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640B1 -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 Google Patents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640B1
KR101780640B1 KR1020160119302A KR20160119302A KR101780640B1 KR 101780640 B1 KR101780640 B1 KR 101780640B1 KR 1020160119302 A KR1020160119302 A KR 1020160119302A KR 20160119302 A KR20160119302 A KR 20160119302A KR 101780640 B1 KR101780640 B1 KR 10178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nsert
feed single
sided cutting
cut
cl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용
최영남
박재만
문재영
안선용
김영흠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94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3Curv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4Cross section of the cutting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이송 가공이 가능하며 절인의 인선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면과, 하면과, 제1 및 제2 단부 측면과, 제1 및 제2 장부 측면과, 제1 및 제2 단부 절인부와, 제1 및 제2 장부 절인부와, 그리고 통과공을 포함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로, 상기 제1 단부 절인부는,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제1 헬릭스 곡선을 이룬다.

Description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High feed single-side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for mount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공 속도가 빠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 인서트는 공작 기계에 장착된 절삭 공구에 체결되어 철, 비철금속, 비금속 재료 등으로 구성된 피삭재를 절삭 가공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나타낸 평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뒤집어 놓고 잘라본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5921호에 개시된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과,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다수의 측면과, 상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를 이루는 절인을 포함한다. 특히, 측면은, 하면에 대해서는 둔각을 이루고 상면에 대해서는 예각을 이루며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예각을 이루는 모서리는 절인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절삭 인서트는, 측면이 전체적으로 하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며 경사진 형상을 가지므로 상면과 측면 사이의 절인 부위가 상대적으로 얇아 절인의 인선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이송 가공이 가능하며 절인의 인선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절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공시 피삭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면과, 하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며 서로 반대에 놓이는 제1 및 제2 단부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 및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측면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반대에 놓이며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측면보다 길이가 긴 제1 및 제2 장부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제1 단부 측면 사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제2 단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을 각각 이루는 제1 및 제2 단부 절인부와, 상기 상면과 상기 제1 장부 측면 사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제2 장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을 각각 이루는 제1 및 제2 장부 절인부와, 그리고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관통하여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가 삽입되는 통과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절인부, 상기 제1 장부 절인부, 상기 제2 단부 절인부, 그리고 상기 제2 장부 절인부는,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놓이며, 상기 제1 단부 절인부는,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제1 헬릭스 곡선을 이룬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기 제1 단부 절인부와 상기 제1 장부 절인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주코너 절인; 및 상기 제1 단부 절인부와 상기 제2 장부 절인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부코너 절인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헬릭스 곡선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주코너 절인에서 상기 제1 부코너 절인으로 갈수록 상기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주코너 절인 및 상기 제1 부코너 절인 각각은,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볼록한 곡선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1 주코너 절인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상기 제1 장부 절인부에서 상기 제1 단부 절인부로 이어지는 제2 헬릭스 곡선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1 부코너 절인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단부 절인부에서 상기 제2 장부 절인부로 이어지는 제3 헬릭스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헬릭스 곡선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볼록한 형태로 보일 수 있고, 상기 제3 헬릭스 곡선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오목한 형태로 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헬릭스 곡선, 상기 제1 헬릭스 곡선, 그리고 상기 제3 헬릭스 곡선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그 