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396B1 -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 Google Patents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396B1
KR101903396B1 KR1020160168266A KR20160168266A KR101903396B1 KR 101903396 B1 KR101903396 B1 KR 101903396B1 KR 1020160168266 A KR1020160168266 A KR 1020160168266A KR 20160168266 A KR20160168266 A KR 20160168266A KR 101903396 B1 KR101903396 B1 KR 10190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eramic
partial
metal reinforcement
c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015A (ko
Inventor
김종원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더스타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스타일코리아 filed Critical (주)더스타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68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3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61C13/0835Ceramic coating on metallic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2Cosmetic aspects, e.g. inlays; Determination of the colour
    • A61K6/020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02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ceram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합압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시키면서도 외부로 노출되는 치아 전체의 색이 탁하고 어둡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불투명한 세라믹 크라운이 부분금속 보강부의 상면과 하면을 모두 감싸서 금속색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세라믹 크라운을 형성하는 세라믹 조성물의 열팽창계수를 금속에 가깝도록 형성함으로써, 이질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세라믹 크라운과 부분금속 보강부 상호간의 접합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금속으로 치과용 보철물의 물성을 강화하면서도 자연치아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DENTAL PROSTHESIS WITH PARTIAL METAL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합압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시키면서도 외부로 노출되는 치아 전체의 색이 탁하고 어둡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불투명한 세라믹 크라운이 부분금속 보강부의 상면과 하면을 모두 감싸서 금속색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세라믹 크라운을 형성하는 세라믹 조성물의 열팽창계수를 금속에 가깝도록 형성함으로써, 이질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세라믹 크라운과 부분금속 보강부 상호간의 접합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금속으로 치과용 보철물의 물성을 강화하면서도 자연치아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손상되거나 결손되는 등 여러 이유로 치아를 상실하게 되면, 발음하거나 음식을 씹는 저작 운동에 지장을 초래함과 아울러, 심미적인 면에서도 많은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치아를 상실한 상태로 오랜 시간 방치할 경우 치아가 상실된 빈 공간으로 인접치아들이 이동함으로써 치아의 정상적인 배열이 어긋나게 되며, 그로 인해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게 되어 충치나 풍치의 발생 가능성도 크게 증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치아를 상실한 환자에게 임플란트나 브릿지 등의 보철 시술을 통하여 인공치아를 식재함으로써 발음하거나 저작 운동시 발생되는 불편함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자연 치아의 색과 유사한 재질로 인공치아를 제조함으로써 심미적인 불편함도 제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 등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료는 일반 재료와는 달리 구강내의 특수한 환경으로 인하여 많은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즉, 상대습도가 100%에 가까운 습윤한 환경, 저작 시에 발생되는 높은 교합압, 급격한 온도 변화, 생체 조직과의 긴밀한 접촉, 과민 반응과 같은 부작용의 빈발 및 무수한 세균 종의 구강 내 상주 등 다수의 인자를 고려하여 인공치아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가 선택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종래의 치과 보철물로는 순수 금속(Gold, Metal)이나, 금속위에 유리성분을 결합시키는 포세라인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통상적인 세라믹보다 강도가 우수한 지르코니아(ZrO2)라는 세라믹을 금속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에 주로 사용되던 금속의 경우 인체와 이질적인 측면이 있어 최근에는 세라믹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나, 세라믹의 경우에는 물성면에서 교합압 등 물리적인 외압에 견디는 한계가 금속 등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제작과정 중 또는 사용 중에도 항상 유의해야 하곤 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장기적으로 변색이 없고, 파절 및 파편이 없는 우수한 물성을 지닌 세라믹 소재들이 주로 이용되는데, 특히 심미성이 뛰어난 세라믹 재료에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리침투 복합체, 캐드(computer-aided design : CAD)/캠(computer-aided manufacturing : CAM) 지르코니아, 결정화유리 등을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제조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라믹 소재들의 경우 저작시 발생되는 높은 교합압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곤 하였는바, 종래에는 세라믹 소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난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라운의 내부 전체를 금속으로 감싸서 교합압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포세라인과 같은 형태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서로 다른 물질인 세라믹과 금속간의 결합이 쉽지 않기 때문에, 종래 교합압에 대한 대응력 강화 등을 위하여 금속을 크라운 내부에 부가할 경우에는, 덴탈 시멘트를 이용하여 치아에 결합한 후 그 상부에 금속치아를 덧댐으로써, 덴탈 시멘트가 굳을 때 팽창하면서 금속치아를 잡아줄 수 있게 하였는바, 결합되는 영역 전체에 걸쳐 덴탈 시멘트에 금속치아가 견고히 결합되어야 하므로, 치아 전체의 형상을 따라 금속이 부가되어야 하였다.
