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315B1 - 다용도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315B1
KR101906315B1 KR1020160162459A KR20160162459A KR101906315B1 KR 101906315 B1 KR101906315 B1 KR 101906315B1 KR 1020160162459 A KR1020160162459 A KR 1020160162459A KR 20160162459 A KR20160162459 A KR 20160162459A KR 101906315 B1 KR101906315 B1 KR 101906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let
stopper
container outlet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608A (ko
Inventor
김 다니엘
Original Assignee
김 다니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다니엘 filed Critical 김 다니엘
Priority to KR102016016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3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70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40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6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r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 B65D2575/361Details
    • B65D2575/368Details with reclos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바디의 용기출구 내부에 고정되고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는 출구밀폐부와, 출구밀폐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손가락끼움부를 파지한 후 비틀어서 용기바디의 용기출구로부터 출구밀폐부를 떼어내도록 하는 용기따개와, 용기출구를 밀폐하거나 개봉하도록 용기출구의 둘레에 착탈되는 탄성편들 및 탄성편들이 용기출구의 둘레에 씌워질 시 용기출구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는 마개침으로 이루어진 용기마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기따개를 돌리면 취약부인 출구밀폐부 및 용기바디의 용기출구 이음부위가 떨어지면서 출구밀폐부가 용기바리의 용기출구로부터 분리되고, 용기바디 내의 충전물을 인출시켜 사용한다. 용기바디 내에 충전물이 남은 상태에서 보관할 경우, 용기마개를 용기출구 둘레에 씌우면 용기마개의 탄성편들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용기출구가 용기마개의 수납공간으로 진입되고 용기마개가 용기출구 둘레에 완전히 씌워지면 마개침이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며 이때 탄성편들은 복원되어서 용기출구의 둘레에 밀착된다. 그러므로 용기마개를 용기출구 둘레에 눌러 씌우는 간편한 작업으로 용기바디에 남은 충전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밀폐용기{Multi-purpose airtight containers}
본 발명은 다용도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기마개의 구조가 간단하고, 용기마개를 용기바의 용기출구로부터 간편하게 떼어낼 수 있으며, 쓰고 남은 충전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2가지 이상의 충전물을 분리된 상태로 충전시킬 수 있으며, 용기바디 내부의 충전물을 쉽고 깨끗하게 짜낼 수 있는 다용도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 형태의 밀폐용기는 아이스크림, 음료수, 액상 또는 겔상태의 충전물을 충전하여서 보관, 유통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튜브 형태의 밀폐용기는 충전물이 충전되는 튜브 형태의 용기바디와, 용기바디의 용기출구에 체결되는 마개 또는 개봉꼭지로 이루어진다.
밀폐용기의 개폐구조가 마개로 이루어진 경우, 마개가 체결되는 용기바디의 용기출구와 마개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종의 밀폐용기는 마개를 여닫아서 밀폐용기 내부의 충전물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도 있고, 밀폐용기 내부의 남은 충전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밀폐용기는 밀폐용기와 마개가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야 하고, 밀폐용기의 용기출구와 마개에 나사산을 형성시켜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그만큼 증가되며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밀폐용기 개봉 구조가 개봉꼭지로 이루어진 경우, 개봉꼭지를 따낸 후 밀폐용기 내부의 충전물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데, 용기바디 내에 남은 충전물을 냉장고 등에 보관할 경우, 용기바디의 용기출구를 밀폐할 마땅한 방법이 없으며, 이에 따라 청결하게 보관하지 못하였다. 또한, 일단 개봉된 용기바디를 보관할 경우 세워서 보관해야 하므로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보관한 용기바디가 쓰러질 경우 충전물이 외부로 흘러 내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종래의 튜브형 밀폐용기의 다른 문제점은, 용기바디 내의 충전물을 충분하게 짜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밀폐용기의 내부의 충전물을 최대한 짜내려면 평평한 바닥에 밀폐용기를 안착시키고 딱딱한 형태의 도구를 이용하여서 밀폐용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면서 짜내야 하는데,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다.
