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958B1 - 화장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958B1
KR101913958B1 KR1020170101133A KR20170101133A KR101913958B1 KR 101913958 B1 KR101913958 B1 KR 101913958B1 KR 1020170101133 A KR1020170101133 A KR 1020170101133A KR 20170101133 A KR20170101133 A KR 20170101133A KR 101913958 B1 KR101913958 B1 KR 101913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pening
pressing
liqui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만수
Original Assignee
최만수
(주)태양리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만수, (주)태양리뉴 filed Critical 최만수
Priority to KR102017010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958B1/ko
Priority to JP2017252940A priority patent/JP6612839B2/ja
Priority to CN201711474507.0A priority patent/CN108567220B/zh
Priority to PCT/KR2018/002904 priority patent/WO20181645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의 일측면에 제1 방향으로 누름홀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액상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누름홀에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누름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에는 내부에 하부유입구가 구비되는 누름부재; 상기 누름홀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유입구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액상이 상기 본체 내의 저장공간에서 액상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누름홀이 구비되는 부분은 내측으로 오목한 제1 라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재의 일단의 최외면은 상기 본체의 최외면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화장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용기 {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등과 같이 유동성이 있는 물체를 보관하고 이를 일정량 배출시킬 수 있는 화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기는 나사부가 형성된 병목을 갖는 화장용기에 화장액을 저장한다. 그리고, 병목의 나사부에 마개 겸 손잡이가 나사 결합된다. 마개 겸 손잡이의 내부 중앙 하단에는 브러쉬가 부설된 화장액 도포부재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화장용기는 마개를 돌리거나 개방하여 화장액이 저장된 화장용기를 연 후, 화장액이 묻어 있는 브러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용기(한국등록특허 제10-1318673호)는 손질하고자 하는 부위에 화장액을 칠할 때 브러쉬에 자주 화장액을 발라줘야 한다. 이때, 브러쉬를 화장용기에 담갔다 꺼내기를 반복해야 하므로, 외부 공기가 화장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화장액이 쉽게 굳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액에는 알코올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특성상 휘발성이 강하며, 마개를 확실하게 밀폐시키지 않는 이상 쉽게 휘발되는 문제점이 항상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화장용기의 마개는 확실한 밀폐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화장용기 내의 화장액이 휘발되어 화장액이 굳어지거나 또는 변질되어 제품으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량의 화장액을 균일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화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공기 등의 유입을 안정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내부 구비된 화장액의 변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되지 않은 외력에 의하여 화장액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아 휴대가 용이한 화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그 외의 목적은 좁은 폭을 갖는 화장용기에서 외측으로 돌출 부분이 형성되지 않아 우수한 심미감을 제공하면서 슬림화 및 소형화된 화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부의 일측면에 제1 방향으로 누름홀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액상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누름홀에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누름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에는 내부에 하부유입구가 구비되는 누름부재; 상기 누름홀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유입구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액상이 상기 본체 내의 저장공간에서 액상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누름홀이 구비되는 부분은 내측으로 오목한 제1 라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재의 일단의 최외면은 상기 본체의 최외면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화장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용기는 본체의 선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누름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측으로 오목한 제2 라운드부을 구비하는 내부캡; 및 상기 액상유출부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캡과 결합하는 외부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순차적으로 내부캡 및 외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내부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부캡과 본체의 최외면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라운드부는 상기 외부캡과 본체의 최외면에 대해서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본체에서 액상이 유출되는 방향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누름부재의 일부를 수납하는 누름홀; 상기 누름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결되어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액상유출부와 연통되는 제1 개방홀; 상기 누름홀의 타측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방홀; 상기 제2 개방홀보다 넓은 직경으로 연결되되 상기 저장공간 내로 연장되어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원통관; 상기 원통관의 말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개방홀과 연통되는 제1 개구부과 상기 원통관의 말단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2 개구부를 가역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을 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개폐부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관의 내주연은 상기 제2 개방홀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2 개방홀의 내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개구부측이 상기 원통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개구부측은 상기 원통관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 개구부의 외측면이 테이퍼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지지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관에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부는 상기 원통관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고정되고, 상기 원통관의 관통되어 구비되는 내부는 상기 커버부의 제2 개방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의 제2 개구부를 통하여 액상이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제1 탄성체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재의 위치이동이 가역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누름부재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누름홀에 수용된 액상 중 제1 부피의 액상이 상기 제1 개방홀을 통해 상기 액상유출부로 유출되도록 하며, 상기 누름부재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액상유출부로 유출된 상기 제1 부피의 액상에 대응하는 부피의 액상이 상기 제2 개방홀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누름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누름홀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바닥면에서 상기 누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하부유입구가 구비되는 플런지부; 상기 플런지부의 상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플런지부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관통홀을 구비한 헤드지지부; 상기 누름홀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이 인가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헤드부; 및 상기 플런지부의 외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구비는 한쌍의 제1 및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지부는 상기 플런지부의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하부유입구와 연통되는 