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826B1 -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826B1
KR101902826B1 KR1020150128082A KR20150128082A KR101902826B1 KR 101902826 B1 KR101902826 B1 KR 101902826B1 KR 1020150128082 A KR1020150128082 A KR 1020150128082A KR 20150128082 A KR20150128082 A KR 20150128082A KR 101902826 B1 KR101902826 B1 KR 101902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aveling
power
hous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765A (ko
Inventor
민성준
예신열
Original Assignee
민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성준 filed Critical 민성준
Priority to KR1020150128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8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9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movable installations on wheel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P60/14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배하우스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조; 재배하우스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주행대차; 상기 주행대차에 탑재되어 주행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발생부; 상기 주행대차에 탑재되어 동력 발생부의 회전동력을 변속시켜 출력하는 기어박스; 상기 주행대차에 탑재되어 기어박스의 동력을 공급받아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주행대차에 탑재되어 펌핑된 물을 재배하우스의 폭 방향에 도포하는 물 도포장치;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어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장치;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팅장치; 및 상기 히팅장치, 기포발생장치, 물 도포장치, 및 동력 발생부를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IRRIGATION SUPPLY APPARATUS FOR HOUSE}
본 발명은 재배하우스에 관수를 공급하는 관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배하우스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중공관 형태의 수조 및 주행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대차에 탑재된 물도포장치가 주행대차의 이동 중에 상기 수조로부터 물을 펌핑하여 작물에 도포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관수공급호스 및 권취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 재배에 사용되는 분무호스는 식물이 자라는 지면 또는 비닐하우스의 골조 등의 지상에 설치되어 식물에 물을 분무하는 관을 총칭하는 것이다.
즉, 분무호스는 지면에 설치되어 물을 분무함으로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또는 비닐하우스 골조인 지상에 설치되어 식물에 물을 직접적으로 뿌려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분무호스는 양측에 다수의 물 분무공이 형성된 비닐관으로 구성된다.
즉 비닐관이 지하수나 수로와 연결된 펌프 또는 수도와 연결된 상태에서 물을 비닐관으로 통과시키게 되면 비닐관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물 분무공을 통해 물이 분무되는 과정을 통해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식물에 물을 뿌려줄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비닐하우스 관수공급장치는 비닐하우스 골조 상부에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분무호스와, 분무호스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나 수도와 같은 관수공급기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관수공급장치는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분무호스를 설치하므로, 비닐하우스의 후방으로 갈수록 수압이 낮아져 분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즉, 길이가 긴 분무호스를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물이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해 감에 따라, 비닐하우스 초입에서는 일정 수압 이상이 되어 분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농작물이 있는 위치까지 골고루 분무가 이루어지지만,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수압이 낮아져 원활한 물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고, 원하는 위치까지 분무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비닐하우스 관수공급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1297호를 통해 개시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비닐하우스 관수공급장치의 비닐하우스 내부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대차 저면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동대차 평면 확대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비닐하우스 내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비닐하우스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다수의 분무공(31)이 형성된 분무관(3)과, 상기 분무관(3)에 관수공급기(6)로부터의 물을 공급하는 관수공급호스(5) 및, 상기 분무관(3)을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방 이동시키는 이동수단(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4)은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이송레일(41)과, 상기 분무관(3)이 그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분무관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송레일(41) 상에 설치되는 이동대차(42)와, 상기 이동대차의 저면에 구비된 롤러(43)와 롤러 회전축(44)과 롤러 기어(45), 및 상기 이동대차(42)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 회전축(44)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대차(42)를 이송레일(4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4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46)은 모터(461)와, 상기 모터(461)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롤러 기어(45)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롤러 기어(45)와 맞물리게 구비된 모터 기어(462)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이동대차의 관수공급호스(5)를 연결하여 이동해야 하는 구조여서, 관수공급호스(5)를 릴 형태로 권취시켜 풀어주거나 감아주는 별도의 추가장치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구성이 복잡해져 관리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관수공급호스(5)가 펼쳐졌을 때, 자중에 의해 처지거나 및 관수공급호스(5)가 파열되어 누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1297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배하우스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중공관 형태의 수조 및 주행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대차에 탑재된 물도포장치가 주행대차의 이동 중에 상기 수조로부터 물을 펌핑하여 작물에 도포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관수공급호스 및 권취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부를 통해 재배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여 작물의 생육조건에 맞춰 관수 주기 및 물 온도가 자동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생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부에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재배하우스를 원거리에서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재배하우스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조; 재배하우스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주행대차; 상기 주행대차에 탑재되어 주행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발생부; 상기 주행대차에 탑재되어 동력 발생부의 회전동력을 