; 및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어 결합되는 상부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의 전진 작동시에 상기 상부레일이 상기 배출구 쪽으로 인출되고, 후진 작동시에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은,
    일단에 상기 안착부가 골프공이 통과되도록 안착공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가 상기 상부레일의 상면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중간에는 복수개의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이탈방지볼트에 의해 상기 상부레일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는 수직 연결단을 구비한 작동부재;
    일단 상면이 상기 안착공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타단이 상기 상부레일의 한쪽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으로 공급된 골프공을 받쳐 골프공이 상기 안착공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받침판; 및
    각 일단은 상기 작동부재의 타단 쪽에 결합되고, 각 타단은 상기 안착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공의 가장자리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안착공에 위치한 골프공을 가지고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퍼팅위치로 전진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와 같이 수평 전진하여 상기 낙하구로부터 낙하하는 차기 골프공을 받쳐 낙하를 방지하고, 상기 작동부재가 후진하여 상기 안착부가 상기 낙하구의 하부에 위치할 때 상기 작동부재와 같이 수평 후진하여 받쳐진 상기 차기 골프공을 상기 안착공으로 낙하시키는 한 쌍의 지지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공급수단은,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레일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돌기;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돌기; 및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고정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배출구 쪽으로 이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할 때 복원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보조 탄성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20170043894A 2017-04-04 2017-04-04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190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894A KR101907131B1 (ko) 2017-04-04 2017-04-04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894A KR101907131B1 (ko) 2017-04-04 2017-04-04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797A Division KR101941633B1 (ko) 2018-07-11 2018-07-11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131B1 true KR101907131B1 (ko) 2018-10-11

Family

ID=6386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894A KR101907131B1 (ko) 2017-04-04 2017-04-04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927B1 (ko) * 2021-12-15 2022-03-15 (주)다온바기 공 인출 기능을 갖는 스포츠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924U (ja) 1995-03-31 1995-11-07 株式会社タカノ ゴルフボールの自動供給装置
KR200442369Y1 (ko) 2008-08-06 2008-11-05 강인성 골프공 공급장치
KR100958294B1 (ko) 2009-08-28 2010-05-19 박종환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0986168B1 (ko) 2010-04-05 2010-10-08 박종환 대량의 골프공을 자동공급하는 디스펜서 장치
KR101256835B1 (ko) 2012-02-03 2013-04-22 배상영 골프연습용 골프공 자동공급기
JP5485340B2 (ja) * 2012-07-20 2014-05-07 十和田精密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自動ティーアップ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924U (ja) 1995-03-31 1995-11-07 株式会社タカノ ゴルフボールの自動供給装置
KR200442369Y1 (ko) 2008-08-06 2008-11-05 강인성 골프공 공급장치
KR100958294B1 (ko) 2009-08-28 2010-05-19 박종환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0986168B1 (ko) 2010-04-05 2010-10-08 박종환 대량의 골프공을 자동공급하는 디스펜서 장치
KR101256835B1 (ko) 2012-02-03 2013-04-22 배상영 골프연습용 골프공 자동공급기
JP5485340B2 (ja) * 2012-07-20 2014-05-07 十和田精密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自動ティーアップ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927B1 (ko) * 2021-12-15 2022-03-15 (주)다온바기 공 인출 기능을 갖는 스포츠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25774A1 (zh) 一种机器人清洁系统、基站及控制方法
JP4325878B2 (ja) 自己発電機能を備えたウエートトレーニング器具及び器具向けスタック
CN100564210C (zh) 纸币存储单元的纸币移动单元
KR101941633B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1907131B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CN108922331B (zh) 一种数学概率演示装置
US20130087414A1 (en) Motion conversion device
KR100958294B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N106216981A (zh) 偏心轮组件装配机
CN201164837Y (zh) 轴承及轴承内圈或外圈的分级排料装置
CN211889711U (zh) 一种磁铁自动供料与极性换向装置
US6604517B1 (en) Table tennis serving machine
US20130292405A1 (en) Card vending machine
CN108176872A (zh) 一种自动化锁芯打孔装置
KR101885499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CN216732722U (zh) 一种注塑模具加工用自动上料装置
CN111922261B (zh) 角度针冲压成型装置
CN112293281B (zh) 宠物喂食器
KR101252361B1 (ko) 골프연습기
CN112293280B (zh) 一种宠物智能喂食器
CN111250966A (zh) 螺钉自动拧入机
JP2548248Y2 (ja) 試験管立て供給装置
CN216679105U (zh) 一种钻石形产品自动排列分选机
CN114305109A (zh) 一种智能饮品机的胶囊处理装置
CN111710099B (zh) 一种无人售货机便于取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