액상전달통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실링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액상전달통로는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유입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홀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결되어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액상유출부와 연통되는 제1 개방홀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홀의 타측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방홀이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탄성체가 압축되어 상기 누름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누름홀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누름부 내부에 구비되는 액상은 상기 액상전달통로를 통하여 상기 제1 개방홀로 유출되되 상기 제1 개방홀과 상기 제2 개방홀은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부재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체가 복원되어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부 내부에는 상기 제2 개방홀을 통하여 액상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누름홀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홀로 삽입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위치 이동시 상기 누름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1 실링부재와, 상기 누름홀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홀로 삽입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위치 이동시 상기 누름홀의 내부에 구비되는 액상이 상기 누름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누름홀 내로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하부유입구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재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하부유입구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제1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유입구에 삽입되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누름부재의 하부측에서 상기 누름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에 의하여 상기 누름홀의 외벽에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누름부재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 사이는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은 가역적으로 부피가 변하는 제1 저장공간과 제2 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장공간은 상기 누름홀로 전달되는 액상이 수용되고 상기 제2 저장공간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재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상 중 상기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상기 원통관과 제2 개방홀을 통해 상기 누름홀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부피만큼 상기 제1 저장공간의 부피가 축소되고 상기 제2 저장공간은 상기 제1 부피만큼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 영역의 관통영역을 밀폐하고 내부에는 상기 압착부를 구비하되 상기 압착부에 의하여 제1 및 제2 저장공간으로 분할되되 상기 제1 저장공간에 액상을 구비하는 액상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제공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인 일면이 개구되고 순차적으로 제1 및 제2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일면이 대면하는 타면은 상기 본체의 후단부를 덮되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공간은, 상기 압착부와 상기 공기순환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저장공간의 크기가 상기 제1 부피만큼 축소되는 경우, 상기 공기순환홀를 통하여 제1 부피만큼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압착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 저장공간의 크기를 상기 제1 부피만큼 더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액상제공부는 상기 일면에 인접한 외면에 오링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오링이 안착되는 부분은 단차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액상제공부와 상기 본체 사이를 밀접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액상제공부의 타면에 인접한 외면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액상제공부의 타면은 상기 본체의 측면의 말단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상유출부는, 상기 내부캡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홀와, 상기 내부캡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개방홀의 선단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 개방홀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의 외면과 상기 제1 개방홀의 내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유출홀과 연통되는 제1 연통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연통공간과 상기 이격공간을 연통하는 제1 통공을 구비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누름홀과 연통되는 제2 연통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통공간과 상기 이격공간을 연통하는 제2 통공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통공을 포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통공을 통한 상기 액상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누름부재에 상기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 개방홀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통공을 개방시키며, 상기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제2 통공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액상유출부는, 상기 내부캡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홀와, 상기 내부캡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개방홀의 선단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개방홀의 선단부의 내경은 상기 누름부재의 측면과 대면하는 상기 제1 개방홀의 후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말단과 상기 제1 개방홀의 선단부의 내측 외주면 사이에 놓여지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의 후단에 놓여지며 상기 제1 개방홀의 후단부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유출 조정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 조정볼은, 상기 누름부재에 상기 외력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된 액상은 상기 제1 개방홀을 통하여 이동하여 상기 유출 조정볼를 가압하여 상기 제2 탄성부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액상이 상기 제1 개방홀의 선단부를 통하여 상기 액상유출부를 통하여 배출시키고, 상기 액상이 상기 유출 조정볼의 가압하는 압력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제2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유출 조정볼은 상기 제1 개방홀의 후단을 폐쇄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량의 화장액을 균일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화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공기 등의 유입을 안정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내부 구비된 화장액의 변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되지 않은 외력에 의하여 화장액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아 휴대가 용이한 화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좁은 폭을 갖는 화장용기에서 외측으로 돌출 부분이 형성되지 않아 우수한 심미감을 제공하면서 슬림화 및 소형화된 화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외부캡을 분리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몸체부의 전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외력이 인가된 누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누름부재 및 제1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재 및 제1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력이 인가된 누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누름부재 및 제1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재 및 제1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전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전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외부캡을 분리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몸체부의 전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외력이 인가된 누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100)는 상부의 일측면에 제1 방향으로 누름홀(113)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액상이 저장되는 저장공간(S)이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누름홀(113)에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누름홀(113)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에는 내부에 하부유입구(141a)가 구비되는 누름부재(140); 상기 