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725A -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 Google Patents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725A
KR20190054725A KR1020170151632A KR20170151632A KR20190054725A KR 20190054725 A KR20190054725 A KR 20190054725A KR 1020170151632 A KR1020170151632 A KR 1020170151632A KR 20170151632 A KR20170151632 A KR 20170151632A KR 20190054725 A KR20190054725 A KR 20190054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nsert
end side
corner
long sid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290B1 (ko
Inventor
최영남
이상용
김영흠
안선용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290B1/ko
Priority to CN201880073488.7A priority patent/CN111511493B/zh
Priority to RU2020119202A priority patent/RU2744729C1/ru
Priority to EP18879373.1A priority patent/EP3674024A4/en
Priority to US16/757,994 priority patent/US11389883B2/en
Priority to PCT/KR2018/010107 priority patent/WO2019098508A1/ko
Publication of KR2019005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08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1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23C5/2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9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with removable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23C5/205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characterised by chip-breaker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C2200/083Rake or top surfaces cur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3Curv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8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8Seats for cutting inserts, supports for replacable cutting b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50Cut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면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측면과,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측면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단부 측면보다 길이가 긴 제1 및 제2 장부 측면과, 그리고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절삭 인서트로,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for moun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 인서트는, 공작 기계에 장착된 절삭 공구에 체결되어 철, 비철금속, 비금속 재료 등으로 구성된 피삭재를 절삭 가공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절삭 인서트는, 상면과 하면 사이를 연결하는 각각의 측면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는 형상을 가져 상면측 절인과 하면측 절인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와, 상면측 절인 만을 사용하는 편면형 절삭 인서트로 대별된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8905호에 개시된 교환 가능한 절삭 인서트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상부면(150)과 하부면(160), 상부면(150)과 하부면(160)을 연결하는 2개의 종측면(110, 120)과 2개의 횡측면(130, 140), 그리고 상부면(150)과 하부면(160)의 각 중앙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관통홀(190)을 포함한다. 참고로, 배경기술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특허문헌(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8905호)에 사용된 것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후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부호와 중복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2개의 종측면(110, 120) 각각이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절삭 가공 중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밀링 장치의 커터(200)의 시트면에서 움직이는 등 시트면과의 체결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속 가공시에는 배분력이 크고 진동이 쉽게 발생되어 시트면과의 체결력이 더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시트면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체결력을 향상과 더불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체결력을 향상과 더불어 절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측면과,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측면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단부 측면보다 길이가 긴 제1 및 제2 장부 측면과, 그리고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상면과 상기 제1 단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단부 절인부와, 상기 제1 장부 측면과 상기 제1 단부 측면 사이의 코너부와 상기 상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제1 코너 절인과, 그리고 상기 제2 장부 측면과 상기 제1 단부 측면 사이의 코너부와 상기 상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제2 코너 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일 예로,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가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를 이루며 볼록하게 튀어나온 볼록부, 상기 볼록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를 이루며 상기 볼록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상면의 내측으로 점점 들어가며 경사를 이루는 제1 및 제2 경사 구간, 및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구간의 각 말단부를 이루며 오목하게 들어간 제1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면까지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잘라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상기 상면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단부 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단부 측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일 측부는 상기 제1 장부 측면의 상기 경사진 형상의 일 측부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단부 측면은 전체적으로 곡선 형상을 가지거나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단부 절인부는 전체적으로 곡선 형상을 가지거나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코너 절인은 상기 제2 코너 절인 보다 높은 곳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단부 절인부 중 최고 높은 부위는 상기 제2 코너 절인보다 상기 제1 코너 절인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코너 절인은 상기 제2 코너 절인 보다 낮은 곳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단부 절인부 중 최고 높은 부위는 상기 제1 코너 절인보다 상기 제2 코너 절인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코너 절인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단부 절인부 중 최고 높은 부위는 상기 제1 및 제2 코너 절인보다 중앙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단부 측면은 상기 상면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단부 절인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를 이루며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를 이루며 상기 오목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상면의 외측으로 점점 나오며 경사를 이루는 제1 및 제2 경사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구간 각각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면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각각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측면 각각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장부 측면 각각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로, 상기 하면이 놓이는 제1 시트면; 상기 제1 장부 측면이 놓이는 제2 시트면; 및 상기 제1 단부 측면이 놓이는 제3 시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트면은 상기 제1 장부 측면 중에서 상기 경사진 양측부가 각각 안착되는 제1 및 제2 장부측 경사면을 가진다.
