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686B1 -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 Google Patents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686B1
KR101900686B1 KR1020170123903A KR20170123903A KR101900686B1 KR 101900686 B1 KR101900686 B1 KR 101900686B1 KR 1020170123903 A KR1020170123903 A KR 1020170123903A KR 20170123903 A KR20170123903 A KR 20170123903A KR 101900686 B1 KR101900686 B1 KR 10190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elay
frame
engaging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우
Original Assignee
이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우 filed Critical 이태우
Priority to KR102017012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경량철골 조립구조체는 걸이부, 메인프레임부, 내진프레임부, 중계프레임부, 서브프레임부, 클립을 모두 조립식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내진프레임부에 마련되는 내진플레이트와 댐퍼부의 상하좌우 신축운동에 의해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 외력에 의한 진동 발생시에 상기 진동을 감쇠시켜 구조체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ASSEMBLY STRUCTURE OF LIGHT WEIGHT STEEL FRAME}
본 발명은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장마감에 사용되는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경량철골 구조체는 경량형강을 주재료로 하는 건축 구조체다. 경량철골 구조체는 주로 경하중을 받는 구조물에 대해 사용되며 열간성형으로 제조할 수 없는 박판을 냉간성형 가공한 경량형강을 주로 사용한다. 전체 중량이 감소하고, 철골공사비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열간 압연재로는 만들 수 없는 여러가지 형태와 치수를 갖는 자재를 가공할 수 있으며, 공정이 간편하고 신속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각종 산업시설, 농축산물시설, 근린생활시설, 현장사설사무소 및 숙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경량철골 구조체의 장점 중 하나인 빠른 납기를 달성하기 위하여 경량철골 구조체는 보다 조립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외력에 의한 진동에 취약하다는 경량철골 구조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내진 성능을 경량철골 구조체에 부여하기 위한 방향으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 대한 기술수요가 높기 때문이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096048호(2011.12.13 등록)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127243호(2012.03.08 등록)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내진플레이트 및 댐퍼를 시설하여 내진성을 향상시킨 경량철골 조립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장에 높이방향으로 고정되는 걸이부와; 걸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메인바디부와, 메인바디부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메인바디부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절곡리브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부와; 메인프레임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결합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가지며 양측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절곡리브에 각각 걸리도록 결합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상부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면을 갖는 제1 결합부와 제1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곡면형의 곡면부와 곡면부(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됨)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면을 갖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내진플레이트와, 내진플레이트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양단이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유압에 의해 길이조절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외측에 형성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댐퍼부와, 하부몸체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진플레이트와 댐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박스형의 중앙몸체를 포함하는 내진프레임부와; 내진프레임부의 하부몸체에 너비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갖는 중계바디와, 중계바디의 하부면에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와, 수직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걸림날개를 포함하는 중계프레임부와; 중계프레임부의 걸림날개에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결합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갖는 서브바디와, 서브바디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날개를 파지하는 걸림부와, 상기 서브바디에 형성되는 복수의 클립삽입홈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경량철골 조립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진프레임부는 제1 결합부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결합하는 제1 수평플레이트와, 제1 수평플레이트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단을 내측에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연결브라켓과, 제2 결합부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결합하는 제2 수평플레이트와, 제2 수평플레이트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하단을 내측에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진프레임부의 하부몸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간격을 두어 제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걸림꺽쇠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걸림꺽쇠들과 교차하여 한 쌍의 제1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계프레임부의 중계바디의 양측면에는 각각 간격을 두어 상기 제1 방향과는 정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걸림꺽쇠(제1 걸림꺽쇠와 꺽쇠의 방향이 정반대가 됨)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걸림꺽쇠들과 교차하여 한 쌍의 제2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제1 걸림꺽쇠들이 상기 중계바디의 제2 걸림홈들에 각각 삽입되어 제2 걸림홈들의 측부를 파지하고, 상기 중계바디의 제2 걸림꺽쇠들이 상기 하부몸체의 제1 걸림홈들에 각각 삽입되어 제1 걸림홈들의 측부를 파지함으로써, 상기 하부몸체와 중계바디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경량철골 조립구조체는 걸이부, 메인프레임부, 내진프레임부, 중계프레임부, 서브프레임부, 클립을 모두 조립식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내진프레임부에 마련되는 내진플레이트와 댐퍼부의 상하좌우 신축운동에 의해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 외력에 의한 진동 발생시에 상기 진동을 감쇠시켜 구조체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경량철골 조립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서 내진프레임부의 측면 및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서 내진프레임부와 중계프레임부의 결합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서 내진프레임부, 중계프레임부 및 서브프레임부의 결합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고 있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는 걸이부(110), 메인프레임부(120), 내진프레임부(130), 중계프레임부(140) 및 서브프레임부(150)를 포함한다.