누름홀(113)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유입구(141a)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탄성체(147); 및 상기 본체(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액상이 상기 본체(110) 내의 저장공간(S)에서 액상유출부(17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10)의 누름홀(113)이 구비되는 부분은 내측으로 오목한 제1 라운드부(131)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재(140)의 일단의 최외면은 상기 본체(110)의 최외면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장용기(100)는 본체(110)의 선단인 일측단(115)에 결합되도록 상기 누름홀(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측으로 오목한 제2 라운드부(121a)을 구비하는 내부캡(120); 및 상기 액상유출부(171)를 수납하는 수납공간(181)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캡(120)과 결합하는 외부캡(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순차적으로 내부캡(120) 및 외부캡(180)이 결합되고, 상기 내부캡(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부캡(180)과 본체(110)의 최외면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라운드부(121a)는 상기 외부캡(180)과 본체(110)의 최외면에 대해서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내부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상은 액상유출부(171)를 통해 이동되기 용이한 점성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화장액)일 수 있으며, 그 외에 흐름성이 있는 유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상유출부(171)는 외부캡(180)이 본체(110)와 분리되면 외부로 노출되고, 외부캡(180)이 본체(110)와 결합되면 외부캡(180) 내에 은닉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외부캡(180)이 본체(110)와 분리된 후, 누름부재(140)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본체(110) 내부에 구비된 액상, 예컨대 화장품 등이 일정한 양으로 액상유출부(17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외부캡(180)은 액상이 유출되는 액상유출부(171)을 커버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10)와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액상이 저장되는 저장공간(S)과, 상기 외부캡(180)이 구비되는 본체(110)의 일측단(115)과 상기 일측단(115)과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타측단 및 상기 일측단 (115) 및 타측단을 연결하고 내부에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측면으로 이루어진 용기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체(110)는 육면체,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140)는 대략 상기 누름부재(140)가 삽입되는 누름홀(113)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재(140)의 하부인 상기 누름홀(113)의 바닥면에는 제1 탄성체(147)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누름홀(113)에서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노출된 부분을 통하여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제1 탄성체(147)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누름홀(113) 내에서 상하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내부캡(120)은 상기 본체(110)의 선단에 결합되되 상기 본체(110)의 일측단(11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링부재(160)의 일측을 가압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캡(120)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단(11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액상유출부(171)를 노출시키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외부캡(180)과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캡(12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부재가 외측면이 단차지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링부재(160)와 인접한 부분이 가장 넓은 직경으로 구비되고 상기 외부캡(18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 가장 좁은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캡(120)은 외주연이 본체(110)의 외주연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플랜지부(121), 상기 플랜지부(121)에서 상기 플랜지부(121)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결되는 미들부(122), 상기 미들부(122)에서 상기 미들부(122)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되 상기 액상유출부(171)가 통과하는 홀을 구비한 탑부(1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탑부(123)는 상기 액상유출부(171)가 통과하는 홀이 구비된 부분이 더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도록 두개의 상이한 직경을 갖는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캡(120)의 플랜지부(121)에는 상기 누름부재(140)가 돌출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재(140)가 돌출되는 부분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제2 라운드부(12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라운드부(121a)은 주변보다 오목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누름부재(140)측으로 외력을 인가하는 부재는 상기 누름부재(140)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예컨대, 사람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상기 누름부재(14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2 라운드부(!21a)는 사람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형상의 제약없이 상기 누름부재(140)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100)는 상기 누름부재(140)가 구비되는 부분에서의 하우징인 몸체부(110) 및 내부캡(120)에 각각 제1 및 제2 라운드부(131, 121a)가 구비되므로, 상기 누름부재(140)를 가압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상기 누름부재(140)가 상기 누름홀(113)을 통하여 노출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 및 상기 외부캡(180)의 최외면보다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100)는 외력이 인가되는 부분인 누름부재(140)가 구비되는 영역에 내측으로 오목한 제1 및 제2 라운드부(131, 121a)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장용기(100)의 전체적인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 불필요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좁은 폭을 갖는 화장용기(100)에도 상기 화장용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화장액을 제어된 양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캡(180)은 상기 액상유출부(171)를 수납하는 수납공간(181)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캡(12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181)의 측면에는 상기 내부캡(120)과 체결되도록 체결홈(18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캡(180)은 외주연이 상기 몸체(110)의 외주연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몸체(110)가 원통형인 경우, 상기 외부캡(180)도 원통형일 수 있고, 상기 몸체(110)가 육면체인 경우, 상기 외부캡(180)도 육면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캡(120)의 미들부(122)의 외면에는 체결돌기(124)가 구비되어 상기 외부캡(180)의 체결홈(182)에 삽입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외부캡(180)은 몸체(110)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되 상기 액상유출부(171)를 보호하고 상기 액상유출부(171)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부캡(120)의 미들부(122)와 탑부(123)는 상기 외부캡(180)의 내부 수납공간(181)에 삽입되어 상기 미들부(122)에 구비된 체결돌기(124)는 상기 외부캡(180)의 체결홈(182)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일단에는 상기 액상이 상기 본체(110) 내에서 액상유출부(17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실린더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130)는, 상기 본체(110)에서 액상이 유출되는 방향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누름부재(140)의 일부를 수납하는 누름홀(113); 상기 누름홀(113)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결되어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액상유출부(171)와 연통되는 제1 개방홀(112); 상기 누름홀(113)의 타측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방홀(132a); 상기 제2 개방홀(132a)보다 넓은 직경으로 연결되되 상기 저장공간(S) 내로 연장되어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원통관(330); 상기 원통관(330)의 말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개방홀(132a)과 연통되는 제1 개구부(361)과 상기 원통관(330)의 말단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S)과 연통되는 제2 개구부(362)를 구비하는 커버부(360); 상기 커버부(360)의 내측에서 상기 제2 개구부(362)를 가역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개폐부(350); 및 상기 