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515B1 -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515B1
KR101905515B1 KR1020170091450A KR20170091450A KR101905515B1 KR 101905515 B1 KR101905515 B1 KR 101905515B1 KR 1020170091450 A KR1020170091450 A KR 1020170091450A KR 20170091450 A KR20170091450 A KR 20170091450A KR 101905515 B1 KR101905515 B1 KR 101905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ce
section
rot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안진혁
김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7009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515B1/ko
Priority to PCT/KR2017/007776 priority patent/WO2018021755A1/ko
Priority to US15/573,818 priority patent/US20180245832A1/en
Priority to JP2019515759A priority patent/JP2019519747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6Moulds with separate grid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어박스; 제어박스 내에 마련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모터부의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회전동력에 의한 회전속도가 변속될 수 있는 변속비를 지닌 하나 이상의 기어 및 하나 이상의 기어와 연동되고 제어박스 외측으로 변속된 회전을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기어군; 및 기어군의 출력부로부터 연장된 연결축과 일측부가 연결되어 출력부가 전달하는 최종 회전수에 의해 회전되되, 일측부의 회전각도가 타측부의 회전각도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고, 출력부는, 모터부의 회전동력을 하나 이상의 기어를 통해 전달받되, 회전 중에 두 개의 변속비를 통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모듈로 형성되는 제1출력부 및 제2출력부가 형성되고, 제1출력부 및 제2출력부는 회전중심이 동축상에 위치되며, 기 결정된 서로 다른 회전구간에 형성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 및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구비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본체의 후방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열교환기가 설치된다.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팬에 의해 냉장실이나 냉동실 내부로 공급되고 냉장실이나 냉동실을 순환하여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다시 열교환기를 거쳐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 중인 식품을 항상 신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냉장고에 구비되는 제빙기는 물을 제빙용기에 자동으로 공급받고 제빙상태를 체크하여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된 얼음을 제빙용기로부터 자동으로 이탈시켜 얼음보관용기에 적재하도록 하고, 제빙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없이 얼음을 얻을 수 있어서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빙기는 얼음을 이빙하기 위하여 이젝터와 히터를 포함하는 타입과 트레이(tray)를 트위스트(twist)시키는 타입이 있다. 트레이를 트위스트시키는 타입의 제빙기에서는 히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이젝터와 히터를 포함하는 타입보다 높다. 트레이를 트위스트시키는 타입에서는 트레이를 트위스트시켰다가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하기 때문에 트레이를 정회전 뿐만 아니라 역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모터를 직류(DC) 모터를 사용한다. 종래에는 오랫동안 직류 모터로서 브러시(brush)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브러시 모터에 사용되는 카본(carbon)으로 형성되는 브러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브러시 모터 자체의 수명에 한계가 있고, 브러시 모터 주변(냉장고 내부)에 분진에 의한 오염이 발생한다. 또한, 브러시 모터 자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심하여 동작 시에 사용자에게 불쾌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브러시 모터의 운전시에 소모되는 전류량이 높고 브러시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높아서 결국 에너지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모터의 구동력이 아이이스트레이가 트위스트되는 과정에서 일률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효율적으로 제빙과정이 수행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1366559 호 (2014. 02. 26)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빙 트레이의 회전구간을 고속-저토크 및 저속-고토크 구간으로 구분하여 모터의 동력을 이빙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빙 트레이의 회전구간을 구분하되, 기 결정된 구간만큼 치차의 결합구간을 형성하여 두 기어의 결합으로 모터의 동력을 이빙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빙 트레이의 회전구간을 고속-저토크 및 저속-고토크 구간으로 구분하여 모터의 동력을 이빙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빙 트레이의 회전구간을 구분하되, 기 결정된 구간만큼 치차의 결합구간을 형성하여 두 기어의 결합으로 모터의 동력을 이빙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터에서 발생되는 분진 등에 의한 오염이 없는 제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터의 수명이 반영구적인 제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적은 제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음과 진동이 적은 제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터의 제어가 자유로운 제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냉장고에 마련되는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로 제어되는 제빙기이고, 제빙기는, 신호에 대응하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군; 및 기어군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고, 기어군은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빙 트레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회전구간를 형성하도록 회전시키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동력은 회전속도 및 회전범위가 상기 복수 개의 회전구간별로 다르게 전달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로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어군은, 모터부의 상기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회전동력에 의한 회전속도가 변속될 수 있는 변속비를 지닌 하나 이상의 기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기어와 연동되고 상기 제어박스 외측으로 변속된 회전을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기어군의 상기 출력부로부터 연장된 연결축과 일측부가 연결되어 상기 출력부가 전달하는 회전수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일측부의 회전각도가 타측부의 회전각도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상기 모터부의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하나 이상의 기어를 통해 전달받되, 회전 중에 두 개의 변속비를 통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모듈로 형성되는 제1출력부 및 제2출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출력부 및 상기 제2출력부는 회전중심이 동축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출력부 및 상기 제2출력부 각각의 연동되는 회전구간은 기 결정된 서로 다른 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1출력부 및 상기 제2출력부는 서로 다른 피치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출력부의 연동 및 상기 제2출력부의 연동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모터부는, 모터축이 상기 출력부의 상기 연결축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터축은 상기 모터부의 몸체와 편심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터부는 기어드(geared)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연동되는 기어와 제1출력부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제2출력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간보다 상기 제빙 트레이가 고속으로 회전되고, 상기 연동되는 기어와 제2출력부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제1출력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간보다 상기 제빙 트레이가 높은 토크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빙 트레이는, 일측부는 상기 제1출력부 및 상기 제2출력부의 상기 연동에 의한 회전 시에 회전되고, 상기 타측부는 상기 제1출력부의 상기 연동에 의한 회전 시에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빙 트레이는 탄성을 지니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축의 회전범위는 180도 이하이고, 상기 180도의 회전범위 내에서 회전속도 및 토크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축의 회전은 기 결정된 각도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동일한 각도만큼 복귀회전되는 것을 하나의 싸이클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한 번의 싸이클은 90초 내지 12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어군과 연동되어 상기 기어군이 전달하는 회전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만빙감지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빙 트레이의 수용부에 제빙수가 수용되는 양을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어군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어 중 상기 출력부와 연동이 되는 기어는, 상기 기 결정된 서로 다른 회전구간에서 상기 연동이 되기 전후로 자유회전하는 유동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모듈에 의해, 연동된 상기 출력부의 토크가 증가되고 회전속도가 감소하는 회전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출력부는, 제1출력부가 연동된 상태에서 회전대기 상태인 원점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와 직접 연동되는 제2기어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1기어 및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가 동축 상에서 기 결정된 각도만큼 슬라이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기 결정된 각도는 20도일 수 있다.