순서로 연이어져 하나의 헬릭스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단부 절인부는,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부 절인부와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기 제2 단부 절인부와 상기 제2 장부 절인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주코너 절인과 180도 회전 대칭되는 제2 주코너 절인; 및 상기 제2 단부 절인부와 상기 제1 장부 절인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부코너 절인과 180도 회전 대칭되는 제2 부코너 절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부 절인부는, 상기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2 부코너 절인에 연이어지고 상기 하면에 평행한 메인 외주 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부 절인부는, 상기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주코너 절인과 상기 메인 외주 절인을 볼록 곡선과 오목 곡선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보조 외주 절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부 절인부는,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직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장부 절인부는,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장부 절인부와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 절인부는, 상기 제1 주코너 절인에서 상기 제1 부코너 절인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절인, 부절인, 그리고 내주 절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절인은, 상기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내주 절인에 비해 완만한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 측면은, 상기 제1 단부 절인부에 접하는 제1 단부 여유면; 및 상기 제1 단부 여유면에 접하며 상기 제1 단부 여유면의 아래에 놓이는 제2 단부 여유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부 여유면은 상기 하면에 대해 수직할 수 있고, 상기 제2 단부 여유면은 상기 하면에 대해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 측면은, 상기 하면에 접하며 상기 하면과 상기 제2 단부 여유면 사이에 놓이는 제3 단부 여유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단부 여유면은 상기 제2 단부 여유면 및 상기 하면에 대해 각각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 측면은,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 사이에 놓이되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4 단부 여유면(또는 추가 단부 여유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4 단부 여유면은,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과 단차지게 놓일 수 있고, 상기 하면에 대해 수직이며 평평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4 단부 여유면은,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보다 상기 통과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들어가 놓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4 단부 여유면은, 상기 하면에 대해 둔각이며 평평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부 측면은,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부 측면과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상기 제1 장부 절인부에 접하는 제1 장부 여유면; 및 상기 제1 장부 여유면에 접하며 상기 제1 장부 여유면의 아래에 놓이는 제2 장부 여유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장부 여유면은 상기 하면에 대해 수직하고, 제2 장부 여유면은 상기 하면에 대해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상기 하면에 접하며 상기 하면과 상기 제2 장부 여유면 사이에 놓이는 제3 장부 여유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장부 여유면은 제2 장부 여유면 및 상기 하면에 대해 각각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장부 측면은,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장부 측면과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로, 상기 하면에 접촉되는 제1 체결면; 상기 제4 단부 여유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4 단부 여유면을 구속시키는 제2 체결면; 및 상기 제2 장부 여유면을 접촉시켜 구속시키며 간격을 두어 구비되는 제3 및 제4 체결면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단부 절인부는 상면을 향해 볼 때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제1 헬릭스 곡선을 이루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볼록한 곡선의 제1 단부 절인부를 통해 고이송 가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 헬릭스 곡선을 통해 제1 단부 절인부의 인선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주코너 절인 및 제1 부코너 절인 각각은, 상면을 향해 볼 때 볼록한 곡선을 이룰 수 있고, 제1 주코너 절인은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절인부에서 제1 단부 절인부로 이어지는 제2 헬릭스 곡선을 이룰 수 있고, 제1 부코너 절인은,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제1 단부 절인부에서 제2 장부 절인부로 이어지는 제3 헬릭스 곡선을 이룰 수 있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상술한 제1 단부 절인부와 더불어 볼록한 곡선의 제1 주코너 절인 및 제1 부코너 절인을 통해 고이송 가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 및 제3 헬릭스 곡선을 통해 제1 주코너 절인과 제1 부코너 절인의 인선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제1 헬릭스 곡선에 의해 제1 주코너 절인이 제1 부코너 절인보다 더 높게 위치되고 볼록한 형태를 가지므로, 제1 주코너 절인의 절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 장부 절인부는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제1 주코너 절인과 메인 외주 절인을 볼록 곡선과 오목 곡선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보조 외주 절인을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1 주코너 절인이 보조 외주 절인에 의해 더욱 가파르게 도드라질 수 있어, 제1 주코너 절인의 절삭성은 보조 외주 절인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장부 절인부는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제2 