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601B1 - 단자대 및 기중 차단기 - Google Patents

단자대 및 기중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601B1
KR101900601B1 KR1020170045256A KR20170045256A KR101900601B1 KR 101900601 B1 KR101900601 B1 KR 101900601B1 KR 1020170045256 A KR1020170045256 A KR 1020170045256A KR 20170045256 A KR20170045256 A KR 20170045256A KR 101900601 B1 KR101900601 B1 KR 101900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essing member
cam
terminal pressing
energ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915A (ko
Inventor
도모야 데구치
시게키 고모토
다카시 구이타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5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insertion of a wire only possible by pressing on th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단자대(101)의 베이스부(3)에 마련된 통전 부재(6), 이 통전 부재(6)에 접속되는 단자(9)를, 통전 부재(6)측으로 눌러서 접속시키는 단자 압압 부재(5), 단자대(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축부(4a)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 상태에 따라 단자 압압 부재(5)의 통전 부재(6)측으로의 압압 상태를 변화시키는 캠(4)을 구비하고, 하나의 통전 부재(6)에 하나의 단자 압압 부재(5)가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캠(4)은 축부(4a)를 중심으로 한 제1 회전 범위에 있어서,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측으로부터 이격된 OFF 상태로 되도록 단자 압압 부재(6)를 제어하고, 제2 회전 범위에 있어서,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측으로 눌러져 ON 상태로 되도록 단자 압압 부재(6)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단자대 및 기중 차단기{TERMINAL BLOCK AND AI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단자대 및 그 단자대를 구비한 기중(氣中)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기중 차단기는 일반적으로, 빌딩, 공장 등의 주간(主幹)용 차단기로서 사용되는 것이 많고, 이 기중 차단기를 먼 곳에서 조작하는 부속 장치나, 기중 차단기의 개폐 상태를 전기적으로 표시하는 부속 장치를 구성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 분기(分岐)용 차단기의 용량에 의해, 기중 차단기의 동작 특성도 변경할 수 있도록 가(可)조정의 전자식 트립 릴레이(trip relay)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중 차단기에는 부속 장치의 전기적 접속이나 트립 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대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단자대는 기중 차단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상면측으로부터 단자 접속부에 단자를 접속하는 배선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복수의 장치에 배선하기 위해, 다수의 단자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의 단자대로의 고정 방법은, 단자대에 마련된 나사 단자부(단자 접속부)에 나사 체결에 의해 체결 고정시키는 방법과, 단자대에 마련된 속결(速決) 단자 접속부에 속결 단자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대별된다.
또, 종래 기술로서, 차단기 본체에 마련되는 고정 제어 단자 모듈과 크래이들(cradle)에 설치되는 가동 제어 단자 모듈을 자동적으로 접속 혹은 분리하는 제어 단자 자동 접속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9-22159호 공보
상기와 같이 단자 접속부에 나사 단자부를 이용했을 경우, 도체를 삽입 통과시키는 환공(丸孔)을 가지는 환형(丸形) 단자는 배선 가능하다. 그렇지만, 나사 체결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기중 차단기의 단자대와 같이, 다수의 단자에 대해서 나사 체결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 시간의 증대는 보다 큰 문제가 되고 있었다. 추가로, 단자 접속부의 과열(過熱)을 억제하기 위해, 나사의 헐거워짐에 대한 대책으로서, 정기적인 추가 체결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메인터넌스상의 문제도 있었다.
한편, 속결 단자를 이용한 단자 접속에 있어서는, 단자를 삽입하는 속결 단자 접속부에, 선단부(先端部)의 형상이 2개로 나누어진 속결 단자를 찔러넣는 것만으로 배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은 단축할 수 있고, 체결 부재로서 나사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속결 단자 접속부에 접속 가능한 단자의 형상은 한정되고 있고, 환형 단자와 같은 선단부의 형상이 상이한 타입의 것은 접속할 수 없었다. 또, 속결 단자에 의한 단자 접속의 경우, 환형 단자에 의한 접속보다도 체결 강도가 약하여, 접속된 단자에 연결되는 배선에 잘못하여 하중이 걸렸을 경우에, 통전부(通電部)에 꽉 눌러져 있던 단자가 뽑혀져 버려, 단자대에 연결하는 기중 차단기 등의 기기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었다.