상기 제3 시트면은, 상기 제1 단부 측면의 상기 일 측부가 안착되고 상기 절삭 공구의 외주면에 인접하는 단부측 경사 체결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단부측 경사 체결면은 상기 제1 및 제2 장부측 경사 체결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면과, 하면과, 제1 및 제2 단부 측면과, 제1 및 제2 장부 측면과,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장부 측면은 상면을 향해 볼 때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그 경사진 양측부가 절삭 공구의 시트면에 밀착되면서 절삭 가공 동안 절삭 공구의 시트면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면을 향해 볼 때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가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가지므로, 관통홀 및 이에 삽입되는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절삭 공구와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면을 향해 볼 때, 제1 단부 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제1 단부 측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일 측부는 장부 측면의 경사진 형상의 일 측부와 예각을 이루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절삭 공구의 시트면과 쐐기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절삭 공구와의 체결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제1 단부 측면은 상면과 수직(일명, 네가티브 타입)을 이루므로, 그 사이가 예각(일명, 포지티브)을 이루는 것에 비해, 상면과 제1 단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단부 절인부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면을 향해 볼 때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지므로, 그 오목하게 들어간 만큼 절삭 공구의 시트면을 돌출시킬 수 있어, 즉 절삭 공구의 웹(web) 사이즈를 증대시킬 수 있어, 절삭 공구의 홀더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단부 절인부는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곡선 형상을 가지거나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고, 이와 함께 상면을 향해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단부 절인부가 대략 헬릭스(helix) 인선 구조를 가지게 되어, 단부 절인부에 대한 절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부 절인부에 대한 절삭 부하가 저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삭 인서트의 상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절삭 인서트를 III-III 선으로 잘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절삭 인서트의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절삭 인서트의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사시도(a)와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것(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사시도(a)와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것(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절삭 인서트의 상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절삭 인서트를 XI-XI 선으로 잘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절삭 인서트의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는 도 9의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삭 인서트의 상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절삭 인서트를 III-III 선으로 잘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절삭 인서트의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절삭 인서트의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과, 하면(120)과, 제1 및 제2 단부 측면(130)(140)과, 제1 및 제2 장부 측면(150)(160)과, 관통홀(170)과, 단부 절인부(180)과, 제1 코너 절인(191)과, 그리고 제2 코너 절인(192)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 및 하면(120)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제1 및 제2 단부 측면(130)(140)은 상면(110) 및 하면(120)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며, 그리고 제1 및 제2 장부 측면(150)(160)은 상면(110) 및 하면(120) 사이와 제1 및 제2 단부 측면(130)(140)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제1 단부 측면(130)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70)은 상면(110)과 하면(120)을 관통하여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도 6의 1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절인부(180)는 피삭재를 절삭하는 부분으로 상면(110)과 제1 단부 측면(130)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될 수 있고, 제1 코너 절인(191)은 제1 장부 측면(150)과 제1 단부 측면(130) 사이의 코너부와 상면(110)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코너 절인(192)은 제2 장부 측면(160)과 제1 단부 측면(130) 사이의 코너부와 상면(110)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제1 장부 측면(1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을 향해 볼 때, 제1 장부 측면(150)은 그 중심부(151 참조)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152 및 153 참조)가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경사진 양측부(152 및 153 참조)가 절삭 공구(800)의 제2 시트면(820)의 제1 및 제2 장부측 경사면(821)(822)에 밀착되면서 절삭 가공 동안 절삭 공구(800)의 제2 시트면(820)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을 