개폐부(350)을 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커버부(360)의 내측에 구비되는 개폐부지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린더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 내부에서 상기 액상유출부(171)와 상기 본체(110) 내의 액상을 저장하는 공간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되 누름부재(140)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본체(110)의 내부의 액상이 상기 액상유출부(171)를 통하여 유출되는 액상의 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장측에 수직하도록 상부 및 하부 측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누름홀(113)과, 상기 누름홀(113)의 일측에서 대략 중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유출부(171)와 연통되는 제1 개방홀(112), 상기 제1 개방홀(112)에 대면하도록 상기 누름홀(113)의 타측에서 대략 중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 내부에 저장되는 액상과 연통되는 제2 개방홀(132a)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누름홀(113)과 상기 제1 및 제2 개방홀(112, 132a)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은 대략 +자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130)의 누름홀(113)에는 누름부재(140)가 상기 본체(110)의 상부면에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140)의 상하 위치이동에 의하여 상기 누름홀(113)의 내부에는 액상이 구비되는 액상은 상기 누름부재(140)의 하부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거나 혹은 상기 제2 개방홀(132a)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제1 개방홀(112)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130)는, 개방홀(132a)과 단차지도록 연결되어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원통관(330), 원통관(330) 내에 구비되는 개폐부지지부(340), 개폐부지지부(40)의 말단에 구비되는 개폐부(350) 및 원통관(330)을 덮도록 구비되되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되어 각각 제1 및 제2 개구부(361, 362)를 구비하고 개폐부(350)에 대응하는 부분이 원뿔대형으로 구비되는 커버부(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원통관(330)의 내주연은 상기 제2 개방홀(132a)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2 개방홀(132a)의 내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360)는 상기 제1 개구부(361) 측이 상기 원통관(3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개구부(362)측은 상기 원통관(330)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 개구부(362)의 외측면이 테이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지지부(340)는 상기 커버부(360)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지지부(340)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 또는 막대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360)의 내측에서 리브와 같은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35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50)는 상기 커버부(360)에서 상기 제2 개구부(362)가 구비되는 말단에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개폐부지지부(340)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폐부지지부(340)는 단면이 원형이 커버부(360)의 내측면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통관(330)에는 제1 체결부(331)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360)에는 상기 제1 체결부(331)와 체결하는 제2 체결부(363)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부(360)는 상기 원통관(330)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원통관(330)의 관통되어 구비되는 내부는 상기 커버부(360)의 제2 개방홀(132a)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360)의 제2 개구부(362)를 통하여 액상이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지지부(340)와 개폐부(350)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360)의 제2 개구부(362)를 폐쇄하여 상기 개방홀(132a)을 통한 액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개구부(1362)를 개방하여 상기 개방홀(132a)을 통한 액상의 위치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상기 개폐부(350)은 상기 개폐부지지부(340)의 말단에서 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재(140)의 상하이동을 통한 액상의 부피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외력에 의하여 가역적으로 상기 커버부(360)의 제2 개구부(362)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원통관(330)의 내경(t1)은 개방홀(132a)의 내경보다 크게 구비되도록 단차지게 연결되므로 원통관(330) 내에 구비되는 개폐부지지부(340)은 개방홀(132a)로 이탈하지 않고 원통관(330) 내부에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개폐부지지부(340)는 상기 커버부(360)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커버부(136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말단에 구형으로 구비되는 개폐부(35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누름부재(140)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부(350)에 의한 상기 제2 개구부(36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통관(330)의 외면에는 제1 체결부(331)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36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체결부(331)와 체결하는 제2 체결부(363)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부(360)은 상기 원통관(330)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원통관(330)은 상기 커버부(36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개방홀(132a)과 상기 커버부(360)의 제2 개구부(362) 사이에 액상이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체결부(331)와 제2 체결부(362)은 각각 돌기 및 홈의 형태로 구비되어 끼움결합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고, 혹은 나사산 및 나사홈에 의하여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331, 362)는 커버부(360)를 원통관(330)에 밀접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생략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누름부재(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액상 중 상기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상기 원통관(330)과 제2 개방홀(132a)을 통해 상기 누름홀(113)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부피만큼 상기 제1 저장공간(S1)의 부피가 축소되고 상기 제2 저장공간(S2)은 상기 제1 부피만큼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10)의 하부 영역의 관통영역을 밀폐하고 내부에는 상기 압착부(190)를 구비하되 상기 압착부(190)에 의하여 제1 및 제2 저장공간(S1, S2)으로 분할되되 상기 제1 저장공간에 액상을 구비하는 액상제공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제공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인 일면이 개구되고 순차적으로 제1 및 제2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일면이 대면하는 타면은 상기 본체 (110)의 후단부를 덮되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홀(1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공간(S2)은, 상기 압착부(190)와 상기 공기순환홀(15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저장공간(S1)의 크기가 상기 제1 부피만큼 축소되는 경우, 상기 공기순환홀(152)를 통하여 제1 부피만큼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압착부(190)를 가압하여 상기 제2 저장공간(S2)의 크기를 상기 제1 부피만큼 더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압착부(190)는 상기 액상제공부(150)의 내측면과 밀접하게 접하도록 구비되고 일면 및 타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압착측부(191)와 상기 압착측부(191) 내부에서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압착측부(191) 폐쇄하는 압착면부(1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착면부(1192)는 상기 압착측부(191)에 대해서 수직하게 연결되되 중심부가 상기 공기순환홀(152)을 향하도록 단차지게 구비되어 상기 원통부(330)를 수납하는 원통부수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90)는 상기 액상제공부(150)에서 상기 액상제공부(150) 내의 액상이 외부로 유출될수록 점차 상기 본체(110)에 인접하도록 접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부(190)에 상기 원통수납부(3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압착부(160)는 형상의 제약없이 상기 본체(110)의 실린더(130)측까지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저장공간(S1) 중에 포함된 액상은 상기 본체(110) 내부에 잔존하지 않고 대부분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액상제공부(150)는 상기 일면에 인접한 외면에 오링(154)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오링(154)이 안착되는 부분은 단차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액상제공부(150)와 