추가로, 기중 차단기에 단자대가 마련되는 경우, 상술한 것처럼, 단자대는 기중 차단기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구성이 된다. 그 때문에, 배전반(配電盤) 내의 상부에서 배선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어, 배전반 중에 기중 차단기가 수납되는 상황하에 있어서는, 작업 스페이스가 한정되고, 설치 배선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시선이 높아지기 때문에, 작업을 보기 어려워, 배선 작업에 곤란함이 있었다.
또,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제어 단자 자동 접속용 장치에 있어서는, 제어 단자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제어 단자를 일괄하여 접속 혹은 분리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개별적으로 제어 단자를 접속 혹은 분리할 수 없는 구성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배선 작업이나 메인터넌스에 문제가 있는 나사를 이용하는 일 없이, 단자를 접속하는 단자 접속부에 개별적으로 단자를 접속시킴과 아울러, 일괄하여 배선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어, 단자 접속 작업의 간편화가 가능한 단자대 및 그 단자대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른 단자대는, 단자대의 베이스부에 마련된 통전 부재, 상기 통전 부재에 접속되는 단자를,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 눌러서 접속시키는 단자 압압(押壓) 부재, 상기 단자대의 내부에 마련되고, 축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단자 압압 부재의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의 압압 상태를 변화시키는 캠을 구비하고, 하나의 상기 통전 부재에 대해서, 하나의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캠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제1 회전 범위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부터 이격된 OFF 상태로 되도록 상기 단자 압압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회전 범위와는 상이한 제2 회전 범위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 눌러져 ON 상태로 되도록 상기 단자 압압 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기중 차단기는, 상기와 같은 단자대를 구성 요소로서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단자대에 의하면, 하나의 통전 부재에 대해, 하나의 단자 압압 부재가 마련되었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통전 부재와 단자 압압 부재의 사이에 단자를 끼워, 단자를 통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단시간에 배선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캠에 의해서 단자 압압 부재를 제어함으로써, 단자 압압 부재의 통전 부재로의 압압 상태를 캠 한군데의 조정에 의해 행할 수 있어, 단자 접속 작업의 간편화가 가능해진다.
이 발명의 기중 차단기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단자대를 구비한 구성이기 때문에, 기중 차단기 내에 있어서 단자 접속 작업을 행하는 스페이스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나사 체결 작업에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는 필요하지 않고, 통전 부재와 단자 압압 부재의 사이로의 단자의 삽입과 캠의 제어에 의해서 단자 접속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단자대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단자대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하 2단의 단자 접속부 중, 하단측의 내부 구조를 노출시킨 단자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자대의 우측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자대의 좌측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단자대의 단자의 ON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단자대의 단자의 OFF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캠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단자대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의 외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단자대의 단자의 ON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단자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캠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캠의 부분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단자대(101)(제어 단자대) 및 그 단자대(101)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10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단자대(101)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100)의 외관도이며, 예를 들면, 단자대(101)는 기중 차단기(100)의 상방(上方)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중 차단기(100)가 배전반 중에 마련되는 등, 그 설치 장소에 따라서는, 장치 전체가 하우징 내에 수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기중 차단기(100)는 개폐 접점부(200)와 개폐 기구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접점부(200)는 절연 재료로 형성된 베이스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고, 접점부의 개폐를 위해 개폐 기구부(300)와 연계되어 있다.
기중 차단기(100)의 접점부의 개폐는, 개폐 기구부(300)의 일 구성 요소인 트립 바(trip bar)의 조작(예를 들면 핸들링 조작)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당해 트립 바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눌러 움직여 회동(回動)시킴으로써 개폐 기구부(300)가 구동되어, 개폐 접점부(200)는 개로(開路)하고, 이것에 의해 기중 차단기(100)가 차단된 상태로 된다. 이 기중 차단기(100)의 동작 상태(도통/차단)는, 보조 스위치(11)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표시된다.