향해 볼 때, 제1 장부 측면(150)은 그 중심부(151 참조)가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170) 및 이에 삽입되는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10)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절삭 공구(800)와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을 향해 볼 때, 제1 장부 측면(150)은, 볼록부(151), 제1 및 제2 경사 구간(152)(153), 그리고 제1 및 제2 오목부(154)(1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록부(151)는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으로 제1 장부 측면(150)의 중심부를 이룰 수 있고, 제1 및 제2 경사 구간(152)(153)은 볼록부(151)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를 이루며 볼록부(151)에서 멀어질수록 상면(110)의 내측으로 점점 들어가며 경사를 이룰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및 제2 오목부(154)(155)는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으로 제1 및 제2 경사 구간(152)(153)의 각 말단부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경사 구간(152)(153)이 절삭 공구(800)의 제2 시트면(820)의 제1 및 제2 장부측 경사면(821)(822)에 밀착되면서 절삭 가공 동안 절삭 공구(800)의 제2 시트면(820)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장부 측면(150)의 중심부를 이루는 제1 볼록부(151)에 의해 상면(110)의 해당 부분이 넓어지면서 관통홀(170) 및 이에 삽입되는 절삭 공구 체결용 볼트(10)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절삭 공구(800)와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으로부터 하면(120)까지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잘라 볼 때, 제1 장부 측면(150)은 상면(110)과 수직(일명, 네가티브 타입)(θ11)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그 사이가 예각(일명, 포지티브)을 이루는 것에 비해, 상면(110)과 제1 장부 측면(150) 사이의 경계 부분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 단부 측면(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을 향해 볼 때, 제1 단부 측면(130)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측면(1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일 측부[도 2의 제1 단부 측면(130)에서 윗부분]는 제1 장부 측면(150)의 경사진 형상의 일 측부에 해당하는 제2 경사 구간(153)과 예각(θ12)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공구(800)의 제3 시트면(830)의 단부측 경사 체결면(831)과 제2 시트면(820)의 제2 장부측 경사 체결면(822) 사이(θ14 참조)로 쐐기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절삭 공구(800)와의 체결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을 향해 볼 때, 제1 단부 측면(130)은 전체적으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을 향해 볼 때, 제1 단부 측면(1130)은, 그 중심부를 이루는 곡선 구간(1131)과, 곡선 구간(1131)을 기준으로 그 양측부를 이루는 제1 및 제2 직선 구간(1132)(1133)을 포함하는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부 측면(150)을 향해 볼 때, 제1 단부 측면(130)은 상면(110)과 수직(일명, 네가티브 타입)(θ13)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그 사이가 예각(일명, 포지티브)을 이루는 것에 비해, 상면(110)과 제1 단부 측면(130)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단부 절인부(18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4을 참조하여, 단부 절인부(18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을 향해 볼 때, 단부 절인부(180)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단부 절인부(180)에 대한 인선 강도가 증대될 수 있고, 피삭재와의 접촉 저항의 감소로 절삭 부하가 감소될 수 있어, 궁극적으로 이러한 형상의 단부 절인부(180)를 가진 본원의 절삭 인서트(100)는 고이송 가공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을 향해 볼 때 단부 절인부(180)의 중심이 가장 많이 돌출될 수 있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측면(130)을 향해 볼 때, 단부 절인부(180)는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측면(130)을 향해 볼 때, 제1 코너 절인(191)은 제2 코너 절인(192) 보다 높은 곳에 위치될 수 있고, 단부 절인부(180) 중 최고 높은 부위는 제2 코너 절인(192)보다 제1 코너 절인(191)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절인부(180)가 제1 단부 측면(130)을 향해 볼 때 곡선을 이루고(도 4 참조), 이와 함께 상면(110)을 향해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도 2의 (a) 참조)을 가지거나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도 2의 (b) 참조)을 가지므로, 단부 절인부(180)가 대략 헬릭스(helix) 인선 구조를 가지게 되어, 단부 절인부(180)에 대한 절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부 절인부(180)에 대한 절삭 부하가 저감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100)의 기술적 특징들은, 편면형 절삭 인서트와 양면형 절삭 인서트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편면형 절삭 인서트에 적용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은 그 중심(C1)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100)는,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절삭 공구(도 6의 800 참조)에 대해 대각 방향에 놓이는 2 개의 코너를 절인으로 번갈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면(110) 중 2개의 코너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피삭재에서 절삭된 부분이 말리면서 잘리도록 칩브레이커(도 1의 111)가 형성될 수 있다.
