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293B1 - 양방향 dc모터를 위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dc모터를 위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293B1
KR101902293B1 KR1020160176632A KR20160176632A KR101902293B1 KR 101902293 B1 KR101902293 B1 KR 101902293B1 KR 1020160176632 A KR1020160176632 A KR 1020160176632A KR 20160176632 A KR20160176632 A KR 20160176632A KR 101902293 B1 KR101902293 B1 KR 101902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bidirectional
voltage
output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127A (ko
Inventor
김용선
이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176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2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션트 저항을 구성하지 않고 양방향 DC모터의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방향 DC모터가 정방향으로 동작할 때 배터리로부터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압과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1차동증폭기와, 양방향 DC모터가 역방향으로 동작할 때 배터리로부터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압과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2차동증폭기 및 제 1차동증폭기 및 제 2차동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출력전압을 근거로 그라운드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와 배터리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므로, 별도의 션트 저항을 구비할 필요없이 누설전류의 감지가 가능함과 아울러, 션트 저항에서 발생되는 열손실 및 저항 오차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DC모터를 위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Leakage current monitoring system for bidirectional DC motor}
본 발명은 양방향 DC모터를 위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션트 저항을 구성하지 않고 양방향 DC모터의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방향 DC모터에서 발생되는 누설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 션트 저항이 구성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은 누설 전류를 감지하여 양방향 DC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제어함으로써, 제품 손상 및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은, 2개의 션트 저항(7a, 7b), 2개의 차동증폭기(8a, 8b) 및 제어 로직(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양방향 DC모터(1)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와, 양방향 DC모터(1)의 정방향 입력단에 위치한 제 1FET(3), 양방향 DC모터(1)의 정방향 출력단에 위치한 제 2FET(4), 양방향 DC모터(1)의 역방향 입력단에 위치한 제 3FET(5) 및 양방향 DC모터(1)의 역방향 출력단에 위치한 제 4FET(6)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2개의 션트 저항(7a, 7b)은 양방향 DC모터(1)의 정방향 출력단에 위치한 제 2FET(4) 및 양방향 DC모터(1)의 역방향 출력단에 위치한 제 4FET(6)의 소스에 각각 연결된다. 2개의 차동증폭기(8a, 8b)는 각각의 션트 저항(7a, 7b) 양단에 연결되어, 션트 저항(7a, 7b)에 흐르는 전류를 증폭시켜 제어 로직(9)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로직(9)은 사전에 설정된 전류 크기와 각 차동증폭기(8a, 8b)로부터 출력된 전류 크기를 비교하여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은 션트 저항(7a, 7b)이 적용됨에 따라, 션트 저항(7a, 7b)에 의한 열손실이 발생하고 저항 오차에 따른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션트 저항(7a, 7b)에 의한 열손실과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저항값이 작고 정밀한 션트 저항(7a, 7b)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 경우, 션트 저항(7a, 7b)에 의해 원가가 상승하고 제품 자체의 크기도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양방향 DC모터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별도의 션트 저항을 구비할 필요없이 감지할 수 있는 양방향 DC모터를 위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양방향 DC모터를 위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방향 DC모터가 정방향으로 동작할 때, 배터리로부터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압과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1차동증폭기; 양방향 DC모터가 역방향으로 동작할 때, 배터리로부터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압과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2차동증폭기; 및 상기 제 1차동증폭기 및 상기 제 2차동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출력전압을 근거로, 그라운드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와 배터리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입력단에 위치한 제 1FET의 드레인 및 소스에 연결되는 제 1증폭기; 및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출력단에 위치한 제 2FET의 드레인 및 소스에 연결되는 제 2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증폭기 및 제 2증폭기의 출력단은, 상기 제 1차동증폭기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입력단에 위치한 제 3FET의 드레인 및 소스에 연결되는 제 3증폭기; 및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출력단에 위치한 제 4FET의 드레인 및 소스에 연결되는 제 4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증폭기 및 제 4증폭기의 출력단은, 상기 제 2차동증폭기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증폭기는, 상기 제 1FET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1차동증폭기로 출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증폭기는, 상기 제 2FET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1차동증폭기로 출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증폭기는, 상기 제 3FET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2차동증폭기로 출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증폭기는, 상기 제 4FET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2차동증폭기로 출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차동증폭기 또는 상기 제 2차동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출력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출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그라운드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로 판정하고, 출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배터리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로 판정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양방향 DC모터가 정방향으로 동작할 때 배터리로부터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압과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1차동증폭기와, 양방향 DC모터가 역방향으로 동작할 때 배터리로부터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압과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2차동증폭기 및 제 1차동증폭기 및 제 2차동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출력전압을 근거로 그라운드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와 배터리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므로, 별도의 션트 저항을 구비할 필요없이 누설전류의 감지가 가능함과 아울러, 션트 저항에서 발생되는 열손실 및 저항 오차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단가가 높고 부피가 큰 션트 저항을 미적용하면서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정방향으로 동작하는 