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755B1 -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 Google Patents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755B1
KR101901755B1 KR1020170041024A KR20170041024A KR101901755B1 KR 101901755 B1 KR101901755 B1 KR 101901755B1 KR 1020170041024 A KR1020170041024 A KR 1020170041024A KR 20170041024 A KR20170041024 A KR 20170041024A KR 101901755 B1 KR101901755 B1 KR 101901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nsert
feed single
high feed
sided cutting
single s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용
최영남
박재만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1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755B1/ko
Priority to US16/478,516 priority patent/US11117201B2/en
Priority to PCT/KR2017/014780 priority patent/WO2018182138A1/ko
Priority to CN201780089264.0A priority patent/CN110475638B/zh
Priority to DE112017007146.1T priority patent/DE112017007146T5/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6Face-milling cutters, i.e. having only or primarily a substantially flat cut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55Squ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94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3Curv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8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36Other features of the milling insert not covered by B23C2200/04 - B23C2200/32
    • B23C2200/367Mounted tangentially, i.e. where the rake face is not the face with larges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4Angles
    • B23C2210/0407Cutting angles
    • B23C2210/0442Cutting angles posi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8Seats for cutting inserts, supports for replacable cutting b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이송 가공용으로 적합하도록 인선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절삭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는, 주표면과 단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단부 절인; 주표면과 장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장부 절인; 및 단부 절인과 장부 절인 사이를 연결하는 코너 절인을 포함하고, 단부 절인은, 주표면을 향해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지고, 부표면은, 단부 측면 및 장부 측면 각각을 향해 볼 때, 직선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High feed single-side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for mount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공 속도가 빠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 인서트는 공작 기계에 장착된 절삭 공구에 체결되어 철, 비철금속, 비금속 재료 등으로 구성된 피삭재를 절삭 가공하는데 사용된다.
도 8은 종래의 탄젠셜 절삭 인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다른 종래의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로 유럽공개특허 EP02214857A1호에 개시된 탄젠셜 절삭 인서트(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면(12)과, 하부면(14)과,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를 연결하는 두 개의 측면(24)과, 두 개의 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면(20)과, 전방면(20)과 상부면(12) 사이에 형성되는 주절인(32)과, 전방면(20)과 측면(24) 사이에 형성되는 부절인(34)과, 상부면(12)과 하부면(14)을 관통하여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체결공(18)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절인(32)은 상부면(12)을 향해 보았을 때 경사진 두 개의 직선이 중간에서 이어져 대략 "V" 형상을 가지고, 부절인(34)은 측면(24)을 향해 보았을 때 직선의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주절인(32)과 보조 절인(34) 사이에는 코너 절인(36)이 놓인다.
다른 종래 기술로 유럽공개특허 EP01711296A1호에 개시된 양면형 절삭 인서트(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라보는 두 개의 단부면(12)과, 두 개의 단부면(12)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주측면(18)과 2개의 부측면(16)과, 각각의 단부면(12)과 각각의 주측면(18) 사이를 연결하는 4개의 주절인(34)과, 각각의 단부면(12)과 각각의 부측면(16) 사이를 연결하는 4개의 부절인(36)과, 두 개의 주측면을 관통하여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체결공(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절인(34)은, 주측면(18)을 향해 보았을 때, 일 측으로 기운 직선의 형상을 가지고, 부절인(36)은 부측면(16)을 향해 보았을 때 일 측으로 기운 직선의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주절인(34)과 보조 절인(36) 사이에는 코너 절인(40)이 놓인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주절인 및 부절인이 직선의 형상을 가지므로, 인선 강도가 떨어지고, 피삭재와의 접촉 부하가 커서 고이송 가공용으로는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두 개의 전방면(또는 두 개의 단부면)을 모두 사용하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이므로, 이 중 하나의 전방면(또는 단부면)은 절삭용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하나의 전방면(또는 단부면)은 절삭 공구의 시트면에 접촉되어 이에 체결되는데, 전방면(또는 단부면)은 주절인 및 부절인의 형성으로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을 구현할 수 없어, 절삭 공구의 시트면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체결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이송 가공용으로 적합하도록 인선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절삭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절삭 공구와의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주표면 및 부표면과, 상기 주표면 및 상기 부표면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단부 측면과, 상기 주표면 및 상기 부표면 사이와 상기 두 개의 단부 측면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단부 측면보다 폭이 큰 두 개의 장부 측면과,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장부 측면을 관통하여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로, 상기 주표면과 상기 단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단부 절인; 상기 주표면과 상기 장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장부 절인; 및 상기 단부 절인과 상기 장부 절인 사이를 연결하는 코너 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 절인은, 상기 주표면을 향해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부표면은, 상기 단부 측면 및 상기 장부 측면 각각을 향해 볼 때, 직선 형상을 가진다.