걸이부(110)는 앵커볼트(111)와 지지편(112)을 포함한다.
앵커볼트(111)는 상단이 천장에 고정된다.
지지편(112)은 상단은 앵커볼트(1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지지편(112)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를 가지며 앵커볼트(111)와 결합되는 상단 부분만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편(112)은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112)의 몸체 양측단에는 복수의 홈들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에 메인프레임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부(120)는 메인바디부(121)와 절곡리브(122)를 포함한다.
메인바디부(121)는 메인프레임부(120)의 몸체를 이룬다. 메인바디부(121)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메인바디부(121)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하방향으로 개방됨). 메인바디부(121)의 상부면에는 지지편(112)의 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홈(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112)의 몸체는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지지편(112)의 양측단에 형성된 복수의 홈들 중 어느 한 쌍의 홈이 결합홈에 의해 파지됨으로써 지지편(112)에 메인바디부(121)가 결합할 수 있다.
절곡리브(122)는 메인바디부(121)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메인바디부(121)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즉 절곡리브(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부(121)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내진프레임부(130)는 상부몸체(131), 하부몸체(135), 내진플레이트(132), 댐퍼부(133), 중앙몸체(134)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31)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부몸체(131)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상방향으로 개방됨). 상부몸체(131)의 양측 상단에는 결합리브(131a)가 형성된다. 결합리브(131a)는 상부몸체(131)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상부몸체(131)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즉 결합리브(131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31)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부몸체(131)의 결합리브(131a)가 메인프레임부(120)의 절곡리브(122)에 의해 걸림으로써, 상부몸체(131)가 메인프레임부(1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결합할 수 있다.
하부몸체(135)는 상부몸체(132)의 하부에 배치된다. 하부몸체(135)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하부몸체(135)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하방향으로 개방됨). 이 때 하부몸체(135)는 상부몸체(132)와는 배치되는 방향을 달리한다. 구체적으로 하부몸체(1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32)를 90°회전시킨 형태로 배치된다. 하부몸체(135)에는 복수의 제1 걸림꺽쇠와 복수의 제1 걸림홈(135c)이 형성된다. 제1 걸림꺽쇠와 제1 걸림홈(135c)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내진플레이트(132)는 상부가 상부몸체(132)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하부몸체(135)의 상부에 결합된다. 댐퍼부(133)는 내진플레이트(132)에 삽입 배치된다.
이하, 내진플레이트(132)와 댐퍼부(133)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련하여 도 2는 도 1의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에서 내진프레임부(130)의 측면 및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우측 상단에 내진프레임부(130)의 측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중앙에는 내진플레이트(132) 및 댐퍼부(133)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내진플레이트(132)는 조립구조체에 진동이 발생할 때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여 상기 진동을 저감시킨다.
내진플레이트(132)는 제1 결합부(132b), 제2 결합부(132a), 곡면부(132c)를 구비한다.
제1 결합부(132b)는 위에서 설명한 상부몸체(13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면을 갖는다. 제1 결합부(132b)는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제1 결합부(132b)에는 복수의 결합홀(미표기)이 정렬되어 형성된다. 통상의 결합부재(볼트, 너트 등)가 상기 결합홀을 통해 제1 결합부(132b)를 상부몸체(131)의 하부면에 결합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32a)는 위에서 설명한 하부몸체(135)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면을 갖는다. 제2 결합부(132a)는 제1 결합부(132a)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제2 결합부(132a)에는 제1 결합부(132b)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결합홀(132d)이 정렬되어 형성된다. 통상의 결합부재(볼트, 너트 등)가 결합홀(132d)을 통해 제2 결합부(132a)를 하부몸체(135)의 상부면에 결합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곡면부(132c)는 제1 결합부(132b), 제2 결합부(132a)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곡면부(132c)는 곡면형으로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곡면부(132c)는 일정한 폭을 갖는 판스프링 형태를 갖는다. 곡면부(132c)의 중앙부에는 타원형의 관통홀(132e)이 형성된다.
