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061B1 -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061B1
KR101904061B1 KR1020180038497A KR20180038497A KR101904061B1 KR 101904061 B1 KR101904061 B1 KR 101904061B1 KR 1020180038497 A KR1020180038497 A KR 1020180038497A KR 20180038497 A KR20180038497 A KR 20180038497A KR 101904061 B1 KR101904061 B1 KR 101904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pattern hole
light diffusion
ink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요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라스원
주식회사 그라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라스원, 주식회사 그라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라스원
Priority to KR1020180038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5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having optical properties
    • C03C17/3663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having optical propert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mirr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17/002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for flat glass, e.g. floa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4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etal being 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49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made of metals other than 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5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coating stack containing at least one sacrificial layer to protect the metal from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05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5Cleaning of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패널(11)을 세척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1)와; 오염물질이 제거된 유리패널(11)의 일측면에 미러층(12)을 증착하는 증착단계(S2)와; 미러층(12) 배면 전체에, 특정 이미지의 패턴구멍(H)을 가지는 UV 잉크도포면(13')을 형성하는 UV 잉크도포단계(S3)와; UV 잉크도포면(13')에 UV 를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미러보호층(13)을 형성하는 1차 UV 조사단계(S4)와; 미러보호층(13)의 패턴구멍(H)으로 노출된 미러층(12)을 부식액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그 패턴구멍(H)을 통하여 투명한 유리패널(11)이 노출되게 하는 부식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diffusing and transmitting mirror}
본 발명은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확산 투과거울을 짧은 시간내에 대량 제조할 수 있는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각종 가구나 도어등에 설치되어, 최근에는 반사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대상의 인테리어적인 요소를 강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거울은 기본적으로 유리의 배면에 미러층이 코팅된 형태이고, 미러층의 배면에 그 미러층을 보호하고자 보호층이 형성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거울에 특정 형태의 패턴을 형성한 후 거울 후방측에 조명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거울을 단지 사물을 반사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조명용도나 인테리어 용도등으로 사용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이때 거울에 특정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미러층에 박리잉크를 특정 패턴으로 도포하고, 이후 박리잉크가 도포된 거울을 박리용액에 함침시켜 그 박리잉크가 도포된 미러층을 제거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방식으로 거울에 패턴을 형성할 때, 중량물인 거울 전체를 박리용액이 저장된 수조로 이동시킨 후 박리용액에 함침시키고, 이후 박리용액에서 거울을 꺼내어 건조기로 이동시킨 후 건조시켜야 하는등의 반복적인 이동 과정이 과정이 요구되었고, 이 과정에서 많은 노력이 요구되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11-113432호에 "장식용 조명거울"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거울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울 전체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울에 형성된 패턴으로 광이 투과될 때 투과되는 광을 확산시켜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은, 유리패널(11)을 세척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1);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기 유리패널(11)의 일측면에 미러층(12)을 증착하는 증착단계(S2); 상기 미러층(12) 배면 전체에, 특정 이미지의 패턴구멍(H)을 가지는 UV 잉크도포면(13')을 형성하는 UV 잉크도포단계(S3); 다수의 UV 램프가 내장된 건조기에서 UV 를 상기 UV 잉크도포면(13')에 조사하여, 그 UV 잉크도포면이 경화되어 구현되는 미러보호층(13)을 형성하는 1차 UV 조사단계(S4); 상기 미러보호층(13)의 패턴구멍(H)으로 노출된 상기 미러층(12)을 부식액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그 패턴구멍(H)을 통하여 투명한 유리패널(11)이 노출되게 하는 부식단계(S5); 상기 패턴구멍(H)으로 노출된 유리패널(11)에 UV 광확산잉크를 도포하는 UV 광확산잉크도포단계(S6); 및 상기 패턴구멍(H)에 도포된 UV 광확산잉크에 UV 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광확산패턴(14)을 형성하는 2차 UV 조사단계(S7)를 포함하고;
상기 부식단계(S5)는, 부식액을 스펀지에 흡수시키는 단계(S5-1)와, 상기 부식액 흡수 스펀지로 상기 패턴구멍(H)을 문질러 그 패턴구멍(H)으로 노출된 미러층(12)을 부식시키는 단계(S5-2)와, 부식된 미러층 잔재물을 용재로 닦아내어 제거하는 단계(S5-3)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V 잉크도포단계(S3)는, 천 또는 망사로 된 인쇄막(P2)에 상기 패턴구멍(H)에 대응되는 패턴시트(P1)가 형성된 실크스크린장치(P)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식액 흡수 스펀지를 이용하여 거울에 패턴구멍(H)을 형성할 수 있으며, 부식을 위하여 중량물인 거울 전체를 이동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광확산패턴(14)을 형성하여 투과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투과거울은 거울 용도는 물론 인테리어 및 조명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투과거울을 제조하는 일련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광확산 투과거울을 제조하는 방법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광확산 투과거울을 제조하는 사용되는 실크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투과거울을 제조하는 일련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광확산 투과거울을 제조하는 방법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광확산 투과거울을 제조하는 사용되는 실크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광확산 투과거울은, 가구 또는 가구도어나, 각종 창호 또는 쇼윈도(show window), 쇼케이스(showcase) 등에 설치되어, 거울 용도는 물론 인테리어 및 조명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광확산 투과거울(10)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패널을 세척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1)를 수행한다.