상기 단부 절인은, 상기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부 절인은, 상기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내측으로 오목한 제1 및 제2 오목 구간; 및 상기 제1 및 제2 오목 구간을 연결하는 직선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오목 구간 각각은, 상기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코너 절인에서 시작되어 상기 직선 구간에서 끝날 수 있다.
상기 코너 절인은, 상기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오목 구간에 연이어 오목한 형상으로 상기 단부 절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너 절인은 상기 제1 및 제2 오목 구간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장부 절인은 상기 직선 구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직선 구간은 상기 제1 및 제2 오목 구간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부 측면은, 상기 단부 절인에 인접한 제1 여유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여유면은 상기 주표면에 대해 둔각을 이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부 측면은, 상기 제1 여유면과 상기 부표면을 연결하는 제2 여유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여유면은 상기 주표면 및 상기 부표면 각각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여유면은, 그 중심에서 상기 각각의 장부 측면으로 갈수록 상기 주표면에서 상기 부표면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이 점점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단부 측면은, 상기 단부 절인에 인접한 제1 여유면; 및 상기 제1 여유면과 상기 부표면을 연결하는 제2 여유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여유면은 상기 주표면에 대해 직각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2 여유면은 상기 주표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고 상기 부표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며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표면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상하 대칭, 그리고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주표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단부 절인의 중심이 가장 많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단부 절인의 중심이 가장 많이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로, 상기 부표면이 놓이는 제1 시트면; 상기 단부 측면이 놓이는 제2 시트면; 및 상기 장부 측면이 놓이는 제3 시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시트면은 상기 절삭 공구의 저면으로 갈수록 상기 절삭 공구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부 절인과, 장부 절인과, 그리고 코너 절인을 포함하되, 단부 절인이 주표면을 향해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곡선 형상으로 단부 절인에 대한 인선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피삭재와의 접촉 저항의 감소로 접촉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고이송 가공용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부표면은 단부 측면 및 장부 측면 각각을 향해 볼 때 직선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절삭 공구의 제1 시트면과의 접촉 면적을 높여 이와의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주표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단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장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V-V 선으로 잘라 본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탄젠셜 절삭 인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종래의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주표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단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장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V-V 선으로 잘라 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표면(상면)(111), 부표면(하면) (112)과, 두 개의 단부 측면(주측면)(120)과, 두 개의 장부 측면(부측면)(130)과, 체결공(140), 단부 절인(주절인)(150), 장부 절인(외주절인)(160), 그리고 코너 절인(170)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표면(111) 및 부표면(112)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두 개의 단부 측면(120)은 주표면(111) 및 부표면(112)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며, 그리고 두 개의 장부 측면(130)은 주표면(111) 및 부표면(112) 사이와 두 개의 단부 측면(120)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단부 측면(120) 보다 큰 폭을 가진다. 그리고,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140)은 두 개의 장부 측면(130)을 관통하여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도 6의 10)가 삽입된다.