또한, 경우에 따라 액상 또는 겔상태의 2가지 이상의 충전물을 각각 준비한 후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이 2가지 이상의 충전물을 혼합하여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 종래에는 충전물의 종류에 따라 각각 별개의 밀폐용기가 필요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4366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마개의 구조가 간단하고, 용기마개를 용기바의 용기출구로부터 간편하게 떼어낼 수 있으며, 쓰고 남은 충전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용도 밀폐용기의 전체 구조가 매우 간단하도록 한 다용도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가지 이상의 충전물을 분리된 상태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바디 내부의 충전물을 쉽게 짜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남김없이 깨끗하게 짜낼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는, 액상 또는 겔상태의 충전물이 충전되고, 병목부의 단부에 용기출구가 형성된 용기바디; 용기바디의 용기출구 내부에 고정되고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는 출구밀폐부; 출구밀폐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손가락끼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손가락끼움부를 파지한 후 비틀어서 용기바디의 용기출구로부터 출구밀폐부를 떼어내도록 하는 용기따개; 용기따개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마개바디와, 용기마개바디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어서 일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용기출구를 밀폐하거나 개봉하도록 용기출구의 둘레에 착탈되며 용기출구 둘레에 씌워질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 둘레에 밀착되고 용기출구로부터 분리될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의 둘레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탄성편들과, 수납공간의 중간에 돌출되어서 탄성편들이 용기출구의 둘레에 씌워질 시 용기출구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는 마개침으로 이루어진 용기마개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는, 액상 또는 겔상태의 충전물이 충전되고, 병목부의 단부에 용기출구가 형성된 용기바디; 용기바디의 용기출구 내부에 고정되고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는 출구밀폐부; 출구밀폐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마개바디와, 용기마개바디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어서 일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용기출구를 밀폐하거나 개봉하도록 용기출구의 둘레에 착탈되며 용기출구 둘레에 씌워질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 둘레에 밀착되고 용기출구로부터 분리될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의 둘레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탄성편들과, 수납공간의 중간에 돌출되어서 탄성편들이 용기출구의 둘레에 씌워질 시 용기출구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는 마개침으로 이루어진 용기마개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용기마개의 용기마개바디를 파지한 후 비틀어서 용기바디의 용기출구로부터 출구밀폐부를 떼어내어 개봉시키고, 용기마개를 용기바디의 용기출구에 씌워서 용기출구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의 다른 특징은, 용기바디의 내부에는 칸막이가 구비되어서 용기바디의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며, 칸막이의 일단은 용기출구 반대측의 용기바디의 단부에 고정되고, 칸막이의 타단은 출구밀폐부에 고정되며, 출구밀폐부를 용기출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면 출구밀폐부와 칸막이도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의 또 다른 특징은, 용기출구 반대측 용기바디 단부에는 바디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바디의 외부면에는 용기바디의 충전물을 용기출구 측으로 짜낼 수 있도록 바디짜개가 결합되어 있으며, 바디파지부를 파지하고 바디짜개를 용기출구 측으로 당기면 용기바디 내부의 충전물이 용기출구 측으로 배출되도록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용기바디의 용기출구 내부에 고정되고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는 출구밀폐부와, 출구밀폐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손가락끼움부를 파지한 후 비틀어서 용기바디의 용기출구로부터 출구밀폐부를 떼어내도록 하는 용기따개와, 용기출구를 밀폐하거나 개봉하도록 용기출구의 둘레에 착탈되는 탄성편들 및 탄성편들이 용기출구의 둘레에 씌워질 시 용기출구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는 마개침으로 이루어진 용기마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기따개를 돌리면 취약부인 출구밀폐부 및 용기바디의 용기출구 이음부위가 떨어지면서 출구밀폐부가 용기바리의 용기출구로부터 분리되고, 용기바디 내의 충전물을 인출시켜 사용한다. 용기바디 내에 충전물이 남은 상태에서 보관할 경우, 용기마개를 용기출구 둘레에 씌우면 용기마개의 탄성편들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용기출구가 용기마개의 수납공간으로 진입되고 용기마개가 용기출구 둘레에 완전히 씌워지면 마개침이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며 이때 탄성편들은 복원되어서 용기출구의 둘레에 밀착된다. 