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773B1 -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773B1
KR101902773B1 KR1020180056590A KR20180056590A KR101902773B1 KR 101902773 B1 KR101902773 B1 KR 101902773B1 KR 1020180056590 A KR1020180056590 A KR 1020180056590A KR 20180056590 A KR20180056590 A KR 20180056590A KR 101902773 B1 KR101902773 B1 KR 101902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onnecting portion
cable
box
squar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혁
황규환
Original Assignee
(주)삼진이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진이아이씨 filed Critical (주)삼진이아이씨
Priority to KR102018005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에서 조명등이 설치되는 사각기둥의 상부구조물까지 다수의 케이블을 설치함에 있어, 다수의 케이블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납작한 직사각형의 덕트를 금속 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일정길이로 제작한 후, 지상에서 사각기둥의 상부구조물까지 다수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 설치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덕트를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점검 등 덕트 내부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턱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각기둥 상부에 다수개 설치되는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내부에 보호하여 설치하기 위한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로서, 사각기둥의 지상측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덕트연결부를 구비한 하부보강박스와, 사각기둥의 상부구조물에 설치되고 하부에 덕트연결부를 구비한 상부보강박스와, 사각기둥의 중간지점에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에 하부덕트연결부와 상부덕트연결부를 각각 구비한 중간보강박스와, 하부보강박스의 덕트연결부와 중간보강박스의 하부덕트연결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인 제1 덕트와, 중간보강박스의 상부덕트연결부와 상부보강박스의 덕트연결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인 제2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Cable Duct Assembly of Lighting Tower}
본 발명은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으로부터 대략 12~50m 높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 공항, 철도역 및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주변, 넓은 주차장 및 공원, 공장부대시설, 주요건물, 운동경기장 등에는 비교적 넓은 구역을 밝게 비출 수 있도록 지상으로부터 대략 12~50m높이의 기둥 상부에 다수개의 조명등을 설치한 조명타워가 마련된다.
이러한 조명타워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42082호의 계단식 조명탑(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알려져 있고, 이 종래기술에는 다수개의 조명등이 기둥의 상부구조물에 설치되어 있고, 지상에서 조명등이 설치된 상부구조물까지 케이블(전선)과 접지선 배선을 위해 복수개의 전선관을 설치한 형태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많은 수의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전선관을 이용했던 것으로, 전선관을 이용하는 방식은 케이블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선관에 많은 수의 케이블을 설치하려면 그만큼 전선관의 직경이 커야 하고, 전선관의 직경이 클수록 무겁고 다루기 힘들어 설치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직경이 작은 여러 개의 전선관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나누어 설치하고 있으나, 통상 전선관으로 사용되는 파이프는 6m로 제작되어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고, 40m 높이의 조명타워에 케이블을 설치한다고 가정할 때, 여러 개의 파이프를 연결해야 하므로 역시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파이프를 이용한 전선관은 사용중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 전선관 내부를 점검할 필요가 있을 때, 내부 확인이 불가능하여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고, 문제가 있는 케이블은 지상부터 상부구조물에 이르는 길이를 모두 빼내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뿐 만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상에서 조명등이 설치되는 사각기둥의 상부구조물까지 다수의 케이블을 설치함에 있어, 다수의 케이블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납작한 직사각형의 덕트를 금속 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일정길이로 제작한 후, 다수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지상에서 사각기둥의 상부구조물까지 케이블 설치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덕트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점검 등 덕트 내부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턱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기둥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구조물에 다수개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내부에 보호하여 사각기둥 하부인 지상에서 상부구조물까지 설치하기 위한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로서, 상기 사각기둥의 지상측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덕트연결부를 구비한 하부보강박스; 상기 사각기둥의 상부구조물에 설치되고 하부에 덕트연결부를 구비한 상부보강박스; 상기 사각기둥의 중간지점에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에 하부덕트연결부와 상부덕트연결부를 