다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이 제거된 유리패널(11)의 일측면에 미러층(12)을 증착하는 증착단계(S2)를 수행한다. 증착단계(S2)는, 세척된 유리패널(11)의 일측면에 공지된 진공증착 방식을 이용하여 알루미늄(Al)이나 은(Ag)등의 미러층(12)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러층(12) 배면 전체에, 특정 이미지의 패턴구멍(H)을 가지는 UV 잉크도포면(13')을 형성하는 UV 잉크도포단계(S3)를 수행한다. 이때 UV 잉크도포면(13')은, UV 을 조사하였을 때 경화되는 UV 잉크가 도포된 것이며, 패턴구멍(H)은 본 실시예에서 다수개의 별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패턴구멍(H)을 통하여 미러층(12)이 노출된다.
UV 잉크도포단계(S3)는, 천 또는 망사로 된 인쇄막(P2)에 상기 패턴구멍(H)에 대응되는 패턴시트(P1)가 형성된 실크스크린장치(P)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즉, 미러층(12)의 배면에 인쇄막(P2)을 밀착시킨 후 인쇄막(P2)의 구석에 UV 잉크를 투입시키고, 이후 고무 블레이드(미도시)나 롤러(미도시)로 UV 잉크를 문질러 UV 잉크를 미러층(12)에 전사시키는 것이다. 이때 패턴시트(P1)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UV 잉크는 전사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미러층(12)에는 패턴구멍(H)이 형성된 UV 잉크도포면(13')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UV 잉크로 부림화학(주)에서 판매되는 상품명인 UV-MKEtc 가 있다.
다음, 도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 잉크도포면(13')에 UV 를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미러보호층(13)을 형성하는 1차 UV 조사단계(S4)를 수행한다. 이러한 1차 UV 조사단계(S4)에 의하여 패턴구멍(H)이 형성된 미러보호층(13)이 완성되는 것이다.
1차 UV 조사단계(S4)는, 다수의 UV 램프가 내장된 건조기에서 소정의 경화시간, 예를 들면 약 5초~15초, 바람직하게는 10 초의 경화시간동안 UV 를 조사하여 UV 잉크도포면(13')을 전체적으로 경화시킨다. 만약 경화시간이 5초 미만일 경우 UV 잉크도포면(13')은 충분히 경화되지 못하게 되고, 경화시간이 15초 이상일 경우 UV 잉크도포면(13')이 물성 변화되어 외부의 충격에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다음,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보호층(13)의 패턴구멍(H)으로 노출된 미러층(12)을 부식액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패턴구멍(H)을 통하여 투명한 유리패널(11)이 노출되게 하는 부식단계(S5)를 수행한다. 이때 부식액은 미러층(12)을 부식시킬 수 있으면서 미러보호층(13)과 반응되지 않는 물질로 되며, 예를 들면 물에 의하여 묽어진 염산이 있다.
이러한 부식단계(S5)는, 물 100 중량부에 염산 10 ~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로 혼합하여 구현된 부식액을 스펀지에 흡수시키는 단계(S5-1)와, 부식액 흡수 스펀지로 패턴구멍(H)을 문질러 패턴구멍(H)으로 노출된 미러층(12)을 부식시키는 단계(S5-2)와, 부식된 미러층 잔재물을 용재로 닦아내어 제거하는 단계(S5-3)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때 사용되는 용재로 M.E.K.(메틸에틸케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구멍(H)으로 노출된 유리패널(11)에 UV 광확산잉크를 도포하는 UV 광확산잉크도포단계(S6)를 수행한다. 이때 UV 광확산잉크도포단계(S6)는, 전술한 천 또는 망사로 된 인쇄막을 가지는 실크스크린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UV 광확산잉크로 부림화학(주)에서 판매되는 상품명인 UV_MK2L 가 있다.