부코너 절인에 연이어지고 하면에 평행한 메인 외주 절인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1 장부 측면의 제2 장부 여유면을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제2 장부 여유면을 통한 절삭 공구와의 체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단부 측면은 제1 단부 절인부에 접하며 하면에 대해 수직한 제1 단부 여유면과, 제1 단부 여유면에 접하며 하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제2 단부 여유면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네가면(하면에 대해 수직한 면)인 제1 단부 여유면에 의해 제1 단부 절인부 측의 두께를 보강할 수 있어 제1 단부 절인부의 인선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포지면(하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면)인 제2 단부 여유면에 의해 가공시 피삭재의 바닥면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단부 측면은 하면에 접하며 제2 단부 여유면 및 하면에 대해 각각 둔각을 이루는 제3 단부 여유면을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3 단부 여유면을 통해 더 큰 각의 포지면을 제공할 수 있어 가공시 피삭재의 바닥면과의 간섭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단부 측면은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과 단차지되 하면에 대해 수직이며 평평한 면을 제공하는 제4 단부 여유면을 더 포함하고, 제4 단부 여유면은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보다 통과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들어가 놓이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들어간 형상의 제4 단부 여유면을 통해 가공시 피삭재의 바닥면과의 간섭을 더욱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평한 제4 단부 여유면을 통해 절삭 공구와의 체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장부 측면은 제1 장부 절인부에 접하며 하면에 대해 수직한 제1 장부 여유면과, 제1 장부 여유면에 접하며 하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제2 장부 여유면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네가면인 제1 장부 여유면에 의해 제1 장부 절인부 측의 두께를 보강할 수 있어 제1 장부 절인부의 인선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포지면인 제2 장부 여유면에 의해 가공시 피삭재의 측면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장부 측면은 하면에 접하며 제2 장부 여유면 및 하면에 대해 각각 둔각을 이루는 제3 장부 여유면을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3 장부 여유면을 통해 더 큰 각의 포지면을 제공할 수 있어 가공시 피삭재의 측면과의 간섭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절삭 공구는 절삭 인서트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1 체결면과 제4 단부 여유면에 접촉되어 제4 단부 여유면을 구속시키는 제2 체결면과, 그리고 제2 장부 여유면을 접촉시켜 구속시키며 간격을 두어 구비되는 제3 및 제4 체결면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총 4개의 면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어,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절삭 인서트의 탈거를 막을 할 수 있으며, 가공 부하에 의한 절삭 인서트의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제2 및 제3 단부 여유면과 제2 및 제3 장부 여유면이 포지면을 이룸에 따라, 본 발명의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절삭 공구에 셋업될 경우 기존의 네가면을 갖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에 비해 큰 여유각을 제공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가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되게 절삭 공구에 셋업되도록 이의 여유각 차이만큼 여유각이 작게 적용되게 절삭 공구를 설계할 수 있게 되어, 절삭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궁극적으로 고이송 가공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나타낸 평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뒤집어 놓고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상면을 향해 바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VIII-VIII 선으로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제4 단부 여유면을 보이기 위해 도 7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IX-IX 선으로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9의 (b)는 제4 단부 여유면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절삭 공구에 장착된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피삭재의 측면과 바닥면을 가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절삭 공구에 장착된 상태로 절삭 공구의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a)와 절삭 공구의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기존 절삭 공구의 셋업 조건 보다 2도 낮게 셋업하여 절삭부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상면을 향해 바라 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의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VIII-VIII 선으로 잘라본 단면도이고, 도 9의 (a)는 제4 단부 여유면을 보이기 위해 도 7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를 IX-IX 선으로 잘라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9의 (b)는 제4 단부 여유면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과, 하면(120)과, 상면(110)과 하면(120)을 연결하며 서로 반대에 놓이는 제1 및 제2 단부 측면(130)(140)과, 상면(110)과 하면(120) 사이 및 제1 및 제2 단부 측면(130)(140)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반대에 놓이며 제1 및 제2 단부 측면(130)(140)보다 길이가 긴 제1 및 제2 장부 측면(150)(160)과, 상면(110)과 제1 단부 측면(130) 사이 및 상면(110)과 제2 단부 측면(140) 사이의 경계 부분을 각각 이루는 제1 및 제2 단부 절인부(171)(172)와, 상면(110)과 제1 장부 측면(150) 사이 및 상면(110)과 제2 장부 측면(160) 사이의 경계 부분을 각각 이루는 제1 및 제2 장부 절인부(181)(182)와, 그리고 상면(110)과 하면(120)을 관통하여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도 10의 B)가 삽입되는 통과공(H)을 포함한다.
