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795B1 - 천장 마감장치 - Google Patents

천장 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795B1
KR101584795B1 KR1020140075767A KR20140075767A KR101584795B1 KR 101584795 B1 KR101584795 B1 KR 101584795B1 KR 1020140075767 A KR1020140075767 A KR 1020140075767A KR 20140075767 A KR20140075767 A KR 20140075767A KR 101584795 B1 KR101584795 B1 KR 101584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nishing
bar
ceil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022A (ko
Inventor
신정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to KR102014007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795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1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2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a closed frame around the periphe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7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지지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포트바와; 상기 서포트바들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서포트바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배열되는 마감패널과; 상기 마감패널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들을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크로스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마감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마감패널들 사이에 크로스바를 설치하여 마감패널들 사이의 틈을 없애 마감패널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로스바에 설치되는 장식패널을 통해 다양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 마감장치{Apparatus for finishing a ceilng}
본 발명은 천장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패널의 설치가 용이하고, 마감패널들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장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천장 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및 일반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실내 천장에는 전기 배선이나 각종 배관 등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려주고, 외관을 미려하게 시공하기 위하여 내장재로서 마감패널을 설치하고 있다.
최근 마감패널은 석고보드나 합판 등의 소재로 시공되고,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 기초콘크리트 층의 저면부에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마감패널의 설치 및 시공구조는 최근까지 여러 방식의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마감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05957호에는 시공성을 높인 천장 마감패널용 고정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의 천장 마감패널용 고정장치는 천장에 고정되는 앙카볼트와, 상기 앙카볼트에 체결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에 설치되는 캐링채널과, 상기 캐링채널의 하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엠바와, 상기 캐링채널에 엠바를 연결고정하는 연결클립으로 구성된 천장 마감패널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링채널은 상부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행거는 상부의 수평면과 하부의 수직면으로 구성되되 수평면에 앙카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공이 천공되고 수직면의 하부 양측에 각각 걸림홈에 삽입 걸림되는 한 쌍의 걸림편이 상향 수직으로 형성되며 수직면의 중간부 양측에 각각 걸림편이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캐링채널의 상단을 향해 전방으로 절곡시키는 한 쌍의 고정편이 수평으로 설치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감패널용 고정장치는 고정피스를 이용하여 엠바에 직접 마감패널을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고정피스가 마감패널을 관통하는 구조이므로 마감패널의 재 사용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마감패널용 고정장치는 마감패널들을 서로 밀착되게 배치함으로써 단순히 마감패널의 형상에 의한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마감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천장 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패널들 사이에 크로스바를 설치하여 마감패널들 사이의 틈을 없애 마감패널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로스바의 하부에 설치되는 장식패널을 이용하여 다양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천장 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천장에 지지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포트바와; 상기 서포트바들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서포트바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배열되는 마감패널과; 상기 마감패널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들을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크로스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천장에 일단이 고정된 행거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지지훅들이 구비된 시스템바와; 상기 시스템바의 지지훅에 끼움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기 서포트바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마련된 결합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평평한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하면에 상기 체결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베이스와, 서로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 측과 타 측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일 측의 지지훅과 타 측의 지지훅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훅에 결합되는 끼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바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1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수평지지부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상기 수직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지지부와, 상기 제2수평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걸림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서포트바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를 상기 걸림지지부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바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저면 일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중공부를 향해 돌출된 제 1 결합리브와, 제 2 결합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패널들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장식패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장식패널은 상기 크로스바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바닥과, 상기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굴곡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결합리브와 제 2 결합리브에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제 1 장착리브와 제 2 장착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천장에 지지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포트바와; 상기 서포트바들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서포트바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배열되는 마감패널과; 상기 마감패널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들을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크로스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바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상기 수직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평지지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안착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감패널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지지부에 안착되는 날개부와, 상기 크로스바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포트바의 하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서포트바의 하부로 연장된 마감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감처리부와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마감처리부와 상기 마감패널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패킹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크로스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상기 마감패널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마감패널의 길이방향 일 측에서 상기 마감패널의 폭 방향 양 측면에 각각 밀착결합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된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하부로부터 상기 연결편과 직교하면서 상기 결합편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안착편과, 상기 연결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크로스바의 일 측에 접촉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상기 연결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이 형성되고, 저면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크로스바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바닥과,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굴곡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제 1 장착리브 및 제 2 장착리브를 포함하는 장식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크로스바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격벽과, 상기 제 1 격벽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 2 격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굴곡지게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제 1 장착리브 및 제 2 장착리브를 포함하는 장식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결합프레임을 시스템바의 결합프레임에 간단하게 끼워 결합하고, 서포트바에 마감패널을 걸치도록 설치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마감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마감패널들 사이에 크로스바를 설치하여 마감패널들 사이의 틈을 없애 마감패널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패널 상호 마찰 및 부딪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크로스바에 설치되는 장식패널을 통해 다양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마감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결합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크로스바 및 장식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천장 마감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천장 마감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천장 마감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의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의 정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4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천장에 지지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포트바(130)와; 상기 서포트바(130)들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서포트바(13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배열되는 마감패널(140)과; 상기 마감패널(140)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140)들을 상기 서포트바(13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크로스바(150); 및 시스템바(110)와; 결합프레임(120)과; 장식패널(160); 및 클립부재(170);를 구비한다.