즉, 종래 금속을 치아에 부가하여 인공치아 등 치과용 보철물을 형성할 때는, 금속과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치아 상호간의 직접적인 접합이 어려웠기에 덴탈 시멘트의 부피 변화에 의해 금속을 견고히 잡아주는 형태로만 구현이 가능하였는바, 치아 형태의 어느 일부분에서라도 덴탈 시멘트에 의해 잡혀있는 금속이 없을 경우 그 부분에 인접한 금속부분이 벌어지면서 전체적인 결합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금속을 부가할 경우에는 교합시 압력이 특히 많이 인가되는 특정 부위만이 아니라 치아 전체가 금속으로 둘러싸지도록 형성되어야 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크라운의 내부 전체를 감싸듯이 금속을 부가할 경우에는, 그 외주면을 다시 세라믹으로 감싸서 치아의 외형을 만들더라도 그 내부에 있는 금속의 탁하고 어두운 색이 외부로 보이게 되어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포세라인과 같이 금속이 내부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외부의 세라믹을 통과한 빛이 금속에 의해 차단되어 그 내부까지 도달하기 어렵게 되므로, 치과용 보철물이 주위의 자연치아 색깔과 조화되기 어려워 심미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188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0190호
본 발명은 교합압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시키면서도 외부로 노출되는 치아 전체의 색이 탁하고 어둡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불투명한 세라믹 크라운이 부분금속 보강부의 상면과 하면을 모두 감싸서 금속색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세라믹 크라운을 형성하는 세라믹 조성물의 열팽창계수를 금속에 가깝도록 형성함으로써, 이질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세라믹 크라운과 부분금속 보강부 상호간의 접합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금속으로 치과용 보철물의 물성을 강화하면서도 자연치아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은,
외부 압력에 대한 강화가 필요한 일부 영역에만 위치하여, 그 외의 영역에서는 빛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메쉬형 또는 부분형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는 조성물에 의해 그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감싸진 상태로 잔존 치아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금속 보강부; 및 열팽창계수가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를 형성하는 금속에 가깝도록 조절된 조성물로 이루어져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면서 보철물의 외면을 형성하고, 내부 저면에는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가 파묻혀 있는 세라믹 크라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세라믹 크라운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5 ~ 15중량% 첨가된 세라믹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크라운은, 실리카(SiO2)의 함량이 40 ~ 70중량%인 세라믹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크라운은, SiO2 45~70 중량%, B2O3 0.1~6.5 중량%, Al2O3 1~5 중량%, K2O + Na2O 20~35 중량%, 기타 5 ~ 30 중량% 로 이루어진 폴리아세탈(POM)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는, 금속선들이 격자 구조를 이루며 서로 얽혀 있어 금속선 사이로 빛이 투과됨과 아울러, 세라믹 조성물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메쉬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는, 교합시 압력이 다른 부위보다 많이 가해지는 일부 영역이나 브릿지를 위해 인접한 치아와의 결합이 필요한 영역에만 부분적으로 금속을 위치시켜 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빛이 투과됨과 아울러, 세라믹 조성물이 유입될 수 있게 한 부분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크라운을 형성하는 세라믹 조성물은, 부분금속 보강부 자체의 탁한 금속색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석이나 고령토가 포함된 불투명한 색을 띠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으로 치과용 보철물의 물성을 강화하면서도 자연치아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어 미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라믹 크라운을 금속에 가까운 열팽창계수를 갖는 세라믹 조성물로 형성하여 구강 내에서 지속적으로 겪게 되는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과 수축 정도를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접착제에 의해 직접 접합시킨 금속과 세라믹의 접합면에서 접합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크라운의 내주면 전체에 금속이 구비된 형태를 나타내는 치과용 보철물의 저면 내부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부분금속 보강부가 메쉬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부분금속 보강부가 부분형으로 형성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내부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부분금속 보강부가 부분형으로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내부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부분금속 보강부가 부분형으로 형성된 연속치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부분금속 보강부가 부분형으로 형성된 브릿지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부분금속 보강부가 메쉬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부분금속 보강부가 부분형으로 형성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내부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부분금속 보강부가 부분형으로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내부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은, 외부 압력에 대한 강화가 필요한 일부 영역에만 위치하여 그 외의 영역에서는 빛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메쉬형 또는 부분형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는 조성물에 의해 그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감싸진 상태로 잔존 치아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금속 보강부(110,120)와, 열팽창계수가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를 형성하는 금속에 가깝도록 조절된 조성물로 이루어져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면서 보철물의 외면을 형성하고 내부 저면에는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가 파묻혀 있는 세라믹 크라운(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110,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라믹 크라운을 형성하는 조성물에 의해 그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감싸진 상태로 세라믹 크라운(200)의 내부 저면에 파묻혀 있어, 교합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110,120)는, 교합시 압력을 크게 받게 되어 금속에 의한 보강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부위에만 금속이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세라믹 크라운(200)의 내부 저면에 파묻힌 상태로 결합된다.