댐퍼부(133)는 피스톤(133a)과 스프링(133b)을 구비한다.
피스톤(133a)은 관통홀(132e)에 삽입 배치된다. 피스톤(133a)은 유압에 의해 길이조절될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133a)은 유압의 입력량, 배출량에 따라 감쇠력과 신축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피스톤(133a)에는 유압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유압공급부(미도시)가 통합 또는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133a)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부(133c)가 마련된다. 힌지부(133c)는 피스톤(133a)이 제1 결합부(132b)와 제2 결합부(132a)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피스톤(133a)의 회동을 위하여 제1 결합부(132b)와 피스톤(133a)의 상단에 마련된 힌지부(133c) 사이, 제2 결합부(132a)와 피스톤(133a)의 하단에 마련된 힌지부(133c) 사이에는 각각 연결브라켓(133e)이 마련된다. 연결브라켓(133e)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한 제1 플레이트(미표기)와, 제1 플레이트에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플레이트(미표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피스톤(133a)의 힌지부(133c)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플레이트에는 제1 결합부(132b) 및 제2 결합부(132a)에 형성된 결합홀(132d)과 상응하도록 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연결브라켓(133e)이 제1 결합부(132b) 및 제2 결합부(132a)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브라켓(133e)은 제1 결합부(132b)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결합하는 제1 수평플레이트와, 제1 수평플레이트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피스톤(133a)의 상단을 내측에 수용함과 동시에 피스톤(133a)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연결브라켓과, 제2 결합부(132a)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결합하는 제2 수평플레이트와, 제2 수평플레이트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피스톤(133a)의 하단을 내측에 수용함과 동시에 피스톤(133a)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스프링(133b)은 피스톤(133a)의 외측에 형성된다. 스프링(133b)은 피스톤(133a)의 수직방향의 지지력을 추가적으로 보완한다. 나아가 스프링(133b)은 압축된 피스톤(133a)의 복원을 보조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피스톤(133a)의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스프링(133b)은 상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링(미표기)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링을 이동시킴으로써 스프링(133b)의 압축 정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것처럼 구성되는 댐퍼부(133)는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를 디폴트(default) 상태로 하여 내진플레이트(132)와 함께 상부몸체(131) 및 하부몸체(135)를 지지한다. 그리고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내진플레이트(132)와 댐퍼부(133)가 상하좌우로 신축함에 따라 상기 진동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특히 댐퍼부(133)는 내진플레이트(132)에 삽입 배치되어 내진플레이트(132)로 가해지는 진동력을 함께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내진플레이트(132)만 있는 경우에 비해 진동 감쇠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진동에 의한 내진플레이트(132)의 변형, 파손 등의 가능성을 낮춘다. 나아가 진동에 의해 내진플레이트(132)가 변형되었을 때에는 댐퍼부(133)의 길이를 유압을 통해 조절함으로써 내진플레이트(132)를 복원시킬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중앙몸체(134)는 하부몸체(135)의 상부에 연장 형성된다. 중앙몸체(134)의 상부는 상부몸체(131)의 하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내진플레이트(132)와 댐퍼부(133)가 신축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중앙몸체(134)는 상하부 및 내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몸체(134)는 내부에 내진플레이트(132) 및 댐퍼부(133)를 수용한다.
내진프레임부(130)는 상부몸체(131)의 하부 측부분과 중앙몸체(134)의 상부 측부분을 연결시키는 한 쌍의 커버(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커버(136)는 상부몸체(131) 및 중앙몸체(134)의 네 면 중에서 마주보는 두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136)는 내진플레이트(132) 및 댐퍼부(133)의 노출을 막는 기능을 함과 아울러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에 가해지는 진동 흡수를 보조한다. 이를 위해 커버(136)는 연질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커버(136) 소재의 예로는 발포우레탄, 고무패널, 실리콘 패널 또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소재가 있다.