상기 본체(110) 사이를 밀접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액상제공부(150)를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오링(153)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오링(153)이 안착되는 부분(119)에 끼움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액상제공부(150)의 타면에 인접한 외면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액상제공부(150)의 타면은 상기 본체(110)의 측면의 말단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액상제공부(150)의 타면에 인접한 말단부에는 단차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110)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본체(110) 내에 구비된 액상제공부(150)는 돌출되지 않고 본체(110)에 일체형처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상유출부(171)는, 상기 내부캡(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홀(171a)와, 상기 내부캡(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7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1b)가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171b)의 외면과 상기 제1 개방홀(112)의 내면 사이에는 이격공간(Q)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71b)는 상기 유출홀(171a)과 연통되는 제1 연통공간(V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통공간(V1)과 상기 이격공간(Q)을 연통하는 제1 통공(H1)을 구비하는 제1 결합부(171c)와, 상기 누름홀(113)과 연통되는 제2 연통공간(V2)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통공간(V2)과 상기 이격공간(Q)을 연통하는 제2 통공(H2)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171d) 및 상기 제2 통공(H2)을 포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통한 상기 액상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부(1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73)는, 상기 누름부재(140)에 상기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개방시키며, 상기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폐쇄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누름부재 및 제1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재 및 제1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누름홀(113)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재(140)의 바닥면에서 상기 누름부재(140)의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하부유입구(141a)가 구비되는 플런지부(141); 상기 플런지부(141)의 상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플런지부(141)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관통홀(142a)을 구비한 헤드지지부(142); 상기 누름홀(113)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이 인가되는 누름부(145)와 상기 누름부(145)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142a)로 삽입되는 삽입부(146)로 이루어지는 헤드부; 및 상기 플런지부(141)의 외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구비는 한쌍의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지부(141)는 상기 플런지부(141)의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하부유입구(141a)와 연통되는 액상전달통로(1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재(148)는 상기 플랜지부(141)의 하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실링부재(149)는 상기 플랜지부(141)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액상전달통로(144)는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유입부(141a)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홀(113)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결되어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액상유출부(171)와 연통되는 제1 개방홀(112)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홀(113)의 타측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방홀(13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140)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탄성체(147)가 압축되어 상기 누름부(145)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누름홀(113)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누름부(145) 내부에 구비되는 액상은 상기 액상전달통로(144)를 통하여 상기 제1 개방홀(112)로 유출되되 상기 제1 개방홀(113)과 상기 제2 개방홀(132a)은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부재(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체(147)가 복원되어 상기 누름부(145)가 상기 누름홀(113)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부(145) 내부에는 상기 제2 개방홀(132a)을 통하여 액상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누름홀(113)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홀(113)로 삽입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위치 이동시 상기 누름홀(113)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1 실링부재(148)와, 상기 누름홀(113)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홀(113)로 삽입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위치 이동시 상기 누름홀(113)의 내부에 구비되는 액상이 상기 누름홀(113)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실링부재(149)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누름홀(113) 내로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누름홀(113)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홀(113)에서 유출되는 방향인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 시, 상기 액상이 상기 누름홀(113)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실링부재(148)와, 상기 누름홀(113)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누름홀(113)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2 실링부재(14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재(148)는 상기 누름부재(140)의 상부측에 인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실링부재(149)은 상기 누름부재(140)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140)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가 구비되는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에 대응하는 형태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은 누름홀(113)의 내벽과 접촉된 채, 상기 누름홀(113)의 내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는 예컨대, 탄성을 구비한 오링 (o-ring) 또는 고무팩킹 (rubber packing)부재 일 수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은 상기 누름홀(113)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압축 변형되어 상기 누름홀(113)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 경우, 누름홀(113)의 내부에서 누름부재(140)의 제2 실링부재(149)의 하부에 위치한 공간은 제2 실링부재(149)에 의해 밀폐된 상태가 되어 수용공간으로부터 제1 개방홀(112)을 통한 액상 유출 압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재(149)는 누름홀(113)의 내벽의 미세한 틈으로 이동될 수 있는 액상의 유실을 막아 수용공간으로부터 제1 개방홀(112)로의 액상 유출을 구현하므로, 제2 실링부재(147)가 부재(不在)한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강한 압력으로 액상 유출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누름부재(140)에 외력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 내의 액상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에 제2 개방홀(132a)을 통하여 유입되는 액상은 제한하되 제1 개방홀(112)을 통하여 액상을 배출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누름부재(140)에 가해진 외력에 해제되는 경우, 수용공간 내의 액상의 압력이 감소하고 제1 개방홀(112)로의 배출이 차단되며 동시에 제2 개방홀(132a)을 통하여 액상이 채워지게 됨으로써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는 액상은 일정 양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1 탄성체(147)는 상기 하부유입구(141a)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제1 탄성체(147)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유입구(141a)에 삽입되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누름부재(140)의 하부측에서 상기 누름부재(14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에 의하여 상기 누름홀의 외벽에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별법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누름부재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 