양방향 DC모터에서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역방향으로 동작하는 양방향 DC모터에서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정방향으로 동작하는 양방향 DC모터에서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역방향으로 동작하는 양방향 DC모터에서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은 제 1증폭기(110), 제 2증폭기(120), 제 3증폭기(130), 제 4증폭기(140), 제 1차동증폭기(150), 제 2차동증폭기(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는 양방향 DC모터(10)에 연결되어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와, 상기 양방향 DC모터(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4개의 FET(30, 40, 50, 60)가 마련될 수 있고, 4개의 FET(30, 40, 50, 60)는 후술할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4개의 FET(30, 40, 50, 60)는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정방향 입력단에는 제 1FET(30)가 위치하고,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정방향 출력단에는 제 2FET(40)가 위치하며,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역방향 입력단에는 제 3FET(50)가 위치하고,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역방향 출력단에는 제 4FET(60)가 위치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증폭기(110)는 제 1FET(30)의 드레인 및 소스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 1FET(30)의 드레인에 상기 제 1증폭기(110)의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고, 제 1FET(30)의 소스에 상기 제 1증폭기(110)의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증폭기(110)의 출력단은 후술할 제 1차동증폭기(150)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증폭기(110)는 제 1FET(30)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 즉,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정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증폭기(120)는 제 2FET(40)의 드레인 및 소스에 연결된다.
예컨대, 제 2FET(40)의 드레인에 상기 제 1증폭기(110)의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고, 제 2FET(40)의 소스에 상기 제 2증폭기(120)의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증폭기(120)의 출력단은 후술할 제 1차동증폭기(150)의 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증폭기(120)는 제 2FET(40)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 즉,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정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3증폭기(130)는 제 3FET(50)의 드레인 및 소스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 3FET(50)의 드레인에 상기 제 3증폭기(130)의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고, 제 3FET(50)의 소스에 상기 제 3증폭기(130)의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3증폭기(130)의 출력단은 후술할 제 2차동증폭기(160)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증폭기(130)는 제 3FET(50)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 즉,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역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4증폭기(140)는 제 4FET(60)의 드레인 및 소스에 연결된다.
예컨대, 제 4FET(60)의 드레인에 상기 제 4증폭기(140)의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고, 제 4FET(60)의 소스에 상기 제 4증폭기(140)의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증폭기(140)의 출력단은 후술할 제 2차동증폭기(160)의 반전 입력단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4증폭기(140)는 제 4FET(60)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 즉,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역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는 상기 제 1증폭기(110) 및 상기 제 2증폭기(1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의 출력단은 후술할 제어부(17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는 상기 양방향 DC모터(10)가 정방향으로 동작할 때, 상기 제 1증폭기(110) 및 상기 제 2증폭기(120)로부터 각각 증폭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킨 출력전압을 제어부(170)로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는 배터리(20)로부터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정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압과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정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킨 출력전압을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는 상기 제 3증폭기(130) 및 상기 제 4증폭기(14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의 출력단은 후술할 제어부(17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는 상기 양방향 DC모터(10)가 역방향으로 동작할 때, 상기 제 3증폭기(130) 및 상기 제 4증폭기(140)로부터 각각 증폭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킨 출력전압을 제어부(170)로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는 배터리(20)로부터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역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압과 상기 양방향 DC모터(10)의 역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킨 출력전압을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증폭기(110), 상기 제 2증폭기(120), 상기 제 3증폭기(130), 제 4증폭기(140),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 및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는 동일한 기준전압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기준전압은 2.0V 내지 3.0V 사이의 특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V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증폭기(110), 상기 제 2증폭기(120), 상기 제 3증폭기(130), 제 4증폭기(140),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 및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에 각각 구비된 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게인(Gain)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제 1FET(30) 내지 제 4FET(60)를 제어하여 상기 양방향 DC모터(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 또는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로부터 출력된 출력전압을 근거로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양방향 DC모터(10)가 정방향으로 동작하게 되면,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근거로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는, 상기 제 1증폭기(110)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전압과 상기 제 2증폭기(120)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킨 출력전압을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높거나 낮으면 누설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기 제어부(170)는, 상기 양방향 DC모터(10)가 역방향으로 동작하게 되면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근거로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는, 상기 제 3증폭기(130)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전압과 상기 제 4증폭기(140)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킨 출력전압을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높거나 