또한, 제2출력부의 기어이빨 중, 상기 제1출력부의 연동에서 상기 제2출력부의 연동으로 전환되는 시점의 개시부에 위치한 기어이빨은, 다른 기어이빨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에 기 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신호에 따른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연결부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기어부; 및 상기 모터부의 모터축에 마련되고, 상기 제1기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서로 맞물려서 연동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하고, 각각의 기어는 상기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반경 상에 형성되되, 서로 회전구간이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기어부와 대응되도옥 상기 제1기어부의 상기 복수 개의 기어의 각각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또한,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 간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제1기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리는 제1미들기어 및 상기 제2깅어부와 맞물리는 제2미들기어를 포함하는 제3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기어부는, 상기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 간의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미들기어 및 상기 제2미들기어가 배치되되, 상기 제1미들기어 및 상기 제2미들기어의 회전중심은 동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기어는 각각 제1맞기어 및 제2맞기어이고, 제1맞기어 및 상기 제2맞기어가 형성된 구간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되, 상기 모터축과 더 늦게 맞물리는 제1맞기어가 먼저 맞물리는 상기 제2맞기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기어는 제1맞기어 및 제2맞기어이고, 기 연결부 상에서 상기 제2맞기어보다 더 큰 반경거리를 두고 형성된 제1맞기어가 상기 모터축과 더 늦게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1기어부의 상기 복수 개의 기어는, 회전구간이 상기 상이한 회전속도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회전이 고속에서 저속으로 변경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상이한 회전속도는 상기 모터축의 회전속도 및 상기 제3기어부의 변속비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모터축은 정회전 및 역회전이 한 번의 사이클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에 상기 연결부의 회전속도가 달라지는 상기 회전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회전과 상기 역회전은 서로 회전각도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회전구간은 120도 및 40도를 포함하고, 다시 160도 만큼 복귀될 수 있다.
냉장고 내에 위치하는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로 제어되는 제빙기이고, 제어박스; 제어박스 내에 마련되는 제어부; 제어박스의 일측부에 위치되고, 제빙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냉장고 내에서 영하의 온도에 배치되는 제빙 트레이; 및 제빙 트레이와 연동이 되어 회전동력을 상기 제빙 트레이에 전달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가 회전되는 회전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스테핑 모터인, 모터부;를 포함하고, 회전구간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트위스트가 개시되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각도에 인접한 각도 전후의 위치로 구분되는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포함하는 정회전구간, 및 제3구간을 포함하는 역회전구간으로 구분되고, 회전은 상기 제1구간 및 상기 제3구간은 상기 제2구간보다 회전토크가 낮도록 펄스 제어되는 구간인, 제빙기가 제공된다.
냉장고 내에 위치하는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로 제어되는 제빙기이고, 제어박스; 상기 제어박스 내에 마련되는 제어부; 제어박스의 일측부에 위치되고, 제빙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냉장고 내에서 영하의 온도에 배치되는 제빙 트레이; 및 제빙 트레이와 연동이 되어 회전동력을 상기 제빙 트레이에 전달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가 회전되는 회전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스테핑 모터인, 모터부;를 포함하고, 회전구간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트위스트가 개시되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일측을 구속하는 스토퍼에 인접한 위치 전후로 구분되는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포함하는 정회전구간 및 제3구간을 포함하는 역회전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은 상기 제1구간, 상기 제2구간 및 상기 제3구간 순으로 행해지며, 제빙트레이가 상기 스토퍼에 인접하면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토크가 증가되도록 상기 제2구간의 회전이 펄스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빙 트레이에는 상기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빙기는 제어부 및 금수부를 더 포함한고,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빙 트레이에 제빙수의 제공을 제어하며, 상기 냉장고 내에서 영상의 온도에 배치되는 급수부응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부에 의해 구동? 수 있는 만빙감지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빙수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센서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또한, 모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부는 기어드(geared)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제빙 트레이는 탄성을 지니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빙 트레이의 회전구간을 고속-저토크 및 저속-고토크 구간으로 구분하여 모터의 동력을 이빙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빙 트레이의 회전구간을 구분하되, 기 결정된 구간만큼 치차의 결합구간을 형성하여 두 기어의 결합으로 모터의 동력을 이빙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빙 트레이의 회전구간을 고속-저토크 및 저속-고토크 구간으로 구분하여 모터의 동력을 이빙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빙 트레이의 회전구간을 구분하되, 기 결정된 구간만큼 치차의 결합구간을 형성하여 두 기어의 결합으로 모터의 동력을 이빙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터에서 발생되는 분진 등에 의한 오염이 없는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터의 수명이 반영구적인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적은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음과 진동이 적은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터의 제어가 자유로운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트레이의 트위스트를 나타낸 제빙 트레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군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군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군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에 의해 제빙 트레이의 연결부가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에 의해 제빙 트레이의 연결부가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은 모터부에 의해 제빙 트레이의 연결부가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드렝 따른 제빙 트레이가 회전되는 범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제어부, 신호송신부, 교차출력부, 신호수신부, 구동부 등의 구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보조적으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에 대하여 우선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 중 제어부, 신호송신부 및 교차출력부는 냉장고 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빙기(10) 측에는 신호수신부, 구동부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 즉, 신호송신부 및 교차출력부는 냉장고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냉장고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상기 제빙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후술되는데, 각 실시예에서는 제어부, 신호송신부, 교차출력부, 신호수신부, 구동부 등의 구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후술한다. 상기의 구성중 제어부, 신호송신부 및 교차출력부는 냉장고 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빙기 측에는 신호수신부, 구동부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 즉, 신호송신부 및 교차출력부는 냉장고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냉장고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상기 제빙기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빙기(10)는 냉장고의 냉동온도를 가지는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기(10)는 구동부(20) 및 제빙 트레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0)는 내부에 제빙수를 수용하는 수용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수용부(101)는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0)에는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1) 내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량을 감지하기 위하여 정전용량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0)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군(30; 31, 32)의 회전에 의해서 트위스트되었다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
기어군(30; 31, 32)은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어군(30; 31, 32)은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twist)시켜서 제빙 트레이(100) 내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어군(30; 31, 32)은 제빙 트레이(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군(30; 31, 32)은 하나 이상의 기어 및 제빙 트레이(100)와 연결된 출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40)에서 전달된 회전력을 변속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어는 출력부(120)와 맞물려서 기 결정된 구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부(40)는 기어드(geared) 스테핑(stepping) 모터일 수 있다. 기어드 스테핑 모터는 펄스 신호를 인가할 때마다 일정한 각도씩 회전될 수 있고, 입력된 펄스 신호의 수와 모터의 회전각도가 비례한다. 따라서, 입력 펄스를 제어함으로써 모터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변속을 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40)가 브러시모터일 경우에는, 카본(carbon)으로 형성된 브러시의 수명이 제한적이고, 카본 브러시에서 발생되는 카본 분진에 의해 모터 주변이 오염된다. 또한, 브러시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크고, 브러시모터의 운전시에는 소비되는 전류가 높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브러시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온도가 크게 상승되어 에너지 소모가 클 수 있다. 그에 반해, 스테핑 모터는 운전에 의해 소모되는 전류가 낮고, 작동시의 소음 및 진동이 작다. 또한, 스테핑 모터의 운전시에 발생되는 열이 낮아서 에너지 효율이 높다. 또한, 카본 브러시가 없기 때문에 카본 가루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이 없고 마모가 되지 않음으로, 수명이 반영구적일 수 있다.
