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456B1 - 화장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456B1
KR101903456B1 KR1020170069274A KR20170069274A KR101903456B1 KR 101903456 B1 KR101903456 B1 KR 101903456B1 KR 1020170069274 A KR1020170069274 A KR 1020170069274A KR 20170069274 A KR20170069274 A KR 20170069274A KR 101903456 B1 KR101903456 B1 KR 101903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pening
liquid
storage space
liquid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만수
Original Assignee
최만수
(주)태양리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만수, (주)태양리뉴 filed Critical 최만수
Priority to KR102017006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456B1/ko
Priority to US15/787,487 priority patent/US20180255905A1/en
Priority to JP2017252940A priority patent/JP6612839B2/ja
Priority to CN201711474507.0A priority patent/CN108567220B/zh
Priority to PCT/KR2018/002904 priority patent/WO20181645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의 일측면에 누름부재가 삽입되는 누름홈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액상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일측단에 액상이 유출되는 액상 유출부가 결합되는 액상 가이드부 및 상기 액상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일측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상기 본체에 저장된 액상이 유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액상 가이드부와 연통되는 연통홀과 상기 누름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실린더부 및 상기 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화장용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기 {Cosmetic vess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상 일정한 양의 화장 액상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화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기는 나사부가 형성된 병목을 갖는 화장용기에 화장액을 저장한다. 그리고, 병목의 나사부에 마개 겸 손잡이가 나사 결합된다. 마개 겸 손잡이의 내부 중앙 하단에는 브러쉬가 부설된 화장액 도포부재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화장용기는 마개를 돌리거나 개방하여 화장액이 저장된 화장용기를 연 후, 화장액이 묻어 있는 브러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용기(한국등록특허 제10-1318673호)는 손질하고자 하는 부위에 화장액을 칠할 때 브러쉬에 자주 화장액을 발라줘야 한다. 이때, 브러쉬를 화장용기에 담갔다 꺼내기를 반복해야 하므로, 외부 공기가 화장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화장액이 쉽게 굳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액에는 알코울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특성상 휘발성이 강하며, 마개를 확실하게 밀폐시키지 않는 이상 쉽게 휘발되는 문제점이 항상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화장용기의 마개는 확실한 밀폐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화장용기 내의 화장액이 휘발되어 화장액이 굳어지거나 또는 변질되어 제품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항상 일정한 양의 화장액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화장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용기가 밀폐되어 있어 화장액의 변질 및 굳음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부의 일측면에 누름부재가 삽입되는 누름홈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액상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일측단에 액상이 유출되는 액상 유출부가 결합되는 액상 가이드부 및 상기 액상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일측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상기 본체에 저장된 액상이 유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액상 가이드부와 연통되는 연통홀과 상기 누름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실린더부 및 상기 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부재는, 외력이 인가되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도록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상 중 제1 부피의 액상이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액상 유출부로 유출되도록 하며,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액상 유출부로 유출된 상기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외력을 인가받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연결된 채, 상기 외력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되고,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는 제1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개방홀과 단차지도록 연결되어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원통관, 상기 원통관 내에 구비되는 개폐부지지부, 상기 개폐부지지부의 말단에 구비되는 개폐부 및 상기 원통관을 덮도록 구비되되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되어 각각 제1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원뿔대형으로 구비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누름부에 상기 외력이 인가되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누름부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개폐부지지부와 상기 개폐부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의 제2 개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개방홀을 통한 액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개구부를 개방하여 상기 개방홀을 통한 액상의 위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상기 원통관은 상기 개방홀을 둘러싸도록 상기 개방홀의 내경보다 상기 원통관의 내경이 더 크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는 제1 개구부의 직경이 제2 개구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타측으로 갈 수록 단면이 점차 감소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지지부는 스프링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원통관 내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부지지부의 말단에서 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지지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가역적으로 상기 커버부의 제2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원통관의 외면에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부는 상기 원통관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고정되고, 상기 원통관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개방홀과 상기 커버부의 제2 개구부가 서로 유체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삽입부에 결합된 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액상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1 실링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누름홈을 통한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삽입부에 결합된 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2 실링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중단부, 상기 삽입부중단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전단부 및 삽입부후단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삽입부전단부에 결합된 채, 상기 삽입부중단부의 외경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와의 접촉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변형되고, 상기 제2 실링부재는, 상기 삽입부후단부에 결합된 채, 상기 삽입부중단부의 외경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와의 접촉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제1 저장공간 및 제2 저장공간으로 분할하며, 상기 실린더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1 저장공간에 상기 액상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누름부재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어, 상기 제1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상 중 상기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원통관과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저장공간의 크기가 상기 제1 부피만큼 축소되도록 하는 압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부 영역의 관통영역을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저장공간은, 상기 압착부와 상기 밀폐부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저장공간의 크기가 상기 제1 부피만큼 축소되는 경우, 상기 제2 저장공간의 크기는 상기 제1 부피만큼 확장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제2 저장공간과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홀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순환홀은, 상기 제2 저장공간이 상기 제1 부피만큼 확장되는 경우 상기 제1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외부 공기가 상기 제2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유출부는, 상부 영역에 형성된 채, 상기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홀을 형성하는 유출홀 및 하부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가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의 외면과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내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유출홀과 연통되는 제1 연통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연통공간과 상기 이격공간을 연통하는 제1 통공을 구비하는 제1 결합부, 상기 연통홀과 연통되는 제2 연통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통공간과 상기 이격공간을 연통하는 제2 통공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통공을 포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통공을 통한 상기 액상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누름부재에 상기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통공을 개방시키며, 상기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제2 통공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 영역의 관통영역을 밀폐하는 리필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필제공부는,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에 삽입된 채, 리필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삽입부, 상기 리필저장공간을 제3 저장공간 및 제4 저장공간으로 분할하며, 상기 실린더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3 저장공간에 상기 액상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누름부재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어, 상기 제3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상 중 상기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상기 원통관과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 상기 본체부삽입부의 내측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저장공간의 크기가 상기 제1 부피만큼 축소되도록 하는 압착부 및 상기 리필저장공간을 밀폐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의 하부 영역의 관통영역을 밀폐하는 리필밀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필제공부는, 상기 본체와 나사산 구조에 의해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될 수 있다.