나아가, 주표면(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A2)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상하 대칭, 그리고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부표면(11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측면(120) 및 장부 측면(130) 각각을 향해 볼 때, 직선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절삭 공구(도 6의 200)의 제1 시트면(201)과의 접촉 면적을 높여 이와의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각의 단부 측면(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선(A3)을 기준으로, 도면상 상하 대칭될 수 있다. 각각의 장부 측면(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선(A4)을 기준으로, 도면상 상하 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절삭 공구가 오른쪽(절삭 공구의 상단에서 아래로 내려다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공이 이루어지는 우승수 타입의 절삭 공구(도 6의 200 참조)뿐만 아니라 왼쪽(절삭 공구의 상단에서 아래로 내려다 보았을 때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공이 이루어지는 좌승수 타입의 절삭 공구(미도시) 모두에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좌승수 타입과 우승수 두 타입의 절삭 공구 모두에 사용될 경우 본원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로 4개의 코너를 번갈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절인(주절인)(150)은 주표면(111)과 단부 측면(120)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어 이와 접촉되는 피삭재를 실질적으로 절삭하는 구성요소이고, 장부 절인(160)은 주표면(111)과 장부 측면(130)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어 이와 접촉되는 피삭재를 실질적으로 절삭하는 구성요소이며, 그리고 코너 절인(170)은 각각의 단부 절인(150)과 각각의 장부 절인(160) 사이를 연결하여 이와 접촉되는 피삭재를 실질적으로 절삭하는 구성요소이다. 참고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는, 2개의 단부 절인(150)과, 2개의 장부 절인(160)과, 그리고 4개의 코너 절인(170)을 가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단부 절인(1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부 절인(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표면(111)을 향해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단부 절인(150)에 대한 인선 강도가 증대될 수 있고, 피삭재와의 접촉 저항의 감소로 절삭 부하가 감소될 수 있어, 궁극적으로 이러한 형상의 단부 절인(150)을 가진 본원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는 고이송 가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표면(111)을 향해 볼 때 단부 절인(150)의 중심이 가장 많이 돌출되고, 이를 중심으로 단부 절인(150)이 좌우 대칭형 구조를 가지게 되어, 좌승수 타입의 절삭 공구(미도시) 및 우승수 타입의 절삭 공구(도 6의 200) 모두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단부 절인(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측면(120)을 향해 볼 때에도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절인(15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표면(111)을 향해 볼 때 장부 절인(160)에 대해 둔각을 이루게 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측면(120)을 향해 볼 때 장부 측면(130)에 대해 둔각을 이루게 되므로, 단부 절인(150)이 대략 헬릭스(helix) 인선 구조를 가지게 되어 단부 절인(150)에 대한 인선 강도가 더욱 증가될 수 있고 단부 절인(150)에 대한 절삭 부하가 더욱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좌승수 타입의 절삭 공구(미도시) 및 우승수 타입의 절삭 공구(도 6의 200) 모두에 사용할 수 있도록, 단부 절인(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측면(120)을 향해 볼 때에도 그 중심이 가장 많이 돌출되고, 이를 중심으로 도면상 상하 대칭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장부 절인(16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장부 절인(16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부 측면(130)을 향해 볼 때 내측으로 오목한 제1 오목 구간(제1 외주절인)(161) 및 제2 오목 구간(제3 외주절인)(162)과, 제1 및 제2 오목 구간(161)(162)을 연결하는 직선 구간(제2 외주절인)(16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오목 구간(161)(162)을 통해 장부 절인(160)에 대한 인선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오목 구간(161)(162)을 통해 장부 절인(160)에 대한 절삭 부하가 감소되어 홈 등을 가공하는 포켓 가공시 피삭재와의 절삭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부연하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절삭 공구(도 6의 200 참조)에 본원의 절삭 인서트(100)를 장착할 경우, 제1 또는 제2 오목 구간(161 또는 162)을 통해 본원의 절삭 인서트(100)가 절삭 공구(도 6의 200 참조)의 축(도 6의 C1 참조)에 대해 포지티브하게 경사진 형태를 구현할 수 있어 스텝 가공시 피삭재의 측벽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피삭재와 접촉시 절삭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 및 제2 오목 구간(161)(162) 각각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부 측면(130)을 향해 볼 때 코너 절인(170)에서 시작되어 직선 구간(163)에서 끝날 수 있다. 