상기 시스템바(110)는 천장에 일단이 고정된 앙카볼트를 포함하는 행거부(105)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지지훅(111)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바(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부(105)에 의해 건물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바(110)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몸체에 형성된 지지훅(111)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훅(111)은 수평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타 측의 지지훅(111)에 간섭되지 않은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지지훅(111)은 후술하는 결합프레임(12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걸림턱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훅(111)들 사이에는 결합프레임(120)의 일 측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프레임(120)은 시스템바(110)의 지지훅(111)에 끼움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기 서포트바(1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12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120)은 평평한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하면에 상기 체결부(127)가 돌출되게 형성된 베이스(121)와, 서로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121)의 일 측변과 타 측변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 측의 지지훅(111)과 타 측의 지지훅(111)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지지훅(111)에 걸림 결합되는 끼움리브(12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127)는 상기 베이스(12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다 절곡된 구조로서, 후술하는 서포트바(130)의 제1수평지지부(131)를 수평방향으로 끼울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지며, 한 쌍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127)는 제1수평지지부(131)를 천정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 상태로 제1수평지지부(131)를 결합프레임(120)의 베이스(121) 저면에 밀착시킨 뒤, 서포트바(13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서포트바(130)의 폭 방향 양단이 모두 끼움리브(12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프레임(120)에는 시스템바(110)에 대하여 결합프레임(120)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23)는 시스템바(110)의 지지훅(111)과 베이스(121)가 만나는 지점과 인접한 지점에서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23)는 시스템바(1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훅(111)에 간섭될 수 있도록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23)는 외력에 의해 결합프레임(120)이 시스템바(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지지훅(111)에 간섭됨으로써 시스템바(100)로부터 결합프레임(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서포트바(130)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1수평지지부(131)와, 상기 제1수평지지부(131)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132)와, 상기 수직부(132)의 하단에 상기 수직부(132)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지지부(133)와, 상기 제2수평지지부(133)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걸림지지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바(130)는 제2수평지지부(133)의 하부로 연장된 수직연장부(135)와, 수직연장부(135)의 하단에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마감부(136)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마감부(136)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실내 공간으로 노출되게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으며, 하단이 후술하는 마감패널(140)의 본체(141)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마감패널(14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본체(141)와, 상기 본체(141)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서포트바(130)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141)를 상기 걸림지지부(134)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날개부(145)를 구비한다. 상기 날개부(145)는 제2수평지지부(133)와 마감부(136)의 상단에 이르는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바(150)는 서포트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치된 마감패널(140)들 사이에서 개재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바(1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저면 일부분에는 개구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51)에는 상기 중공부를 향해 돌출된 제 1 결합리브(153)와, 제 2 결합리브(1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바(150)는 제2수평지지부(133)와 마감부(136) 사이에 걸친 상태로 서포트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수직연장부(135)의 상하 길이보다 작은 상하 폭을 갖고, 일 측 서포트바의 수직연장부(135)와 타 측 서포트바의 수직연장부(135)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크로스바(150)는 마감패널(140)들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마감패널(140)들이 서로 마찰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식패널(160)은 상기 마감패널(140)들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개구부(15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로스바(150)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측벽(161) 및 제 2 측벽(162)과, 상기 제 1 측벽(161)과 제 2 측벽(16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판(163)과, 상기 제 1 측벽(161)과 제 2 측벽(162)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바닥(164)과, 상기 상판(163)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 1 결합리브(153)와 제 2 결합리브(154)에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제 1 장착리브(165)와 제 2 장착리브(166) 및 상기 제 1 장착리브(165)와 제 2 장착리브(166) 사이의 상기 상판(16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중앙결합리브(167)를 구비한다.