변속시켜 출력하는 기어박스; 상기 주행대차에 탑재되어 기어박스의 동력을 공급받아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주행대차에 탑재되어 펌핑된 물을 재배하우스의 폭 방향에 도포하는 물 도포장치;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어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장치;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팅장치; 및 상기 히팅장치, 기포발생장치, 물 도포장치, 및 동력 발생부를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는 재배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태의 몸체를 형성하고, 몸체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취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 상측에 물공급부를 형성하고, 상기 물공급부 일측에 약액공급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의 상면을 평판형태로 형성하고, 하면을 반구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몸체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가로 지르는 보강격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레일은 수조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대차는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의 대차프레임과, 상기 대차프레임의 측벽 상단부에 주행레일 위를 구름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바퀴부와, 상기 바퀴부와 축 연결되는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와 이격되어 대차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제2풀리 및,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 사이를 동력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 발생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는 동력발생부의 회전동력을 감속시켜 복수 개의 출력축으로 분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 출력축 중 어느 하나를 펌프에 연결시켜 동력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도포장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이 조인트부재를 이용해 연속해서 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재배하우스 내의 온도, 습도 등을 실시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측정수단에 의한 검출정보와 기 설정된 작물의 생육정보를 비교하여 히팅장치, 기포발생장치, 물 도포장치, 및 동력 발생부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통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배하우스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중공관 형태의 수조 및 주행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대차에 탑재된 물도포장치가 주행대차의 이동 중에 상기 수조로부터 물을 펌핑하여 작물에 도포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관수공급호스 및 권취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를 통해 재배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여 작물의 생육조건에 맞춰 관수 주기 및 물 온도가 자동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생육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에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재배하우스를 원거리에서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비닐하우스 관수공급장치의 비닐하우스 내부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대차 저면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대차 평면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의 수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의 수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수공급장치는 크게 수조(110), 주행레일(120), 주행대차(130), 동력 발생부(140), 기어박스(150), 펌프(160), 물 도포장치(170), 기포발생장치(180), 히팅장치(190), 동력발생부(14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재배하우스(101)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조(110)가 개시된다.
상기 수조(110)는 재배하우스(10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태의 몸체(111)를 형성한다. 중공관이라 함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의 공간을 구비한 관 또는 덕트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수조(110)는 몸체(111)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취출구(11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취출구(112) 내에 관이 연결되어 외부로 물을 펌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1) 상측에는 수조(1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113)를 형성하고, 상기 물공급부(113) 일측에는 영양제 또는 소독제 등을 포함하는 약액을 수조(110) 내에 공급하기 위한 약액공급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113) 및 약액공급부(114)는 외부에서 관을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11)의 상면을 평판형태로 형성하고, 하면을 반구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면을 평판형태로 형성하는 것은 설치의 편리성을 위한 것이며, 하면을 반구형태로 형성하는 것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몸체(111)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가로 지르는 보강격벽(115)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수조(110)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재배하우스(101)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행레일(120)이 개시된다.
상기 주행레일(120)은 수조(11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수조(110) 몸체(111)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주행레일(120)의 상면에는 바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레일(120)을 따라 주행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주행대차(130)가 개시된다.
상기 주행대차(130)는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의 대차프레임(13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대차프레임(131)의 측벽 상단부에 주행레일(120) 위를 구름 이동하도록 바퀴부(13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바퀴부(132)와 축 연결되는 제1풀리(133)가 대차프레임(131)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1풀리(133)와 이격되어 대차프레임(131) 하부에 제2풀리(13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풀리(133)와 제2풀리(134) 사이를 벨트(135)를 이용해 동력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풀리(134)의 회전축이 기어박스(150) 측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대차프레임(131)의 하부에는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며, 분리가 가능한 수납부(210)가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210)는 유압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210)는 사람의 탑승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대차프레임(131)이 설치된 주행대차(13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므로 사람이 수납부(210)에 탑승한 채로 작물의의 수확과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대차(130)에 탑재되어 주행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발생부(140)가 개시된다. 상기 동력 발생부(140)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터는 전기선을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거나, 충전식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대차(130)에 탑재되어 동력 발생부(140)의 회전동력을 변속시켜 출력하는 기어박스(150)가 개시된다.