제1 단부 절인부(171), 제1 장부 절인부(181), 제2 단부 절인부(172), 그리고 제2 장부 절인부(18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공(H)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놓인다. 특히, 제1 단부 절인부(17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을 향해 볼 때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부 측면(160)을 향해 볼 때 나선 형상의 제1 헬릭스 곡선(helix curve)을 이룬다. 따라서, 볼록한 곡선의 제1 단부 절인부(171)를 통해 고이송 가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 헬릭스 곡선을 통해 제1 단부 절인부(171)의 인선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코너 절인(191)과 제1 부코너 절인(1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코너 절인(191)은 제1 단부 절인부(171)와 제1 장부 절인부(181) 사이를 연결하고, 제1 부코너 절인(192)은 제1 단부 절인부(171)와 제2 장부 절인부(182) 사이를 연결한다. 이 경우, 상술한 제1 헬릭스 곡선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부 측면(160)을 향해 볼 때 제1 주코너 절인(191)에서 제1 부코너 절인(192)으로 갈수록 하면(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제1 주코너 절인(191) 및 제1 부코너 절인(192)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을 향해 볼 때 볼록한 곡선을 이룰 수 있고, 제1 주코너 절인(19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부 측면(160)을 향해 볼 때 제1 장부 절인부(181)에서 제1 단부 절인부(171)로 이어지는 나선 형상의 제2 헬릭스 곡선을 이룰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부코너 절인(19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부 측면(160)을 향해 볼 때 제1 단부 절인부(171)에서 제2 장부 절인부(182)로 이어지는 나선 형상의 제3 헬릭스 곡선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 단부 절인부(171)와 더불어 볼록한 곡선의 제1 주코너 절인(191) 및 제1 부코너 절인(192)을 통해 고이송 가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 및 제3 헬릭스 곡선을 통해 제1 주코너 절인(191)과 제1 부코너 절인(192)의 인선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부 측면(160)을 향해 볼 때, 제1 주코너 절인(191)의 제2 헬릭스 곡선은 볼록한 형태로 보일 수 있고, 제1 부코너 절인(192)의 제3 헬릭스 곡선은 오목한 형태로 보일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주코너 절인(191)의 제2 헬릭스 곡선, 제1 단부 절인부(171)의 제1 헬릭스 곡선, 그리고 제1 부코너 절인(192)의 제3 헬릭스 곡선은 그 순서로 연이어져 하나의 나선 형상의 헬릭스 곡선을 이룰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부 측면(160)을 향해 볼 때, 제1 단부 절인부(171)의 제1 헬릭스 곡선에 의해 제1 주코너 절인(191)이 제1 부코너 절인(192)보다 더 높게 위치되고 볼록한 형태를 가지므로, 제1 주코너 절인(191)의 절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단부 절인부(171)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코너 절인(191)에서 제1 부코너 절인(192)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절인(171a), 부절인(171b), 그리고 내주 절인(171c)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주절인(171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측면(130)을 향해 볼 때, 내주 절인(171c)에 비해 완만한 곡선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단부 절인부(17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통과공(H)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단부 절인부(171)와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코너 절인(193)과 제2 부코너 절인(1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180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제2 주코너 절인(193)은 제2 단부 절인부(172)와 제2 장부 절인부(182) 사이를 연결하며 통과공(H)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주코너 절인(191)과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고, 제2 부코너 절인(194)은 제2 단부 절인부(172)와 제1 장부 절인부(181) 사이를 연결하며 통과공(H)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부코너 절인(192)과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이하,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장부 절인부(181)(18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장부 절인부(18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부 측면(150)을 향해 볼 때, 제2 부코너 절인(194)에 연이어지고 하면(120)에 평행한 메인 외주 절인(181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평행한 메인 외주 절인(181a)에 의해 제1 장부 측면(150)의 제2 장부 여유면(152)을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제2 장부 여유면(152)을 통한 절삭 공구(도 10의 200)와의 체결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제1 장부 절인부(18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부 측면(150)을 향해 볼 때, 제1 주코너 절인(191)과 메인 외주 절인(181a)을 볼록 곡선과 오목 곡선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보조 외주 절인(18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주코너 절인(191)이 보조 외주 절인(181b)에 의해 더욱 가파르게 도드라질 수 있어, 제1 주코너 절인(191)의 절삭성은 보조 외주 절인(181b)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장부 절인부(18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을 향해 볼 때 직선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장부 절인부(18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통과공(H)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장부 절인부(181)와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이하, 도 3,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단부 