상기 클립부재(170)는 상기 크로스바(150)의 상부 내주면으로부터 중공부를 향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리브(155, 156)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장식패널(160)의 중앙결합리브(167)를 양측에서 가압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부재(170)는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가압리브와, 상기 가압리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결합프레임을 시스템바의 결합프레임에 간단하게 끼워 결합하고, 서포트바에 마감패널을 걸치도록 설치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마감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마감패널들 사이에 크로스바를 설치하여 마감패널들 사이의 틈을 없애 마감패널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패널 상호 마찰 및 부딪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크로스바에 설치되는 장식패널을 통해 다양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도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천장에 지지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포트바(10)와; 상기 서포트바(10)들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서포트바(1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배열되는 마감패널(20)과; 상기 마감패널(20)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20)들을 상기 서포트바(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크로스바(30);를 구비한다.
상기 서포트바(10)는 천정에 고정되는 앙카볼트(9)의 하단에 고정되고,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호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바(10)는 소정의 폭과 폭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수평지지부(12)와, 수평지지부(12)의 폭 방향 양측 단부의 중심으로부터 수평지지부(12)와 직교하는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13)와, 수직부(13)의 하단에 수직부(13)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평지지부(12)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마감패널(20)을 지지하는 안착지지부(14)를 구비한다. 상기의 안착지지부(14)는 수직부(13)와 직교하고 수평지지부(12)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바(10)의 하부에는 서포트바(10)의 하부를 마감처리 하기 위한 마감처리부(15)가 더 구비되어 있다. 마감처리부(15)는 안착지지부(14)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수직부(13)의 연장선상을 향하여 수직부(13)와 나란하고 안착지지부(1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6)와, 연장부(16)의 단부에 하부가 개방된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포트바(10)와 마감패널(20)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패킹부재(19)를 설치하기 위한 패킹홈(18)이 마련된 패킹지지부(17)를 포함한다. 상기 패킹지지부(17)의 하부는 폐쇄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패킹홈(18)은 패킹지지부(17)의 양 측면으로부터 소정깊이로 인입되며 패킹지지부(17)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패킹지지부(17)에 설치된 패킹부재(19)는 마감패널(20)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측면에 접촉된다.
상기 마감패널(20)은 서포트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포트바(10)에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다수가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본체(22)와, 본체(22)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서포트바(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안착지지부(14)에 안착되는 날개부(23)와, 크로스바(30)를 지지하도록 본체(22)의 하부로부터 서포트바(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부(24)를 구비한다. 본체(22)의 길이방향 양 측면은 상부가 일부분 개방되어 있다. 마감패널(20)은 하부에 마련된 안착부(24)에 의해 본체(22) 바닥의 면적이 본체(2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23)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22)의 상단 네 가장자리 중 서포트바(10)와 인접하는 방향 즉, 서포트바(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호 마주보는 양측의 가장자리로부터 본체(22)와 멀어지면서 본체(22)의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바(30)는 서포트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치된 마감패널(20)들 사이에서 개재되는 것으로 서포트바(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감패널(2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호 인접하는 마감패널(20)들 사이에 개재되는 크로스바(30)는 마감패널(20)들의 안착부(24)에 각각 폭 방향 양측 하부가 안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크로스바(30)의 저면은 폐쇄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바(10)는 수평지지부(12)와 안착지지부(14) 사이에서 서포트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부(12)와 안착지지부(14)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의 크로스바(30)는 마감패널(20)들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마감패널(20)들이 서로 마찰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크로스바(30)의 중공부(31)에 흡음부재를 충진하는 경우에는 소음을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크로스바(30)는 마감패널(20)의 형상 및 색상과 더불어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을 연출할 수 있어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20)과 크로스바(30) 사이에는 크로스바(30)를 마감패널(20)의 안착부(24)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마감패널(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마감패널(20)에 설치되는 보강브라켓(4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보강브라켓(40)은 마감패널(20)의 길이방향 일 측에서 마감패널(20)의 폭 방향 양 측면에 각각 밀착결합되는 결합편(42)과, 결합편(42)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된 연결편(43)과, 연결편(43)의 하부로부터 연결편(43)과 직교하면서 결합편(4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안착부(24)에 안착되는 안착편(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편(42)에는 본체(22)의 측면에 끼움결합시킬 수 있도록 반원형의 결합돌기(45)가 내측으로 압입 형성되어 있고, 본체(22)의 측면에는 결합돌기(45)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45)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본체(22)의 내측으로 압입 형성된 결합홈(25)이 형성되어 있어 보강브라켓(40)을 본체(22)에 탈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브라켓(40)은 연결편(43)과 안착편(44)을 통하여 본체(22)의 길이방향 측면에 부분적으로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면서, 본체(22)의 폭 방향으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작용할 때 본체(2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서포트바(10)와, 마감패널(20)과, 크로스바(30)와, 보강브라켓(40)과, 장식패널(50)을 구비한다.