제빙기(10)는 모터부(40)에 의한 제빙 트레이(10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위치는 제빙 트레이(100)의 각 양단의 위치가 될 수 있다.
기어군(30; 31, 32)은 모터부(40)에서 발생되는 회전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토크(torque)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고 토크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기어군(30; 31, 32)은 만빙감지레버(미도시됨)와도 연결되어서,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시킬 뿐만 아니라 제빙기(10)에서 생성되어 얼음 저장부(미도시됨)에 저장되는 얼음의 양을 측정하는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20)는 그 내부에 모터부(40) 및 기어군(30; 31, 32)이 수용될 수 있으며, 출력기어(130)가 제빙 트레이(1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의 일측에는 구동부(20) 하부에 위치하는 얼음 저장통 내에 저장되는 얼음의 만빙감지를 위하여 만빙감지용 발광부 및 수광부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즉, 구동부(20)의 일측에 위치하는 발광부 및/또는 수광부는 얼음에 비치는 빛의 반사정도에 따라서 얼음의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동부(2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제빙 트레이(100)가 트위스트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0)가 트위스트되기 위해서,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은 기 결정된 회전거리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정지하고, 제빙 트레이(100)의 타측은 기 결정된 회전거리보다 더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 트레이(100)의 양측이 회전하는 회전 거리가 서로 다름으로써, 제빙 트레이(100)가 트위스트될 수 있다.
모터부(40)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부(미도시됨)는 제빙기(10) 내에 위치하거나 냉장고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 제어부가 제빙기(10)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모터부(40)의 일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됨)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모터부(40)는 스테핑 모터이기 때문에 모터 제어부는 제어 파형을 공급받음으로써 모터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터부(40)의 구동파형에 의한 위치 신호가 모터 제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터 제어부는 모터부(40)의 회전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부는 모터부(40)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버일 수 있다.
모터부(40)인 스테핑 모터는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부(40) 만으로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시켰다가 원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시키는 것은 모터부(40)에 의하고, 제빙 트레이(100)를 다시 원위치시키는 것은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에 장착되는 탄성 부재(미도시됨)에 의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빙기(10)는 제어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신호송신부, 교차출력부, 신호송신부 및 드라이브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에 포함된 신호송신부는 전기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전기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구동부(2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신호송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기신호는 교차출력부에 의해 신호수신부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되는 방향은 전기신호에 최종적으로 전기신호가 전달될 구동부의 동작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냉장고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기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전기신호가 펄스 형태로 전달될 경우 상이한 pps(pulse per secomd)로 전달되어 각 pps(pulse per secomd)는 각각 특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180pps로 전달될 경우에는 정회전 500pps로 전달될 경우에는 역회전으로 구동부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방향과 관련된 정보뿐만아니라, 회전각도 및 토크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0, 1, -1 등의 디지털 신호일 경우에는 복수 개의 신호선마다 전달되는 신호조합의 결과로 회전속도, 회전방향, 회전각도 및 토크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전기신호는 바이폴라(bipolar) 형식일 수 있다. 물론, 유니폴라(unipolar) 형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 0 의 신호인 디지털 신호일 경우에도 각 신호의 조합을 통해 회전속도, 회전방향, 회전각도 및 토크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전기신호는 바이폴라(bipolar) 및 유니폴라(unipolar)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에 포함된 교차출력부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는 신호수신부로 수신되어, 구동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받아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 드라이브 및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브는 모터부(40)가 구동되는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모터부(40)가 회전되는 회전정보를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생산은 기 수신받은 전기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으로서 기 결정된 규칙에 의할 수 있고, 상기 기 결정된 규칙은 상술한 전기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대하여 기술한 내용에 해당한다.
상기 드라이브에서 모터부(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정보가 생산되면, 모터부(40)로 전달되고, 모터부(40)는 기 결정된 회전정보에 대응되는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모터부(40)가 회전되는 동력은 외부에서 별도로 전원선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신호를 보내는 전압은 5V, 모터부(40)를 구동시키는 전압은 12V가 될 수 있다. 상기 전원선은 구동부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은 드라이브 또는 모터부(40)로 연결되어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된 상기 동력은 모터부(40)를 회전시키고 구동부(10)의 축과 연결되어 있는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0)는 일측부가 모터부(40)와 연결되어 모터부(40)의 회전에 따라 전구간 함께 회전되고, 타측부는 스토퍼(미도시) 등에 걸려서 기 결정된 구간만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구간은 상기 전구간보다 적은 범위에 해당하며, 상시 전구간만큼이 제외된 기 결정된 구간은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부만 회전되게 되므로, 제빙 트레이(100)는 트위스트(twist)될 수 있다. 제빙수를 수용하고 영하의 온도에 배치되는 제빙 트레이(100)는 상기 제빙수가 얼음으로 상태변화하면 이를 제빙하기 위해 제빙 트레이(100)가 트위스트가 되어 상기 얼음이 제빙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을 위해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시키는데, 이 때 모터부(40)를 구동하여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시킬 수 있고, 모터부(40)는 전기신호를 기초로 드라이브에 의해 회전정보로 생산되어 전달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정보가 될 전기신호를 교차출력부의 선택적인 전송에 의해 결정이 되어, 이빙을 행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구성 중 일부 구성은 미포함되어 전기신호 및 회전신호의 송출방식을 달리하여 모터부(40)의 회전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트레이(100)의 트위스트를 나타낸 제빙 트레이(1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터부(40)는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부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동력은 제빙 트레이(100)의 양측부이 아닌, 일측부에만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동력이 전달되면, 제빙 트레이(100)는 정회전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정회전 방향이 복수 개의 구간으로 분리되어, 일부의 구간만 제빙 트레이(100)의 양단이 함께 회전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제빙 트레이(100)의 일단, 즉, 모터부(40)와 연결된 상기 일측부만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타측부는 기 결정된 회전각도까지 회전될 수 있도록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회전이 저지될 수 있고, 일측부에 계속해서 모터부(40)에 의해 회전동력이 전달되므로,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부는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 트레이(100)는 트위스트(twist)될 수 있다. 