측면(130)(1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단부 측면(130)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여유면(131)과 제2 단부 여유면(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 여유면(131)은 제1 단부 절인부(171)에 접하고, 제2 단부 여유면(132)은 제1 단부 여유면(131)에 접하며 제1 단부 여유면(131)의 아래에 놓일 수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여유면(131)은 하면(120)에 대해 수직(θ11)할 수 있고, 제2 단부 여유면(132)은 하면(120)에 대해 둔각(θ12)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네가면(negative type surface)[하면(120)에 대해 수직한 면]인 제1 단부 여유면(131)에 의해 제1 단부 절인부(171) 측의 두께를 보강할 수 있어 제1 단부 절인부(171)의 인선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포지면(positive type surface)[하면(120)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면]인 제2 단부 여유면(132)에 의해 가공시 피삭재(P)의 바닥면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단부 측면(130)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20)에 접하며 하면(120)과 제2 단부 여유면(132) 사이에 놓이는 제3 단부 여유면(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3 단부 여유면(13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20)에 대해 둔각(θ13)을 이루고, 제2 단부 여유면(132)에 대해서도 둔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3 단부 여유면(133)을 통해 더 큰 각의 포지면을 제공할 수 있어 가공시 피삭재(P)의 바닥면과의 간섭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부 측면(130)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131)(132) 사이에 놓이되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131)(132)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4 단부 여유면(또는 추가 단부 여유면)(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4 단부 여유면(134)은, 절삭 공구(도 10의 200)와의 체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131)(132)과 단차지게 놓이고, 하면(120)에 대해 수직(θ14)이며 평평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4 단부 여유면(134)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131)(132)보다 통과공(H)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들어가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들어간 형상의 제4 단부 여유면(134)을 통해 가공시 피삭재(P)의 바닥면과의 간섭을 더욱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들어간 형상의 평평한 제4 단부 여유면(134)을 통해 절삭 공구(도 10의 200)와의 체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단부 여유면(2134)은, 절삭 공구(도 10의 200)와의 체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면(120에 대해 둔각(θ214)이며 평평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부 측면(140)은, 도 3,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통과공(H)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단부 측면(130)과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이하, 도 3,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장부 측면(150)(1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장부 측면(15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부 여유면(151)과 제2 장부 여유면(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부 여유면(151)은 제1 장부 절인부(181)에 접하고, 제2 장부 여유면(152)은 제1 장부 여유면(151)에 접하며 제1 장부 여유면(151)의 아래에 놓일 수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부 여유면(151)은 하면(120)에 대해 수직(θ21)할 수 있고, 제2 장부 여유면(152)은 하면(120)에 대해 둔각(θ22)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네가면[하면(120)에 대해 수직한 면]인 제1 장부 여유면(151)에 의해 제1 장부 절인부(181) 측의 두께를 보강할 수 있어 제1 장부 절인부(181)의 인선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포지면[하면(120)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면]인 제2 장부 여유면(152)에 의해 가공시 피삭재(P)의 바닥면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장부 측면(15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20)에 접하며 하면(120)과 제2 장부 여유면(152) 사이에 놓이는 제3 장부 여유면(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3 장부 여유면(15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20)에 대해 둔각(θ23)을 이룰 수 있고, 제2 장부 여유면(152)에 대해서도 둔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3 장부 여유면(153)을 통해 더 큰 각의 포지면을 제공할 수 있어 가공시 피삭재(P)의 측면과의 간섭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장부 측면(160)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통과공(H)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장부 측면(150)과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절삭 공구에 장착된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피삭재의 측면과 바닥면을 가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2는 도 3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절삭 공구에 장착된 상태로 절삭 공구의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a)와 절삭 공구의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기존 절삭 공구의 셋업 조건 보다 2도 낮게 절삭 공구를 셋업하여 절삭부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2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로, 그 포켓부에 마련된 제1 체결면(210)과, 제2 체결면(220)과, 제3 체결면(230)과, 그리고 제4 체결면(240)을 포함한다.