상기 서포트바(10), 마감패널(20), 보강브라켓(40)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며,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크로스바(30)는 서포트바(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31)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32)이 형성되고, 저면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바(30)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가장자리는 상방으로 말아진 형상의 제 1 결합리브(35)와 제 2 결합리브(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식패널(50)은 마감패널(20)들 사이의 공간에서 개구부에 결합되어 다양한 무늬를 연출하여 장식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로스바(30)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측벽(51) 및 제 2 측벽(52)과, 제 1 측벽(51)과 제 2 측벽(52)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바닥(53)과, 제 1 측벽(51)과 제 2 측벽(52)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굴곡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구부의 제 1 결합리브(35)와 제 2 결합리브(36)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끼움결합되는 제 1 장착리브(54)와 제 2 장착리브(55)를 구비한다.
상기의 장식패널(50)은 제 1 장착리브(54)와 제 2 장착리브(55)를 제 1 결합리브(35)와 제 2 결합리브(36)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제 1 장착리브(54)와 제 2 장착리브(55)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때 제 1 결합리브(35)와 제 2 결합리브(36)의 굴곡진 부분에 각각 밀착 및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크로스바(30)의 중공부(31)로 삽입된다.
이때, 제 1 장착리브(54)와 제 2 장착리브(55)가 일정 깊이 삽입되면 제 1 장착리브(54)와 제 2 장착리브(55)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초기의 위치로 복귀되며, 이로써 장식패널(5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반대로 장식패널(50)을 크로스바(3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 각 구성요소는 장식패널(50)을 크로스바(30)에 결합시키는 과정과 반대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장식패널(50)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제 1 장착리브(54)와 제 2 장착리브(55)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1 결합리브(35)와 제 2 결합리브(36)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개구부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도 9에는 장식패널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식패널(50)은 크로스바(30)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측벽(51) 및 제 2 측벽(52)과, 제 1 측벽(51)과 제 2 측벽(52)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격벽(56)과, 제 1 격벽(56)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 2 격벽(57)과, 제 1 측벽(51)과 제 2 측벽(52)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굴곡지게 연장되어 개구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제 1 장착리브(54) 및 제 2 장착리브(5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격벽(56)은 제 1 측벽(51)과 제 2 측벽(52)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제 2 격벽(57)은 제 1 격벽(56)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하부를 좌우로 구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격벽(57)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제 2 격벽(57)에 의한 무늬를 연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부재를 삽입하지 않을 수도 있고, 스펀지와 같은 별도의 흡음부재를 설치하여 소음을 흡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장식패널(50)과 마감패널(20) 사이에는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측벽(51)과 마감패널(20)의 본체(22) 사이 그리고 제 2 측벽(52)과 마감패널(20)의 본체(22) 사이에는 별도의 패킹부재를 더 개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서포트바(10), 마감패널(20), 패킹부재, 크로스바(30), 마감패널(20)과 크로스바(30) 사이에 설치되어 크로스바(30)를 상기 마감패널(20)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지지부(60)를 구비한다.