상기 리필밀폐부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관통공이 형성되는 리필해제부를 구비하여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고리부재를 통해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리필제공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에서 상기 액상 유출부는, 상부 영역에 형성된 채, 상기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홀을 형성하는 유출홀 및 하부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출홀은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선단부의 내경은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중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과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선단부의 내측 외주면 사이에 놓여지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의 후단에 놓여지며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중단부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유출 조정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 조정볼은 상기 누름부재에 상기 외력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제3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상기 제2 탄성부에 의해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액상 가이드부의 선단부와 중단부의 경계영역에 형성된 유입공을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상 일정한 양의 화장액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화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용기가 밀폐되어 있음으로써, 화장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일 뿐 만 아니라, 화장액이 소진되기 직전까지도 화장액이 굳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캡을 분리시킨 도면이다.
도 2a는 도 1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실린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a에 따른 화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b에 따른 화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의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의 누름부재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 에 따른 화장용기의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캡을 분리시킨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는 상부의 일측면에 누름부재(1140)가 삽입되는 누름홈(1113)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액상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110), 상기 본체(1110) 내에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일측단에 액상이 유출되는 액상 유출부(1171)가 결합되는 액상 가이드부(1131) 및 상기 액상 가이드부(1131)와 연결되고, 일측에 형성된 개방홀(1132a)을 통해 상기 본체(1110)에 저장된 액상이 유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액상 가이드부(1131)와 연통되는 연통홀(1132b)과 상기 누름홈(1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132c)이 형성되는 수용부(1132)를 구비하는 실린더부(1130), 및 상기 본체(1110)의 선단에 결합되는 캡(118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110)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상은 액상 유출부(1171)를 통해 이동되기 용이한 점성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화장액)일 수 있으며, 그 외에 흐름성이 있는 유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상 유출부(1171)는 캡(1180)이 본체(1110)와 분리되면 외부로 노출되고, 캡(1180)이 본체(1110)와 결합되면 캡(1180) 내에 은닉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캡(1180)이 본체(1110)와 분리된 후, 누름부재(1140)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본체(1110) 내부에 구비된 액상, 예컨대 화장품 등이 일정한 양으로 액상 유출부(117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캡(1180)은 액상이 유출되는 액상 유출부(1171)을 커버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110)와 상이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실린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a에 따른 화장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b에 따른 화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110)는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내부에 액상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체(1110)는 내부의 화장품의 액상이 보일 수 있는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 또는 합성 수지 소재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본체(1110)의 일측면에는 누름부재(1140)가 삽입되는 누름홈(1113)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110)의 내부에는 실린더부(1130)가 구비되어 본체(1110)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액상의 유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실린더부(1130)는 본체(1110)에 삽입되며,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일측면에 액상이 유출되는 액상 유출부(1171)가 결합되는 액상 가이드부(1131) 및 액상 가이드부(1131)와 연결되고, 타측면에 형성된 개방홀(1132a)을 통해 본체(1110)에 저장된 액상이 유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액상 가이드부(1131)와 연통되는 연통홀(1132b)과, 누름홈(1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132c)이 형성되는 수용부(1132)를 구비한다.
예컨대, 실린더부(1130)은 내부에 액상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사각형의 박스형태인 수용부(1132)를 포함하는데, 수용부(1132)의 일측면에는 액상 가이드부(1131)와 연결되는 연통홀(1132b)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연통홀(1132b)와 대면하도록 개방홀(1132a)이 구비된다. 또한, 수용부(1132)의 상부면에는 누룸홀(1113)과 대면하는 관통홀(1132c)가 구비된다. 따라서,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액상은 관통홀(1132c)를 통하여 누름부재(1140)에 의하여 가압되고, 연통홀(1132b)와 가이드부(1131) 및 액상 유출부(117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누름부재(1140)는 본체(1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을 받는 누름부(1141a), 누름부(1141a)의 하부에 연결되며, 관통홀(1132c)로 삽입되는 삽입부(1141b) 및 삽입부(1141b)의 하측면과 수용부(1132) 사이에 배치된 채, 외력이 인가되면 삽입부(1141b)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삽입부(1141b)를 위치 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1143)를 구비한다.
누름부재(1140)는, 삽입부(1141b)에 결합된 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또는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 예컨대 몸체(11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 시,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액상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1 실링부재(1145)를 구비한다.
제1 실링부재(1145)는, 누름홈(1113)을 통한 수용공간으로의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한다. 제1 실링부재(1145)는 누름홈(1113)을 통한 수용공간으로의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한다. 제1 실링부재(1145)에 의해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은 기밀이 유지되어 수용공간 내의 액상이 누름홈(1113)을 통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사용자가 액상의 사용을 위한 누름부재(1140)의 반복적 외력 인가과정에서 누름홈(1113)을 통한 액상 유출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액상이 묻거나 화장용기의 외면에 액상이 묻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제1 실링부재(1145)는 삽입부(1141b)에 결합된 채, 누름부재(1140)의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 또는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시, 수용부(1132)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상의 누름홈(1113)을 통한 유출을 방지한다.