그러므로 용기마개를 용기출구 둘레에 눌러 씌우는 간편한 작업으로 용기바디에 남은 충전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출구가 형성된 용기바디와,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는 출구밀폐부와, 출구밀폐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마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은 용기마개를 파지한 후 회전시키면 취약부인 출구밀폐부 및 용기바디의 용기출구 이음부위가 떨어지면서 출구밀폐부가 용기바리의 용기출구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용기따개가 생략되므로 그만큼 재료가 절감되며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바디의 내부에 칸막이가 구비되어서 용기바디의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며, 칸막이의 일단은 용기출구 반대측의 용기바디의 단부에 고정되고, 칸막이의 타단은 출구밀폐부에 고정되며, 출구밀폐부를 용기출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면 출구밀폐부와 칸막이도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칸막이에 의해 용기바디의 내부가 복수로 구획되므로 2가지 이상의 충전물을 분리된 상태로 충전시킬 수 있으며, 용기바디를 짜내면 2가지 이상의 충전물이 용기출구로 동시에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액상 또는 겔상태의 2가지 이상의 충전물을 별도의 용기로 각각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출구 반대측 용기바디 단부에 바디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바디의 외부면에는 용기바디의 충전물을 용기출구 측으로 짜낼 수 있도록 바디짜개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바디파지부를 파지하고 바디짜개를 용기출구 측으로 당기면 용기바디 내부의 충전물이 용기출구 측으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용기바디 내부의 충전물을 쉽게 짜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용기바디 내부의 충전물을 남김없이 깨끗하게 짜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정단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용기따개를 이용하여서 용기바디로부터 출구밀폐부를 따낸 상태를 보인 부분 분리 단면도
도 6은 용기바디의 용기출구에 용기마개를 씌운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평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용기따개를 이용하여서 용기바디로부터 출구밀폐부를 따낸 상태를 보인 부분 분리 단면도이고, 도 6은 용기바디의 용기출구에 용기마개를 씌운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기바디(10), 출구밀폐부(20), 용기따개(30), 용기마개(40), 칸막이(50), 바디짜개(60)로 이루어진다.
용기바디(10)는, 액상 또는 겔상태의 충전물이 충전되고, 병목부(11)의 단부에 용기출구(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용기바디(10)는 내부의 액상 또는 겔 상태의 충전물을 짜낼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떤 재질이든, 어떤 형태이든 무방하다.
출구밀폐부(20)는,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12) 내부에 고정되고 용기출구(12)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출구밀폐부(20)는 둘레가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12) 내주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출구밀폐부(20) 및 용기출구(12)의 연결부위는 두께가 매우 얇으며, 이에 따라 출구밀폐부(20)를 회전시키면 출구밀폐부(20)가 용기출구(12)의 연결부위로부터 분리된다.
용기따개(30)는, 출구밀폐부(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손가락끼움부(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손가락끼움부(31)를 파지한 후 비틀어서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12)로부터 출구밀폐부(20)를 떼어내도록 한다.
용기마개(40)는, 용기마개바디(45), 탄성편(41)들, 마개침(43)으로 이루어진다.
용기마개바디(45)는, 용기따개(3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탄성편(41)들은, 용기마개바디(45)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어서 일부가 개방된 수납공간(42)을 형성하고 용기출구(12)를 밀폐하거나 개봉하도록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착탈되며 용기출구(12) 둘레에 씌워질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12) 둘레에 밀착되고 용기출구(12)로부터 분리될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12)의 둘레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마개침(43)은, 수납공간(42)의 중간에 돌출되어서 탄성편(41)들이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씌워질 시 용기출구(12)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용기출구(12)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용기마개(40)의 둘레에는 탄성고무부재(44)가 씌워질 수 있다. 탄성고무부재는 용기마개(40)가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씌워지거나 분리될 시 탄성편(41)들이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도록 하며, 용기마개(40)가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씌워진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용기바디(10)의 내부에는 칸막이(50)가 구비된다. 이 칸막이(50)는, 용기바디(10)의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며, 칸막이(50)의 일단은 용기출구(12) 반대측의 용기바디(10)의 단부에 고정되고, 칸막이(50)의 타단은 출구밀폐부(20)에 고정된다. 이러한 칸막이(50)는, 출구밀폐부(20)를 용기출구(12)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면 출구밀폐부(20)와 칸막이(50)도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용기출구(12) 반대측 용기바디(10) 단부에는 바디파지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바디(10)의 외부면에는 용기바디(10)의 충전물을 용기출구(12) 측으로 짜낼 수 있도록 바디짜개(60)가 결합되어 있다.