기중 차단기(100)의 동작 상태의 전환은, 핸들링 조작에 의해서 행하는 것 외에, 원격 조작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 기중 차단기(100)를 원격 조작으로 도통 상태가 되도록 접점부를 폐로(閉路)하는 원격 투입용 부속 장치(13)나, 원격 조작으로 차단 상태가 되도록 접점부를 폐로하는 원격 트립용 부속 장치(10)는 트립 바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기중 차단기(100)는 그 동작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서 전자식 트립 릴레이(12)를 구비하고 있고, 연산에 의해 미리 결정된 기준치를 넘는 경우에, 트립 코일을 작동시켜, 트립 바를 회동시킴으로써 기중 차단기(100)를 트립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대(101)의 단자 접속부에는, 단자(후술하는 단자(9), 예를 들면 환형 단자, 제어 단자)가 접속되고, 그 단자를 통해서 원격 트립용 부속 장치(10), 원격 투입용 부속 장치(13), 전자식 트립 릴레이(12)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이들 원격 트립용 부속 장치(10), 원격 투입용 부속 장치(13), 전자식 트립 릴레이(12)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단자대(101)의 외관도이며, 단자 접속 작업을 행할 때 작업자가 액세스하는 정면측의 구성을 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단자대(101)의 프레임체 구조의 주구성부가 되는 베이스부(3)에 대해, 단자를 접속하는 단자 접속부가 횡방향으로 복수 개 늘어선 단자 접속부열(列)이, 상하 2단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개개의 단자 접속부에는, 단자의 개별 배선을 위해서, 단자를 압압하는 단자 압압 부재(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 접속부열의 바로 앞에는, 내부 구성의 가동 부재를 덮도록 둘러쌈 부재(2)가 장착되어 있다. 이 둘러쌈 부재(2)의 단부에는, 둘러쌈 부재(2)의 내측에 배치되는 가동 부재(후술하는 캠(4))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조작부(1)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은 단자대(101)의 상하 2단의 단자 접속부열 중, 하단측의 내부 구조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하단의 둘러쌈 부재(2)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둘러쌈 부재(2)를 떼어내면, 캠(4)이 노출된 상태로 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단자대(101)의 우측 부분을 확대한 우측 주요부 확대도이며, 캠(4)의 축부(4a)의 일방의 단부를 노출시킨 도면이다. 축부(4a)의 단부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3)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축부(4a)에 고정된 캠편(4b)이, 단자 압압 부재(5)의 통전 부재(6)측으로의 압압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있다. 복수의 캠편(4b)은 단자 압압 부재(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외주(外周) 형상을 하나하나 변형시킴으로써 동작 타이밍을 겹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부(3)에 고정되는 둘러쌈 부재(2)에 의해서, 축부(4a)가 누름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4,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단자대(101)의 베이스부(3)에는 통전 부재(6)가 배치되어 있다. 이 통전 부재(6)에 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해서, 단자를 통전 부재(6)측으로 밀어붙이는 단자 압압 부재(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자 압압 부재(5)는, 예를 들면 절연성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통전 부재(6)측으로 꽉 눌러지는 제1 면부(5a)와, 그 제1 면부(5a)에 각도를 가지고 맞대어진 제2 면부(5b)에 의해서 구성되고, 제1 면부(5a)와 제2 면부(5b)가 맞대어진 단부의 위치를 회동축(지점(支点))으로 하여 회동하는 く자 형상의 부재이다. 추가로 단자 압압 부재(5)는, 그 구성 부재의 일부를 둘러쌈 부재(2)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핸들링 조작부(5c)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도 5의 예에서는, 제2 면부(5b)의 회동축측이 아닌 단부를 연장시킨 핸들링 조작부(5c)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핸들링 조작부(5c)를 작업자가 누름으로써, 개별적으로 단자 압압 부재(5)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5는 단자대(101)의 좌측 주요부 확대도이며, 캠(4)의 축부(4a)의 타방의 단부에, 베벨 기어(14a)가 마련되고, 이 베벨 기어(14a)에, 회전 조작부(1)와 연동하는 베벨 기어(14b)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가 되시되어 있다. 