제1 체결면(210)은 상술한 본 발명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의 하면(120)을 접촉시키고, 제2 체결면(220)은 상술한 본 발명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의 제4 단부 여유면(134)을 접촉시켜 구속시키고, 제3 및 제4 체결면(230)(240)은 상술한 본 발명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의 제2 장부 여유면(152)을 접촉시켜 구속시킨다. 따라서, 총 4개의 면(210, 220, 230, 240)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술한 본 발명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200)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100)의 탈거를 막을 할 수 있으며, 가공 부하에 의한 절삭 인서트(100)의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200)에 장착되면, 직선 형상의 제1 장부 절인부(181)와 피삭재(P)의 측면이 "θ31"의 각도를 이루게 되어 피삭재(P)의 측벽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단부 절인부(171) 중 부절인(171b) 및 내주 절인(171c)이 피삭재(P)의 바닥면과 "θ32"의 각도를 이루게 되어 피삭재(P)의 바닥면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의 제2 단부 여유면(132)이 상술한 바와 같이 포지면[하면(120)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면]을 이룸에 따라,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200)에 셋업되어 생기는 정면 여유각(θ41)이 기존의 네가면을 갖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미도시)가 절삭 공구(200)에 셋업되어 생기는 정면 여유각(θ42) 보다 크게 되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가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되게 절삭 공구에 셋업되도록 이의 정면 여유각 차이(θ41-θ42)만큼 정면 여유각이 작게 적용되게 절삭 공구(200)를 설계할 수 있게 되어, 절삭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궁극적으로 고이송 가공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의 제2 장부 여유면(152)이 포지면[하면(120)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면]을 이룸에 따라,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200)에 셋업되어 생기는 외주 여유각(θ51)이 기존의 네가면을 갖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미도시)가 절삭 공구(200)에 셋업되어 생기는 외주 여유각(θ52) 보다 크게 되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가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되게 절삭 공구에 셋업되도록 이의 외주 여유각 차이(θ51-θ52)만큼 외주 여유각이 작게 적용되게 절삭 공구(200)를 설계할 수 있게 되어, 절삭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궁극적으로 고이송 가공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기존의 네가면을 갖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미도시)는, 주지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측면이 서로 평행하며 상면의 모서리의 절인과 하면의 모서리의 절인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절삭 인서트이다.
특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양면형 절삭 인서트(미도시)의 절삭 공구 셋업 조건(기준)과, 본 발명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100)를 위해 위 기준 조건 대비 정면 여유각(θ41)과 외주 여유각(θ51)을 줄이는 방향으로 축방향경사각과 반경방향경사각을 2도씩 낮게 한 절삭 공구 셋업 조건(A-1)과, 그리고 위 A-1 조건에서 절삭속도를 25% 증가시킨 절삭 공구 셋업 조건(A-2)을 설정해서 절삭 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한 결과, 주분력, 이송분력, 배분력, 그리고 합력에 대한 각각의 절삭부하 모두가 기준 조건, A-1 조건, 그리고 A-2 조건 순으로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절삭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절삭 해석 조건은 다음 표와 같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고이송 양면형 절삭 인서트
110: 상면 120: 하면
130: 제1 단부 측면 131: 제1 단부 여유면
132: 제2 단부 여유면 133: 제3 단부 여유면
134, 2134: 제4 단부 여유면 140: 제2 단부 측면
150: 제1 장부 측면 151: 제1 장부 여유면
152: 제2 장부 여유면 153: 제3 장부 여유면
160: 제2 장부 측면 171: 제1 단부 절인부
171a: 주절인 171b: 부절인
171c: 내주 절인 172: 제2 단부 절인부
181: 제1 장부 절인부 181a: 메인 외주 절인
181b: 보조 외주 절인 182: 제2 장부 절인부
191: 제1 주코너 절인 192: 제1 부코너 절인
193: 제2 주코너 절인 194: 제2 부코너 절인
200: 절삭 공구 210: 제1 체결면
220: 제2 체결면 230: 제3 체결면
240: 제4 체결면 B: 체결용 볼트
H: 통과공 P: 피삭재

Claims (21)

  1.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로서,
    상면과, 하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며 서로 반대에 놓이는 제1 및 제2 단부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 및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측면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반대에 놓이며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측면보다 길이가 긴 제1 및 제2 장부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제1 단부 측면 사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제2 단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을 각각 이루는 제1 및 제2 단부 절인부와, 상기 상면과 상기 제1 장부 측면 사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제2 장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을 각각 이루는 제1 및 제2 장부 절인부와, 그리고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관통하여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가 삽입되는 통과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 절인부, 상기 제1 장부 절인부, 상기 제2 단부 절인부, 그리고 상기 제2 장부 절인부는,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놓이며,