상기 트위스트는 제빙 트레이(100)에 제빙수가 수용되고, 영하의 온도에서 제빙수가 얼음의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제빙 트레이(100)의 수용부와 고착될 수 있는데 이를 분리하여 이빙하기 위한 트위스트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자중방향으로 얼음이 자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기 결정된 각도회전된 이후에 제빙 트레이(100)의 트위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기 결정된 각도회전은 제빙 트레이(100)의 양단부가 함께 회전되는 각도가 될 수 있고, 트위스트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트위스트가 완료되는 지점까지의 회전구간은 제빙 트레이(100)의 상기 일측부만이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제빙 트레이(100)가 트위스트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도록한다. 물론,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실시예일지라도, 기어의 변속비 또는 회전속도 및 공급전력 등의 변화를 통해 변형실시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3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군(30; 31, 32)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어군(30; 31, 32)은 제1기어(212), 제2기어(212) 및 출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기어군(30; 31, 32)에 포함된 변속구성은 상기 세가지 구성이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하나 이상의 변속가능한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기어(212)는 제1-1기어(111) 및 제1-2기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기어(111)는 모터부(40)의 회전동력이 최초로 전달되는 기어군(30; 31, 32)에 포함된 기어로서, 제1-2기어(112)보다 피치원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1기어(111) 및 제1-2기어(112)는 회전중심축이 동일하므로, 제1-1기어(111)에 전달된 모터부(40)의 회전동력은 제1-2기어(112)에 전달되어 감속된 회전속도가 제2기어(21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12)의 제2-1기어(113)로 전달된 회전동력은 출력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20)는 제2-1기어(113)와 제1출력부(121)의 결합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212)는 제2-1기어(113) 및 제2-2기어(114)를 포함하는데, 제2-2기어(114)의 피치원은 제2-1기어(113)의 피치원보다 작게 형성되며 회전중심축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부(121)는 출력부(120)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으로 모두 형성되어 있지는 않으며, 기 결정된 구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부(120)는 출력부(120)의 회전구간 중에서 기 결정된 구간만큼 제2-1기어(113)와 제1출력부(121)의 결합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부(121)와 제2-1기어(113)의 연동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기 결정된 구간 이후에는 출력부(120)에 포함되는 제2출력부(122)와 제2-2기어(114)의 연동에 의해 출력부(120)가 회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기어(212)에 포함되는 제2-1기어(113)기어와 제2-2기어(114)의 동일한 회전중심축과 상이한 피치원에 의해, 제2기어(212)의 제2-1기어(113) 및 제2-2기어(114)과 연동되는 출력부(120)는 회전속도 및 토크가 회전구간별로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군(30; 31, 32)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출력부(120) 및 제2기어(211)의 연동에 의해 제빙 트레이(100)의 회전속도, 회전범위(회전각도) 및 토크 등을 알 수 있다. 모터부(40)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동력이 제1기어(212)를 통해 변속을 거치면서 회전수가 저하되고 제2기어(212)에 전달되면서 토크가 증가될 수 있다. 회전수 저하와 토크의 증가는 모터부(4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전제를 할 때 서로 반비례관계가 될 수 있으므로 각 수치의 증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회전동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신호 또는 전력 등의 요인으로 달라질 수 있으나, 변속비 및 기어군(30; 31, 32)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정한 회전동력이 제공되는 상황을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기어군(30; 31, 32)에서는 모터축(도 4의 41a)에 마련되는 피니언(12)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제1기어(212) 및 제2기어(212)가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물론, 회전은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고, 이러한 제어는 제어부를 통해 스테핑 모터인 모터부(40)가 회전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되는 기어부(100)의 구성인 제1기어(212) 및 제2기어(212)가 있는 반면에, 출력부(120)는 회전속도가 회전구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출력부(120)에 포함된 제1출력부(121) 및 제2출력부(122)가 각각 제2기어(212)의 제2-2기어(114) 및 제2-1기어(113)와 서로 맞물려 회전되되, 출력부(120)에 형성된 기어이빨(jaw)이 피치원 방향으로 일부구간 형성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어이빨(jaw)은 제1출력부(121) 및 제2출력부(122)에 모두 형성되어 있으나, 일부구간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일부구간은 출력부(12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기 결정된 각도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출력부(121) 및 제2출력부(122)에 기어이빨(jaw)이 형성된 기 결정된 각도는 서로 중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상기 기 결정된 각도는 전구간(360도) 각도 상에서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출력부(121)가 제2-2기어(114)와 연동되어 맞물려서 제1출력부(121)의 기어이빨(jaw)이 형성된 각도만큼 이루어지는 회전이 고속회전이라고 할 때, 제2출력부(122)가 제2-1기어(113)와 연동되어 맞물려서 제1출력부(121)의 기어이빨(jaw)이 형성된 각도만큼 이루어지는 회전은 고토크회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의 고속 및 고토크는 제1출력부(121) 및 제2출력부(122)가 기어군(30; 31, 32) 내에서 연동되어 회전될 때 서로 상대적으로 증가된 효과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기어군(30; 31, 32) 내에서 출력부(120)와 연동이 되는 제2기어(212)는, 출력부(120)와 연동이 되기 전후로 자유회전하는 유동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 결정된 구간에 기어이빨(jaw)이 형성된 출력부(120)와의 연동은 구간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제1출력부(121) 및 제2출력부(122)와의연동이 되지 않은 상태의 제2-1기어(113) 및 제2-2기어(114)는 자유회전하는 유동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모듈에 의해, 연동된 출력부(120)의 토크가 증가되고 회전속도가 감소하는 회전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출력부(121)는, 제1출력부(121)가 연동된 상태에서 회전대기 상태로 배치된 것을 시각정보 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즉, 원점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특정 기어이빨(jaw)의 색이 인적한 기거이발(jaw)과 다르거나 눈금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미도시)의 위치에 따라, 원점상태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2출력부(122)의 기어이빨 중, 제1출력부(121)의 연동에서 상기 제2출력부(122)의 연동으로 전환되는 시점의 개시부에 위치한 기어이빨은, 다른 기어이빨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부는, 제2-1기어(113)와의 치합의 과정에서 제2-1기어(113)의 기어이빨과 제2출력부의 기어이빨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하며, 제2출력부(122)의 전체 기어이빨이 형성되는 구간의 0% 초과 50% 이하의 구간일 수 있다.