양면형 절삭 인서트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과 하면(12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면(110) 및 하면(120) 각각은 그 중심(도 2의 C1)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고, 제1 및 제2 단부 측면(130)(140) 각각은 그 중심(도 4의 C2)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며, 그리고 제1 및 제2 장부 측면(150)(160) 각각은 그 중심(도 5의 C3)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100)는,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절삭 공구(도 6의 800 참조)에 대해 상면(110)에 대해 대각 방향에 놓이는 2 개의 코너와 하면(120)에 대해 대각 방향에 놓이는 2개의 코너를 절인으로 번갈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8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8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100)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로, 그 포켓부에 마련된 제1 시트면(810)과, 제2 시트면(820)과, 그리고 제3 시트면(830)을 포함한다.
제1 시트면(810)은 상술한 절삭 인서트(100)의 하면(120)이 놓이는 곳이고, 제2 시트면(820)은 상술한 절삭 인서트(100)의 제1 단부 측면(130)이 놓이는 곳이며, 그리고 제3 시트면(830)은 상술한 절삭 인서트(100)의 제1 장부 측면(150)이 놓이는 곳이다.
특히, 제2 시트면(820)은 제1 장부 측면의 경사진 양측부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경사 구간(152)(153)이 각각 안착되는 제1 및 제2 장부측 경사 체결면(821)(822)을 가질 수 있고, 제3 시트면(830)은 제1 단부 측면의 일 측부가 안착되고 절삭 공구의 외주면에 인접하는 단부측 경사 체결면(831)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단부측 경사 체결면(831)은 제2 장부측 경사 체결면과 예각(θ14)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절삭 인서트(100)가 절삭 공구의 단부측 경사 체결면(831)과 제2 장부측 경사 체결면 사이로 쐐기 결합될 수 있어, 그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사시도(a)와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것(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단부 측면(230)(240)의 형상 변경에 따라 이와 관련된 단부 절인부(280), 제1 및 제2 코너 절인(291)(292) 등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측면(230)을 향해 볼 때, 제1 코너 절인(291)은 제2 코너 절인(292) 보다 낮은 곳에 위치될 수 있고, 단부 절인부(280) 중 최고 높은 부위는 제1 코너 절인(291)보다 제2 코너 절인(292)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절인부(280)가 상면(210)을 향해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도 2 및 도 7의 (a) 참조), 이와 함께 제1 단부 측면(230)을 향해 볼 때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므로(도 7의 (b) 참조), 단부 절인부(280)가 대략 헬릭스(helix) 인선 구조를 가지게 되어, 단부 절인부(280)에 대한 절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부 절인부(280)에 대한 절삭 부하가 저감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사시도(a)와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것(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단부 측면(330)(340)의 형상 변경에 따라 이와 관련된 단부 절인부(380), 제1 및 제2 코너 절인(391)(392) 등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측면(330)을 향해 볼 때, 제1 및 제2 코너 절인(391)(392)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단부 절인부(380) 중 최고 높은 부위는 제1 및 제2 코너 절인(391)(392)보다 중앙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절인부(380)가 상면(310)을 향해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도 2 및 도 8의 (a)참조), 이와 함께 제1 단부 측면(330)을 향해 볼 때 볼록한 곡선을 이루므로(도 8의 (b) 참조), 단부 절인부(380)가 대략 헬릭스(helix) 인선 구조를 가지게 되어, 단부 절인부(380)에 대한 절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부 절인부(380)에 대한 절삭 부하가 저감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절삭 인서트의 상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절삭 인서트를 XI-XI 선으로 잘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2는 도 9의 절삭 인서트의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는 도 9의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00)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장부 측면(450)(460)과 상면(410) 및 하면(420) 등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410)을 향해 볼 때, 제1 장부 측면(450)은 그 중심부(451 참조)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452 및 453 참조)가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경사진 양측부(452 및 453 참조)가 절삭 공구(900)의 제2 시트면(920)의 제1 및 제2 장부측 경사면(921)(922)에 밀착되면서 절삭 가공 동안 절삭 공구(900)의 제2 시트면(920)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410)을 향해 볼 때, 제1 장부 측면(450)은 그 중심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오목하게 들어간 만큼 절삭 공구(900)의 제2 시트면(920)을 돌출시킬 수 있어, 즉 절삭 공구(900)의 웹(web) 사이즈를 증대시킬 수 있어, 절삭 공구(900)의 홀더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410)을 