즉,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110,12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치과용 보철물처럼 크라운 내부 전체를 둘러싸지 않고,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라믹 크라운(200) 내부의 특정 부분에만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부분금속 보강부가 없는 영역은 외부 빛이 차단되지 않고 내부 중심에 있는 치아 등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므로, 자연치아 색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어 미관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금속과 세라믹 상호간의 열팽창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금속을 코어나 크라운을 형성하는 세라믹 재질에 직접 부착시키기 어려웠다. 즉, 본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금속을 세라믹에 부착시키더라도 치아로 사용하는 동안 구강내에서 지속적인 온도 변화에 노출되면서 금속과 세라믹 상호간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해 그 접착면에서의 접합력이 약화되면서 서로 분리되곤 하였다.
그에 따라 본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금속과 세라믹 상호간을 직접 접착시킬 수 없었으므로, 금속으로 덴탈 시멘트 전체를 감싸게 한 후 덴탈 시멘트가 굳는 동안 팽창하면서 금속 전체를 꽉 잡아주게 함으로써, 금속 전체가 덴탈 시멘트에 꽉 잡힌 구조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곤 하였을 뿐이었는바, 세라믹과 금속 상호간을 직접 접착시키기 어려워 부분적인 금속을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라믹 크라운(200)을 형성하는 세라믹의 열팽창계수를 금속에 가깝도록 조절함으로써, 구강 내에서 지속적으로 온도변화를 겪더라도 세라믹과 금속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여 상호간의 접착면에서 접합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부분금속 보강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덴탈 시멘트가 팽창하면서 금속 전체를 지지하여 마치 억지끼움에 의하듯이 결합상태를 유지하던 것과는 달리, 접착제를 이용하여 금속과 세라믹을 접합하고 그 접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분금속에 의한 보강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크라운을 형성하는 세라믹과, 그 저면에 위치하는 금속이 별개의 층을 이루면서 양 층 상호간에 결합면이 존재하게 되었는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질적인 물질 상호간의 결합면에서 결합력이 약화되곤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110,120)는 열팽창계수의 차이를 최소화 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의 모든 면이 세라믹 크라운(200)에 파묻힌 상태로 결합되므로 오래 사용하더라도 결합력이 약화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는 메쉬형(110) 또는 부분형(120)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세라믹 크라운(200)에 결합될 때, 메쉬형(110)의 경우 메쉬 사이사이로 유입되는 세라믹 조성물이 메쉬를 감쌈으로써 상기 세라믹 크라운(200)의 내부 저면에 메쉬형의 부분금속 보강부(110)가 파묻힌 형태로 결합되며, 부분형의 경우 작은 금속조각의 위에서 가해지는 세라믹 조성물이 금속조각의 외주 단면을 통하여 그 저면까지 감싸게 되면서 상기 세라믹 크라운(200)의 내부 저면에 부분형의 부분금속 보강부(120)가 파묻힌 형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이질적인 물질 상호간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확보하기 어려워서 크라운 저면에서 금속 전체를 꽉 잡아주어야 하였는바 크라운 내부에 파묻힌 형태를 구현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라믹 크라운을 형성하는 세라믹 조성물의 열팽창계수를 조절하여 이질적인 물질 상호간의 결합력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부분금속 보강부가 세라믹 크라운의 내부 저면에 파묻힌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세라믹 크라운의 내주면 전체를 가리지 않고 일부에만 위치하여 세라믹 크라운(200)에 파묻힌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11,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선들이 격자 구조를 이루며 서로 얽혀 있어 금속선 사이에 빛이 투과됨과 아울러 세라믹 조성물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메쉬형(110)으로 구성되거나,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교합시 압력이 다른 부위보다 많이 가해지는 일부 영역이나 브릿지 등을 위해 인접한 치아와의 결합이 필요한 영역에만 부분적으로 금속을 위치시켜 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빛이 투과됨과 아울러 세라믹 조성물이 유입될 수 있게 한 부분형(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가 메쉬형(110)으로 구성될 경우 세라믹 크라운 저면 전체에서 교합시의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가 부분형(120)으로 구성될 경우 자연치아의 색상을 유지하면서도 손상된 치아의 위치에 따라 교합시 특히 많은 압력이 가해지거나 인접한 치아와의 결합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되므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치아와의 연결을 위한 브릿지 등에서 치아 상호간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가 메쉬형(110)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금속선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투과되는 빛에 의해 자연치아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가 