또한, 좌승수 타입의 절삭 공구(미도시) 및 우승수 타입의 절삭 공구(도 6의 200) 모두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장부 절인(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구간(163)의 중심(A1)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직선 구간(163)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오목 구간(161)(1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된 직선 구간(163)만큼 장부 측면(130)이 넓어짐에 따라, 절삭 공구(도 6의 200)와 체결시 절삭 공구(도 6의 200)의 제3 시트면(도 6의 203)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절삭 공구(도 6의 200)에 대한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절삭 인서트(100)의 직선 구간(163)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오목 구간(161,162)에 대비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돌출된 만큼의 접촉 면적의 증가로 절삭 공구(도 6의 200)에 대한 체결 안정성이 향상되는 반면, 이에 대응되는 부위에 놓이는 종래의 기술의 절삭 인서트(10)의 주절인(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12)을 향해 보았을 때 대략 "V" 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어 들어간 만큼 접촉 면적의 감소로 절삭 공구에 대한 체결 안정성이 본원 발명에 비해 떨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코너 절인(17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코너 절인(17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부 측면(130)을 향해 볼 때 장부 절인(160)의 오목 구간(161, 162)에 연이어 오목한 형상으로 단부 절인(15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오목한 형상의 코너 절인(170)을 통해 코너 절인(170)에 대한 인선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오목한 형상의 코너 절인(170)을 통해 코너 절인(170)에 대한 절삭 부하가 감소되어 홈 등을 가공하는 포켓 가공시 피삭재와의 절삭 저항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코너 절인(1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장부 절인(160)의 오목 구간(161, 162)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만곡될 수 있다. 따라서, 코너 절인(170)에 대한 치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3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단부 측면(1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부 측면(주측면)(120)은,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표면(111)에 인접한 제1 여유면(1차 여유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여유면(1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표면(111)에 대해 둔각(θ11)을 이를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절인(150)에 인접한 제1 여유면(121)이 주표면(111)에 대해 둔각(θ11)을 이루므로 단부 절인(150)에 살이 보강되어 단부 절인(150)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단부 측면(주측면)(120)은,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여유면(121)과 부표면(하면)(112)을 연결하는 제2 여유면(2차 여유면)(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여유면(122)은 주표면(111) 및 부표면(112)에 대해 직각(θ12)을 이루며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절삭 공구(도 6의 200)와 체결시 절삭 공구(도 6의 200)의 제2 시트면(도 6의 202)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절삭 공구(도 6의 200)에 대한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여유면(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에서 각각의 장부 측면(130)으로 갈수록 주표면(111)에서 부표면(112)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이 점점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2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로, 그 포켓부에 마련된 제1 시트면(201)과, 제2 시트면(202)과, 그리고 제3 시트면(203)을 포함한다.
제1 시트면(201)은 상술한 본원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의 부표면(112)이 놓이는 곳이고, 제2 시트면(202)은 상술한 본원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의 단부 측면(120)이 놓이는 곳이며, 그리고 제3 시트면(203)은 상술한 본원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의 장부 측면(130)이 놓이는 곳이다.
특히, 제3 시트면(203)은 절삭 공구(200)의 저면(204)으로 갈수록 절삭 공구(200)의 중심(C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각도(θ2)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가 본원의 절삭 공구의 제3 시트면(203)에 장착되면 제2 각도(θ2)만큼 백 테이퍼(back taper)가 형성되어 포켓 가공시 피삭재와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측면(320)이 주표면(311)과 이루는 각도와 부표면(312)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단부 측면(3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표면(311)에 인접한 제1 여유면(321)과 제2 여유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여유면(321)은 주표면(311)에 인접하며 주표면(311)에 대해 직각(θ31)을 이를 수 있고, 제2 여유면(322)은 제1 여유면(321)과 부표면(312)을 연결하며 주표면(311)에 대해 예각(θ32)을 이루고 부표면(312)에 대해 둔각(θ33)을 이루며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여유면(322)을 통해, 절삭 공구(도 6의 200)와 체결시 절삭 공구(도 6의 200)의 제2 시트면(도 6의 202)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짐과 동시에 제2 여유면(322)이 제2 시트면(202)에 쐐기 형태로 체결될 수 있어 절삭 공구(도 6의 200)에 대한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300: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11, 311: 주표면 112, 312: 부표면
120, 320: 단부 측면 121, 321: 제1 여유면
122, 322: 제2 여유면
130: 장부 측면 140: 체결공
150: 단부 절인 160: 장부 절인
161: 제1 오목 구간 162: 제2 오목 구간
163: 직선 구간 170: 코너 절인
A1: 직선 구간의 중심 A2: 주표면의 중심
A3: 단부 측면의 중심선 A4: 장부 측면의 중심선
θ11, θ33: 둔각 θ12, θ31: 직각
θ2: 제2 각도 θ32: 예각
200: 절삭 공구 C1: 절삭 공구의 중심
201: 제1 시트면 202: 제2 시트면
203: 제3 시트면

Claims (16)

  1.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주표면 및 부표면과, 상기 주표면 및 상기 부표면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단부 측면과, 상기 주표면 및 상기 부표면 사이와 상기 두 개의 단부 측면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단부 측면보다 폭이 큰 두 개의 장부 측면과,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장부 측면을 관통하여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로,