향해 볼 때, 제1 장부 측면(450)은, 오목부(451)와 제1 및 제2 경사 구간(452)(45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451)는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으로 제1 장부 측면(450)의 중심부를 이룰 수 있고, 제1 및 제2 경사 구간(452)(453)은 오목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를 이루며 오목부(451)에서 멀어질수록 상면(410)의 외측으로 점점 나오며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경사 구간(452)(453)이 절삭 공구(900)의 제2 시트면(920)의 제1 및 제2 장부측 경사면(921)(922)에 밀착되면서 절삭 가공 동안 절삭 공구(900)의 제2 시트면(920)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410)으로부터 하면(420)까지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잘라 볼 때, 제1 장부 측면(450)은 상면(410)과 수직(일명, 네가티브 타입)(θ41)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그 사이가 예각(일명, 포지티브)을 이루는 것에 비해, 상면(410)과 제1 장부 측면(450) 사이의 경계 부분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측면(1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일 측부[도 10의 제1 단부 측면(130)에서 윗부분]는 제1 장부 측면(450)의 경사진 형상의 일 측부에 해당하는 제1 경사 구간(452)과 예각(θ42)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공구(900)의 제3 시트면(930)의 단부측 경사 체결면(931)과 제2 시트면(920)의 제1 장부측 경사 체결면(921) 사이(θ44 참조)로 쐐기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절삭 공구(900)와의 체결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부 측면(450)을 향해 볼 때, 제1 단부 측면(130)은 상면(410)과 수직(일명, 네가티브 타입)(θ43)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그 사이가 예각(일명, 포지티브)을 이루는 것에 비해, 상면(410)과 제1 단부 측면(130)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단부 절인부(18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9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9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00)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로, 그 포켓부에 마련된 제1 시트면(910)과, 제2 시트면(920)과, 그리고 제3 시트면(930)을 포함한다.
제1 시트면(910)은 상술한 절삭 인서트(400)의 하면(420)이 놓이는 곳이고, 제2 시트면(920)은 상술한 절삭 인서트(400)의 제1 단부 측면(130)이 놓이는 곳이며, 그리고 제3 시트면(930)은 상술한 절삭 인서트(400)의 제1 장부 측면(450)이 놓이는 곳이다.
특히, 제2 시트면(920)은 제1 장부 측면(450)의 경사진 양측부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경사 구간(452)(453)이 각각 안착되는 제1 및 제2 장부측 경사 체결면(921)(922)을 가질 수 있고, 제3 시트면(930)은 제1 단부 측면(130)의 일 측부가 안착되고 절삭 공구(900)의 외주면에 인접하는 단부측 경사 체결면(931)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단부측 경사 체결면(931)은 제1 장부측 경사 체결면(921)과 예각(θ44)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절삭 인서트(400)가 절삭 공구(900)의 단부측 경사 체결면(931)과 제1 장부측 경사 체결면(921) 사이로 쐐기 결합될 수 있어, 그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300, 400: 절삭 인서트
110, 210, 310, 410: 상면 120, 220, 320, 420: 하면
130, 1130, 230, 330: 제1 단부 측면
140, 240, 340: 제2 단부 측면
150, 450: 제1 장부 측면 151: 볼록부
152, 452: 제1 경사 구간 153, 453: 제2 경사 구간
160: 제2 장부 측면 170: 관통홀
180, 280, 380: 단부 절인부 191, 291, 391: 제1 코너 절인
192, 292, 392: 제2 코너 절인 452: 오목부
800, 900: 절삭 공구 810, 910: 제1 시트면
820, 920: 제2 시트면
821, 921: 제1 장부측 경사 체결면
822. 922: 제2 장부측 경사 체결면
830, 930: 제3 시트면 831, 931: 단부측 경사 체결면

Claims (20)

  1.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측면과,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측면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단부 측면보다 길이가 긴 제1 및 제2 장부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상면과 상기 제1 단부 측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단부 절인부와, 상기 제1 장부 측면과 상기 제1 단부 측면 사이의 코너부와 상기 상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제1 코너 절인과, 그리고 상기 제2 장부 측면과 상기 제1 단부 측면 사이의 코너부와 상기 상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는 제2 코너 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가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
  2. 제1항에서,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가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
  3. 제2항에서,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를 이루며 볼록하게 튀어나온 볼록부;
    상기 볼록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를 이루며 상기 볼록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상면의 내측으로 점점 들어가며 경사를 이루는 제1 및 제2 경사 구간; 및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구간의 각 말단부를 이루며 오목하게 들어간 제1 및 제2 오목부;
    를 포함하는
    절삭 인서트.