각각 구비한 중간보강박스; 상기 하부보강박스의 덕트연결부와 중간보강박스의 하부덕트연결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인 제1 덕트; 및 상기 중간보강박스의 상부덕트연결부와 상부보강박스의 덕트연결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인 제2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보강박스의 측면에 측부덕트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측부덕트연결부에 제3 덕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3 덕트는 상부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구조물 둘레를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조명등의 설치위치를 따라 대응하게 배치한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덕트와 제2 덕트 중간지점에 내부 점검을 위해 개폐가능한 점검구를 각각 설치한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덕트, 제2 덕트 및 제3 덕트는, 금속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양쪽 좌우측면과 배면이 폐쇄되고 정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덕트몸체와, 상기 덕트몸체의 개방된 정면을 막기 위한 덮개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부분덕트를 다수개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덕트와 제2 덕트의 부분덕트 간의 연결구조는, 양쪽 덕트몸체의 좌우측면 내측에 내측고정판을 구비하여 양쪽 덕트몸체의 양측면을 함께 고정하고, 양쪽 덕트몸체의 폐쇄된 배면 바깥쪽에 외측고정판을 덧대어 양쪽 덕트몸체의 배면을 함께 고정하여 이루어진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 의하면, 단면구조가 납작한 직사각형의 제1 내지 제3 덕트를 이용하여 한 공간에 다수의 케이블을 함께 설치할 수 있고, 금속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제작함으로써 중량이 가볍고 다루기 쉬워 사각기둥의 하부에서 상부구조물까지 케이블을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제1 내지 제3 덕트보다 구조적 강도가 높게 제작된 하부보강박스, 중간보강박스 및 상부보강박스를 통해 연결하여 덕트의 구조를 더욱 보강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덕트 내부를 어느 위치에서도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어 케이블의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져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가 설치된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서 부분덕트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서 중간보강박스를 사각기둥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서 제1 및 제2 덕트를 사각기둥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서 제3 덕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조립체에서 제3 덕트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조명타워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조립체가 사각기둥 조명타워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조명타워는 다수개의 조명등(1)을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하기 위한 사각기둥(2)을 구비하고, 사각기둥(2)은 4개의 지주(3)를 사각으로 배치하여 수평프레임(4)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사각기둥(2)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조명등(1)을 설치하기 위한 상부구조물(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구조물(5)에 설치된 다수개의 조명등(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6)(도 2 참조)을 내부에 보호하여 설치하는 덕트 조립체(10)가 사각기둥(2) 하부인 지상에서 상부구조물(5)까지 설치된다.
덕트 조립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2)의 지상측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보강박스(11), 사각기둥(2)의 상부구조물(5)에 설치되는 상부보강박스(12), 사각기둥(2)의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중간보강박스(13), 하부보강박스(11)와 중간보강박스(13)를 연결하는 제1 덕트(21), 중간보강박스(13)와 상부보강박스(12)를 연결하는 제2 덕트(22), 상부구조물(5)에 설치되어 상부보강박스(12)와 연결되는 제3 덕트(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덕트(2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양쪽 좌우측면과 배면이 폐쇄되고 정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덕트몸체(31)와, 상기 덕트몸체(31)의 개방된 정면을 막기 위한 덮개(32)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부분덕트(30)를 다수개 연결하여 구성된다(도 1의 연결부(a) 참조).
덕트몸체(31)의 양측면과 정,배면의 단면길이는 대략 1 : 9의 비율로 양측면에 비하여 정,배면의 길이를 길게 하여 납작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부분덕트(30) 간의 연결구조는, 연결하고자 하는 양쪽 덕트몸체(31)의 상단과 하단을 맞댄 상태에서 좌우측면 내측에 내측고정판(33)을 구비하여 양쪽 덕트몸체(31)의 양측면을 함께 고정하고, 양쪽 덕트몸체(31)의 폐쇄된 배면 바깥쪽에 외측고정판(34)을 덧대어 양쪽 덕트몸체(31)의 배면을 함께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이 후 개방된 덕트몸체(31)의 정면을 덮개(32)로 덮어 나사로 고정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하부보강박스(11), 상부보강박스(12) 및 중간보강박스(13)는 금속판재로 제작되는 제1 및 제2 덕트(21,2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사각기둥(2)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 덕트(21,22)에 비하여 두꺼운 금속판재로 제작하여 구조적 강도를 높게 한 것이다.
하부보강박스(11)는 제1 덕트(21)와 연결하기 위한 덕트연결부(11a)를 상부에 구비한 것으로, 덕트연결부(11a)는 제1 덕트(21)를 외측 또는 내측에 끼워 조립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조립 후 덕트연결부(11a)와 제1 덕트(21)를 나사로 고정하여 연결한다.