바디짜개(60)는 손가락이 파지되는 파지부(61)와, 용기바디(10)의 외부면에 밀착되어서 바디짜개(60)를 용기출구(12) 측으로 당길시 용기바디(10) 내부의 충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압부(63)와, 파지부(61) 및 가압부(63)를 연결하는 지지부(6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디파지부(13)를 파지하고 바디짜개(60)를 용기출구(12) 측으로 당기면 용기바디(10) 내부의 충전물이 용기출구(12) 측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는, 한손으로 용기바디(10)를 잡고 다른 한손의 손가락을 용기따개(30)의 손가락끼움부(31)에 끼운 후 용기따개(30)를 돌리면 취약부위인 출구밀폐부(20) 및 용기출구(12)의 연결부위와, 출구밀폐부(20) 및 칸막이(50)의 연결부위가 출구밀폐부(20)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용기따개(30)에 의해 출구밀폐부(20)가 용기바디(10)로부터 분리되면 용기바디(10)를 눌러서 내부의 충전물을 인출시킨다.
용기바디(10) 내부의 충전물을 모두 깔끔하게 배출시킬 경우, 한손의 손가락을 용기바디(10)의 바디파지부(13)에 끼우고 다른 손은 바디짜개(60)의 파지부(61)를 파지한 후 바디짜개(60)를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12) 측으로 당긴다. 이와 같이 하면, 바디짜개(60)의 가압부(63)가 용기바디(10)의 내부를 압착시키면서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12) 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용기바디(10) 내부의 충전물이 확실하게 배출된다.
한편, 용기바디(10) 내부에 충전물이 남은 상태에서 용기바디(10)를 보관할 경우, 용기마개(40)를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씌운다.
용기마개(40)의 탄성편(41)들은, 용기마개바디(45)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어서 용기출구(12)의 둘레에 끼워질 경우 용기출구(12)의 둘레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또한, 용기마개(40)의 둘레에 구비된 탄성고무부재는 용기마개(40)가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씌워질 시 탄성편(41)들이 용기출구(12)의 둘레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용기마개(40)가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씌워진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용기마개(40)가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씌워지면 용기마개(40)의 마개침(43)이 용기출구(12)의 출구를 막아서 용기바디(10) 내의 충전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용기바디의 용기출구 내부에 고정되고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는 출구밀폐부와, 출구밀폐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손가락끼움부를 파지한 후 비틀어서 용기바디의 용기출구로부터 출구밀폐부를 떼어내도록 하는 용기따개와, 용기출구를 밀폐하거나 개봉하도록 용기출구의 둘레에 착탈되는 탄성편들 및 탄성편들이 용기출구의 둘레에 씌워질 시 용기출구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는 마개침으로 이루어진 용기마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기따개를 돌리면 취약부인 출구밀폐부 및 용기바디의 용기출구 이음부위가 떨어지면서 출구밀폐부가 용기바리의 용기출구로부터 분리되고, 용기바디 내의 충전물을 인출시켜 사용한다. 용기바디 내에 충전물이 남은 상태에서 보관할 경우, 용기마개를 용기출구 둘레에 씌우면 용기마개의 탄성편들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용기출구가 용기마개의 수납공간으로 진입되고 용기마개가 용기출구 둘레에 완전히 씌워지면 마개침이 용기출구를 밀폐시키며 이때 탄성편들은 복원되어서 용기출구의 둘레에 밀착된다. 그러므로 용기마개를 용기출구 둘레에 눌러 씌우는 간편한 작업으로 용기바디에 남은 충전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용기바디의 내부에 칸막이가 구비되어서 용기바디의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며, 칸막이의 일단은 용기출구 반대측의 용기바디의 단부에 고정되고, 칸막이의 타단은 출구밀폐부에 고정되며, 출구밀폐부를 용기출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면 출구밀폐부와 칸막이도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칸막이에 의해 용기바디의 내부가 복수로 구획되므로 2가지 이상의 충전물을 분리된 상태로 충전시킬 수 있으며, 용기바디를 짜내면 2가지 이상의 충전물이 용기출구로 동시에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액상 또는 겔상태의 2가지 이상의 충전물을 별도의 용기로 각각 구비할 필요가 없다.
셋째, 본 발명은 용기출구 반대측 용기바디 단부에 바디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바디의 외부면에는 용기바디의 충전물을 용기출구 측으로 짜낼 수 있도록 바디짜개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바디파지부를 파지하고 바디짜개를 용기출구 측으로 당기면 용기바디 내부의 충전물이 용기출구 측으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용기바디 내부의 충전물을 쉽게 짜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용기바디 내부의 충전물을 남김없이 깨끗하게 짜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기바디(10), 출구밀폐부(20), 용기마개(40)로 이루어진다.