중계프레임부(140)는 중계바디(141), 수직부(143), 걸림날개(144)를 포함한다. 중계프레임부(140)는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에 너비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중계프레임부(140)와 내진프레임부(13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중계바디(141)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중계바디(141)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상방향으로 개방됨). 중계바디(141)는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와 배치되는 방향을 같이한다. 중계바디(141)의 양 측벽(142)에는 복수의 제2 걸림꺽쇠(142a)와 복수의 제2 걸림홈(142c)이 형성된다. 제2 걸림꺽쇠(142a)와 제2 걸림홈(142c)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수직부(143)는 중계바디(141)의 하부면 중앙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걸림날개(144)는 수직부(143)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직부(143)와 걸림날개(144)는 전체적으로 'ㅗ'자 형태로 형성된다.
서브프레임부(150)는 서브바디(151), 걸림부(152), 클립삽입홈(153)을 포함한다.
서브바디(151)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서브바디(151)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상방향으로 개방됨). 이 때 서브바디(151)는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와는 배치되는 방향을 달리한다. 구체적으로 서브바디(15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바디(141)를 90°회전시킨 형태로 배치된다.
걸림부(152)는 서브바디(151)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서브바디(151)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걸림부(152)는 중계프레임부(140)의 걸림날개(144)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형태로 걸림날개(144)를 파지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부(150)가 중계프레임부(140)의 걸림날개(144)에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결합될 수 있다.
클립삽입홈(153)은 서브바디(151)에 복수개 형성된다. 도 1에서는 클립삽입홈(153)이 일렬로 정렬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립삽입홈(153)에는 클립(160)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클립(160)은 천장에 배치되는 마감패널(P)을 파지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클립(160)은 도 1에서와 같이'I'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클립(160)의 상부분은 클립삽입홈(153)에 삽입되어 서브바디(151)에 의해 지지되고, 클립(160)의 하부분에 형성된 파지부(미표기)에는 마감패널(P)의 귀퉁이(가장자리)가 파지될 수 있다. 클립삽입홈(153)은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감패널(P)의 위치에 따라 클립(160)을 복수개 사용하거나 클립(16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에서는 걸이부(110)에 메인프레임부(120)를 조립하여 지지한 후에, 메인프레임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진프레임부(130)를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에는 중계프레임부(14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중계프레임부(140)의 하부에는 서브프레임부(15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서브프레임부(150)에는 복수의 클립(160)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마감패널(P)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클립(160)을 결합시켜 마감패널(P)을 파지시킬 수 있다. 즉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는 모든 구성요소가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바,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내진프레임부(130)에 마련되는 내진플레이트(132)와 댐퍼부(133)의 상하좌우 신축운동에 의해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에 외력에 의한 진동 발생시에 상기 진동을 감쇠시켜 구조체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하,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의 조립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에서 내진프레임부(130)와 중계프레임부(140)의 결합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에서 내진프레임부(130), 중계프레임부(140) 및 서브프레임부(150)의 결합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의 양측면에는 각각 간격을 두어 제1 방향으로 한 쌍의 제1 걸림꺽쇠(135a)가 형성된다. 또한 제1 걸림꺽쇠(135a)들과 교차하여 한 쌍의 제1 걸림홈(135c)이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걸림꺽쇠(135a)는 하부몸체(135)의 좌측 측벽과 우측 측벽에 모두 제1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하부몸체(135)의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제1 걸림꺽쇠(135a)는 제1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편(미표기)과, 수직편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예컨대 도 1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편(미표기)을 구비한다. 이 때, 수직편의 길이는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의 측벽(142)의 두께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제1 걸림홈(135c)은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의 측벽(142)에 형성되는 제2 걸림꺽쇠(142a)의 수평편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제2 걸림꺽쇠(142a)의 수평편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의 양 측벽(142)에는 각각 간격을 두어 제2 방향으로 한 쌍의 제2 걸림꺽쇠(142a)가 형성된다. 또한 제2 걸림꺽쇠(142a)들과 교차하여 한 쌍의 제2 걸림홈(142c)이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걸림꺽쇠(142a)는 중계바디(141)의 양 측벽(142)에 모두 제2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정반대되는 방향이다. 즉 제2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중계바디(141)의 양 측벽(142)의 좌측 방향을 의미한다. 