나아가, 출력부(120)의 고속회전 및 고토크회전은 출력축(123)과 연결된 제빙 트레이(1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제빙 트레이(100)를 고속회전 또는 고토크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군(30; 31, 32)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터부(40)의 몸체로부터 일방향으로 모터축(41a)이 연장되고, 연장된 모터축(41a)에 피니언(1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12)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기어군(30; 31, 32)은 출력축(133)을 통해 제빙 트레이(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0)와 연결되는 출력축(133)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모터축(41a)이 모터부(40)의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일 수 있다. 구동부(20) 내에 위치된 기어군(30; 31, 32) 및 모터(10)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배치됨으로서 구동부(20)의 부피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박스의 부피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터부(40)로서 기어드(geared) 모터가 채용될 수 있다. 기어드(geared) 모터가 채용됨으로써, 모터부(40)에 내장된 로터의 회전중심(MC)과 몸체 외부로 연장되는 모터축(41a) 간의 편심거리(E)가 형성될 수 있다. 편심거리(E)에 의해 모터부(40)의 몸체를 구동부(20) 내측으로 보다 인접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즉, 로터회전중심(MC)과 모터축(41a)의 중심 간에 형성되는 편심거리(E)에 의해 구동부(20) 내측으로 모터부(40)를 배치시킴으로써 구동부(20)를 보다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212)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출력부(32; 12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기어(212)는 제2-1기어(113)와 제2-2기어(114)의 결합에 의해 작동이 될 수 있다. 상기 작동이란, 회동각(R)만큼 제2-1기어(113)와 제2-2기어(114)가 각도유격이 발생하여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회동각(R)은 제2-1기어(113)와 제2-2기어(114)의 회전속도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회전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회동각(R)은 20도가 될 수 있다.
제1출력부(121) 및 제2출력부(122)가 연동될 시의 모듈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회전속도 차이가 발생하고 회전동력의 전달경로가 제1출력부(121)에서 제2출력부(122)로 이동되는 순간 속도차이가 발생하므로 회동각(R)이 형성되지 않으면 기어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의 회전속도차를 수용하기 위한 회동각(R)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제2-1기어(113) 내측에 제2-2기어(114)가 결합되어 슬라이드부는 가이드부 내에서 회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40)에 의해 제빙 트레이(100)의 연결부(210)가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를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연결부(210) 측에 형성된 기어, 모터부(40)의 모터축(40a) 측에 형성된 기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어부의 경우, 제1맞기어(222) 및 제2맞기어(221)를 포함하고, 제2기어부의 경우, 제1기어(212) 및 제2기어(211)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연결부(210) 및 상기 연결부(210)과 연동되는 모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10)은 모터부(40)와 연결되는 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기어의 치합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상기 기어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2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을 달리하여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맞기어(222) 및 제2맞기어(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맞기어(222) 및 제2맞기어(221)는 서로 반경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원주방향의 형성각도 또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맞기어(222) 및 제2맞기어(221)는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중첩된 구간을 회피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맞기어(222)와 맞물리는 제1기어(212), 제2맞기어(221)와 맞물리는 제2기어(211)가 서로 동시에 맞물리는 상태를 피하기 위함이다. 서로 동시에 맞물리게 되면, 연결부(210)상에서 서로 다른 반경에 위치한 제1맞기어(222) 및 제2맞기어(221)가 회전속도가 달라서 회전에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모터부(40)는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모터축(40a)이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축(40a)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기어(212) 및 제2기어(21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기어(212) 및 제2기어(211)는 각각 제1맞기어(222) 및 제2맞기어(22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모터축(40a)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40)에 의한 회전동력은 우선, 제2기어(211) 및 제2맞기어(221) 간의 맞물림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회전력 전달에 의해 연결부(210)가 회전되는 각도는 제2맞기어(221)의 형성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며 앞서 설명한 내용에 따르면, 제2맞기어(221)의 형성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회전각도는 제빙 트레이(100)의 양단부가 함께 회전되는 회전구간으로 트위스트는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제2맞기어(221)의 형성구간이 끝나면, 제1기어(212)와 제1맞기어(222) 간의 맞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는 모터부(40)의 회전속도가 동일하여도, 제2기어(211)와 제2맞기어(221) 간의 맞물림에 의해 행해진 회전에 비해 회전속도는 감소하고 토크는 증가할 수 있다. 즉, 제1기어(212)와 제1맞기어(222)의 맞물림에 의한 회전은 트위스트를 목적으로 하는 회전일 수 있다. 회전속도 및 토크는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나, 연결부(210)에 형성된 맞기어(131, 141)의 반경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경이 2배가 되면 토크는 2배로 증가하고 속도는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고 반경이 절반이 되면 토크는 절반이 되고 속도는 2배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큰 토크가 필요한 구간, 즉, 이빙구간인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하는 구간에서는 제1기어(212)와 제1맞기어(222)가 맞물리어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이빙되기 전 회전구간에서는 제2기어(211) 및 제2맞기어(221)가 서로 맞물려서 회전되도록 한다. 회전구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40)에 의해 제빙 트레이(100)의 연결부(210)가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를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연결부(210) 측에 형성된 기어, 모터부(40)의 모터축(40a) 측에 형성된 기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어부의 경우, 웜기어(310)를 포함하고, 제2기어부의 경우, 웜휠(321)를 포함한다.
도 8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연결부(210) 및 상기 연결부(210)과 연결되는 모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20)는 모터부(40)와 연결되는 면에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는 웜휠(321)이 될 수 있고, 연결부(3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웜휠(321)은 모터부(40)로부터 연장된 모터축(40a)의 외주면에 형성된 웜기어(310)와 맞물려 회전이 될 수 있다. 즉, 웜기어(310)와 연결부(220)에 형성된 웜휠(321)이 서로 맞물려 회전되므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웜기어(130a)의 회전속도와 연결부(220)의 회전속도는 비례적으로 증감될 수 있다.