용기바디(10)는, 액상 또는 겔상태의 충전물이 충전되고, 병목부(11)의 단부에 용기출구(12)가 형성된다.
출구밀폐부(20)는,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 내부에 고정되고 용기출구(12)를 밀폐시킨다.
용기마개(40)는, 출구밀폐부(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마개바디(45)와, 용기마개바디(45)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어서 일부가 개방된 수납공간(42)을 형성하고 용기출구(12)를 밀폐하거나 개봉하도록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착탈되며 용기출구(12) 둘레에 씌워질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12) 둘레에 밀착되고 용기출구(12)로부터 분리될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12)의 둘레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탄성편(41)들과, 수납공간(42)의 중간에 돌출되어서 탄성편(41)들이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씌워질 시 용기출구(12)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용기출구(12)를 밀폐시키는 마개침(4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기마개(40)의 용기마개바디(45)를 파지한 후 비틀어서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12)로부터 출구밀폐부(20)를 떼어내어 개봉시키고, 용기마개(40)를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12)에 씌워서 용기출구(12)를 밀폐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는, 용기출구(12)가 형성된 용기바디(10)와, 용기출구(12)를 밀폐시키는 출구밀폐부(20)와, 출구밀폐부(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마개(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기따개(30)가 생략되므로 그만큼 재료가 절감되며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절감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평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는, 용기바디(10)의 내부에 칸막이(50')가 구비되되, 칸막이(50')가 용기바디(10)의 내부공간을 세부분으로 구획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용기바디 내에는 서로 다른 세가지 종류의 충전물을 분리하여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칸막이(50')는 얇은 비닐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디짜개(60)를 밀어 올릴시 용기바디(10)의 양면에 밀착되면서 내부의 충전물이 용기출구(12) 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용기바디(10)의 외부에는 구매 연령대를 식별할 수 있는 색상띠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바디(10) 내의 충전물의 성격에 따라 색상띠의 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용기바디(10)에 맥주가 충전된 경우, 용기바디(10)의 외면에 미성년자 금지 표시가 인쇄된 색상띠를 부착하거나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야구장과 같이 실외에서 본 발명의 밀폐용기에 담긴 맥주를 마실 경우에 미성년자 금지 표시가 외부로 쉽게 노출되므로 미성년자들의 구매욕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술을 마시는 미성년자들을 쉽게 파악한 후 계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는 바디짜개(60)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바디짜개(60)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바디파지부(13)는 장홈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손가락들을 끼워서 파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밀폐용기는 용기바디(10)에 칸막이(50)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칸막이(50)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용기바디(10)의 외면에는 표면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콘 성분을 포함한 표면보호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표면보호도포층은 미생물 및 부유물 등의 부착을 억제한다. 상기 표면보호도포층의 도포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우선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용액에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을 부피비로 2-5% 용해시켜 도포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의 함량이 2%에 미치지 못하면 도포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5%를 초과하면 표면보호도포층이 너무 두꺼워져 효율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비율로 용해된 도포액은 도포시간 및 도포두께를 고려하여 용액의 점도가 0.8-2cp(센티포아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점도가 너무 낮으면 도포시간을 오래해야 하며, 점도가 너무 높으면 도포가 두껍게 일어나고 건조가 안되며 또한 불균일한 도포가 유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도포용액으로 용기바디(10)의 표면을 1㎛이하의 두께로 도포한다. 상기와 같은 두께로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용기바디(10)의 표면에 2-3회 정도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기바디(10)의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될 수 있다. 이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용기바디(10)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변색부 위에는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된다.