제2 걸림꺽쇠(142a)는 제2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편(미표기)와, 수직편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예컨대 도 1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제1 걸림꺽쇠(135a)의 수평편과는 반대되는 방향임)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편(미표기)을 구비한다. 이 때, 수직편의 길이는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의 측벽의 두께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제2 걸림홈(142c)은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1 걸림꺽쇠(135a)의 수평편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제1 걸림꺽쇠(135a)의 수평편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와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에 형성된 제1 걸림꺽쇠(135a)와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에 형성된 제2 걸림홈(142c)을 가상의 수평선 상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에 형성된 제1 걸림홈(135c)와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에 형성된 제2 걸림꺽쇠(142c)도 가상의 수평선 상에 위치된다(도 3a 참고). 다음으로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에 형성된 제1 걸림꺽쇠(135a)를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에 형성된 제2 걸림홈(142c)에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에 형성된 제2 걸림꺽쇠(142c)도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에 형성된 제1 걸림홈(135c)에 삽입된다. 이후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를 후면 방향으로 밀고,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를 전방 방향으로 민다. 이 경우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에 형성된 제1 걸림꺽쇠(135a)들은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에 형성된 제2 걸림홈(142c)의 전방측 단부를 파지하는 형태가 된다. 또한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에 형성된 제2 걸림꺽쇠(142c)들은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에 형성된 제1 걸림홈(135c)의 후방측 단부를 파지하는 형태가 된다(도 3b 참고). 이에 따라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와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걸림꺽쇠(135a)의 수평편의 길이는 제2 걸림꺽쇠(142a)의 수평편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걸림홈(135c)의 크기는 제2 걸림홈(142c)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2 걸림꺽쇠(135a,142a) 및 제1,2 걸림홈(135c,142c)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보다 조립성이 향상될 뿐더러, 중계바디(141)가 하부몸체(135)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덜 슬라이딩 되어도 결합이 가능하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2 걸림꺽쇠(135a,142a)의 수평편의 내측에는 지지돌기(135b, 142b)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35b,142b)는 제1,2 걸림꺽쇠(135a,142a)가 제1,2 걸림홈(135c,142c)의 측단부를 파지하였을 때, 각 몸체(하부몸체 또는 중계바디)를 눌러 가압하게 되므로 보다 견고한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각 몸체(하부몸체 및/또는 중계바디)에 지지돌기(135b,142b)를 수용하는 지지홈(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와 중계프레임부(140)의 중계바디(141)의 결합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중계바디(141)의 양 측벽(142)이 내진프레임부(130)의 하부몸체(135)의 제1 방향쪽 측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것처럼 중계프레임부(140)의 하부에 서브프레임부(150)를 슬라이딩 결합시키고, 서브프레임부(150)의 하부에 위치하는 클립(160)에 마감패널(P)을 파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110: 걸이부
120: 메인프레임부 130: 내진프레임부
131: 상부몸체 132: 내진플레이트
133: 댐퍼부 134: 중앙몸체
135: 하부몸체 140: 중계프레임부
141: 중계바디 143: 수직부
144: 걸림날개 150: 서브프레임부
151: 서브바디 160: 클립

Claims (3)

  1. 천장에 높이방향으로 고정되는 걸이부와;
    걸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메인바디부와, 메인바디부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메인바디부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절곡리브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부와;
    메인프레임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결합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가지며 양측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절곡리브에 각각 걸리도록 결합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상부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면을 갖는 제1 결합부와 제1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곡면형의 곡면부와 곡면부(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됨)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면을 갖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내진플레이트와, 내진플레이트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양단이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유압에 의해 길이조절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외측에 형성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댐퍼부와, 하부몸체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진플레이트와 댐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박스형의 중앙몸체를 포함하는 내진프레임부와;
    내진프레임부의 하부몸체에 너비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갖는 중계바디와, 중계바디의 하부면에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와, 수직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걸림날개를 포함하는 중계프레임부와;