여기서, 웜기어(3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력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이 펄스단위로 공급될 경우, 펄스의 높고 낮음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연결부(220)의 회전속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때, 500pps로 공급되고, 토크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때는 400pps로 공급할 수 있다. 낮아진 펄스는 저 낮은 회전수와 더 높은 토크를 전달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빙 트레이(100)로부터 자중방향으로 얼을이 떨어질 수 있는 각도까지 제빙 트레이(100)를 회전시킬 때는 500pps로 공급하고,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시킴으로써, 제빙 트레이(100)로부터 얼음을 제빙할 때는 400pps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의 공급차는 상술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속도 및 토크를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40)에 의해 제빙 트레이(100)의 연결부(430)가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를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연결부(430) 측에 형성된 기어, 모터부(40)의 모터축(40a) 측에 형성된 기어를 의미하며, 제3기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3기어부는 이하에서 제1미들기어(422) 및 제2미들기어(421)를 포함하는 미들기어(420)로 기재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어부의 경우, 소기어(410)를 포함하고, 제2기어부의 경우, 연결부(4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기어부(150, 160)는 소기어(410)와 맞물리는 제1미들기어(422) 및 연결부(430)의 외주면과 맞물리는 제2미들기어(421)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연결부(430) 및 상기 연결부(210)와 연결되는 모터부(40) 및 상기 모터부(40)와 상기 연결부(430) 사이에 배치되어 모터부(40)의 회전동력을 연결부(430)으로 전달하는 미들기어(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들기어(420)는 제1미들기어(422)와 제2미들기어(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미들기어(422)는 연결부(210)과 맞물려 회전될 수 있고, 제2미들기어(421)는 모터부(40)의 소기어(170)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소기어(410)는 모터부(40)의 모터축(40a)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모터부(4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동력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미들기어(150, 160)는 형성된 기어 이의 방향이 제1미들기어(150)와 제2미들기어(160)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모터부(40)가 제어박스(미도시) 내에 위치될 경우 제빙기(10)의 부피를 감소하기 위해 모터부(40)와 제빙 트레이(100)의 배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미들기어(150, 160)로 인한 동력전달 방향은 예시와 다르게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미들기어(420)는 제1미들기어(422)와 연결부(210)가 맞물리는 제1연결부(431)와 제2미들기어(421)와 소기어(410)가 맞물리는 제2연결부(411)의 위치에 따라 모터축(40a)의 회전속도와 연결부(210)의 회전속도 간에 변속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31)와 제2연결부(411)의 위치인, 각각이 제3기어부(즉, 제1미들기어(150) 및 제2미들기어(160))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 변속비는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미들기어(420)에 의해 변속비가 결정되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이 펄스단위로 공급될 경우, 펄스의 높고 낮음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연결부(210a)의 회전속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때, 500pps로 공급되고, 토크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때는 400pps로 공급할 수 있다. 낮아진 펄스는 저 낮은 회전수와 더 높은 토크를 전달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빙 트레이(100)로부터 자중방향으로 얼을이 떨어질 수 있는 각도까지 제빙 트레이(100)를 회전시킬 때는 500pps로 공급하고,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시킴으로써, 제빙 트레이(100)로부터 얼음을 제빙할 때는 400pps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의 공급차는 상술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속도 및 토크를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빙 트레이(100)가 회전되는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출력부(120)의 회전에 따른 제빙 트레이(100)의 회전범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제빙 트레이(100)의 양측부는 회전될 수 있고 회전은 제1구간 제2구간 및 제3구간으로 구분되며, 이를 이하에서는 각각 A-B 구간, B-C 구간 및, C-A구간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에 포함된 출력부(120)에 의해 회전되는 제빙 트레이(100)의 회전각도 범위의 일 예로서, 제빙 트레이(100)에 제빙수가 공급되고 영하의 온도환경에 의해 얼음으로 상태가 변경되면, 제빙이 행해질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함으로써, 얼음을 제빙할 수 있다.
제빙은 기본적으로 모터부(40)에 의한 정회전 및 역회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모터부(40)에 의해 정회전이 될 때 약 160도 회전된다면, 역회전을 160도 회전되어 정회전 및 역회전이 수행된 후에는 제빙 트레이(100)가 원점에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역회전이 상기 원점에 복귀하는 과정이고 상기 정회전이 제빙하기 위한 과정일 때, 상기 정회전은 A-B 및 B-C로 회전구간이 나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160도는 일 예로서 180도 이하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정회전 및 정회전을 한 회전범위만큼 다시 역회전을 수행하는 과정이 한 번의 싸이클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일 예로, A-B 구간(전회전구간) 및 C-A 구간(역회전구간)은 1 RPM 으로 회전되고, 토크는 10 kgfcm 가 될 수 있다. 그리고 B-C 구간(정회전구간)은 0.25 RPM 으로 회전되고, 토크는 40 kgfcm 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번의 싸이클을 수행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은 A-C 구간의 각도 범위에 따라 다르나, 예를 들면 90초 내지 120초 가 될 수 있다. 물론 회전 속도에 따라 달라지면 회전속도는 앞서 설명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이빙을 위해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시키는 B-C 구간과 고속회전을 하는 A-B 구간 및 C-A 구간에서의 기어비는 서로 상이하고 일 예로 1.5 배 내지 4.7 배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도 5에서는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에 마련된 연결부(220)의 회전중심(O)을 기준으로 A-B 구간(제 1 구간)만큼 제빙 트레이(10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 제1출력부에 의한 고속회전에 해당하며, 상기 회전은 제빙 트레이(100)가 트위스트되지 않고, 제빙 트레이(100)가 출력부(120)와 연결된 일측부 및 타측부를 포함하는 양단부가 함께 동일한 회전각도만큼 회전되는 구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A-B 구간은 얼음이 자중에 의해 자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정도의 각도가 될 수 있고, 예를 들면 90도 이상의 각도일 수 있고, 구체적인 일 예로는 120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B 지점에서 C 지점으로, 출력부(120)의 회전에 의해 출력축(123)과 연결된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부가 회전이동되면, 타측부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 등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정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일측부가 출력축(123)에 의해 전달받은 회전동력은 일측부에 가해서 제빙 트레이(100)가 트위스트될 수 있다(제 2 구간). 이미 A-B 구간을 회전한 제빙 트레이(100)는 트위스트됨에 따라 이빙된 얼음이 자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얼음이 제빙된 후에는 제빙 트레이(100)가 원점인 A지점으로 복귀(제 3 구간)하게 된다.