여기서, 변색부는,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변색부는 용기바디(10)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용기바디(10)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색부는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용기바디(10)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용기바디(10) 내의 충전물을 최적의 상태로 사용하거나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변색부 위에 도포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변색부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도포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짜개(6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바디짜개(60)에는 내산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BHT(2,6-DI-BUTYL-4-METHYLPHENOL)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BHT는 내오존성 및 내산화성을 증가시키며, 바디짜개(60)의 부식 및 산화를 방지시킨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와 BHT의 합이 100 중량부일 경우, BHT는 0.4~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BHT의 첨가량이 상술된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내산화성을 획득하기 어려우며, 상술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직의 밀도 및 견고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의 바디짜개(60)에 BHT가 더 첨가되므로 내산화성이 크게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바디짜개(60)의 둘레에는 살균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머틀 오일(Myrtle oil) 50중량%, 릿치아 쿠베아 오일(Litsea cubeba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머틀 오일(Myrtle oil)의 주 화학성분은 cineol, myrtenol 등이며, 새순이나 작은 가지 등에서 스팀증류법으로 추출되는데 노란색을 띠며 상쾌하고 싱그러운 향을 가지고 있고, 살균작용, 방부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릿치아 쿠베아 오일(Litsea cubeba oil)은 열매에서 스팀 증류법을 이용하여 오일을 추출하는데 달콤하면서도 레몬그라스와 비슷하면서도 강한 향을 갖고 있으며, 주 화학성분으로는 85%이상을 차지하는 citral을 비롯하여 linalol, neral 등을 함유하고 있고, 강한 방부효과를 내며 살균작용으로 박테리아균 등을 죽이는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바디짜개(60)의 둘레에 코팅됨에 따라, 바디짜개(60) 살균처리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청결한 상태로 바디짜개(6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 : 용기바디 11 : 병목부
12 : 용기출구 13 : 바디파지부
20 : 출구밀폐부 30 : 용기따개
31 : 손가락끼움부 40 : 용기마개
41 : 탄성편 42 : 수납공간
43 : 마개침 44 : 탄성고무부재
50,50' : 칸막이 60 : 바디짜개
61 : 파지부 62 : 지지부
63 : 가압부

Claims (4)

  1. 액상 또는 겔상태의 충전물이 충전되고, 병목부(11)의 단부에 용기출구(12)가 형성된 용기바디(10);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12) 내부에 고정되고 용기출구(12)를 밀폐시키는 출구밀폐부(20);
    출구밀폐부(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손가락끼움부(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손가락끼움부(31)를 파지한 후 비틀어서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12)로부터 출구밀폐부(20)를 떼어내도록 하는 용기따개(30);
    용기따개(3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마개바디(45)와, 용기마개바디(45)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어서 일부가 개방된 수납공간(42)을 형성하고 용기출구(12)를 밀폐하거나 개봉하도록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착탈되며 용기출구(12) 둘레에 씌워질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12) 둘레에 밀착되고 용기출구(12)로부터 분리될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12)의 둘레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탄성편(41)들과, 수납공간(42)의 중간에 돌출되어서 탄성편(41)들이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씌워질 시 용기출구(12)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용기출구(12)를 밀폐시키는 마개침(43)으로 이루어진 용기마개(4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용기바디(10)의 내부에는 칸막이(50)가 구비되어서 용기바디(10)의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며, 칸막이(50)의 일단은 용기출구(12) 반대측의 용기바디(10)의 단부에 고정되고, 칸막이(50)의 타단은 출구밀폐부(20)에 고정되며, 출구밀폐부(20)를 용기출구(12)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면 출구밀폐부(20)와 칸막이(50)도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밀폐용기.
  2. 액상 또는 겔상태의 충전물이 충전되고, 병목부(11)의 단부에 용기출구(12)가 형성된 용기바디(10);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 내부에 고정되고 용기출구(12)를 밀폐시키는 출구밀폐부(20);
    출구밀폐부(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마개바디(45)와, 용기마개바디(45)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어서 일부가 개방된 수납공간(42)을 형성하고 용기출구(12)를 밀폐하거나 개봉하도록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착탈되며 용기출구(12) 둘레에 씌워질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12) 둘레에 밀착되고 용기출구(12)로부터 분리될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용기출구(12)의 둘레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탄성편(41)들과, 수납공간(42)의 중간에 돌출되어서 탄성편(41)들이 용기출구(12)의 둘레에 씌워질 시 용기출구(12)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용기출구(12)를 밀폐시키는 마개침(43)으로 이루어진 용기마개(4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용기마개(40)의 용기마개바디(45)를 파지한 후 비틀어서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12)로부터 출구밀폐부(20)를 떼어내어 개봉시키고, 용기마개(40)를 용기바디(10)의 용기출구(12)에 씌워서 용기출구(12)를 밀폐하도록 구비되고;
    용기바디(10)의 내부에는 칸막이(50)가 구비되어서 용기바디(10)의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며, 칸막이(50)의 일단은 용기출구(12) 반대측의 용기바디(10)의 단부에 고정되고, 칸막이(50)의 타단은 출구밀폐부(20)에 고정되며, 출구밀폐부(20)를 용기출구(12)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면 출구밀폐부(20)와 칸막이(50)도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밀폐용기.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용기출구(12) 반대측 용기바디(10) 단부에는 바디파지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바디(10)의 외부면에는 용기바디(10)의 충전물을 용기출구(12) 측으로 짜낼 수 있도록 바디짜개(60)가 결합되어 있으며, 바디파지부(13)를 파지하고 바디짜개(60)를 용기출구(12) 측으로 당기면 용기바디(10) 내부의 충전물이 용기출구(12) 측으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밀폐용기.