    중계프레임부의 걸림날개에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결합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갖는 서브바디와, 서브바디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날개를 파지하는 걸림부와, 상기 서브바디에 형성되는 복수의 클립삽입홈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진프레임부는 제1 결합부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결합하는 제1 수평플레이트와, 제1 수평플레이트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단을 내측에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연결브라켓과,
    제2 결합부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결합하는 제2 수평플레이트와, 제2 수평플레이트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하단을 내측에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진프레임부의 하부몸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간격을 두어 제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걸림꺽쇠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걸림꺽쇠들과 교차하여 한 쌍의 제1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계프레임부의 중계바디의 양측면에는 각각 간격을 두어 상기 제1 방향과는 정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걸림꺽쇠(제1 걸림꺽쇠와 꺽쇠의 방향이 정반대가 됨)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걸림꺽쇠들과 교차하여 한 쌍의 제2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제1 걸림꺽쇠들이 상기 중계바디의 제2 걸림홈들에 각각 삽입되어 제2 걸림홈들의 측부를 파지하고, 상기 중계바디의 제2 걸림꺽쇠들이 상기 하부몸체의 제1 걸림홈들에 각각 삽입되어 제1 걸림홈들의 측부를 파지함으로써, 상기 하부몸체와 중계바디가 상호 결합되는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KR1020170123903A 2017-09-26 2017-09-26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KR10190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03A KR101900686B1 (ko) 2017-09-26 2017-09-26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03A KR101900686B1 (ko) 2017-09-26 2017-09-26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686B1 true KR101900686B1 (ko) 2018-09-20

Family

ID=6371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903A KR101900686B1 (ko) 2017-09-26 2017-09-26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6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7293A (zh) * 2020-11-19 2021-03-02 深圳市合力泰光电有限公司 一种摄像头加工的检测对焦装置
CN114412048A (zh) * 2022-01-30 2022-04-29 中建八局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三面环绕多跌级灯槽装饰结构安装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95B1 (ko) 2014-06-20 2016-01-12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 마감장치
KR101650145B1 (ko) 2014-12-12 2016-08-2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1765108B1 (ko) 2017-04-14 2017-08-23 박철범 내진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내진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95B1 (ko) 2014-06-20 2016-01-12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 마감장치
KR101650145B1 (ko) 2014-12-12 2016-08-2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1765108B1 (ko) 2017-04-14 2017-08-23 박철범 내진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내진 보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7293A (zh) * 2020-11-19 2021-03-02 深圳市合力泰光电有限公司 一种摄像头加工的检测对焦装置
CN114412048A (zh) * 2022-01-30 2022-04-29 中建八局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三面环绕多跌级灯槽装饰结构安装工艺
CN114412048B (zh) * 2022-01-30 2024-01-30 中建八局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三面环绕多跌级灯槽装饰结构安装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54B1 (ko) 내진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900686B1 (ko)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KR101848857B1 (ko) 기밀 내진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798029B1 (ko) 내진 창호 새시의 코너피스
KR10208273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창호프레임
KR101848850B1 (ko) 방음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0955706B1 (ko) 탄 소성판이 병렬로 다수 세팅된 수평형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KR20130024759A (ko) 가스켓의 장착이 용이한 도어
TW200400308A (en) Vibration absorber, and vibration control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001840B1 (ko) 범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커튼월
KR101912067B1 (ko) 기밀성과 수밀성을 갖는 내진 설계형 창호 시스템
KR20160023498A (ko) 내진 구조를 지닌 창호프레임 장치
KR101848856B1 (ko)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848852B1 (ko) 방음 내진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JP2015094170A (ja) 建具用枠
WO2017146318A1 (ko) 횡하중 흡수형 건축용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판의 시공방법
KR20210092560A (ko) 노출형 커튼월 시스템
CN214117677U (zh) 一种建筑用减震式连接结构
KR102474850B1 (ko) 내진 열교차단 건축물 마감 패널의 시공구조
CN209307889U (zh) 一种采用框板扣合结构的金属声屏障单元板
KR102220370B1 (ko) 커튼월의 내진 연결구조
KR102027380B1 (ko) 다용도 건축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RU2737883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конструкции ненесущей стены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скользящего компенсирующего движения
KR100888449B1 (ko) 조립식 칸막이
CN110172933A (zh) 一种采用框板扣合结构的金属声屏障单元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