    상기 제1 단부 절인부는,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제1 헬릭스 곡선을 이루며,
    상기 제1 단부 측면은,
    상기 제1 단부 절인부에 접하는 제1 단부 여유면;
    상기 제1 단부 여유면에 접하며 상기 제1 단부 여유면의 아래에 놓이는 제2 단부 여유면; 및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 사이에 놓이되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추가 단부 여유면
    을 더 포함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2. 제1항에서,
    상기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기 제1 단부 절인부와 상기 제1 장부 절인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주코너 절인; 및
    상기 제1 단부 절인부와 상기 제2 장부 절인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부코너 절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헬릭스 곡선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주코너 절인에서 상기 제1 부코너 절인으로 갈수록 상기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낮아지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주코너 절인 및 상기 제1 부코너 절인 각각은,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1 주코너 절인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절인부에서 상기 제1 단부 절인부로 이어지는 제2 헬릭스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1 부코너 절인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단부 절인부에서 상기 제2 장부 절인부로 이어지는 제3 헬릭스 곡선을 이루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4. 제3항에서,
    상기 제2 헬릭스 곡선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볼록한 형태로 보이고,
    상기 제3 헬릭스 곡선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오목한 형태로 보이며,
    상기 제2 헬릭스 곡선, 상기 제1 헬릭스 곡선, 그리고 상기 제3 헬릭스 곡선은,
    상기 제2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그 순서로 연이어 하나의 헬릭스 곡선을 이루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5. 제4항에서,
    상기 제2 단부 절인부는,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부 절인부와 180도 회전 대칭되고,
    상기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는,
    상기 제2 단부 절인부와 상기 제2 장부 절인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주코너 절인과 180도 회전 대칭되는 제2 주코너 절인; 및
    상기 제2 단부 절인부와 상기 제1 장부 절인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부코너 절인과 180도 회전 대칭되는 제2 부코너 절인
    을 더 포함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장부 절인부는,
    상기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2 부코너 절인에 연이어지고 상기 하면에 평행한 메인 외주 절인
    을 포함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7. 제6항에서,
    상기 제1 장부 절인부는,
    상기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주코너 절인과 상기 메인 외주 절인을 볼록 곡선과 오목 곡선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보조 외주 절인
    을 더 포함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8. 제7항에서,
    상기 제1 장부 절인부는,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직선을 이루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9. 제8항에서,
    상기 제2 장부 절인부는,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장부 절인부와 180도 회전 대칭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0. 제4항에서,
    상기 제1 단부 절인부는,
    상기 제1 주코너 절인에서 상기 제1 부코너 절인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절인, 부절인, 그리고 내주 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주절인은,
    상기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내주 절인에 비해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1. 제1항에서,
    상기 제1 단부 여유면은, 상기 하면에 대해 수직하고,
    상기 제2 단부 여유면은, 상기 하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단부 측면은,
    상기 하면에 접하며 상기 하면과 상기 제2 단부 여유면 사이에 놓이는 제3 단부 여유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부 여유면은,
    상기 제2 단부 여유면 및 상기 하면에 대해 각각 둔각을 이루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3. 삭제
  14. 제1항에서,
    상기 추가 단부 여유면은,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과 단차지게 놓이고,
    상기 하면에 대해 수직이며 평평한 면을 제공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5. 제14항에서,
    상기 추가 단부 여유면은,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여유면보다 상기 통과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들어가 놓이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6. 제1항에서,