따라서, 제1출력부(121)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간에서는 제빙 트레이(100)의 양단이 B 지점으로 회전이동되고, 제2출력부(122)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간에서는 제빙 트레이(100)의 양단 중 출력축(123)과 연결된 상기 일측부만 C 지점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간은, 상기 제빙 트레이(100)가 트위스트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미도시)에 인접한 위치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포함하는 정회전구간, 및 제3구간을 포함하는 역회전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100)의 회전은 상기 제1구간, 상기 제2구간 및 상기 제3구간 순으로 행해지며, 상기 제빙 트레이(100)의 타측부가 상기 스토퍼(미도시)에 인접하면 출력부(120)의 회전 토크가 증가되도록 상기 제2출력부(122)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제빙 트레이(100)의 회전속도가 저하되도록 낮은 펄스수(pulse per second)에 의해 상기 제2구간의 회전이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구간은 제빙 트레이(100)의 트위스트가 개시되는 제빙 트레이(100)의 회전각도에 인접한 각도 전후의 위치로 구분되는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포함하는 정회전구간, 및 제3구간을 포함하는 역회전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은 제1구간, 제2구간 및 제3구간 순으로 행해지며, 제1구간 및 제3구간은 상기 제2구간보다 회전 토크가 감소되도록 펄스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간 및 제3구간은 제2구간보다 높은 펄스수(pulse per second)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연결부(220)의 회전경로를 구분하면 A-B구간(제 1 구간), B-C구간(제 2 구간) 및 C-A구간(제 3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A-B구간은 얼음이 자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각도를 마련하기 위한 회전이고, B-C구간은 모터부(40)의 회전동력으로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시켜, 제빙하는 회전이다. 또한, C-A구간은 제빙 트레이(100)가 원점으로 복귀함에 따라, 제빙수를 다시 수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회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을 지닌 수지재로 제빙 트레이(100)가 형성될 경우 제빙 트레이(100)를 회전시키는 A-B 구간보다 B-C 구간에서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시킬 때의 토크가 더 크게 요구되므로 회전속도를 감소하고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회전속도와 토크 간의 관계는 이미 앞선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부(40)로부터 동일한 회전동력이 제공될 때 변속비를 통한 회전속도의 변화는 토크를 변화시키고 이 때, 회전속도와 토크는 서로 반비례로 변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회전동력이 전달되어도 기어비를 구간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회전속도 및 토크를 변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세 구간 중에서 토크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구간은 B-C구간이며, A-B 구간 및 C-A 구간은 속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각 구간의 각도는 일 예이며, 구간별 회전각도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부(40)는,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나아가 스테핑 모터임과 동시에 기어드(geared) 모터일 수 있다. 상기 모터부(40)로부터 모터축(40a)이 연장된 측면에 복수 개의 기어가 마련되어 변속비가 조절됨으로써 모터부(40)의 회전수를 증감시킬 수 있다. 물론 회전수와 토크는 반비례할 수 있으므로, 회전수와 토크를 고려하여 당업자는 기어드(geared) 모터의 기어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제빙기
20 : 구동부
30 : 기어군
40 : 모터부
41 : 피니언
41a : 모터축
42 : 기어드
31, 110 : 기어부
100 : 제빙 트레이
101 : 수용부
111 : 제1-1기어
112 : 제1-2기어
113 : 제2-1기어
114 : 제2-2기어
32, 120 : 출력부
121 : 제1출력부
122 : 제2출력부
123 : 출력축
150 : 고속연결부
160 : 고토크연결부
211 : 제2기어
212 : 제1기어
220a : 연결부
221 : 제2맞기어
222 : 제1맞기어
310 : 웜기어
321 : 웜휠
410 : 소기어
411 : 제2연결부
420 : 미들기어
421 : 제2미들기어
422 : 제1미들기어
431 : 제1연결부
E : 편심거리
MC : 로터회전중심
A : 제1지점
B : 제2지점
C : 제3지점
O : 연결부 회전중심

Claims (42)

  1. 냉장고에 마련되는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로 제어되는 제빙기이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군; 및
    상기 기어군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군은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빙 트레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회전구간을 형성하도록 회전시키며,
    상기 기어군은,
    상기 모터부의 상기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회전동력에 의한 회전속도가 변속될 수 있는 변속비를 지닌 하나 이상의 기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기어와 연동되고 제어박스 외측으로 변속된 회전을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와 직접 연동되는 제2기어는,
    제2-1기어 및 제2-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1기어의 상기 출력부와의 연동에 대해 상기 제2-2기어의 일부가 동축 상에서 기 결정된 각도만큼 상기 출력부에 대해 슬라이드 회동이 가능한, 제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동력은 회전속도 및 회전범위가 상기 복수 개의 회전구간별로 다르게 전달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빙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기어군의 상기 출력부로부터 연장된 연결축과 일측부가 연결되어 상기 출력부가 전달하는 회전수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일측부의 회전각도가 타측부의 회전각도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제빙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모터부의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하나 이상의 기어를 통해 전달받되, 회전 중에 두 개의 변속비를 통해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모듈로 형성되는 제1출력부 및 제2출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출력부 및 상기 제2출력부는 회전중심이 동축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출력부 및 상기 제2출력부 각각의 연동되는 회전구간은 기 결정된 서로 다른 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1출력부 및 상기 제2출력부는 서로 다른 피치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출력부의 연동 및 상기 제2출력부의 연동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제빙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모터축이 상기 출력부의 상기 연결축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은 상기 모터부의 몸체와 편심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빙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기어드(geared) 스테핑 모터인, 제빙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동되는 기어와 제1출력부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제2출력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간보다 상기 제빙 트레이가 고속으로 회전되고,
    상기 연동되는 기어와 제2출력부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제1출력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간보다 상기 제빙 스트레이가 높은 토크로 회전되는, 제빙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상기 일측부는 상기 제1출력부 및 상기 제2출력부의 상기 연동에 의한 회전 시에 회전되고,
    상기 타측부는 상기 제1출력부의 상기 연동에 의한 회전 시에만 회전되는, 제빙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탄성을 지니는 수지재로 형성되는, 제빙기.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회전범위는 180도 이하이고,
    상기 180도의 회전범위 내에서 회전속도 및 토크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구간이 형성되는, 제빙기.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회전은 기 결정된 각도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동일한 각도만큼 복귀회전되는 것을 하나의 싸이클로 작동되는, 제빙기.
  14. 삭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군과 연동되어 상기 기어군이 전달하는 회전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만빙감지레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의 수용부에 제빙수가 수용되는 양을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센서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군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어 중 상기 출력부와 연동이 되는 기어는, 상기 기 결정된 서로 다른 회전구간에서 상기 연동이 되기 전후로 자유회전하는 유동구간이 형성되는, 제빙기
  1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모듈에 의해,
    연동된 상기 출력부의 토크가 증가되고 회전속도가 감소하는 회전구간이 형성되는, 제빙기.
  1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부는,
    상기 제1출력부가 연동된 상태에서 회전대기 상태인 원점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20. 삭제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 결정된 각도는 20도인, 제빙기.
  2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출력부의 기어이빨 중,
    상기 제1출력부의 연동에서 상기 제2출력부의 연동으로 전환되는 시점의 개시부에 위치한 기어이빨은, 다른 기어이빨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제빙기.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군은,
    상기 제빙 트레이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에 기 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신호에 따른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연결부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기어부; 및
    상기 모터부의 모터축에 마련되고, 상기 제1기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서로 맞물려서 연동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하고, 각각의 기어는 상기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반경 상에 형성되되, 서로 회전구간이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기어부와 대응되도옥 상기 제1기어부의 상기 복수 개의 기어의 각각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제빙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 간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동력을 상기 제1기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리는 제1미들기어 및 상기 제2기어부와 맞물리는 제2미들기어를 포함하는 제3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기어부는,
    상기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 간의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미들기어 및 상기 제2미들기어가 배치되되, 상기 제1미들기어 및 상기 제2미들기어의 회전중심은 동축 상에 위치되는, 제빙기.
  25. 청구항 2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기어는 각각 제1맞기어 및 제2맞기어이고,
    상기 제1맞기어 및 상기 제2맞기어가 형성된 구간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되, 상기 모터축과 더 늦게 맞물리는 제1맞기어가 먼저 맞물리는 상기 제2맞기어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빙기.