낮으면 누설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양방향 DC모터(10)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그 누설전류가 그라운드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인지 배터리(20)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인지를 판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 또는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로부터 출력된 출력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출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그라운드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로 판정하고, 출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배터리(20)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로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에 설정된 기준전압은 상기 제 1증폭기(110) 내지 상기 제 4증폭기(140)와, 상기 제 1차동증폭기(150) 및 상기 제 2차동증폭기(160)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은 별도의 션트 저항을 구성하지 않고 양방향 DC모터에서 발생되는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션트 저항으로 인한 열손실 및 저항 오차를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소형화 및 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 제 1증폭기
120 : 제 2증폭기
130 : 제 3증폭기
140 : 제 4증폭기
150 : 제 1차동증폭기
160 : 제 2차동증폭기
170 : 제어부

Claims (8)

  1. 양방향 DC모터가 정방향으로 동작할 때, 배터리로부터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압과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1차동증폭기;
    상기 양방향 DC모터가 역방향으로 동작할 때, 배터리로부터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입력단으로 인가된 전압과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간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2차동증폭기;
    상기 제 1차동증폭기 및 상기 제 2차동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출력전압을 근거로, 그라운드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와 배터리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입력단에 위치한 제 1FET의 드레인에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FET의 소스에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1차동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 출력단이 연결되는 제 1증폭기;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정방향 출력단에 위치한 제 2FET의 드레인에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FET의 소스에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1차동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에 출력단이 연결되는 제 2증폭기;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입력단에 위치한 제 3FET의 드레인에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3FET의 소스에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2차동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 출력단이 연결되는 제 3증폭기; 및
    상기 양방향 DC모터의 역방향 출력단에 위치한 제 4FET의 드레인에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4FET의 소스에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2차동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에 출력단이 연결되는 제 4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증폭기는,
    상기 제 1FET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1차동증폭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증폭기는,
    상기 제 2FET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1차동증폭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증폭기는,
    상기 제 3FET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2차동증폭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증폭기는,
    상기 제 4FET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제 2차동증폭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8.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차동증폭기 또는 상기 제 2차동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출력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출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그라운드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로 판정하고, 출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배터리 쇼트에 의한 누설전류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KR1020160176632A 2016-12-22 2016-12-22 양방향 dc모터를 위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KR101902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632A KR101902293B1 (ko) 2016-12-22 2016-12-22 양방향 dc모터를 위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632A KR101902293B1 (ko) 2016-12-22 2016-12-22 양방향 dc모터를 위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127A KR20180073127A (ko) 2018-07-02
KR101902293B1 true KR101902293B1 (ko) 2018-09-28

Family

ID=6291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632A KR101902293B1 (ko) 2016-12-22 2016-12-22 양방향 dc모터를 위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2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392A (ja) * 2001-08-17 2003-02-28 Hitachi Car Eng Co Ltd 電動車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392A (ja) * 2001-08-17 2003-02-28 Hitachi Car Eng Co Ltd 電動車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127A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5363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US10018658B2 (en) Class D audio amplifier and method for reading a current supplied by the amplifier
KR100670735B1 (ko) 자동차용 듀얼 모터의 과전류 검출장치
US7332969B2 (en) Output offset protection for power amplifier
US20160065134A1 (en) Asymmetric h-bridge in a class d power amplifier
JPH06314934A (ja) 低電圧回路
US20050151543A1 (en) Accurate and efficient sensing circuit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signals
JP2021500787A (ja) スイッチング増幅器出力における電流測定
JP2008210134A (ja) 検出システム
KR101902293B1 (ko) 양방향 dc모터를 위한 누설전류 감지 시스템
US20090039862A1 (en) Voltage transformation circuit
KR0168053B1 (ko) 부하 접속 상태 검출 장치
TWI614485B (zh) 溫度感測裝置及其溫度感測方法
JP2006349466A (ja) 温度検出装置
JP5989171B1 (ja) 電流検出回路、及びその回路を備えた車両用電子制御装置
KR101312546B1 (ko) 파워 앰프 과전류 제한 장치
JP5728427B2 (ja) 温度検知装置および温度検知装置の異常判定方法
JP2001108712A (ja) 電流検出装置
EP1935090B1 (en) Electronic device with an amplifier output stage and an over-current detection means
JPWO2016002329A1 (ja) パワー半導体素子の電流検出装置
JP2008209998A (ja) 電圧発生器
JP6238627B2 (ja) 定電流発生回路および定電流発生回路の保護方法、並びに、抵抗測定装置、および、抵抗測定方法
TW201732295A (zh) 磁感測器及磁感測器裝置
CN112925371A (zh) 电流控制电路
JP6392644B2 (ja) 電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