사이는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 사이의 측면 (141b)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누름부재에서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 사이와 상기 누름홀의 외벽사이의 공간이 확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 사이를 통하여 유입되는 액상은 상기 액상의 점도에 대한 제약없이 상기 액상전달통로(144)를 통하여 상기 제2 개방홀(132a)에서 제1 개방홀(113)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력이 인가된 누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누름부재 및 제1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재 및 제1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제1 탄성체(147)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재(140)의 위치이동이 가역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140)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누름홀(113) 내에 수용된 액상 중 제1 부피의 액상이 상기 제1 개방홀(112)을 통해 상기 액상유출부(170)로 유출되도록 하며, 상기 누름부재(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액상유출부(171)로 유출된 상기 제1 부피의 액상에 대응하는 부피의 액상이 상기 제2 개방홀(132a)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누름홀(113)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140)에 외력이 인가되면 누름홀(113)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홀(113)에 수용된 액상 중 제1 부피의 액상이 상기 제1 개방홀(112)을 통해 상기 액상유출부(17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누름부재(140)의 제1 탄성체(147)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누름홀(113)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누름홀(113) 내에서 액상이 구비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누름홀(113) 내의 수용공간은 상기 누름홀(113)에서 누름부재(140)의 이동에 의하여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액상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으로, 예컨대, 상기 누름부재(140) 내에 구비되는 하부유입구(141a)와 액상전달통로(144)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유출부(171)로 유출된 상기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상기 제2 개방홀(132a)을 통해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S)으로부터 상기 누름홀(113)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130)의 수용공간은 상기 누름부재(140)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누름홀(113)의 내부측으로 위치이동한 누름부재(140)에 의해 제1 부피만큼 축소되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상 중 제1 부피에 해당하는 양이 제1 개방홀(112)을 통해 액상유출부(171)로 유출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140)dp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누름홀(113)의 외부측을 향하도록 위치 이동되어 실린더부(130)의 수용공간의 크기가 제1 부피만큼 확장되도록 하며, 이 때 확장된 수용공간의 제1 부피를 메우기 위해, 상기 본체(110)에 저장된 액상이 커버부(360)의 제2 개구홀(362)를 통하여 수용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액상유출부(171)는, 상기 내부캡(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홀(171a)와, 상기 내부캡(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7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출홀(171a)이 피부에 잘 밀착될 수 있도록 유출홀(171a)의 단면은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출홀은 화장을 위한 솔(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으며, 유출홀을 통해 유출된 액상은 부드러운 솔을 통해 사용자 피부에 흡수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부드러운 솔의 촉감을 느끼면서 액상을 피부미용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1b)가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171b)의 외면과 상기 제1 개방홀(112)의 내면 사이에는 이격공간(Q)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1b)는 상기 유출홀(171a)과 연통되는 제1 연통공간(V1)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연통공간(V1)과 상기 이격공간(Q)을 연통하는 제1 통공(H1)을 구비하는 제1 결합부(171c)와, 상기 누름홀(113)과 연통되는 제2 연통공간(V2)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통공간(V2)과 상기 이격공간(Q)을 연통하는 제2 통공(H2)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171d) 및 상기 제2 통공(H2)을 포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통한 상기 액상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부(1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73)는, 상기 누름부재(140)에 상기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개방시키며, 상기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73)는 일종의 얇은 고무막으로 제2 결합부(171d)의 외주면을 에워싸듯이 위치하여, 제2 통공(H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은 가역적으로 부피가 변하는 제1 저장공간(S1)과 제2 저장공간(S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장공간(S1)은 상기 누름홀(113)로 전달되는 액상이 수용되고 상기 제2 저장공간(S2)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재는 상기 제2 개방홀(132a)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 사이의 측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S)에 구비된 상기 액상이 제2 개방홀(132a)을 통해 상기 액상전달통로(144)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방홀(112)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 사이의 측면도 역시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액상전달통로(144)에서 상기 제1 개방홀(112)로 액상이 용이하게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4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전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전단부의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에서 누름부재에 외력이 인가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는 액상유출부(471)에 유출 조절볼(475)이 구비되어 제1 개방홀(112)를 통하여 배출되는 화장품인 액상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액상유출부(171)는, 상기 내부캡(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홀(171a)와, 상기 내부캡(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고,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의 내경은 상기 누름부재(140)의 측면과 대면하는 상기 제1 개방홀(112)의 후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1b)의 말단과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의 내측 외주면 사이에 놓여지는 제2 탄성부(473) 및 상기 제2 탄성부(473)의 후단에 놓여지며 상기 제1 개방홀(112)의 후단부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유출 조정볼(4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 조정볼(475)은, 상기 누름부재(140)에 상기 외력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된 액상은 상기 제1 개방홀(112)을 통하여 이동하여 상기 유출 조정볼(475)를 가압하여 상기 제2 탄성부(473)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액상이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를 통하여 상기 액상유출부(171)를 통하여 배출시키고, 상기 액상이 상기 유출 조정볼(475)의 가압하는 압력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제2 탄성부(47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유출 조정볼(475)은 상기 제1 개방홀(112)의 후단을 폐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는 액상유출부(471)에 유출 조절볼(475)이 구비되어 제1 개방홀(112)를 통하여 배출되는 화장품인 액상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출 조정볼(475)은, 상기 누름부재(140)에 외력에 인가되는 경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제3 방향인 액상유출부(171)측으로 이동되며,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제2 탄성부(473)에 의해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와 말단부의 경계영역에 형성된 유입공(431b)을 폐쇄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기는 누름부재(140)을 기준으로 액상이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인 액상유출부(171)과 본체의 제1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액상이 유입되는 부분인 원통관(330) 내에는 각각 구형의 유출 조정볼(475)와 개폐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140)의 하부에는 제1 탄성체(147, 147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체(147, 147a)는 상기 누름부재(140)의 바닥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하부유입구(141a)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거나 (도 14 및 도 15 참조), 큰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참조).