부분형(120)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선택된 특정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투과되는 빛에 의해 자연치아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 자체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분금속 보강부(110,120)를 감싸는 상기 세라믹 크라운을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의 탁한 금속색을 커버할 수 있는 불투명한 색의 조성물로 형성함으로써, 탁한 금속색이 직접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크라운(200)은, 장기적으로 사용해도 쉽게 변색되지 않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 등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훼손되지 않는 우수한 물성을 지닌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 저면에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가 파묻혀 있는 상태로 치아에 결합되면서 치과용 보철물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세라믹 크라운(200)을 형성하는 세라믹으로는 장기간 사용해도 변색되지 않으며, 파절 및 파편이 없는 우수한 물성을 지닌 지르코니아(Zirconia, ZrO2) 등 다양하고 우수한 세라믹 소재들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세라믹 크라운(200)은, 내주면에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부분금속 보강부와 견고히 접착되면서 그 접합면이 구강 내에서의 온도변화에 의해 약화되지 않아야 하는바, 열팽창계수가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110,120)를 이루는 금속에 가깝도록 조절된 세라믹 조성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세라믹 크라운(200)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5 ~ 15중량% 내외로 첨가되어 열팽창계수가 금속과 가까운 수준으로 높아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처럼 알칼리 금속산화물의 함량이 증가되면서 유리 구조체에 해당하는 실리카(SiO2)의 함량은 70중량% 보다 낮게, 즉 40 ~ 70중량% 함으로써, 세라믹 조성물 전체의 열팽창 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세라믹 크라운(200)을 형성하는 세라믹 조성물은 SiO2 45~70 중량%, B2O3 0.1~6.5 중량%, Al2O3 1~5 중량%, K2O + Na2O 20~35 중량%, 기타 5 ~ 30 중량% 로 이루어진 폴리아세탈(POM)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첨가함과 아울러, 실리카의 함량을 70% 이하가 되게 하여 전체적인 열팽창 계수를 금속의 열팽창 계수에 가깝게 증가시킴으로써, 본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를 세라믹 크라운의 내부 저면에 파묻힌 상태로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크라운의 내주 표면을 부식시켜 거친 부식면을 형성한 후, 이러한 부식면에 본드를 도포하고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를 접합시킴으로써, 거친 부식면에 의해 부분금속 보강부와 세라믹 크라운 상호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세라믹 크라운(200)을 형성하는 세라믹 조성물을 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첨가되고 실리카의 함량이 줄어든 조성물로 형성하여, 세라믹 조성물의 열팽창계수를 금속에 가깝게 함으로써, 이질적인 물질인 금속과 세라믹 조성물 상호간을 접착제에 의해 직접 접합할 수 있게 하고, 사용하는 동안에도 비슷한 정도로 팽창하고 수축하게 되어 접합면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크라운 내부에 금속을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세라믹 크라운에 의해 구현된 자연치아의 색상이 탁해지거나 어두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자연치아의 색상을 유지하면서도, 일상생활 중 교합압에 의해 보철물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미감과 강도에 대한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치과용 보철물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크라운(200)을 형성하는 세라믹 조성물은 메쉬형 또는 부분형으로 이루어진 부분금속 보강부(110,120)를 감싸게 되는바, 부분금속 보강부 자체의 탁한 금속색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석이나 고령토 등이 포함된 불투명한 색을 띠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 메쉬형 부분금속 보강부
120 : 부분형 부분금속 보강부
200 : 세라믹 크라운

Claims (7)

  1. 외부 압력에 대한 강화가 필요한 일부 영역에만 위치하여, 그 외의 영역에서는 빛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메쉬형 또는 부분형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는 조성물에 의해 그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감싸진 상태로 잔존 치아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금속 보강부; 및