    상기 주표면과 상기 단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단부 절인;
    상기 주표면과 상기 장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장부 절인; 및
    상기 단부 절인과 상기 장부 절인 사이를 연결하는 코너 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 절인은,
    상기 주표면을 향해 내려다보는 평면도 상에서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부표면은,
    상기 단부 측면 및 상기 장부 측면 각각을 향해 볼 때, 직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부 절인은,
    상기 단부 측면을 향해 내려다보는 평면도 상에서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지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장부 절인은,
    상기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내측으로 오목한 제1 및 제2 오목 구간; 및
    상기 제1 및 제2 오목 구간을 연결하는 직선 구간을
    포함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4. 제3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오목 구간 각각은,
    상기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코너 절인에서 시작되어 상기 직선 구간에서 끝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5. 제4항에서,
    상기 코너 절인은,
    상기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오목 구간에 연이어 오목한 형상으로 상기 단부 절인에 연결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6. 제5항에서,
    상기 코너 절인은 상기 제1 및 제2 오목 구간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만곡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7. 제4항에서,
    상기 장부 절인은 상기 직선 구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가지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8. 제4항에서,
    상기 직선 구간은 상기 제1 및 제2 오목 구간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9. 제1항에서,
    상기 단부 측면은,
    상기 단부 절인에 인접한 제1 여유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여유면은
    상기 주표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0. 제9항에서,
    상기 단부 측면은,
    상기 제1 여유면과 상기 부표면을 연결하는 제2 여유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여유면은,
    상기 주표면 및 상기 부표면 각각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가지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여유면은,
    그 중심에서 상기 각각의 장부 측면으로 갈수록 상기 주표면에서 상기 부표면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이 점점 커지는 형상을 가지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2. 제1항에서,
    상기 단부 측면은,
    상기 단부 절인에 인접한 제1 여유면; 및
    상기 제1 여유면과 상기 부표면을 연결하는 제2 여유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여유면은
    상기 주표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상기 제2 여유면은,
    상기 주표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고 상기 부표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며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가지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3. 제1항에서,
    상기 주표면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상하 대칭, 그리고 180도 회전 대칭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4. 제1항에서,
    상기 주표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단부 절인의 중심이 가장 많이 돌출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5. 제1항에서,
    상기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단부 절인의 중심이 가장 많이 돌출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6. 제1항, 제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로,
    상기 부표면이 놓이는 제1 시트면;
    상기 단부 측면이 놓이는 제2 시트면; 및
    상기 장부 측면이 놓이는 제3 시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시트면은 상기 절삭 공구의 저면으로 갈수록 상기 절삭 공구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절삭 공구.
KR1020170041024A 2017-03-30 2017-03-30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1901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024A KR101901755B1 (ko) 2017-03-30 2017-03-30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US16/478,516 US11117201B2 (en) 2017-03-30 2017-12-15 Single-sided high fee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equipped with same
PCT/KR2017/014780 WO2018182138A1 (ko) 2017-03-30 2017-12-15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CN201780089264.0A CN110475638B (zh) 2017-03-30 2017-12-15 单面高进给的切削刀具及配备有该切削刀具的切削工具
DE112017007146.1T DE112017007146T5 (de) 2017-03-30 2017-12-15 Einseitiger Schneideinsatz für hohen Vorschub und mit selbigem ausgestattetes Schneidwerk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024A KR101901755B1 (ko) 2017-03-30 2017-03-30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755B1 true KR101901755B1 (ko) 2018-09-28

Family

ID=6367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024A KR101901755B1 (ko) 2017-03-30 2017-03-30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17201B2 (ko)
KR (1) KR101901755B1 (ko)