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제1 탄성체(147)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탄성체(14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누름부재(140)의 하부유입구에 삽입될 수 있고,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상기 제1 탄성체(147a)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탄성체(147a)는 상기 누름부재(140)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해제되어 누름부재(140)가 누름부(113)의 외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외력이 제거된 제2 탄성부(473)은 제4 방향인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유출 조정볼(475)는 액상유출부(171)을 폐쇄한다. 이때, 개폐부지지부(340)은 제3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개폐구(350)을 커버부(360)에서 이격시킴으로써 본체의 제1 저장공간(S1) 내에 구비된 액상을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인가되어 누름부재(140)가 누름부(113)의 내부로 눌려지는 경우, 외력이 가해진 제2 탄성부(473)는 제3 방향인 액상유출부(171)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유출 조정볼(475)에 의하여 개구됨으로써 액상과 공기는 액상유출부(47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개폐부지지부(340)는 제4 방향으로 개폐부(350)을 가압하여 본체에서 액상의 유입을 제한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본체
120: 내부캡
140: 누름부재
150: 액상제공부
180: 외부캡

Claims (17)

  1. 상부의 일측면에 제1 방향으로 누름홀(113)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액상이 저장되는 저장공간(S)이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누름홀(113)에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누름홀(113)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에는 내부에 하부유입구(141a)가 구비되는 누름부재(140);
    상기 누름홀(113)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유입구(141a)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탄성체(147); 및
    상기 본체(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액상이 상기 본체(110) 내의 저장공간(S)에서 액상유출부(17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10)의 누름홀(113)이 구비되는 부분은 내측으로 오목한 제1 라운드부(131)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재(140)의 일단의 최외면은 상기 본체(110)의 최외면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화장용기(1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선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누름홀(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측으로 오목한 제2 라운드부(121a)을 구비하는 내부캡(120); 및
    상기 액상유출부(171)를 수납하는 수납공간(181)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캡(120)과 결합하는 외부캡(1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110)에는 순차적으로 내부캡(120) 및 외부캡(180)이 결합되고, 상기 내부캡(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부캡(180)과 본체(110)의 최외면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라운드부(121a)는 상기 외부캡(180)과 본체(110)의 최외면에 대해서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구비되는 화장용기(1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130)는,
    상기 본체(110)에서 액상이 유출되는 방향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누름부재(140)의 일부를 수납하는 누름홀(113);
    상기 누름홀(113)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결되어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액상유출부(171)와 연통되는 제1 개방홀(112);
    상기 누름홀(113)의 타측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방홀(132a);
    상기 제2 개방홀(132a)보다 넓은 직경으로 연결되되 상기 저장공간(S) 내로 연장되어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원통관(330);
    상기 원통관(330)의 말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개방홀(132a)과 연통되는 제1 개구부(361)과 상기 원통관(330)의 말단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S)과 연통되는 제2 개구부(362)를 구비하는 커버부(360);
    상기 커버부(360)의 내측에서 상기 제2 개구부(362)를 가역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개폐부(350); 및
    상기 개폐부(350)을 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커버부(360)의 내측에 구비되는 개폐부지지부(340)를 포함하는 화장용기(1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관(330)의 내주연은 상기 제2 개방홀(132a)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2 개방홀(132a)의 내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360)는 상기 제1 개구부(361) 측이 상기 원통관(3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개구부(362)측은 상기 원통관(330)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 개구부(362)의 외측면이 테이퍼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지지부(340)는 상기 커버부(360)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340)를 포함하는 화장용기(1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관(330)에는 제1 체결부(331)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360)에는 상기 제1 체결부(331)와 체결하는 제2 체결부(363)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부(360)는 상기 원통관(330)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고정되고,
    상기 원통관(330)의 관통되어 구비되는 내부는 상기 커버부(360)의 제2 개방홀(132a)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360)의 제2 개구부(362)를 통하여 액상이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화장용기(110).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제1 탄성체(147)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재(140)의 위치이동이 가역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누름부재(140)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누름홀(113)에 수용된 액상 중 제1 부피의 액상이 상기 제1 개방홀(112)을 통해 상기 액상유출부(171)로 유출되도록 하며,
    상기 누름부재(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액상유출부(171)로 유출된 상기 제1 부피의 액상에 대응하는 부피의 액상이 상기 제2 개방홀(132a)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누름홀(113)로 유입되는 화장용기(1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누름홀(113)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재(140)의 바닥면에서 상기 누름부재(140)의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하부유입구(141a)가 구비되는 플런지부(141);
    상기 플런지부(141)의 상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플런지부(141)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관통홀(142a)을 구비한 헤드지지부(142);
    상기 누름홀(113)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이 인가되는 누름부(145)와 상기 누름부(145)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142a)로 삽입되는 삽입부(146)로 이루어지는 헤드부; 및
    상기 플런지부(141)의 외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구비는 한쌍의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를 포함하는 화장용기(1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지부(141)는 상기 플런지부(141)의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하부유입구(141a)와 연통되는 액상전달통로(14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링부재(148)는 상기 플런지부(141)의 하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실링부재(149)는 상기 플런지부(141)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액상전달통로(144)는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유입구(141a)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화장용기(1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홀(113)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결되어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액상유출부(171)와 연통되는 제1 개방홀(112)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홀(113)의 타측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방홀(132a)이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재(140)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탄성체(147)가 압축되어 상기 누름부(145)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누름홀(113)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누름부(145) 내부에 구비되는 액상은 상기 액상전달통로(144)를 통하여 상기 제1 개방홀(112)로 유출되되 상기 제1 개방홀(112)과 상기 제2 개방홀(132a)은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부재(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체(147)가 복원되어 상기 누름부(145)가 상기 누름홀(113)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부(145) 내부에는 상기 제2 개방홀(132a)을 통하여 액상이 유입되는 화장용기(110).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40)는,