상부보강박스(12)는 제2 덕트(22)와 연결하기 위한 덕트연결부(12a)를 하부에 구비한 것으로, 덕트연결부(12a)는 하부보강박스(11)와 마찬가지로 제2 덕트(22)를 외측 또는 내측에 끼워 조립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조립 후 덕트연결부(12a)와 제2 덕트(22)를 나사로 고정하여 연결한다.
중간보강박스(13)는 제1 덕트(21)와 제2 덕트(22)를 연결하기 위한 하부덕트연결부(13a)와 상부덕트연결부(13b)를 하부와 상부에 각각 구비한 것으로, 하부보강박스(11)와 마찬가지로 하부덕트연결부(13a)는 제1 덕트(21)를 외측 또는 내측에 끼워 조립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조립 후 하부덕트연결부(13a)와 제1 덕트(21)를 나사로 고정하여 연결하고, 상부덕트연결부(13b)는 제2 덕트(22)를 외측 또는 내측에 끼워 조립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조립 후 상부덕트연결부(13b)와 제2 덕트(22)를 나사로 고정하여 연결한다.
도 4의 (a) 및 (b)는 상기 중간보강박스(13)를 사각기둥(2)의 수평프레임(4)에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도 1의 고정부(b) 참조), 사각기둥(2)의 수평프레임(4) 상에 중간보강박스(13)의 일부를 올려놓고, 제1 덕트(21)의 배면을 수평프레임(4)의 측면에 밀착 지지시킨 상태로 배치한 후, 수평프레임(4)에 용접하여 구비한 고정브라켓(4a)과 제2 덕트(22)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5의 (a) 및 (b)는 제1 덕트(21)와 제2 덕트(22)를 사각기둥(2)의 수평프레임(4)에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도 1의 고정부(c) 참조), 사각기둥(2)의 수평프레임(4)의 측면에 제1 덕트(21) 또는 제2 덕트(22)의 배면을 밀착 지지시킨 상태에서 수평프레임(4)에 용접하여 구비한 고정브라켓(4b)과 제1 덕트(21) 또는 제2 덕트(22)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3 덕트(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양쪽 좌우측면과 배면이 폐쇄되고 정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덕트몸체(41)와, 상기 덕트몸체(41)의 개방된 정면을 막기 위한 덮개(42)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부분덕트(40)를 다수개 연결하여 구성된다.
덕트몸체(41)의 양측면과 정,배면의 단면길이는 대략 1 : 2의 비율로 양측면에 비하여 정,배면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3 덕트(23)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덕트(40)의 연결끝단을 맞대어 용접함으로써 연결되고, 상부보강박스(12)의 측면에 측부덕트연결부(12b)를 형성하여 상부보강박스(12)와 연결한다. 측부덕트연결부(12b)는 제3 덕트(23)를 외측 또는 내측에 끼워 조립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조립 후 측부덕트연결부(12b)와 제3 덕트(23)를 나사로 고정하여 연결한다.