  26. 청구항 2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기어는 제1맞기어 및 제2맞기어이고,
    상기 연결부 상에서 상기 제2맞기어보다 더 큰 반경거리를 두고 형성된 제1맞기어가 상기 모터축과 더 늦게 맞물리는, 제빙기
  27.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의 상기 복수 개의 기어는, 회전구간이 상기 상이한 회전속도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회전이 고속에서 저속으로 변경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제빙기.
  28.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이한 회전속도는 상기 모터축의 회전속도 및 상기 제3기어부의 변속비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 제빙기.
  29.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은 정회전 및 역회전이 한 번의 사이클로 행해지는, 제빙기.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에 상기 연결부의 회전속도가 달라지는 상기 회전구간이 형성되는, 제빙기.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정회전과 상기 역회전은 서로 회전각도가 동일한, 제빙기.
  32.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간은 120도 및 40도를 포함하고, 다시 160도 만큼 복귀되는, 제빙기.
  33. 냉장고 내에 위치하는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로 제어되는 제빙기이고,
    제어박스;
    상기 제어박스 내에 마련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부에 위치되고, 제빙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냉장고 내에서 영하의 온도에 배치되는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 트레이와 연동이 되어 회전동력을 상기 제빙 트레이에 전달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가 회전되는 회전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스테핑 모터인,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모터부의 상기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회전동력에 의한 회전속도가 변속될 수 있는 변속비를 지닌 하나 이상의 기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기어와 연동되고 상기 제어박스 외측으로 변속된 회전을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와 직접 연동되는 제2기어는, 제2-1기어 및 제2-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1기어의 상기 출력부와의 연동에 대해 상기 제2-2기어의 일부가 동축 상에서 기 결정된 각도만큼 슬라이드 회동이 가능한 기어군;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간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트위스트가 개시되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각도에 인접한 각도 전후의 위치로 구분되는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포함하는 정회전구간, 및 제3구간을 포함하는 역회전구간으로 구분되고, 회전은 상기 제1구간 및 상기 제3구간은 상기 제2구간보다 회전토크가 낮도록 펄스 제어되는 구간인, 제빙기.
  34. 냉장고 내에 위치하는 냉장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로 제어되는 제빙기이고,
    제어박스;
    상기 제어박스 내에 마련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부에 위치되고, 제빙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냉장고 내에서 영하의 온도에 배치되는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 트레이와 연동이 되어 회전동력을 상기 제빙 트레이에 전달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가 회전되는 회전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스테핑 모터인,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모터부의 상기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회전동력에 의한 회전속도가 변속될 수 있는 변속비를 지닌 하나 이상의 기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기어와 연동되고 상기 제어박스 외측으로 변속된 회전을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와 직접 연동되는 제2기어는, 제2-1기어 및 제2-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1기어의 상기 출력부와의 연동에 대해 상기 제2-2기어의 일부가 동축 상에서 기 결정된 각도만큼 슬라이드 회동이 가능한 기어군;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간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트위스트가 개시되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일측을 구속하는 스토퍼에 인접한 위치 전후로 구분되는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포함하는 정회전구간 및 제3구간을 포함하는 역회전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은 상기 제1구간, 상기 제2구간 및 상기 제3구간 순으로 행해지며,
    상기 제빙트레이가 상기 스토퍼에 인접하면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토크가 증가되도록 상기 제2구간의 회전이 펄스 제어되는, 제빙기.
  3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에는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가 마련되는, 제빙기.
  36. 삭제
  37.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만빙감지레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38.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에 수용된 제빙수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센서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39.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기어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40. 청구항 23에 있어서,
    모터부는 기어드(geared) 모터인, 제빙기.
  41.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탄성을 지니는 수지재로 형성되는, 제빙기.
  42.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9 및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4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70091450A 2016-07-28 2017-07-19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905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50A KR101905515B1 (ko) 2017-07-19 2017-07-19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CT/KR2017/007776 WO2018021755A1 (ko) 2016-07-28 2017-07-19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5/573,818 US20180245832A1 (en) 2016-07-28 2017-07-19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JP2019515759A JP2019519747A (ja) 2016-07-28 2017-07-19 製氷機およびこれを含む冷蔵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50A KR101905515B1 (ko) 2017-07-19 2017-07-19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515B1 true KR101905515B1 (ko) 2018-10-08

Family

ID=6386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450A KR101905515B1 (ko) 2016-07-28 2017-07-19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51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4533A (ja) 1998-08-26 2000-03-14 Calsonic Corp 冷蔵庫用自動製氷機
JP2001147060A (ja) * 1999-11-18 2001-05-29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製氷機
US20110000233A1 (en) 2009-07-01 2011-01-06 Hankscraft Inc. Control module for automatic ice makers
KR101258437B1 (ko) 2008-02-11 201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306578B1 (ko) 2013-01-25 2013-09-23 (주)한울산업 캠 교체 방식의 제빙기 이빙 장치
US20150345851A1 (en) 2014-05-28 2015-12-03 Molon Motor And Coil Corporation Miniaturized Motor Assembly
US20160010911A1 (en) 2014-07-14 2016-01-14 Nidec Servo Corporation Ice machi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4533A (ja) 1998-08-26 2000-03-14 Calsonic Corp 冷蔵庫用自動製氷機
JP2001147060A (ja) * 1999-11-18 2001-05-29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製氷機
KR101258437B1 (ko) 2008-02-11 201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110000233A1 (en) 2009-07-01 2011-01-06 Hankscraft Inc. Control module for automatic ice makers
KR101306578B1 (ko) 2013-01-25 2013-09-23 (주)한울산업 캠 교체 방식의 제빙기 이빙 장치
US20150345851A1 (en) 2014-05-28 2015-12-03 Molon Motor And Coil Corporation Miniaturized Motor Assembly
US20160010911A1 (en) 2014-07-14 2016-01-14 Nidec Servo Corporation Ice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0810B2 (en) Miniaturized motor assembly
JP3781767B2 (ja) 冷蔵庫
JP2018512270A (ja) チルド製品又は冷凍製品調製マシン
CN103047804A (zh) 用于拆开冰凝结块的冰桶
KR101905515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19519747A (ja) 製氷機およびこれを含む冷蔵庫
KR20190078859A (ko) 다단 회전식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90000231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80013700A (ko) 트위스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4590713B2 (ja) 冷蔵庫
JPH09310946A (ja) 冷蔵庫の自動製氷機
KR20180131276A (ko) 트위스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90028058A (ko) 동력전달기어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KR20090004771U (ko) 냉장고
CN102305508B (zh) 自动制冰机用驱动装置、自动制冰机和冰箱
US20170049127A1 (en) Soft serve dispenser
EP3447421B1 (en) Ice-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20190014432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519152B1 (ko) 냉장고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KR20000027232A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얼음 취출장치
KR20190030882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112480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90006511A (ko) 동력 전달 장치 및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KR20000061207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CN102305510B (zh) 自动制冰机用驱动装置、自动制冰机和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