KR1020160162459A 2016-12-01 2016-12-01 다용도 밀폐용기 KR101906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459A KR101906315B1 (ko) 2016-12-01 2016-12-01 다용도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459A KR101906315B1 (ko) 2016-12-01 2016-12-01 다용도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608A KR20180062608A (ko) 2018-06-11
KR101906315B1 true KR101906315B1 (ko) 2018-10-10

Family

ID=6260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459A KR101906315B1 (ko) 2016-12-01 2016-12-01 다용도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3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346A (ja) * 2001-09-28 2003-04-09 Kyoraku Co Ltd プラスチック容器
JP2004268962A (ja) 2003-03-07 2004-09-30 Toppan Printing Co Ltd ワンピース口栓
KR200417253Y1 (ko) * 2006-03-14 2006-05-24 김병주 원터치 개폐식 용기뚜껑 및 이를 구비한 용기
US20110259914A1 (en) 2010-04-26 2011-10-27 Lee Kang Joon Dual-structure tube vess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855U (ja) * 1992-06-05 1993-12-27 斌揚 吉川 チューブ絞りだし器
JPH0665242U (ja) * 1993-02-15 1994-09-13 サンスター株式会社 ミニチューブ
KR200354366Y1 (ko) 2004-03-31 2004-06-24 박희영 공기 유입이 원활한 음료용 팩
JP2007055677A (ja) * 2005-07-29 2007-03-08 Nippo Corp 包装用容器
JP2010076806A (ja) * 2008-09-26 2010-04-08 Yutaka Takahashi 容器
JP6296858B2 (ja) * 2014-03-27 2018-03-2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多温度帯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346A (ja) * 2001-09-28 2003-04-09 Kyoraku Co Ltd プラスチック容器
JP2004268962A (ja) 2003-03-07 2004-09-30 Toppan Printing Co Ltd ワンピース口栓
KR200417253Y1 (ko) * 2006-03-14 2006-05-24 김병주 원터치 개폐식 용기뚜껑 및 이를 구비한 용기
US20110259914A1 (en) 2010-04-26 2011-10-27 Lee Kang Joon Dual-structure tube vess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608A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0276B2 (en) Collapsible fluid containers
JP3881031B2 (ja) 2液組成物用小出し器
KR101074105B1 (ko) 해제가능한 내부 용기를 구비한 자체-혼합 콘테이너 및 그 사용방법
US8672156B2 (en) Bottle and cap
US7690534B2 (en) Device for placing two products in contact
JP2002543006A (ja) 容器のクロージャおよび充填方法
EP2004510A1 (en) Closure for dispensing fragrance from the closure
WO1998034512A1 (en) Disposable multi-sampler and fitment
JPH04279403A (ja) ボトル詰替え用装置
KR101906315B1 (ko) 다용도 밀폐용기
US20140263154A1 (en) Bottle and cap
WO2013141834A1 (en) Saliva sample collection systems
KR20160001945U (ko) 내용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KR101447061B1 (ko) 튜브용기
US20040218965A1 (en) Container and applicator
JPH11236084A (ja) エコパックホルダー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CN214165844U (zh) 一种密封性改善pet瓶
CN217533861U (zh) 一种固液态分离瓶盖
US20080286029A1 (en) Container and applicator
US11459151B2 (en) Dispensing devices and systems
US20050029138A1 (en) Swab packaging with separated liquid and dry compound
CN210383019U (zh) 用于混合两种液体的两级袋
US20160044938A1 (en) Flavoring Dispenser for Dressing a Beverage Bottle Neck
RU24934U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й флако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