제3 덕트(23)는 상부구조물(5)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상부구조물(5) 둘레를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조명등(1) 설치위치를 따라 대응하게 배치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덕트(21)와 제2 덕트(22)에 내부 점검을 위해 개폐가능한 점검구(50)를 각각 설치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덕트(21)와 제2 덕트(22) 중간지점에 각각 1개씩 점검구(50)를 형성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점검구(50)의 수와 설치위치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10)에 의하면, 지상에서 사각기둥(2)의 상부구조물(5)까지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덕트(21,22,23)가 금속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제작됨으로써 중량이 가볍고 다루기 쉬워 설치가 용이하고, 사각기둥(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덕트(21,22)는 이보다 구조적 강도를 높게 제작한 하부보강박스(11), 상부보강박스(12) 및 중간보강박스(13)를 통해 보강 연결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인 제1 내지 제3 덕트(23)를 이용하여 한 공간에 다수의 케이블(6)을 함께 수용할 수 있어 복수개의 전선관에 다수의 케이블(6)을 나누어 설치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케이블(6)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내지 제3 덕트(21,22,23)는 다수개의 부분덕트(30,40)를 연결한 것으로, 부분덕트(30,40)는 덕트몸체(31,41)의 상면을 개방하여 덮개(32,42)로 덮은 것이므로, 어느 위치에서도 덮개(32,42)를 제거하면 쉽게 덕트 내부를 점검할 수 있어 케이블(6)의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조명등 2 : 사각기둥
5 : 상부구조물 6 : 케이블
11 : 하부보강박스 11a,12a : 덕트연결부
12 : 상부보강박스 12b : 측부덕트연결부
13 : 중간보강박스 13a : 하부덕트연결부
13b : 상부덕트연결부 21,22,23 : 제1 내지 제3 덕트
30,40 : 부분덕트 31,41 : 덕트몸체
32,42 : 덮개 33 : 내측고정판
34 : 외측고정판 50 : 점검구

Claims (5)

  1. 사각기둥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구조물에 다수개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내부에 보호하여 사각기둥 하부인 지상에서 상부구조물까지 설치하기 위한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로서,
    상기 사각기둥의 지상측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덕트연결부를 구비한 하부보강박스;
    상기 사각기둥의 상부구조물에 설치되고 하부에 덕트연결부를 구비한 상부보강박스;
    상기 사각기둥의 중간지점에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에 하부덕트연결부와 상부덕트연결부를 각각 구비한 중간보강박스;
    상기 하부보강박스의 덕트연결부와 중간보강박스의 하부덕트연결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인 제1 덕트; 및
    상기 중간보강박스의 상부덕트연결부와 상부보강박스의 덕트연결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인 제2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보강박스의 측면에 측부덕트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측부덕트연결부에 제3 덕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3 덕트는 상부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구조물 둘레를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조명등의 설치위치를 따라 대응하게 배치하고,
    상기 제1 덕트, 제2 덕트 및 제3 덕트는, 금속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양쪽 좌우측면과 배면이 폐쇄되고 정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덕트몸체와, 상기 덕트몸체의 개방된 정면을 막기 위한 덮개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부분덕트를 다수개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덕트와 제2 덕트의 부분덕트 간의 연결구조는, 양쪽 덕트몸체의 좌우측면 내측에 내측고정판을 구비하여 양쪽 덕트몸체의 양측면을 함께 고정하고, 양쪽 덕트몸체의 폐쇄된 배면 바깥쪽에 외측고정판을 덧대어 양쪽 덕트몸체의 배면을 함께 고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와 제2 덕트 중간지점에 내부 점검을 위해 개폐가능한 점검구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
  4. 삭제
  5. 삭제
KR1020180056590A 2018-05-17 2018-05-17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 KR101902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90A KR101902773B1 (ko) 2018-05-17 2018-05-17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90A KR101902773B1 (ko) 2018-05-17 2018-05-17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773B1 true KR101902773B1 (ko) 2018-10-02

Family

ID=6386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590A KR101902773B1 (ko) 2018-05-17 2018-05-17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7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71B1 (ko) * 2007-01-15 2007-04-2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71B1 (ko) * 2007-01-15 2007-04-2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31146A1 (en) Pole
KR101324966B1 (ko) 가로시설물과 지주의 조립 장치
KR102369917B1 (ko)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KR101562982B1 (ko)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1902773B1 (ko)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
KR102167170B1 (ko)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JP6971641B2 (ja) 橋梁用恒久足場
KR101407690B1 (ko) 양개형 다기능 가로등주
JP6124616B2 (ja) 上下2段から成る電線収納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の布設工法
US2835788A (en) Fluorescent island light fixture
KR200396733Y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997643B1 (ko) 태양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KR101424356B1 (ko) 전선 관로용 격벽 설치장치
KR200450792Y1 (ko) 3단 분리형 조립식 지주
JP2003047142A (ja) 分岐部のケーブル配設部構造およびポールとアダプタ
JP6182446B2 (ja) 地上設置型電気機器
WO2004099665A1 (de) Beleuchtungseinrichtung
KR101536707B1 (ko) 프레임 양면에 분할 제어반을 가지는 가로등주
KR101078834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0408996Y1 (ko) 고전압 개폐기의 외함 조립구조
JP2011019297A (ja) 設置物保護具
US20230374816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conductive wires and data cables mounted on perimeter security fences
JP2000291038A (ja) ハンドホール
JP2005039938A (ja) 変圧器室設備
JP2808450B2 (ja) 設備部材収納スペースを有する張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