삽입부(1141b)는, 상기 수용부(1132)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중단부(1141d), 상기 삽입부중단부(1141d)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전단부(1141f) 및 삽입부후단부(1141e)로 구성된다.
제1 실링부재(1145)는, 삽입부(1141b)의 삽입부전단부(1141f)에 결합된 채, 삽입부중단부(1141d)의 외경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수용부(1132)와의 접촉에 의해 압착되어 수용부(1132)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변형된다.
또한, 누름부재(1140)는, 삽입부(1141b)에 결합된 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또는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시, 수용부(1132)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2 실링부재(1147)를 더 구비한다.
제2 실링부재(1147)는, 삽입부(1141b)의 삽입부후단부(1141d)에 결합된 채, 삽입부중단부(1141d)의 외경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수용부(1132)와의 접촉에 의해 압착되어 수용부(1132)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변형된다.
여기서, 제2 실링부재(1147)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실링부재(1147)와 수용부(1132) 내벽과의 마찰력을 극복하는 외력을 누름부(1141a)에 인가하여야 하므로, 제2 실링부재(1147)가 부재(不在)한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강한 외력을 누름부(1141a)에 인가하여야 한다.
그리고, 누름부재(1140)는 누름부(1141a)와 삽입부(1141b)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외경감소부(1141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누름부재(1140)가 누름홈(1113)에 삽입된 후, 외경감소부(1141c)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걸림홀(1161)을 구비하는 걸림 하우징(1160)이 본체(1110)의 누름홈(1113)이 형성된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 하우징(1160)은 누름홈(1113)과 걸림홈(1161)이 서로 연통하도록 본체(1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누름부재(1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삽입부(1141b)가 걸림홈(1161)에 지지되어 누름부재(114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경감소부(1141c)의 상면에는 누름부(1141a)의 돌기(r)가 삽입되는 돌기수용부(h)를 구비하며, 누름부(1141a)의 돌기(r)가 돌기수용부(h)에 수용되면, 누름부(1141a)와 삽입부(1141b)는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누름부(1141a)의 단면적의 크기는 상기 외경감소부(1141c)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와 접촉 면적을 넓혀 보다 용이하게 누름부(1141a)에 외력을 인가한다.
누름부(1141a)에 상기 외력이 인가되면, 삽입부(1141b)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또한, 누름부(1141a)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삽입부(1141b)는 제1 탄성부(1143)에 의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삽입부(1141b)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은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 내로의 이동을 의미하며 이 때, 삽입부(1141b)는 수용공간을 규정하는 수용부(1132)의 내벽과 접촉된 채, 상기 내벽을 따라 이동한다.
누림부재(1140)에서, 삽입부전단부(1141f)에 결합된 제1 실링부재(1145)와 삽입부후단부(1141e)에 결합된 제2 실링부재(1147) 또한 수용부(1132)의 내벽과 접촉된 채, 내벽을 따라 이동하며, 수용부(1132) 내벽과의 접촉에 따라 압축 변형된 제1 실링부재(1145) 및 제2 실링부재(1147)는 수용부(1132)의 내벽을 압박하며 수용부(1132)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이 경우,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 중 제2 실링부재(1147)의 하부에 위치한 공간은 제2 실링부재(1147)에 의해 밀폐된 상태가 되어 수용공간으로부터 액상 가이드부(1131)로의 액상 유출 압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제2 실링부재(1147)는 삽입부(1141b)와 수용부(1132) 내벽과의 미세한 틈으로 이동될 수 있는 액상의 유실을 막아 수용공간으로부터 액상 가이드부(1131)로의 액상 유출을 구현하므로, 제2 실링부재(1147)가 부재(不在)한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강한 압력으로 액상 유출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삽입부(1141b)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수용공간 내의 액상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에 개방홀(1132a)을 통하여 유입되는 액상은 제한하되 액상 유출부(1171)를 통하여 액상을 배출한다. 이와 반대로, 삽입부(1141b)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수용공간 내의 액상의 압력이 감소하고 액상 유출부(1171)로의 배출이 차단되며 동시에 개방홀(1132a)을 통하여 액상이 채워지게 됨으로써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는 액상은 일정 양으로 유지된다.
개방홀(1132a)의 일측면은 삽입부(1141b)가 삽입되는 수용공간과 접하고, 개방홀(1132a)의 타측면은 본체 내에 구비되는 실린더부(1130)와 접촉한다.
한편, 실린더부(1130)는 본체(1110) 내부에 형성된 채, 누름부재(114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1110)에 저장된 액상이 누름부재(1140)에 의해 가압되기 용이한 위치에 위치하며, 누름부재(1140)에 인가된 외력에 동일한 양(부피)의 액상이 액상 유출부(117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1130)는 내부가 관통 형성되며, 일측단에 액상이 유출되는 액상 유출부(1171)가 결합되는 액상 가이드부(1131) 및 액상 가이드부(1131)로부터 연결되며 일측 영역이 개방된 개방홀(1132a)을 통해 본체(1110)에 저장된 액상이 유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액상 가이드부(1131)와 연통되는 연통홀(1132b)과 누름홈(1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132c)이 형성되는 수용부(1132)를 구비한다.
또한, 실린더부(1130)는, 개방홀(1132a)과 단차지도록 연결되어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원통관(1330), 원통관(1330) 내에 구비되는 개폐부지지부(1340), 개폐부지지부(1340)의 말단에 구비되는 개폐부(1350) 및 원통관(1330)을 덮도록 구비되되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되어 각각 제1 및 제2 개구부(1361, 1362)를 구비하고 개폐부(1350)에 대응하는 부분이 원뿔대형으로 구비되는 커버부(1360)를 더 포함한다.