상기 기어박스(150)는 동력발생부(140)의 회전동력을 감속시켜 복수 개의 출력축으로 분기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기어박스(150) 출력축 중 어느 하나를 펌프(160)에 연결시켜 동력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대차(130)에 탑재되어 기어박스(150)의 동력을 공급받아 수조(110)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160)가 개시된다.
이때, 상기 펌프(160)는 흡입관(161)이 수조(110)의 취출구(112)와 연결된 상태로 주행대차(13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161)은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금속관으로 제작될 수 있고, 수조(110)의 취출구(112)와의 마찰 및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흡입관(161)과 취출구(112) 사이에 베어링(162)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대차(130)에 탑재되어 펌핑된 물을 재배하우스(101)의 폭 방향에 도포하는 물 도포장치(170)가 개시된다.
상기 물 도포장치(170)는 펌프(160)의 출력측에 관 연결되어 물이 토출되는 구조로서, 펌프(160)의 토출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날개형태로 복수 개의 분사노즐(171)이 조인트부재(172)를 이용해 연속해서 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재(172)는 분사노즐(171)과 분사노즐(171)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재배하우스(101)의 폭에 따라 분사노즐(171)의 설치개수를 확장하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110) 내에 설치되어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장치(180)가 개시된다. 상기 기포발생장치(180)는 수조(110) 내의 물을 산소를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110) 내에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팅장치(190)가 개시된다. 상기 히팅장치(190)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의해 작동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상기 히팅장치(190), 기포발생장치(180), 물 도포장치(170), 및 동력 발생부(140)를 자동 제어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200)에는 관수공급장치를 수동 및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재배하우스(101) 내의 온도, 습도 등을 실시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측정수단에 의한 검출정보와 기 설정된 작물의 생육정보를 비교하여 히팅장치(190), 기포발생장치(180), 물 도포장치(170), 및 동력 발생부(140)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통신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주행레일(120)이 재배하우스(101)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주행레일(120)의 좌우 어느 일측에 주행레일(120)과 평행하게 수조(11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조(110)는 도 8에서와 같이 주행레일(120)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거나 어느 한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재배하우스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중공관 형태의 수조 및 주행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대차에 탑재된 물도포장치가 주행대차의 이동 중에 상기 수조로부터 물을 펌핑하여 작물에 도포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관수공급호스 및 권취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를 통해 재배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여 작물의 생육조건에 맞춰 관수 주기 및 물 온도가 자동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생육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에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재배하우스를 원거리에서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를 제한적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1: 재배하우스 110: 수조
111: 몸체 112: 취출구
113: 물공급부 114: 약액공급부
115: 보강격벽 120: 주행레일
130: 주행대차 131: 대차프레임
132: 바퀴부 133: 제1풀리
134: 제2풀리 135: 벨트
140: 동력 발생부 150: 기어박스
160: 펌프 170: 물도포장치
171: 분사노즐 172: 조인트부재
180: 기포발생장치 190: 히팅장치
200: 제어부 201: 통신부
210: 수납부

Claims (10)

  1. 재배하우스(101)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조(110);
    재배하우스(101)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행레일(120);
    상기 주행레일(120)을 따라 주행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주행대차(130);
    상기 주행대차(130)에 탑재되어 주행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발생부(140);
    상기 주행대차(130)에 탑재되어 동력 발생부(140)의 회전동력을 변속시켜 출력하는 기어박스(150);
    상기 주행대차(130)에 탑재되어 기어박스(150)의 동력을 공급받아 수조(110)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160);
    상기 주행대차(130)에 탑재되어 펌핑된 물을 재배하우스(101)의 폭 방향에 도포하도록 복수 개의 분사노즐(171)이 조인트부재(172)를 이용해 연속해서 관 연결되는 물 도포장치(170);
    상기 수조(110) 내에 설치되어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장치(180);
    상기 수조(110) 내에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팅장치(190); 및