그리고 베벨 기어(14b)의 단부에는, 회전 조작부(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캠(4)은 단자대(101)의 내부에 마련되고, 축부(4a)를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 상태에 따라 단자 압압 부재(5)의 통전 부재(6)측으로의 압압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조이며, 캠(4) 자체는 베벨 기어(14a, 14b)를 매개로 하여, 회전 조작부(1)측으로부터 회전 상태를 제어하고 있다. 예를 들면, 회전 조작부(1)에는,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육각 구멍이 마련되고, 그 구멍에 T 렌치 등의 도시하지 않은 조작 부재를 삽입하여, 스트로크를 크게 하여 조작을 행함으로써 회전 조작부(1)의 회전을 정밀도 좋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개개의 단자 접속부에 있어서는, 하나의 통전 부재(6)에 대해서, 하나의 단자 압압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캠(4)에는, 축부(4a)의 외측면에, 각 단자 압압 부재(5)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캠편(4b)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단자대(101)는 캠(4)의 축부(4a)를 중심으로 한 일 회전의 회전 범위 중, 제1 회전 범위에 있어서,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측으로부터 이격된 OFF 상태로 되도록, 캠편(4b)에 의해서 단자 압압 부재(5)가 제어된다. 그리고 제1 회전 범위와는 상이한 제2 회전 범위에 있어서,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 측으로 눌러져 ON 상태로 되도록, 캠편(4b)에 의해서 단자 압압 부재(5)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캠(4)은 단자 접속부의 열에 평행하게, 즉 일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통전 부재(6)와 평행하게 축부(4a)가 연장됨과 아울러, 이 원통 형상의 축부(4a)에 고정된 복수의 캠편(4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단자 압압 부재(5)에 대해서, 하나의 캠편(4b)이 배치되고, 복수의 단자 압압 부재(5)는 캠(4)의 복수의 캠편(4b)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단자대(101)는 단자 압압 부재(5)와, 캠(4)과, 통전 부재(6)와, 회전 조작부(1)와, 둘러쌈 부재(2)와, 이들을 유지하는 베이스부(3)를,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단자대(101)에 배선 가능한 단자의 수는 1열당 1 내지 40단자,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9단자이다.
또, 예를 들면, 단자 접속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액세스하는 기중 차단기(100)의 정면측에 단자 접속부가 노출되도록 단자대(101)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단자대(101)의 단자 접속부에 단자가 접속된 ON 상태가 되는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단자대(101)의 측단면도이며, 통전 부재(6)의 평면부에, 환형 단자 등의 단자(9)가 꽉 눌러져,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단자(9)는 단자 압압 부재(5)에 의해서 통전 부재(6)측으로 압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것처럼, 단자대(101)는 계단 모양의 표면부를 가지는 베이스부(3)의, 장치 설치면에 수직이 되는 면부(수직면부)에 통전 부재(6)를 배치함과 아울러, 장치 설치면에 평행이 되는 면부(수평면부)의, 수직면부에 가까운 위치에 유지부재(50)를 배치하고, 이 유지부재(50)에 단자 압압 부재(5)의 회동축(5d)을 지지시키는 구성이다.
그리고 단자 압압 부재(5)는 제1 면부(5a)와 제2 면부(5b)로 「く자 형상」을 이루고, 두 개의 단면이 맞대어진 위치를 회동축(5d)으로 하여, 이루는 각을 변화시키는 일 없이 회동하는 구성이다. 베이스부(3)의 수직면과 수평면의 사이에, 단자 압압 부재(5)를 마련하는 경우, 단자 압압 부재(5)의 제1 면부(5a)와 제2 면부(5b)가 이루는 각은 예각(銳角)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면부(5a), 제2 면부(5b)는, 도 6에서는 평판(平板)에 의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곡면부를 가지는 형상이나 굴곡부(屈曲部)를 가지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것을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く자 형상이 이루는 각은, 설치 상황에 맞춰서, 회동각을 확보할 수 있는 각도로 조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도 6에 도시하는 것처럼, 단자 압압 부재(5)의 제2 면부(5b)에는, 캠(4)의 캠편(4b)이 맞닿는 맞닿음부(부호 P로 지시하는 영역)가 있고, 캠(4)과 맞닿음부(P)와의 거리가 d에 미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는, 캠편(4b)은 단자 압압 부재(5)에 접하지 않는다. 이 거리 d란 캠편(4b)이 맞닿음부(P)에 접하고, 제2 면부(5b)를 압압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캠편(4b)의 축부(4a)로부터의 돌출량에 상당한다.