원통관(1330)은 개방홀(1132a)을 둘러싸도록 상기 개방홀(1132a)의 내경보다 원통관(1330)의 내경이 더 크게 구비되고, 커버부(1360)는 제1 개구부(1361)의 직경이 제2 개구부(1362)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타측으로 갈 수록 단면이 점차 감소되도록 구비된다. 개폐부(1350)은 개폐부지지부(1340)의 말단에서 구형으로 구비되어 개폐부지지부(134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가역적으로 커버부(1360)의 제2 개구부(1362)를 개폐시킬 수 있다.
개폐부지지부(1340)와 개폐부(1350)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1360)의 제2 개구부(1362)를 폐쇄하여 상기 개방홀(1132a)을 통한 액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개구부(1362)를 개방하여 상기 상기 개방홀(1132a)을 통한 액상의 위치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예컨대, 개폐부지지부(1340)는 스프링형태로 구비되어 원통관(1330) 내에 구비되되 원통관(1330)의 일측부터 타측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개폐부(1350)는 개폐부지지부(1340)의 말단에 구비되어 커버부(1360)의 제2 개구부(1362)를 가로막도록 구비된다. 원통관(1330)의 내경(t1)은 개방홀(1132a)의 내경보다 크게 구비되도록 단차지게 연결되므로 원통관(1330) 내에 구비되는 개폐부지지부(1340)은 개방홀(1132a)로 이탈하지 않고 원통관(1330) 내부에 위치가 유지된다.
수용공간 내의 액상의 압력이 높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부지지부(1340)는 느슨하게 연장되고 개폐부(1350)는 제2 개구부(1362)를 밀폐시키지 않으므로 제2 개구부(1362)를 통하여 액상의 이동이 가능하다. 반면, 수용공간 내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액상은 개폐부지지부(1340)를 가압하고 이에 의하여 개폐부(1350)은 제2 개구부(1362)를 밀폐시킴으로써 공기의 유출입을 차단한다.
원통관(133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한 원통의 형태로 구비되고, 커버부(1360)은 원통관(1330)이 삽입되도록 원통관(1330)보다 큰 내경으로 구비되되 원통관(1330)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원통의 형태와, 원통관(1330)으로부터 일부 노출되는 개폐부(135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원뿔대의 행태가 서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원통관(1330)은 커버부(1360)에 삽입됨으로써 원통관(1330) 내부에 구비되는 개폐부지지부(1340)과 개폐부(1350)가 유실되지 않고 유지된다.
또한, 원통관(1330)의 외면에는 제1 체결부(1331)를 구비하고, 커버부(1360)의 내측에는 제1 체결부(1331)와 체결하는 제2 체결부(1363)를 구비하여 커버부(1360)은 상기 원통관(1330)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고정된다. 원통관(1330)은 커버부(1360)의 내측에 삽입되어 개방홀(1132a)과 커버부(1360)의 제2 개구부(1362)가 서로 유체가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예컨대, 제1 체결부(1331)와 제2 체결부(1362)은 각각 돌기 및 홈의 형태로 구비되어 끼움결합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고, 혹은 나사산 및 나사홈에 의하여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체결부(1331, 1362)는 커버부(1360)를 원통관(1330)에 밀접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생략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린더부(1130)의 수용공간은 인가된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 누름부재(1140)에 의해 제1 부피만큼 축소되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상 중 제1 부피에 해당하는 양이 액상 가이드부(1131)를 통해 액상 유출부(1171)로 유출된다. 또한,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누름부재(1140)는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실린더부(1130)의 수용공간의 크기가 제1 부피만큼 확장되도록 하며, 이 때 확장된 수용공간의 제1 부피를 메우기 위해, 본체(1110)에 저장된 액상이 커버부(11360)의 제2 개구홀(1362)를 통하여 수용공간으로 유입된다.
또한, 외력이 인가되면 누름부재(1140)는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도록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상 중 제1 부피의 액상이 상기 연통홀(1132b)을 통해 상기 액상 유출부(1171)로 유출되도록 하며,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액상 유출부(1171)로 유출된 상기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상기 개방홀(1132a)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동작원리는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밀폐부재(1150)는 본체(1110) 하부의 관통영역을 밀폐한다.
액상 유출부(1171)는 상부 영역에 형성된 채,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홀을 형성하는 유출홀(1171a) 및 하부 영역에 형성되되, 액상 가이드부(1131)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171b)를 구비한다.
여기서, 유출홀(1171a)이 피부에 잘 밀착될 수 있도록 유출홀(1171a)의 단면은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출홀은 화장을 위한 솔(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으며, 유출홀을 통해 유출된 액상은 부드러운 솔을 통해 사용자 피부에 흡수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부드러운 솔의 촉감을 느끼면서 액상을 피부미용에 이용할 수 있다.
결합부(1171b)가 액상 가이드부(1131)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결합부(1171b)의 외면과 액상 가이드부(1131)의 내면 사이에는 이격공간(Q)이 형성된다.
결합부(1171b)는 제1 결합부(1171c), 제2 결합부(1171d) 및 개폐부(1173)를 구비한다.
제1 결합부(1171c)는 유출홀(1171a)과 연통되는 제1 연통공간(V1)을 형성하며, 제1 연통공간(V1)과 상기 이격공간(Q)을 연통하는 제1 통공(H1)을 구비한다.
제2 결합부(1171d)는 연통홀(1132b)과 연통되는 제2 연통공간(V2)을 형성하며, 제2 연통공간(V2)과 이격공간(Q)을 연통하는 제2 통공(H2)을 구비한다.