    상기 히팅장치(190), 기포발생장치(180), 물 도포장치(170), 및 동력 발생부(140)를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박스(150)는 동력발생부(140)의 회전동력을 감속시켜 복수 개의 출력축으로 분기되도록 하고, 상기 기어박스(150) 출력축 중 어느 하나를 펌프(160)에 연결시켜 동력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수조(110)는 재배하우스(10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태의 몸체(111)를 형성하고, 몸체(111)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취출구(112)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111) 상측에 물공급부(113)를 형성하고, 상기 물공급부(113) 일측에 약액공급부(114)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111)의 상면을 평판형태로 형성하고, 하면을 반구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몸체(111)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가로 지르는 보강격벽(11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130)는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의 대차프레임(131)과, 상기 대차프레임(131)의 측벽 상단부에 주행레일(120) 위를 구름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바퀴부(132)와, 상기 바퀴부(132)와 축 연결되는 제1풀리(133)와, 상기 제1풀리(133)와 이격되어 대차프레임(131) 하부에 설치되는 제2풀리(134) 및, 상기 제1풀리(133)와 제2풀리(134) 사이를 동력 연결하는 벨트(135)를 포함하며,
    상기 대차프레임(131)의 하부에는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며 분리가능한 수납부(21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재배하우스(101) 내의 온도,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측정수단에 의한 검출정보와 기 설정된 작물의 생육정보를 비교하여 히팅장치(190), 기포발생장치(180), 물 도포장치(170), 및 동력 발생부(140)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통신부(2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120)이 재배하우스(101)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주행레일(120)의 좌우 어느 일측에 주행레일(120)과 평행하게 수조(1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KR1020150128082A 2015-09-10 2015-09-10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KR101902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082A KR101902826B1 (ko) 2015-09-10 2015-09-10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082A KR101902826B1 (ko) 2015-09-10 2015-09-10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765A KR20170030765A (ko) 2017-03-20
KR101902826B1 true KR101902826B1 (ko) 2018-10-01

Family

ID=5850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082A KR101902826B1 (ko) 2015-09-10 2015-09-10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0893A (zh) * 2017-07-17 2017-11-21 许昌县东和畜牧养殖专业合作社 一种具有防蝇虫功能的种植黑葡萄的大棚
CN108271584A (zh) * 2017-12-29 2018-07-13 芜湖飞高农业有限公司 一种自动遮阳大棚
CN109452133A (zh) * 2018-12-27 2019-03-12 天津魁都科技有限公司 农业灌溉用生物陶瓷活水设备
IT201900013977A1 (ko) * 2019-08-05 2019-08-05
KR102134122B1 (ko) * 2020-03-24 2020-07-15 주식회사 대명하이텍 하우스용 무인 방제장치
KR102204911B1 (ko) * 2020-07-15 2021-01-18 최병엽 저온창고용 살균수 공급장치
CN111955239A (zh) * 2020-09-03 2020-11-20 漳州市农业科学研究所 一种不需要人为干预的蜜柚炭疽病防治装置
CN112042446B (zh) * 2020-10-13 2022-04-15 云铂(宁夏)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农业大棚蔬菜种植智能灌溉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1297A (ko) 2008-11-07 2010-05-17 양승조 비닐하우스 관수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765A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826B1 (ko) 재배하우스의 레일방식 관수공급장치
US4763836A (en) Irrigation system for precise water and chemical application
CN203057961U (zh) 一种自行走式单轨喷灌机
AU2012236860B2 (en) Irrigation system having an applicant dispersal assembly
RU163954U1 (ru) Широкозахватная дождевальная машина
CN110574527A (zh) 多功能拱棚插架覆膜一体机及其控制方法
JP6778789B1 (ja) 温室用液体散布装置
US9101097B2 (en) Harvesting machine
KR20100051297A (ko) 비닐하우스 관수공급장치
KR20120065178A (ko) 방제 및 온도와 습도 조절용 이동 살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3739985A (en) Irrigation equipment for tractor
KR20180026061A (ko) 온실용 자동살수장치
CN11022640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水肥一体化自动灌溉系统
KR200490489Y1 (ko) 온실용 자동살수장치
CN213586906U (zh) 一种便携式滴灌施肥装置
CN105104022A (zh) 一种全幅式大棚喷灌系统
CN200997813Y (zh) 卷管式喷灌机
JP3731627B2 (ja) 自走式煙霧機及び噴霧方法
CN108293966A (zh) 轨道喷雾机
CN102960216A (zh) 农田浇灌机
KR20170062317A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기 구동 시스템
JP2008017731A (ja) 液体散布支援システム
CN109042243B (zh) 一种方便使用的农作物灌溉装置
CN210382080U (zh) 一种农业节水灌溉用滴灌装置
KR960004967B1 (ko) 시설 원예용 자동 살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