또, 제2 면부(5b)에는, 캠(4)을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부(5e)가, 회동축(5d)에서 볼 때 맞닿음부(P)보다 먼 영역에 마련되고, 노치부(5e) 이외의, 캠편(4b)과 간섭하지 않는 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핸들링 조작부(5c)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단자 압압 부재(5)는 제2 면부(5b)의 캠 맞닿음면이 아닌 측의 면에, 예를 들면 판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53)를 구비하고 있고, 베이스부(3)의 수평면과 제2 면부(5b)의 이면(裏面)과의 간격을 넓히도록, 바꾸어 말하면, 제2 면부(5b)를 캠(4)측으로 가압하도록, 항상 가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여기서, 가압 부재(53)는 단자 압압 부재(5)의 제2 면부(5b)에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 혹은 베이스부(3)의 평면부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로, 유지부재(50)는 단자 압압 부재(5)의 회동축(5d)을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단자 압압 부재(5)의 유지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예를 들면, 베이스부(3)에 찔러 넣어 고정하기 위한 찔러넣음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체결 고정부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 예를 들면, 단자대(101)의 베이스부(3)에는, 캠(4)의 고정부, 둘러쌈 부재(2)의 고정부, 유지부재(50)의 찔러넣음부 삽입부, 통전 부재(6)의 삽입부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캠(4)은 축부(4a)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캠(4)은, 단자수와 같은 수의 그 단자 압압 부재(5)와 맞닿음으로써 단자 압압 부재(5)를 제어하는 캠편(4b)과, 일단에는 회전 조작부(1)와 베벨 기어 형상의 베벨 기어(14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캠편(4b)은, 예를 들면, 각각 각도를 겹치지 않도록 비켜서 연결되어 있다. 캠편(4b)의 형상은, 각각 단계적으로 외형이 변화하도록 구성하고, ON/OFF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모두 같은 형상의 캠편(4b)을, 각도를 겹치지 않도록 비켜지 않고 축부(4a)상에 배치하여, 캠(4)의 회전에 따라 일제히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회전 조작부(1)측을 조작하면서, 다수의 단자(9)를 순차적으로 접속하는 작업을 행할 때에는, 단자 압압 부재(5)가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캠편(4b)의 배치를 조정하는 쪽이, 작업의 진척 상태를 파악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실패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단자 압압 부재(5)는 제1 면부(5a)로부터 돌출되어, 통전 부재(6)에 마련된 구멍부에 삽입 통과되는 돌기부(51)를 구비하고, 추가로, 단자(9)의 표면을 압압하는, 돌기부(51)보다도 돌출량이 작은 단자 누름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9)가 환형 단자이고, 평면 접속부에 구멍부를 가지는 구조인 경우에, 그 구멍부에 돌기부(51)를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단자(9)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단자 누름부(52)를, 예를 들면 복수 개 마련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단자(9)를 통전 부재(6)측으로 확실히 누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통전 부재(6)는 단자 압압 부재(5)의 돌기부(51)와 간섭하지 않도록 마련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어, 돌기부(51)와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제1 면부(5a)의 평면부를 단자(9)의 평면부로 꽉 눌러, 단자(9)의 타방의 평면부를 통전 부재(6)의 평면부에 접촉시킴으로써 기중 차단기(100)의 내부에 접속된다.
다음에, 단자대(101)의 ON/OFF 상태와 캠(4)의 회전에 따른 단자 압압 부재(5)의 움직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것처럼, 단자 압압 부재(5)가 캠(4)의 캠편(4b)과 맞닿아 있지 않고,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측으로 회동하여, 단자 압압 부재(5)가 단자(9)를 통전 부재(6)로 누르고 있는 상태가 ON 상태이고, 단자(9)가 단자대(101) 내의 구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다. 단자 압압 부재(5)를 통전 부재(6)측으로 누르는 압압력은, 단자 압압 부재(5)(또는 베이스부(3))에 마련된 가압 부재(53)에 의해 출력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점 A는 모든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측으로 눌러진 ON 상태가 되는 위치이고, 점 Bn를 통과한 직후에 있어서, 모든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로부터 가장 크게 이격된 OFF 상태가 되는 위치이다.