  4. 제2항에서,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면까지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잘라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상기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절삭 인서트.
  5. 제1항에서,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단부 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단부 측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일 측부는,
    상기 제1 장부 측면의 상기 경사진 형상의 일 측부와 예각을 이루는
    절삭 인서트.
  6. 제5항에서,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단부 측면은,
    전체적으로 곡선 형상을 가지거나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
  7. 제1항에서,
    상기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단부 절인부는,
    전체적으로 곡선 형상을 가지거나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
  8. 제7항에서,
    상기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코너 절인은 상기 제2 코너 절인 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고,
    상기 단부 절인부 중 최고 높은 부위는,
    상기 제2 코너 절인보다 상기 제1 코너 절인에 가까이 위치하는
    절삭 인서트.
  9. 제7항에서,
    상기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코너 절인은 상기 제2 코너 절인 보다 낮은 곳에 위치되고,
    상기 단부 절인부 중 최고 높은 부위는,
    상기 제1 코너 절인보다 상기 제2 코너 절인에 가까이 위치하는
    절삭 인서트.
  10. 제7항에서,
    상기 제1 단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코너 절인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단부 절인부 중 최고 높은 부위는,
    상기 제1 및 제2 코너 절인보다 중앙에 가까이 위치하는
    절삭 인서트.
  11. 제7항에서,
    상기 제1 장부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단부 측면은
    상기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절삭 인서트.
  12. 제11항에서,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단부 절인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
  13. 제1항에서,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
  14. 제13항에서,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그 중심부를 이루며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부를 이루며 상기 오목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상면의 외측으로 점점 나오며 경사를 이루는 제1 및 제2 경사 구간;
    을 포함하는
    절삭 인서트.
  15. 제14항에서,
    상기 상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구간 각각은 직선 형상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
  16. 제13항에서,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면까지 이에 수직한 수직면으로 잘라 볼 때,
    상기 제1 장부 측면은,
    상기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절삭 인서트.
  17. 제1항에서,
    상기 상면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는
    절삭 인서트.
  18. 제1항에서,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각각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측면 각각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장부 측면 각각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는
    절삭 인서트.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로,
    상기 하면이 놓이는 제1 시트면;
    상기 제1 장부 측면이 놓이는 제2 시트면; 및
    상기 제1 단부 측면이 놓이는 제3 시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트면은 상기 제1 장부 측면 중에서 상기 경사진 양측부가 각각 안착되는 제1 및 제2 장부측 경사면을 가지는
    절삭 공구.
  20. 제5항의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로,
    상기 하면이 놓이는 제1 시트면;
    상기 제1 장부 측면이 놓이는 제2 시트면; 및
    상기 제1 단부 측면이 놓이는 제3 시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트면은,
    상기 제1 장부 측면 중에서 상기 경사진 양측부가 각각 안착되는 제1 및 제2 장부측 경사 체결면을 가지고.
    상기 제3 시트면은,
    상기 제1 단부 측면의 상기 일 측부가 안착되고 상기 절삭 공구의 외주면에 인접하는 단부측 경사 체결면을 가지고,
    상기 단부측 경사 체결면은 상기 제1 및 제2 장부측 경사 체결면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예각을 이루는
    절삭 공구.