다음, 패턴구멍(H)에 도포된 UV 광확산잉크에 UV 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광확산패턴(14)을 형성하는 2차 UV 조사단계(S7)를 수행한다. 이러한 2 차 UV 조사단계(S7)에 의하여 외부의 충격에도 안정되는 광확산패턴(14)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식액 흡수 스펀지를 이용하여 거울에 패턴구멍(H)을 형성할 수 있어, 부식을 위하여 중량물인 거울 전체를 이동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즉, 종래에서와 같이, 박리잉크가 도포된 거울을 박리용액에 함침시키고 건조를 위하여 꺼내기 위하여 중량물인 거울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정한 광확산패턴(14)을 형성하여 투과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투과거울은 거울 용도는 물론 인테리어 및 조명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광확산 투과거울 11 ... 유리패널
12 ... 미러층 13 ... 미러보호층
13' ... UV 잉크도포면 14 ... 광확산패턴

Claims (5)

  1. 유리패널(11)을 세척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1);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기 유리패널(11)의 일측면에 미러층(12)을 증착하는 증착단계(S2);
    상기 미러층(12) 배면 전체에, 특정 이미지의 패턴구멍(H)을 가지는 UV 잉크도포면(13')을 형성하는 UV 잉크도포단계(S3);
    다수의 UV 램프가 내장된 건조기에서 UV 를 상기 UV 잉크도포면(13')에 조사하여, 그 UV 잉크도포면이 경화되어 구현되는 미러보호층(13)을 형성하는 1차 UV 조사단계(S4);
    상기 미러보호층(13)의 패턴구멍(H)으로 노출된 상기 미러층(12)을 부식액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그 패턴구멍(H)을 통하여 투명한 유리패널(11)이 노출되게 하는 부식단계(S5);
    상기 패턴구멍(H)으로 노출된 유리패널(11)에 UV 광확산잉크를 도포하는 UV 광확산잉크도포단계(S6); 및
    상기 패턴구멍(H)에 도포된 UV 광확산잉크에 UV 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광확산패턴(14)을 형성하는 2차 UV 조사단계(S7)를 포함하고;
    상기 부식단계(S5)는, 부식액을 스펀지에 흡수시키는 단계(S5-1)와, 상기 부식액 흡수 스펀지로 상기 패턴구멍(H)을 문질러 그 패턴구멍(H)으로 노출된 미러층(12)을 부식시키는 단계(S5-2)와, 부식된 미러층 잔재물을 용재로 닦아내어 제거하는 단계(S5-3)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잉크도포단계(S3)는,
    천 또는 망사로 된 인쇄막(P2)에 상기 패턴구멍(H)에 대응되는 패턴시트(P1)가 형성된 실크스크린장치(P)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38497A 2018-04-03 2018-04-03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 KR101904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97A KR101904061B1 (ko) 2018-04-03 2018-04-03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97A KR101904061B1 (ko) 2018-04-03 2018-04-03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061B1 true KR101904061B1 (ko) 2018-11-21

Family

ID=6460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497A KR101904061B1 (ko) 2018-04-03 2018-04-03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0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565B1 (ko) * 2023-02-02 2023-05-15 주식회사 그라스텍 패턴미러 도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패턴미러 도어
KR20240024553A (ko) 2022-08-17 2024-02-26 주식회사 위스 거울의 장식과 빛 투과를 위한 가공방법 및 그 장식을 포함하는 빛 투과거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170A (ja) * 1999-09-08 2001-03-21 Canon Inc エッチ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170A (ja) * 1999-09-08 2001-03-21 Canon Inc エッチン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553A (ko) 2022-08-17 2024-02-26 주식회사 위스 거울의 장식과 빛 투과를 위한 가공방법 및 그 장식을 포함하는 빛 투과거울
KR102532565B1 (ko) * 2023-02-02 2023-05-15 주식회사 그라스텍 패턴미러 도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패턴미러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8675B (zh) 平板顯示器及平板顯示器用防眩薄膜
KR101904061B1 (ko) 광확산 투과거울의 제조방법
JP6690814B2 (ja) フィルムマスク、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の形成方法
KR19980018506A (ko)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JP5279862B2 (ja) ペリクル膜、その製造方法及び該膜を張ったペリクル
JP2006126782A (ja) 光学物品の防汚層処理方法
US20170351135A1 (en) Method of etching display panel for manufacturing curved display device
US5482803A (en) Process for preparing filter
JP7144569B2 (ja) パターン形成方法、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製造方法
CN102736310B (zh) 彩色滤光片的制作方法
KR20020081128A (ko) 포토마스크의 세정 방법
KR20210134879A (ko) 실크 스크린의 메쉬 패턴을 활용한 난반사 유리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88982A1 (ko) 커버글라스 인쇄 방법
JP2008256785A (ja)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装置
JP7039229B2 (ja) 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導電性配線パターンの製造方法
JP4632193B2 (ja) パターニング用基板の製造方法
KR101848983B1 (ko) 유리 재생 처리 방법 및 재생 유리 기판과 그것을 사용한 포토마스크 블랭크와 포토마스크
JP2007242922A (ja) 光透過性電磁波シールド材の製造方法、光透過性電磁波シールド材、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
JP2000147204A (ja) 保護膜を具える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光学装置及び半導体露光装置
CN116815130A (zh) 一种可实现紫外线自清洁的超构表面制备方法
TW444233B (en) Forming method and forming device for black film pattern, and black film, panel and display device formed thereby
JP2010078928A (ja) アース電極部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2122426B1 (ko) 레이저와 희생 층을 이용한 코팅 막 패터닝 방법
JP2022013060A (ja) システム及び光のパターン情報の形成方法
JP2007117993A (ja) 基板乾燥装置、基板乾燥方法、及び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