상기의 서포트바(10), 마감패널(20), 패킹부재, 크로스바 및 후술하는 보강브라켓(40)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지지부(60)는 상기 마감패널(20)의 길이방향 일 측에서 상기 마감패널(20)의 폭 방향 양 측면에 각각 밀착결합되는 결합편(42), 상기 결합편(42)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된 연결편(43), 상기 연결편(43)의 하부로부터 상기 연결편(43)과 직교하면서 상기 결합편(4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안착편(44)을 포함하는 보강브라켓(40)과, 상기 연결편(43)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크로스바(30)의 일 측에 접촉되어 상기 크로스바(30)를 상기 연결편(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판 스프링(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판 스프링(61)은 연결편(43)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일 단이 고정되며, 타 단은 연결편(43)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안착편(44)상에 안착되는 크로스바(30)의 폭 방향 측면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탄성지지부(60)는 마감패널(2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보강브라켓(40)을 통하여 마감패널(2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보강브라켓(40)에 설치된 판스프링을 통하여 마감패널(20)들 사이의 크로스바(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마감패널(20)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크로스바(30)의 하부에는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의 장식패널(50)을 더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의 판 스프링(61)은 일반적인 스프링부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도 5 내지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와 다르게 서포트바(10)를 천장에 고정된 앙카볼트(9)의 단부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앙카볼트(9)의 단부에 시스템바(70)를 설치하고, 시스템바(70)에 클립바(80)를 설치하며, 상기 클립바(80)에 서포트바(10)를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바(70)는 천장의 저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면을 형성하는 수평부(71)와 수평부(71)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수직부(72)로 이루어진 몸체와, 수직부(7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수평부(71)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훅(73)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훅(73)은 수평부(71)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타 측의 지지훅(73)에 간섭되지 않은 길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앙카볼트(9)에 의해 건물 천장에 매달려 있다.
상기 지지훅(73)은 후술하는 클립바(80)를 걸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걸림턱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훅(73)들 사이에는 클립바(80)를 삽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바(80)는 지지훅(73)에 양단이 각각 걸림 지지되도록 지지훅(73)들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평판 형상의 결합부(81)와, 결합부(81)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상호 멀어지게 연장되며 각 끝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서포트바(10)를 지지하는 절곡리브(83)가 마련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바(10)의 수평지지부(12)는 경사부(82)의 단부에 마련된 절곡리브(83) 사이에 끼워져 걸림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시스템바(70)에 대하여 서포트바(10)를 지지하기 위한 클립바(80)의 위치를 선택한 수 있어 서포트바(10)의 위치를 변경하기가 매우 용이하여 즉, 서포트바(10)들 사이의 간격 조정이 용이하여 서로 다른 폭 또는 길이를 갖는 이종의 마감패널(20)을 교호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패턴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서포트바(10)와, 마감패널(20)과, 크로스바(30)와, 보강브라켓(40)과, 장식패널(50)과, 시스템바(70)와, 클립바(80)와, 서포트바(70)의 하부와 장식패널(50)의 하부에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루바(90)를 구비한다.
상기의 서포트바(10)와, 마감패널(20)과, 크로스바(30)와, 보강브라켓(40)과, 장식패널(50)과, 시스템바(70)와, 클립바(80)와, 서포트바(70)는 도 5 내지 도 12을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의 여러 실시 예들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며,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루바(90)는 마감처리부(15)와 장식패널(50)의 하부에 각각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마감처리부(15)의 하부에 형성된 패킹지지부(17)의 하단과 장식패널(50)의 하부에 각각 걸림지지되게 결합된다.
상기 루바(90)는 패킹지지부(17)의 하단에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걸림지지리브와, 장식패널의 하단에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걸림지지리브에 각각 걸림결합되는 체결지지리브와, 체결지지리브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바디를 구비하며, 바디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지지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장식패널(50)과 마감패널 사이에는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측벽(51)과 마감패널의 본체 사이 그리고 제 2 측벽(52)과 마감패널의 본체 사이에는 별도의 패킹부재를 더 개재할 수도 있다.