개폐부(1173)는 제2 통공(H2)을 포위하도록 배치되어 제2 통공(H2)을 통한 액상의 이동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개폐부(1173)는, 누름부재(114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연통홀(1132b)을 통해 액상 가이드부(1131)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제2 통공(H2)을 개방시키며,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제2 통공(H2)을 폐쇄한다.
개폐부(1173)는 일종의 얇은 고무막으로 제2 결합부(1171d)의 외주면을 에워싸듯이 위치하여, 제2 통공(H2)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는 본체(1110)의 저장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제1 저장공간(S1) 및 제2 저장공간(S2)으로 분할하며, 실린더부(1130)와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저장공간(S1)에 액상이 저장되도록 하고, 누름부재(1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어 제1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액상 중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개방홀(1132a)을 통해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 본체(1110)의 내측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제1 저장공간(S1)의 크기가 제1 부피만큼 축소되도록 하는 압착부(119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2 저장공간(S2)은 압착부(1190)와 밀폐부재(1150) 사이에 형성되며, 제1 저장공간(S1)의 크기가 제1 부피만큼 축소되는 경우, 제2 저장공간(S2)의 크기는 제1 부피만큼 확장된다.
압착부(119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할 화장용기의 외력 인가 여부에 따른 기작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의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의 누름부재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180)이 제거된 후, 화장용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손가락)를 이용하여 누름부(1141a)에 제1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면, 삽입부(1141b)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삽입부(1141b)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이동은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 내로의 이동을 의미하므로,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의 크기는 삽입된 삽입부(1141b)에 의해 축소된다.
이 때, 수용공간의 크기는 제1 부피만큼 축소되며, 이를 바꾸어 말하면 삽입부(1141b)의 제1 부피만큼이 수용공간 내로 삽입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또한, 누름부(1141a)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제1 탄성부(1143)는 압축 탄성 변형된다.
삽입부(1141b)의 수용공간 내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던 액상은 액상 가이드부(1131)를 통해 액상 유출부(1171)로 이동된다.
여기서, 수용공간 내에서의 액상 유출 경로는 액상 가이드부(1131)를 통한 유출과 개방홀(1132a)을 통한 유출 경로가 있으나, 삽입부(1141b)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이동 중에 개방홀(1132a)은 삽입부(1141b)에 의해 폐쇄되므로, 수용공간 내의 액상은 액상 가이드부(1131)를 통한 유출 경로를 통해서만 이동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액상 유출부(1171)를 통해 유출(배출)된 액상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개방홀(1132a)의 폐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삽입부(1141b)는 수용공간 내에 삽입되면서 액상의 압력이 증가된다. 액상의 압력이 증가되므로 액상은 개방홀(1132c)를 통하여 원통관(1330)으로 유입되어 개폐부지지부(1340)를 가압하고, 개폐부지지부(1340)의 말단과 연결되는 개폐부(1350)는 커버부(1360)의 제2 개구부(1362)를 폐쇄함으로써 이에 의하여 개방홀(1132a)이 폐쇄되는 효과를 얻게 되고, 개방홀(1132c)을 통한 액상의 유출 또는 유입이 방지된다.
상술한 삽입부(1141b)에 관하여 정리하면, 삽입부(1141b)는, 누름부(1141a)에 외력이 인가되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누름부(1141a)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제1 탄성부(1143)에 의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개방홀(1132a)을 폐쇄하여 개방홀(1132a)을 통한 액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개방홀(1132a)을 개방하여 개방홀(1132a)을 통한 액상의 위치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또한,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연통홀(1132b)을 통해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개폐부(1173)는 제2 통공(H2)을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제2 통공(H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던 제2 연통공간(V2)에 수용된 액상은 제2 통공(H2), 이격공간(Q), 제1 통공(H1), 제1 연통공간(V1)을 순차적으로 거쳐 유출홀(1171a)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제2 연통공간(V2)에 수용된 액상이 제2 통공(H2)을 통해 유출됨에 따라 개폐부(1173)에 가해지는 압력이 약해지게 되며, 이 경우 개폐부(1173)는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제2 통공(H2)을 폐쇄한다. 여기서, 유출홀(1171a)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 액상의 양 만큼 실린더부(1132) 내부에 수용된 액상이 소모되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누름부(1141a)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압축 탄성 변형되었던 제1 탄성부(1143)는 복원력에 의해 팽창 변형되고, 이에 따라 누름부(1141a)의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이 때,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있던 삽입부(1141b) 또한 수용공간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삽입부(1141b)의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수용공간은 제1 부피만큼의 빈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에 의하여, 원통관(1330) 내부에 구비된 개폐부지지부(1340)에 의하여 개폐부(1350)의 가압이 약해지게 되고, 개폐부(1350)는 제2 개구부(1362)를 폐쇄하는 힘이 감소하여 제2 개구부(1362)를 통하여 액상이 유입된다. 액상은 원통관(1330)을 통하여 개방홀(1132a)로 유입되어 수용공간 내에 제1 부피만큼 빈 공간이 채워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누름홈(1113)은 제1 실링부재(1145)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방지되므로,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 내로의 공기의 유입이 없는 한, 제1 부피만큼의 빈 공간은 진공 상태가 된다. 이 때, 개방홀(1132a)을 통한 본체(1110)의 제1 저장공간(S1) 저장된 액상이 진공 상태의 수용공간 내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을 이용하여 수용공간 내에 일정한 양의 액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수용부(1132) 내로의 또 다른 액상 이동 경로인 제2 통공(H2)을 폐쇄하는 개폐부(1175)에 의해 액상 이동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 내로의 액상 유입은 개방홀(1132a)을 통해서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방홀(1132a)을 통한 본체(1110)의 제1 저장공간(S1)으로부터 수용공간 내로의 액상 이동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제1 저장공간(S1) 내에 액상만이 존재하여야 하며, 제1 부피만큼의 액상이 제1 저장공간(S1)으로부터 유출되므로 제1 저장공간(S1)의 크기 또한 가변적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화장용기는 압착부(1190)를 포함하며, 압착부(1190)는 제1 저장공간(S1)을 규정한 채,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한다.