단자대(101)가 OFF 상태가 되는 캠(4)의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단자 압압 부재(5)의 돌기부(51)에 단자(9)를 건(환형 단자의 구멍부에 돌기부(51)를 감합(嵌合, 끼워 맞춤)시킨) 상태에서, 회전 조작부(1)를 회전시키면, 캠(4)이 연계하여 회전되며, 캠편(4b)이 축부(4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어(회전 각도가 변화하여), 도 6에 도시하는 것처럼, 캠(4)이 단자 압압 부재(5)에 간섭하지 않는 상태가 되면(떼어지면) 가압 부재(53)에 의해 단자 압압 부재(5)가 눌러져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단자(9)가 통전 부재(6)와 접촉하게 되어, 단자대(101)에 접속된 배선으로부터 기중 차단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로의 통전이 가능한 ON 상태로 된다.
도 8에 캠(4)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것처럼, ON 상태가 되는 것은, 제2 면부(5b)의 상면측에 캠(4)이 배치된 상황하에 있어서, 맞닿음부(P) 상방에 있어서의 축부(4a)의 표면으로부터의 캠편(4b)의 돌출량이 d에 미치지 않는 경우이다. 즉, 도 8에서 언급한, 캠(4)의, 점 Bn를 통과하여, 점 C에 이르기까지의 회전 범위(Bn-C 사이. 제2 회전 범위에 상당함. )로 단자 압압 부재(5)를 제어하는 경우에 ON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캠(4)의 회전 범위 C-A 사이에서 제어를 행하는 경우, 즉, 캠편(4b)의 돌출량이 d를 넘어, 최대 돌출량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은, 스무스하게 캠편(4b)의 돌출량이 증대되어, 제1 면부(5a)와 통전 부재(6)와의 거리가 서서히 커져 가는 반(半) 열림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단자(9)와 통전 부재(6)와의 전기적 접속 상태는 불안정하게 된다.
그리고 단자대(101)의 ON 상태로부터, 추가로 회전 조작부(1)를 회전시키면, 캠(4)이 회전하여, 캠편(4b)이 단자 압압 부재(5)의 제2 면부(5b)의 맞닿음면에 접촉하기 시작하여, 캠편(4b)이 단자 압압 부재(5)를 누름으로써, 단자 압압 부재(5)는 회동축(5d)을 중심으로 하여, 통전 부재(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것처럼, 단자(9)를 단자 압압 부재(5)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OFF 상태로 된다.
도 7에 도시하는 것처럼, 단자대(101)가 OFF 상태가 되는 것은, 같은 상황하에 있어서, 맞닿음부(P) 상방에 있어서의 축부(4a)로부터의 캠편(4b)의 돌출량이, 모든 캠편(4b)에 있어서 최대가 되는 경우이다. 즉, 도 8에서 언급한, 캠(4)의, 점 A로부터 점 B1에 이르기까지의 회전 범위(A-B1 사이. 제1 회전 범위에 상당함. )로 단자 압압 부재(5)를 제어하는 경우이다. 단자 압압 부재(5)가 캠편(4b)에 맞닿고, 단자 압압 부재(5)의 제1 면부(5a)의 단부가 통전 부재(6)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가 OFF 상태이며, 통전 부재(6)로의 단자 접속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A-B1 사이가 되는 회전 범위에서는, 일렬로 배열된 모든 단자 압압 부재(5)에 있어서, 제1 면부(5a)의 선단부와 통전 부재(6)와의 거리가 최대(전부 열림)가 되어, 작업자가 단자(9)의 접속 작업을 행하기 쉬운 상태로 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하는 것처럼, 캠(4)의 회전 범위에는, 제1 회전 범위(A-B1 사이)로부터 제2 회전 범위(Bn-C간)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제3 회전 범위(B1-Bn 사이)를 포함하고 있다. 캠(4)의 제3 회전 범위(B1-Bn 사이)에 있어서의 단자 압압 부재(5)의 제어에 있어서는, 일부의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측으로부터 이격된 OFF 상태로 되고, 나머지의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측으로 눌러진 ON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회전 범위(B1-Bn 사이)에 있어서는, 복수의 캠편(4b)은 도 8에 도시하는 것처럼, 축부(4a)의 바로 앞측에 고정된 것은, OFF 상태의 범위가 작고, 축부(4a)의 안쪽측에 고정된 것일수록 OFF 상태의 범위가 커진다. 여기서, 회전 각도의 Bn을 통과한 단계에서 캠편(4b)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기 때문에, 추가로 캠(4)이 회전하면, 바로 앞측의 캠편(4b)에 맞닿은 단자 압압 부재(5)로부터 순차적으로 ON 상태로 변화해 간다.