상기 루바(90)는 마감처리부(15)와 장식패널(50)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므로, 루바(50)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볼 때, 마감처리부(15)에 결합된 루바(90)와 장식패널(50)의 하부에 결합된 루바(90)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형성하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30 : 서포트바
14 : 안착지지부
15 : 마감처리부
19 : 패킹부재
20, 140 : 마감패널
23 : 날개부
24 : 안착부
30, 150 : 크로스바
40 : 보강브라켓
50, 160 : 장식패널
60 : 탄성지지부
61 : 판 스프링
70, 110 : 시스템바
80 : 클립바
90 : 루바
120 : 결합프레임

Claims (4)

  1. 천장에 지지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포트바와;
    상기 서포트바들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서포트바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배열되는 마감패널과;
    상기 마감패널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패널들을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크로스바와;
    천장에 일단이 고정된 행거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지지훅들이 구비된 시스템바와;
    상기 시스템바의 지지훅에 끼움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기 서포트바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마련된 결합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평평한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하면에 상기 체결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베이스와, 서로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 측과 타 측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는 일 측의 지지훅과 타 측의 지지훅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훅에 결합되는 끼움리브와, 상기 시스템바에 대하여 상기 결합프레임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서포트바를 천정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 상태로 결합프레임의 베이스 저면에 밀착시킨 뒤, 상기 서포트바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서포트바의 폭 방향 양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시스템바의 지지훅과 상기 베이스가 만나는 지점과 인접한 지점에서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시스템바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훅에 간섭될 수 있도록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1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수평지지부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상기 수직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지지부와, 상기 제2수평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걸림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서포트바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를 상기 걸림지지부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저면 일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중공부를 향해 돌출된 제 1 결합리브와, 제 2 결합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패널들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장식패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장식패널은 상기 크로스바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바닥과, 상기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굴곡지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결합리브와 제 2 결합리브에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제 1 장착리브와 제 2 장착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장치.
KR1020140075767A 2014-06-20 2014-06-20 천장 마감장치 KR101584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67A KR101584795B1 (ko) 2014-06-20 2014-06-20 천장 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67A KR101584795B1 (ko) 2014-06-20 2014-06-20 천장 마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22A KR20150146022A (ko) 2015-12-31
KR101584795B1 true KR101584795B1 (ko) 2016-01-12

Family

ID=5512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67A KR101584795B1 (ko) 2014-06-20 2014-06-20 천장 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686B1 (ko) 2017-09-26 2018-09-20 이태우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US10277015B2 (en) 2016-02-26 2019-04-30 Lsis Co., Ltd. Motor control cen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4617A (zh) * 2019-07-30 2019-11-08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吊顶结构及其安装方法
KR102299997B1 (ko) * 2019-08-06 2021-09-08 주식회사 에프지알 엠바와 엠바브라켓의 결합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55760B1 (ko) 2022-08-25 2023-07-14 제이엔티 주식회사 고성능 천장 시스템
KR20240055409A (ko) 2022-10-20 2024-04-29 제이엔티 주식회사 친환경 내진 및 흡음패널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544B1 (ko) * 2012-11-02 2013-09-12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정마감장치
KR101424764B1 (ko) * 2013-06-14 2014-08-01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 마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544B1 (ko) * 2012-11-02 2013-09-12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정마감장치
KR101424764B1 (ko) * 2013-06-14 2014-08-01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 마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7015B2 (en) 2016-02-26 2019-04-30 Lsis Co., Ltd. Motor control center
KR101900686B1 (ko) 2017-09-26 2018-09-20 이태우 조립성과 내진성이 향상된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22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95B1 (ko) 천장 마감장치
CA2754550C (en) Suspended ceiling
KR101618356B1 (ko) 시공이 용이한 피트패널조립체
KR101569481B1 (ko) 천장 패널 고정 시스템
KR101576230B1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KR101887203B1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20170048130A (ko)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WO2012112082A1 (ru) Багет для монтажа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KR101424764B1 (ko) 천장 마감장치
KR101458198B1 (ko) 천정마감장치
KR101331124B1 (ko) 천장 스크린 루버 고정구조
KR20200068421A (ko)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KR101797436B1 (ko) 천정 마감패널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체결구조
KR101952337B1 (ko) 천정 마감재 지지구조
KR101314873B1 (ko) 건축물의 천장 마감부재
KR20100131845A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101857233B1 (ko) 패널 마감용 클립 브라켓
KR101613300B1 (ko) 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1851305B1 (ko) 멀티캐리어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설치구조
KR102094074B1 (ko)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KR102022849B1 (ko) 층고 낮춤 구조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KR20180095761A (ko) 클립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장치
KR101636352B1 (ko) 방수패널 고정구
KR101711556B1 (ko) 칸막이 판넬과 도어 설치용 고정 프레임
KR101367849B1 (ko) 처짐 방지용 천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