압착부(1190)는 본체(1110)의 내측면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위치 이동은 제1 저장공간(S1)으로부터 유출된 액상의 부피 변화에 따라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저장공간(S1) 내에는 액상만이 존재하므로, 액상이 유출된 경우 발생하는 빈 공간은 공기 또는 외부 물질로 채워져야 하는데, 제1 저장공간(S1)은 압착부(1190)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물질 교환이 방지되므로, 축소된 제1 저장공간(S1)은 자체의 크기를 줄여 액상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압착부(1190)는 본체(1110)의 저장공간을 제1 저장공간(S1) 및 제2 저장공간(S2)으로 분할하며, 누름부재(1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어 제1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액상 중 일부 즉, 제1 부피의 액상이 개방홀(1132a)을 통해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 본체(11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제1 저장공간(S1)의 크기가 제1 부피만큼 축소되도록 한다.
또한, 압착부(1190)에 의해 분할된 제2 저장공간(S2)은 제1 저장공간(S1)의 부피가 축소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확장된다.
여기서, 밀폐부재(1150)는 제2 저장공간(S2)과 화장용기의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홀(1152)을 형성하며, 공기순환홀(1152)은 제2 저장공간(S2)이 제1 부피만큼 확장되는 경우 제1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외부 공기가 제2 저장공간(S2)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한편, 본체(1110) 내에 저장된 액상 중 제1 부피에 해당하는 양의 액상은 수용공간 내로 이동되어 수용부(1132)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액상은 재차 사용자의 외력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액상 유출부(1171)를 통해 유출된 액상을 이용한 후, 액상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된 누름부재(1140)의 누름부(1141a)에 재차 외력을 인가하여 상술한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132)의 구성이 본체(1110)의 상부 내면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용부(1132)의 구성이 본체(1110)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는 리필제공부(1390)를 제외하고는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화장용기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하 리필제공부(1390)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삽입부(1391)와 리필밀폐부(1395)를 분리시켜 도시하였으나, 본체부삽입부(1391)와 리필밀폐부(1395)는 일체로 형성됨을 미리 밝혀둔다.
리필제공부(1390)는 본체(1110)의 저장공간으로 삽입되되, 본체(1110)와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 결합이 아닌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필제공부(1390)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리필돌출부(1398)를 구비하며, 본체(1110)는 리필돌출부(1398)와 대응되는 위치 및 대응되는 형상의 리필함입부를 구비한다.
리필제공부(1390)는 리필돌출부(1398)와 리필함입부의 상호 결합에 의해 본체부(1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필밀폐부(1395)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관통공(1396a)이 형성되는 리필해제부(1396)를 구비하여 관통공(1396a)에 삽입되는 고리부재를 통해 인가된 외력에 의해 리필제공부(1395)가 본체(1110)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고리부재는 관통공(1396a)의 크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별도로 제작된 리필제공부(1390)의 본체(1110)로부터의 해제도구일 수 있다.
사용자는 리필제공부(1390)의 본체(1110)로부터의 분리를 위해 관통공(1396a)에 고리부재를 삽입한 후, 리필제공부(1390)를 본체(1110)로부터 멀어지게 하기 위한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면, 본체부삽입부(1391)와 리필밀폐부(1395)가 함께 본체(111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또한, 리필밀폐부(1395)에는 상술한 공기순환홀(115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순환홀(1395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 에 따른 화장용기의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는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는 액상 유출부(1471)에 유출 조절볼(1475)가 구비되어 액상 유출부(1471)를 통하여 배출되는 화장품인 액상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액상 유출부(1471)는, 상부 영역에 형성된 채,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홀을 형성하는 유출홀(1471a) 및 하부 영역에 형성되되,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471c)를 구비하고, 유출홀(1471a)은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의 내경은 액상 가이드부(1431)의 중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결합부(1471c)는 상기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471c)의 외주면(1471c)과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의 내측 외주면 사이에 놓여지는 제2 탄성부(1473) 및 제2 탄성부(1473)의 후단에 놓여지며 상기 액상 가이드부(1431)의 중단부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유출 조정볼(14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출 조정볼(1475)은, 누름부재(1440)에 외력에 인가되는 경우, 연통홀(1432b)을 통해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제3 방향으로 이동되며,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제2 탄성부(1473)에 의해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되어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와 중단부의 경계영역에 형성된 유입공(1431b)을 폐쇄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는 누름부재(1440)을 기준으로 액상이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인 액상 유출부(1471)과 본체의 제1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액상이 유입되는 부분인 원통관(1330) 내에는 각각 구형의 유출 조정볼(1475)와 개폐부(135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1440)가 제1 방향인 하부측으로 눌려지는 경우, 외력이 가해진 제2 탄성부(1473)는 제3 방향인 액상 유출부(1471)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유출 조정볼(1475)에 의하여 개구됨으로써 액상과 공기는 액상 유출부(147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개폐부지지부(1340)는 제4 방향으로 개폐부(1350)을 가압하여 본체에서 액상의 유입을 제한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1440)가 제2 방향인 상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외력이 제거된 제2 탄성부(1473)은 제4 방향인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유출 조정볼(1475)는 액상 유출부(1471)을 폐쇄한다. 이때, 개폐부지지부(1340)은 제3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개폐구(1350)을 커버부(1360)에서 이격시킴으로써 본체의 제1 저장공간(S1) 내에 구비된 액상을 내부로 유입시킨다.