    상기 추가 단부 여유면은,
    상기 하면에 대해 둔각이며 평평한 면을 제공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7. 제1항에서,
    상기 제2 단부 측면은,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부 측면과 180도 회전 대칭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8. 제17항에서,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상기 제1 장부 절인부에 접하는 제1 장부 여유면; 및
    상기 제1 장부 여유면에 접하며 상기 제1 장부 여유면의 아래에 놓이는 제2 장부 여유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부 여유면은, 상기 하면에 대해 수직하고,
    상기 제2 장부 여유면은, 상기 하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19. 제18항에서,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상기 하면에 접하며 상기 하면과 상기 제2 장부 여유면 사이에 놓이는 제3 장부 여유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장부 여유면은,
    상기 제2 장부 여유면 및 상기 하면에 대해 각각 둔각을 이루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20. 제19항에서,
    상기 제2 장부 측면은,
    상기 통과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장부 측면과 180도 회전 대칭되는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로,
    상기 하면에 접촉되는 제1 체결면;
    상기 추가 단부 여유면에 접촉되어 상기 추가 단부 여유면을 구속시키는 제2 체결면; 및
    상기 제2 장부 여유면을 접촉시켜 구속시키며 간격을 두어 구비되는 제3 및 제4 체결면
    을 포함하는
    절삭 공구.
KR1020160119302A 2016-09-19 2016-09-19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1780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302A KR101780640B1 (ko) 2016-09-19 2016-09-19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302A KR101780640B1 (ko) 2016-09-19 2016-09-19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640B1 true KR101780640B1 (ko) 2017-09-21

Family

ID=6003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302A KR101780640B1 (ko) 2016-09-19 2016-09-19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219A (ko) * 2019-10-28 2021-05-07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공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254A (ja) * 2002-04-25 2004-02-12 Sandvik Ab スローアウェーチップおよび円盤フライス
JP2010515589A (ja) * 2007-01-11 2010-05-13 イスカーリミテッド 切削工具および切削インサ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254A (ja) * 2002-04-25 2004-02-12 Sandvik Ab スローアウェーチップおよび円盤フライス
JP2010515589A (ja) * 2007-01-11 2010-05-13 イスカーリミテッド 切削工具および切削インサ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219A (ko) * 2019-10-28 2021-05-07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공구
KR102253026B1 (ko) 2019-10-28 2021-05-17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447B2 (en) Throwaway insert and throwaway-type cutter
EP3403751B1 (en) Cutting insert and blade-tip-replaceable cutting tool
KR101814642B1 (ko) 고이송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1519101B1 (ko) 인서트 및 이를 체결하는 공구 홀더
JP6052455B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EP3006141A1 (en) Double-sided, indexable turning insert and turning tool
KR101515994B1 (ko)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하는 공구 홀더
JP5294709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
KR20190054725A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1941973B1 (ko) 고이송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1780640B1 (ko)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0718306B1 (ko) 절삭 인서트
JP6066005B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JP4919298B2 (ja) 高送り加工用刃先交換式回転工具
KR101469135B1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1788264B1 (ko) 편면형 3코너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1901755B1 (ko) 고이송 편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JP2010253632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被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2006062070A (ja)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切削工具
JP2001212712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エンドミル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US11260461B2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on which same is mounted
US10259055B2 (en) Cutting insert
KR20180075935A (ko)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JP2007196346A (ja)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切削工具
JP2011051029A (ja) 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