KR1020170151632A 2017-11-14 2017-11-14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2015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632A KR102015290B1 (ko) 2017-11-14 2017-11-14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CN201880073488.7A CN111511493B (zh) 2017-11-14 2018-08-31 切削刀片和将该切削刀片安装在其中的切削工具
RU2020119202A RU2744729C1 (ru) 2017-11-14 2018-08-31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и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установленной в нем этой режущей пластиной
EP18879373.1A EP3674024A4 (en) 2017-11-14 2018-08-31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WITH IT MOUNTED ABOVE
US16/757,994 US11389883B2 (en) 2017-11-14 2018-08-31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having same mounted therein
PCT/KR2018/010107 WO2019098508A1 (ko) 2017-11-14 2018-08-31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632A KR102015290B1 (ko) 2017-11-14 2017-11-14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725A true KR20190054725A (ko) 2019-05-22
KR102015290B1 KR102015290B1 (ko) 2019-08-28

Family

ID=6653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632A KR102015290B1 (ko) 2017-11-14 2017-11-14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89883B2 (ko)
EP (1) EP3674024A4 (ko)
KR (1) KR102015290B1 (ko)
CN (1) CN111511493B (ko)
RU (1) RU2744729C1 (ko)
WO (1) WO20190985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54A1 (en) * 2020-01-15 2021-07-22 Taegutec Ltd. Insert and cutting tool assembly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6498B1 (en) * 2018-04-16 2021-02-17 Seco Tools Ab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JP6940832B1 (ja) * 2020-09-07 2021-09-29 株式会社タンガロイ 転削工具
CN114799293B (zh) * 2022-06-30 2023-03-21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高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风洞复杂曲面收缩段的加工方法
WO2024105785A1 (ja) * 2022-11-15 2024-05-23 ダイジ▲ェ▼ット工業株式会社 切削用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277B1 (ko) * 1992-03-03 2000-08-01 알폰소 미니코찌 회전 절삭 공구를 위한 인덱스 가능한 절삭 삽입체
JP2016137569A (ja) * 2012-12-27 2016-08-04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KR20160100404A (ko) * 2014-01-28 2016-08-23 미츠비시 히타치 쓰루 가부시키가이샤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
JP2017113830A (ja) * 2015-12-24 2017-06-29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5676B (sv) * 1984-11-12 1988-08-01 Sandvik Ab Korthalsborr, samt sker derfor
SE470093B (sv) * 1992-04-02 1993-11-08 Sandvik Ab Skär för skiv- eller planfräsar, samt fräsverktyg för sådana skär
DE4239236C2 (de) * 1992-11-21 1997-06-26 Widia Gmbh Schneideinsatz
DE9215855U1 (de) * 1992-11-21 1994-03-24 Krupp Widia Gmbh Schneideinsatz
SE504315C2 (sv) * 1994-05-09 1997-01-13 Sandvik Ab Borr för metallborrning
SE519133C2 (sv) * 1998-10-13 2003-01-21 Sandvik Ab Borrskär för metallborrning
IL127175A (en) * 1998-11-20 2003-06-24 Iscar Ltd Cutting insert for mounting on a milling cutter
DE10043016B4 (de) * 2000-09-01 2006-11-23 Walter Ag Bohrnutenfräser
AT5969U1 (de) * 2001-12-21 2003-02-25 Plansee Tizit Ag Fräswerkzeug
DE10346790A1 (de) * 2003-10-08 2005-05-04 Kennametal Widia Gmbh & Co Kg Schneideinsatz
US7040844B1 (en) * 2005-03-08 2006-05-09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Throwaway insert and throwaway-type rotary cutting tool
KR100854278B1 (ko) * 2006-12-28 2008-08-26 한국야금 주식회사 다기능 절삭공구
US8979443B2 (en) * 2007-12-28 2015-03-17 Kyocera Corporation Insert for drill
KR100958403B1 (ko) * 2008-04-14 2010-05-18 대구텍 유한회사 교환 가능한 절삭 인서트
EP2280796B1 (en) * 2008-04-14 2019-02-27 Taegutec Ltd. Exchangeable cutting insert
RU2470743C1 (ru) * 2009-04-02 2012-12-27 Тунгалой Корпорейшн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и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индексируемой режущей пластиной
US8998542B2 (en) * 2010-08-11 2015-04-07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m
JP5589244B2 (ja) * 2010-10-06 2014-09-17 大昭和精機株式会社 インサート
KR101239036B1 (ko) * 2011-01-17 2013-03-04 대구텍 유한회사 직각 가공용 절삭 인서트 및 이를 구비한 밀링 커터
JP5739995B2 (ja) * 2011-06-30 2015-06-24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DE102012014092B4 (de) * 2011-07-22 2020-12-17 Kennametal India Ltd. Indexierbarer Bohreinsatz sowie Bohrkörper mit indexierbarem Bohreinsatz