종래의 일반적인 화장용기는 마개를 돌려 화장액이 저장된 화장용기를 연 후, 화장액이 묻어 있는 브러쉬를 사용하여 화장을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부재를 눌러 항상 일정한 양의 화장액 만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음으로 화장을 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용기는 종래와 같이 화장액을 묻히기 위해 마개를 돌려 화장용기를 여는 방식과 달리 항상 밀폐되어 있으므로, 화장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일 뿐 만 아니라, 화장액이 소진되기 직전까지도 화장액이 굳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10: 본체
1130: 실린더부
1131: 액상 가이드부
1132: 수용부
1140: 누름부재
1143: 제1 탄성부
1145: 제1 실링부재
1147: 제2 실링부재
1150: 밀폐부재
1171: 액상 유출부
1173: 개폐부
1113: 누름홈
1180: 캡

Claims (19)

  1. 상부의 일측면에 누름부재(1140)가 삽입되는 누름홈(1113)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액상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110);
    상기 본체(1110) 내에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일측단에 액상이 유출되는 액상 유출부(1171)가 결합되는 액상 가이드부(1131) 및 상기 액상 가이드부(1131)와 연결되고, 일측에 형성된 개방홀(1132a)을 통해 상기 본체(1110)에 저장된 액상이 유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액상 가이드부(1131)와 연통되는 연통홀(1132b)과 상기 누름홈(1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132c)이 형성되는 수용부(1132)를 구비하는 실린더부(1130); 및
    상기 본체(1110)의 선단에 결합되는 캡(1180)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재(1140)는,
    외력이 인가되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도록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상 중 제1 부피의 액상이 상기 연통홀(1132b)을 통해 상기 액상 유출부(1171)로 유출되도록 하며,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액상 유출부(1171)로 유출된 상기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상기 개방홀(1132a)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누름부재(1140)는,
    상기 본체(1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외력을 인가받는 누름부(1141a), 상기 누름부(1141a)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132c)로 삽입되는 삽입부(1141b) 및 상기 삽입부(1141b)와 연결된 채, 상기 외력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되고,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는 제1 탄성부(1143)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부(1130)는,
    상기 개방홀(1132a)과 단차지도록 연결되어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원통관(1330), 상기 원통관(1330) 내에 구비되는 개폐부지지부(1340), 상기 개폐부지지부(1340)의 말단에 구비되는 개폐부(1350) 및 상기 원통관(1330)을 덮도록 구비되되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되어 각각 제1 및 제2 개구부(1361, 1362)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1350)에 대응하는 부분이 원뿔대형으로 구비되는 커버부(1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141b)는,
    상기 누름부(1141a)에 상기 외력이 인가되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누름부(1141a)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부(1143)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개폐부지지부(1340)와 상기 개폐부(1350)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1360)의 제2 개구부(1362)를 폐쇄하여 상기 개방홀(1132a)을 통한 액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개구부(1362)를 개방하여 상기 개방홀(1132a)을 통한 액상의 위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관(1330)은 상기 개방홀(1132a)을 둘러싸도록 상기 개방홀(1132a)의 내경보다 상기 원통관(1330)의 내경이 더 크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1360)는 제1 개구부(1361)의 직경이 제2 개구부(1362)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타측으로 갈 수록 단면이 점차 감소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지지부(1340)는 스프링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원통관(1330) 내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1350)은 상기 개폐부지지부(1340)의 말단에서 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지지부(134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가역적으로 상기 커버부(1360)의 제2 개구부(1362)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관(1330)의 외면에는 제1 체결부(1331)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136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체결부(1331)와 체결하는 제2 체결부(1363)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부(1360)은 상기 원통관(1330)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고정되고,
    상기 원통관(1330)은 상기 커버부(136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개방홀(1132a)과 상기 커버부(1360)의 제2 개구부(1362)가 서로 유체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140)는,
    상기 삽입부(1141b)에 결합된 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의 상기 액상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1 실링부재(114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1145)는,
    상기 누름홈(1113)을 통한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140)는,
    상기 삽입부(1141b)에 결합된 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수용부(1132)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2 실링부재(114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41b)는,
    상기 수용부(1132)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중단부(1141d), 상기 삽입부중단부(1141d)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전단부(1141f) 및 삽입부후단부(1141e)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실링부재(1145)는, 상기 삽입부전단부(1141f)에 결합된 채, 상기 삽입부중단부(1141d)의 외경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1132)와의 접촉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수용부(1132)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변형되고,
    상기 제2 실링부재(1147)는, 상기 삽입부후단부(1141e)에 결합된 채, 상기 삽입부중단부(1141d)의 외경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1132)와의 접촉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수용부(1132)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10)의 저장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제1 저장공간(S1) 및 제2 저장공간(S2)으로 분할하며, 상기 실린더부(1130)와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1 저장공간(S1)에 상기 액상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누름부재(1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어, 상기 제1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액상 중 상기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상기 원통관(1330)과 개방홀(1132a)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 상기 본체(1110)의 내측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저장공간(S1)의 크기가 상기 제1 부피만큼 축소되도록 하는 압착부(1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10)의 하부 영역의 관통영역을 밀폐하는 밀폐부재(1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저장공간(S2)은,