    상기 누름홀(113)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홀(113)로 삽입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위치 이동시 상기 누름홀(113)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1 실링부재(148)와,
    상기 누름홀(113)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홀(113)로 삽입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위치 이동시 상기 누름홀(113)의 내부에 구비되는 액상이 상기 누름홀(113)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실링부재(149)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재(148, 149)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누름홀(113) 내로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하는 화장용기(110).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저장공간은 가역적으로 부피가 변하는 제1 저장공간(S1)과 제2 저장공간(S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장공간(S1)은 상기 누름홀(113)로 전달되는 액상이 수용되고 상기 제2 저장공간(S2)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재(14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액상 중 상기 제1 부피의 액상과 동일한 부피의 액상이 상기 원통관(330)과 제2 개방홀(132a)을 통해 상기 누름홀(113)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부피만큼 상기 제1 저장공간(S1)의 부피가 축소되고 상기 제2 저장공간(S2)은 상기 제1 부피만큼 부피가 증가되는 화장용기(11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10)의 하부 영역의 관통영역을 밀폐하고 내부에는 압착부(190)를 구비하되 상기 압착부(190)에 의하여 제1 및 제2 저장공간(S1, S2)으로 분할되되 상기 제1 저장공간에 액상을 구비하는 액상제공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상제공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인 일면이 개구되고 순차적으로 제1 및 제2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일면이 대면하는 타면은 상기 본체 (110)의 후단부를 덮되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홀(15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저장공간(S2)은,
    상기 압착부(190)와 상기 공기순환홀(15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저장공간(S1)의 크기가 상기 제1 부피만큼 축소되는 경우, 상기 공기순환홀(152)를 통하여 제1 부피만큼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압착부(190)를 가압하여 상기 제2 저장공간(S2)의 크기를 상기 제1 부피만큼 더 확장시키는 화장용기(1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제공부(150)는 상기 일면에 인접한 외면에 오링(154)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오링(154)이 안착되는 부분은 단차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액상제공부(150)와 상기 본체(110) 사이를 밀접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액상제공부(150)의 타면에 인접한 외면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액상제공부(150)의 타면은 상기 본체(110)의 측면의 말단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화장용기(110).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유출부(171)는,
    상기 내부캡(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홀(171a)와, 상기 내부캡(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71b)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171b)가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171b)의 외면과 상기 제1 개방홀(112)의 내면 사이에는 이격공간(Q)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71b)는 상기 유출홀(171a)과 연통되는 제1 연통공간(V1)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연통공간(V1)과 상기 이격공간(Q)을 연통하는 제1 통공(H1)을 구비하는 제1 결합부(171c)와, 상기 누름홀(113)과 연통되는 제2 연통공간(V2)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통공간(V2)과 상기 이격공간(Q)을 연통하는 제2 통공(H2)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171d) 및 상기 제2 통공(H2)을 포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통한 상기 액상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부(173)를 구비하는 화장용기(110)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73)는,
    상기 누름부재(14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액상에 의한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개방시키며, 상기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제2 통공(H2)을 폐쇄하는 화장용기(110).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유출부(171)는,
    상기 내부캡(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홀(171a)와, 상기 내부캡(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의 내경은 상기 누름부재(140)의 측면과 대면하는 상기 제1 개방홀(112)의 후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71b)의 말단과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의 내측 외주면 사이에 놓여지는 제2 탄성부(473) 및 상기 제2 탄성부(473)의 후단에 놓여지며 상기 제1 개방홀(112)의 후단부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유출 조정볼(475)을 더 포함하는 화장용기(11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조정볼(475)은,
    상기 누름부재(140)에 외력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된 액상은 상기 제1 개방홀(112)을 통하여 이동하여 상기 유출 조정볼(475)를 가압하여 상기 제2 탄성부(473)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액상이 상기 제1 개방홀(112)의 선단부를 통하여 상기 액상유출부(171)를 통하여 배출시키고,
    상기 액상이 상기 유출 조정볼(475)의 가압하는 압력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제2 탄성부(47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유출 조정볼(475)은 상기 제1 개방홀(112)의 후단을 폐쇄하는 화장용기(110).
KR1020170101133A 2017-03-10 2017-08-09 화장용기 KR101913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133A KR101913958B1 (ko) 2017-08-09 2017-08-09 화장용기
JP2017252940A JP6612839B2 (ja) 2017-03-10 2017-12-28 化粧容器
CN201711474507.0A CN108567220B (zh) 2017-03-10 2017-12-29 化妆品容器
PCT/KR2018/002904 WO2018164556A1 (ko) 2017-03-10 2018-03-12 화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133A KR101913958B1 (ko) 2017-08-09 2017-08-09 화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958B1 true KR101913958B1 (ko) 2019-01-14

Family

ID=6502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133A KR101913958B1 (ko) 2017-03-10 2017-08-09 화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95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143B1 (ko) 유통형 화장용 도포기 팩키지
US7125189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US7172360B2 (en) Art instrument
US8821059B2 (en) Cosmetic container
US7293931B2 (en) Enhanced fluid dispenser container fitment
KR20080086862A (ko) 일방향 밸브 어셈블리
US7168598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product
JP6653555B2 (ja) 液体注出塗布容器とその使用方法
KR102310297B1 (ko) 화장품 용기
KR20090003810U (ko) 액상화장품용기
EP1595470B1 (en) Cosmetics dispenser container fitment
CN108567220B (zh) 化妆品容器
JP7033683B2 (ja) 定量吐出容器
KR101913958B1 (ko) 화장용기
KR101806051B1 (ko) 화장용기
KR102004283B1 (ko) 화장용기
US20180255905A1 (en) Cosmetic-fluid dispenser
KR101934866B1 (ko) 화장용기
CN114514182A (zh) 流体分配器
KR101913955B1 (ko) 화장용기
US9185959B2 (en) Liquid applicator
KR102275183B1 (ko) 스탬프형 유체 토출장치
KR101903456B1 (ko) 화장용기
KR101634654B1 (ko) 브러쉬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US20160128446A1 (en) Liquid Cosmetic Appli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