CN (1) CN110475638B (ko)
DE (1) DE112017007146T5 (ko)
WO (1) WO2018182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6935S1 (en) * 2021-11-10 2023-05-23 Korloy Inc. Cutting insert
USD1006078S1 (en) * 2021-11-10 2023-11-28 Korloy Inc. Cutting insert for machine tools for metalwork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3375A (ja) * 2011-01-31 2014-02-13 イスカーリミテッド 接線方向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フライス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4326A (en) * 1977-01-03 1978-11-07 The Valeron Corporation Cutting insert with raised cutting edge
US5116167A (en) 1991-02-19 1992-05-26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DE4310131A1 (de) * 1993-03-29 1994-10-06 Krupp Widia Gmbh Schneideinsatz
KR960012704B1 (ko) 1994-06-30 1996-09-24 한라공조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
US5639189A (en) * 1994-11-08 1997-06-17 Ingersoll Cutting Tool Company Plunge milling insert
US7094007B2 (en) * 2002-12-04 2006-08-22 Iscar Ltd. Tangential cutting insert and milling cutter
US7008146B2 (en) * 2003-07-21 2006-03-07 Kennametal Inc. Milling cutter with tangentially mounted inserts
IL158098A (en) * 2003-09-24 2008-03-20 Amir Satran Tangential cutting insert and milling cutter
IL160223A (en) 2004-02-04 2008-11-26 Carol Smilovici Double-sided cutting insert and milling cutter
KR101028986B1 (ko) * 2004-04-06 2011-04-12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스로 어웨이 팁 및 스로 어웨이식 회전절삭 공구
KR100624742B1 (ko) * 2004-06-04 2006-09-20 대구텍 주식회사 웨이브 인선을 가지는 커터용 인서트 팁
KR100657382B1 (ko) 2005-06-24 2006-12-14 한국야금 주식회사 최적의 칩컬을 유도하는 절삭 인써트
JP4491404B2 (ja) * 2005-11-07 2010-06-30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チップと刃先交換式隅削りフライスカッタ
IL187721A (en) * 2007-11-28 2014-05-28 Iscar Ltd Cutting put
US8696257B2 (en) * 2009-03-06 2014-04-15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Cutting insert and removable insert-type cutting tool
US8277153B2 (en) * 2009-12-02 2012-10-02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nd shim for heavy machining operations
KR101838238B1 (ko) * 2011-01-27 2018-03-13 대구텍 유한회사 접선방향 절삭 인서트
EP2740555B1 (en) * 2012-12-07 2016-03-16 Sandvik Tooling France Cutting tool for face milling, corresponding method of face milling, cutting insert and tool body
JP2016144831A (ja) * 2013-06-05 2016-08-12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KR101519101B1 (ko) * 2013-12-24 2015-05-11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서트 및 이를 체결하는 공구 홀더
KR101517979B1 (ko) * 2014-07-08 2015-05-06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US9981323B2 (en) * 2015-07-16 2018-05-29 Kennametal Inc. Double-sided tangential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system using the same
US9993884B2 (en) * 2015-07-16 2018-06-12 Kennametal Inc. Double-sided tangential cutting insert
KR101814642B1 (ko) * 2015-11-04 2018-01-03 한국야금 주식회사 고이송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3375A (ja) * 2011-01-31 2014-02-13 イスカーリミテッド 接線方向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フラ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75638A (zh) 2019-11-19
CN110475638B (zh) 2021-06-15
US11117201B2 (en) 2021-09-14
DE112017007146T5 (de) 2019-11-28
US20190388981A1 (en) 2019-12-26
WO2018182138A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642B1 (ko) 고이송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0881960B1 (ko) 인덱서블 밀링 인써트
KR101315627B1 (ko) 칩 제거 가공용 공구 및 절삭 인서트
EP0790094B1 (en) Throwaway insert and cutting tool
US7410331B2 (en) Tool
US11389883B2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having same mounted therein
NZ199442A (en) Invertable insert with positive rake for cutting tool
CN110494243B (zh) 高进给的切削刀具和配备有该切削刀具的切削工具
KR101901755B1 (ko)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EP2035175B1 (en) A replaceable cutting insert and a milling tool
EP1355755B1 (en)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s
KR101905664B1 (ko) 고이송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2305441B1 (ko)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KR101556737B1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CN111867767B (zh) 切削刀片和其上安装有该切削刀片的切削工具
KR101780640B1 (ko)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1895851B1 (ko)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JPH0463613A (ja) スローアウエイチツプ
JP2557737Y2 (ja) 切削工具のカッタ本体及び切削工具
JPH04376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