    열팽창계수가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를 형성하는 금속에 가깝도록 조절된 조성물로 이루어져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면서 보철물의 외면을 형성하고, 내부 저면에는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가 파묻혀 있는 세라믹 크라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크라운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5 ~ 15중량% 첨가된 세라믹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크라운은, 실리카(SiO2)의 함량이 40 ~ 70중량%인 세라믹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크라운은, SiO2 45~70 중량%, B2O3 0.1~6.5 중량%, Al2O3 1~5 중량%, K2O + Na2O 20~35 중량%, 기타 5 ~ 30 중량% 로 이루어진 폴리아세탈(POM)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는, 금속선들이 격자 구조를 이루며 서로 얽혀 있어 금속선 사이로 빛이 투과됨과 아울러, 세라믹 조성물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메쉬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금속 보강부는, 교합시 압력이 다른 부위보다 많이 가해지는 일부 영역이나 브릿지를 위해 인접한 치아와의 결합이 필요한 영역에만 부분적으로 금속을 위치시켜 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빛이 투과됨과 아울러, 세라믹 조성물이 유입될 수 있게 한 부분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크라운을 형성하는 세라믹 조성물은, 부분금속 보강부 자체의 탁한 금속색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석이나 고령토가 포함된 불투명한 색을 띠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KR1020160168266A 2016-12-12 2016-12-12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KR10190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266A KR101903396B1 (ko) 2016-12-12 2016-12-12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266A KR101903396B1 (ko) 2016-12-12 2016-12-12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015A KR20180067015A (ko) 2018-06-20
KR101903396B1 true KR101903396B1 (ko) 2018-10-02

Family

ID=6276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266A KR101903396B1 (ko) 2016-12-12 2016-12-12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81B1 (ko) * 2018-07-17 2019-06-27 (주)더스타일코리아 다공성 구조에 기반한 결합력이 강화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
AU2021203859B2 (en) * 2021-02-24 2022-12-08 John Fung Mesh reinforced dental restor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275A (ja) * 2003-07-17 2005-02-10 Noritake Co Ltd 歯科用補綴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キット
KR200382352Y1 (ko) * 2005-02-05 2005-04-19 동진근 금속 와이어 강화 세라믹을 이용한 치과용 브리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888B1 (ko) 2012-09-19 2013-04-08 주식회사 디맥스 다공성 임플란트 픽스쳐의 제조방법
KR101450190B1 (ko) 2013-11-19 2014-10-13 (주)더스타일코리아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이용한 치과용 지르코니아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275A (ja) * 2003-07-17 2005-02-10 Noritake Co Ltd 歯科用補綴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キット
KR200382352Y1 (ko) * 2005-02-05 2005-04-19 동진근 금속 와이어 강화 세라믹을 이용한 치과용 브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015A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5489A1 (en) Indirect Restoration Technology
US20110311947A1 (en) Tooth implant with machinable construction
JP3253957B2 (ja) 金属磁器歯科ブリッジ
US9655690B2 (en) Pedodontic/veterinary dental crown system
HUT63550A (en) Method for producing dental prosthesis
KR101781087B1 (ko)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고정체
KR101669893B1 (ko)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KR101903396B1 (ko)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KR200426909Y1 (ko)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WO2008002065A1 (en) An implant ring and dental implant using the same
KR101645357B1 (ko)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US6250926B1 (en) Method for producing dental replacement
EP3042628B1 (en) Bioglass fiber dental implant
KR10216521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RU52567U1 (ru) Временная волоконная адгезивная иммедиат шина-протез для имплантата при концевом дефекте зубного ряда
JP5886442B2 (ja) 義歯装置の装着構造、および義歯装置
KR10149906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20110119960A (ko) 이중 구조의 인공치아
CN203647523U (zh) 一种用于牙周植骨术后保护术区的夹板
US20160175075A1 (en) Bioglass Fiber Dental Implant
KR101089367B1 (ko) 임플란트용 지르코니아 조립체
JPH0325767Y2 (ko)
CA2287083A1 (en) Method for producing dental replacement
KR200345603Y1 (ko) 직접법인상채득이 편리하고 내관의 주조수축을최소화하는 어버트먼트
KR200406701Y1 (ko)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