AT12630U1 (de) * 2011-08-26 2012-09-15 Ceratizit Austria Gmbh Doppelseitiger schneideinsatz zum fräsen
US9314851B2 (en) * 2013-05-21 2016-04-19 Iscar, Ltd. Cutting insert having a rearwardly offset cutting edge and cutting tool
EP3015205B1 (en) * 2013-06-27 2024-04-24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production method for cut workpiece
JP6151782B2 (ja) * 2013-07-18 2017-06-21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EP3072618B1 (en) * 2013-11-20 2021-09-29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a cut article
US9358622B2 (en) * 2013-11-21 2016-06-07 Iscar, Ltd. Single sided indexable ramping milling insert and ramping milling tool
JP5888656B2 (ja) * 2014-06-02 2016-03-22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とフライスカッタ
KR20160009242A (ko) * 2014-07-16 2016-01-26 대구텍 유한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
EP3822011B1 (en) * 2014-09-26 2024-05-08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EP3009217B1 (en) * 2014-10-13 2017-07-05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Tangential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comprising such a cutting insert
EP3266547B1 (en) * 2015-03-05 2022-05-04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insert and cutting edge-replaceable rotary cutting tool
US10239134B2 (en) * 2015-05-19 2019-03-26 Tungaloy Corporation Tool body and cutting tool
CN107635704B (zh) * 2015-06-19 2020-01-07 株式会社泰珂洛 工具体及切削工具
KR101814642B1 (ko) * 2015-11-04 2018-01-03 한국야금 주식회사 고이송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JP6562983B2 (ja) * 2017-08-10 2019-08-21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US10307840B1 (en) * 2017-11-28 2019-06-04 Iscar, Ltd. Double-sided indexable insert having tapered waist for high-feed milling and drilling
US11850670B2 (en) * 2020-04-24 2023-12-26 Kennametal India Ltd. Milling cutting inser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277B1 (ko) * 1992-03-03 2000-08-01 알폰소 미니코찌 회전 절삭 공구를 위한 인덱스 가능한 절삭 삽입체
JP2016137569A (ja) * 2012-12-27 2016-08-04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KR20160100404A (ko) * 2014-01-28 2016-08-23 미츠비시 히타치 쓰루 가부시키가이샤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
JP2017113830A (ja) * 2015-12-24 2017-06-29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54A1 (en) * 2020-01-15 2021-07-22 Taegutec Ltd. Insert and cutting tool assembly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4024A4 (en) 2021-06-02
WO2019098508A1 (ko) 2019-05-23
US11389883B2 (en) 2022-07-19
EP3674024A1 (en) 2020-07-01
KR102015290B1 (ko) 2019-08-28
CN111511493B (zh) 2023-09-15
CN111511493A (zh) 2020-08-07
US20200338652A1 (en) 2020-10-29
RU2744729C1 (ru)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725A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JP3786920B2 (ja) 切削インサート
JP3044684U (ja) 丸コーナーを有するインサート
KR101237168B1 (ko) 절삭 삽입체, 절삭 공구용 카트리지, 그리고 절삭 공구
KR102325723B1 (ko) 보강된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보강된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구비한 절삭 공구
KR101517979B1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EP2614907A1 (en) Cutting insert with angled supporting surface, toolholder with angled abutment surface, and cutting tool
CN108349023B (zh) 具有高进给速度的双面切削刀具和安装有该切削刀具的切削工具
KR101515994B1 (ko)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하는 공구 홀더
US7367755B2 (en) Cutting element
US20160271707A1 (en) Insert, tool holder, and assembly thereof
CN110494243B (zh) 高进给的切削刀具和配备有该切削刀具的切削工具
KR100718306B1 (ko) 절삭 인서트
JP5157660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JP2008000837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CN110475638B (zh) 单面高进给的切削刀具及配备有该切削刀具的切削工具
US3707747A (en) Insert for cutting tool
KR101788264B1 (ko) 편면형 3코너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JP2008302433A (ja) 旋削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US8585331B2 (en) Cutting insert having dissimilar upper and lower cutting faces for roughing and finishing
KR101905664B1 (ko) 고이송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CN114616064B (zh) 切削刀片和配备该切削刀片的切削刀具
KR101943627B1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2377066B1 (ko) 절삭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공구홀더
US20230381872A1 (en) Cutting insert and assembly of tool holder equipped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