    상기 압착부(1190)와 상기 밀폐부재(115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저장공간(S1)의 크기가 상기 제1 부피만큼 축소되는 경우, 상기 제2 저장공간(S2)의 크기는 상기 제1 부피만큼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1150)는,
    상기 제2 저장공간(S2)과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홀(1152)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순환홀(1152)은, 상기 제2 저장공간(S2)이 상기 제1 부피만큼 확장되는 경우 상기 제1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외부 공기가 상기 제2 저장공간(S2)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유출부(1171)는,
    상부 영역에 형성된 채, 상기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홀을 형성하는 유출홀(1171a) 및 하부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액상 가이드부(1131)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17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71b)가 상기 액상 가이드부(1131)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1171b)의 외면과 상기 액상 가이드부(1131)의 내면 사이에는 이격공간(Q)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71b)는,
    상기 유출홀(1171a)과 연통되는 제1 연통공간(V1)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연통공간(V1)과 상기 이격공간(Q)을 연통하는 제1 통공(H1)을 구비하는 제1 결합부(1171c), 상기 연통홀(1132b)과 연통되는 제2 연통공간(V2)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통공간(V2)과 상기 이격공간(Q)을 연통하는 제2 통공(H2)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1171d) 및 상기 제2 통공(H2)을 포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통한 상기 액상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부(117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173)는,
    상기 누름부재(1140)에 상기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연통홀(1132b)을 통해 상기 액상 가이드부(1131)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개방시키며, 상기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10)의 저장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본체(1110)의 하부 영역의 관통영역을 밀폐하는 리필제공부(1390);를 포함하며,
    상기 리필제공부(1390)는,
    상기 본체(1110)의 저장공간에 삽입된 채, 리필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삽입부(1291), 상기 리필저장공간을 제3 저장공간(S3) 및 제4 저장공간(S4)으로 분할하며, 상기 실린더부(1130)와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3 저장공간(S3)에 상기 액상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누름부재(1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어, 상기 제3 저장공간(S3)에 저장된 액상 중 상기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상기 개방홀(1132a)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 상기 본체부삽입부(1291)의 내측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저장공간(S1)의 크기가 상기 제1 부피만큼 축소되도록 하는 압착부(1293) 및 상기 리필저장공간을 밀폐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1110)의 하부 영역의 관통영역을 밀폐하는 리필밀폐부(139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제공부(1390)는,
    상기 본체(1110)와 나사산 구조에 의해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밀폐부(1395)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관통공(1396a)이 형성되는 리필해제부(1396)를 구비하여 상기 관통공(1396a)에 삽입되는 고리부재를 통해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리필제공부(1390)가 상기 본체(111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유출부(1471)는,
    상부 영역에 형성된 채, 상기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홀을 형성하는 유출홀(1471a) 및 하부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471c)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홀(1471a)은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의 내경은 상기 액상 가이드부(1431)의 중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471c)는 상기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471c)의 외주면(1471c)과 상기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의 내측 외주면 사이에 놓여지는 제2 탄성부(1473) 및 상기 제2 탄성부(1473)의 후단에 놓여지며 상기 액상 가이드부(1431)의 중단부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유출 조정볼(147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조정볼(1475)은,
    상기 누름부재에 상기 외력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연통홀(1432b)을 통해 상기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제3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상기 제2 탄성부(1473)에 의해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액상 가이드부(1431)의 선단부와 중단부의 경계영역에 형성된 유입공(1431b)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KR1020170069274A 2017-03-10 2017-06-02 화장용기 KR101903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74A KR101903456B1 (ko) 2017-06-02 2017-06-02 화장용기
US15/787,487 US20180255905A1 (en) 2017-03-10 2017-10-18 Cosmetic-fluid dispenser
JP2017252940A JP6612839B2 (ja) 2017-03-10 2017-12-28 化粧容器
CN201711474507.0A CN108567220B (zh) 2017-03-10 2017-12-29 化妆品容器
PCT/KR2018/002904 WO2018164556A1 (ko) 2017-03-10 2018-03-12 화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74A KR101903456B1 (ko) 2017-06-02 2017-06-02 화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456B1 true KR101903456B1 (ko) 2018-11-22

Family

ID=6455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274A KR101903456B1 (ko) 2017-03-10 2017-06-02 화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4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799Y1 (ko) 2003-09-08 2004-01-24 변영광 리퀴드 타입의 화장품 도포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799Y1 (ko) 2003-09-08 2004-01-24 변영광 리퀴드 타입의 화장품 도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8685B2 (ja) 自動充填式アプリケータを有する収容塗布装置
US7614814B2 (en) Enhanced fluid dispenser container fitment
US20170143096A1 (en) Valve mechanism with applicator tip for cosmetic containers
JP6653555B2 (ja) 液体注出塗布容器とその使用方法
EP1595470B1 (en) Cosmetics dispenser container fitment
JP3837403B2 (ja) 少なくとも1つの製品、特に化粧製品を収容するための装置
KR101806051B1 (ko) 화장용기
KR102064062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1237448B1 (ko) 연질 브러시를 갖는 튜브형 액상 화장품 용기
CN108567220B (zh) 化妆品容器
KR101903456B1 (ko) 화장용기
US20180255905A1 (en) Cosmetic-fluid dispenser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101889650B1 (ko) 화장용기
KR102004283B1 (ko) 화장용기
KR101891221B1 (ko) 화장용기
KR101913955B1 (ko) 화장용기
JP2010100303A (ja) エア抜き機構付き容器
KR101913958B1 (ko) 화장용기
KR102036479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200044358A (ko) 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화장품용기
KR102080707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JP6956588B2 (ja) 塗布栓
KR100946433B1 (ko)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KR20210006770A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