예를 들면, 도 8의 캠(4)의 경우, 제3 회전 범위가 약 90도에서, n=25가 되도록 캠편(4b)의 형상을 조정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단자(9)를 동시에 OFF 제어하도록, 캠편(4b)의 축부(4a)로의 장착 위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어 타이밍의 조정은, 캠편(4b)의 형상 및 캠편(4b)의 축부(4a)로의 장착 회전 각도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캠편(4b)의 형상에 변화를 주어, OFF에서 ON으로 되는 타이밍이, 단자 접속 지점마다 변화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단자(9)를 개별적으로 배선해 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자는, 배선 접속 작업시에 있어서, ON/OFF 상태가 전환되는 단자 접속 지점에 주목하여, 단자(9)의 접속 상태를, 순서대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작업상의 시인성(視認性)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수의 단자(9)를 구비한 단자 접속부인 경우, 일제히 다수의 단자(9)를 접속시키면, 모든 단자(9)의 접속 상태가 양호한지에 대한 확인을 취하기 어렵지만, 본 발명의 단자대(101)에 의하면, 캠(4)의 축부(4a)의 일단측의 단자로부터 타단측으로, 순차적으로 ON으로 변화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단자(9)의 접속 상태를 한 개씩 확인하면서 작업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제히 모든 단자(9)의 접속 상태를 변화시키는 경우, 단자(9)에 연결되는 배선의 배치가 크게 변화하는 것이 상정되지만, 이 실시 형태 1의 단자대(101)에서는, 캠편(4b)의 C-A 사이에 있어서의 회전 범위에서, 모든 단자(9)가 같게 되도록 제어되어, 캠(4)의 회전에 따라서 서서히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단자(9)에 연결되는 배선의 배치가 안정되어,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이 실시 형태 1에 의한 단자대(101)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100)에 의하면, 단자(9)를 단자대(101)측의 통전 부재(6)와 단자 압압 부재(5)의 사이에 삽입하는 간편한 작업과, 작업자가 액세스하기 쉬운 단자대(101)의 외측에 마련된 회전 조작부(1)의 조작을 행하는 간편한 작업만으로, 단자 접속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대(101)가 기중 차단기(10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시선 혹은 보다 높은 위치에서 단자 접속을 행하는 상황이더라도, 용이하게 단자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나사 체결 등의 작업을 행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단자대(101)의 상방에 작업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 추가로, 단자 압압 부재(5)의 일단에 핸들링 조작부(5c)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도 6의 ON 상태에서 도 7의 OFF 상태로, 임의로 전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작업자가 핸들링 조작부(5c)를 하방(下方)측으로 눌러 내리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가압 부재(53)를 임의로 휘게 하여, 캠편(4b)과 제2 면부(5b)을 압하(押下)한 상태와 마찬가지로, 제1 면부(5a)를 통전 부재(6)로부터 떼어 놓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개별의 단자 접속부에 대해서, 이 핸들링 조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단자(9)의 삽입이나 떼어냄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개개의 단자 접속 작업을 간이화할 수 있다.
단자대(101)의 각 접속 단자부가, 상술과 같은 핸들링 조작부(5c)를 구비한 구성이면, 회전 조작부(1)를 회전시켜, 모든 단자 접속부를 OFF 상태로 하는 일 없이, 특정의 단자 접속부만 OFF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상기한 예에서는, 핸들링 조작부(5c)는 단자대(101)의 정면 바로 앞측으로 돌출된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었지만, 같은 작용이 가능한 형상이면, 변형시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자(9)로서, 환형 단자를 예시했지만, 적용하는 장치에 따라 상이한 단자 형상의 것(U자 단자, 봉(棒)단자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 구성부의 각도·크기 등은, 단자 접속부의 상황에 따라 조정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이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단자대(101) 및 기중 차단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계단 모양의 베이스부(3)의 수직면에 통전 부재(6)가 배치되고, 수평면에 단자 압압 부재(5)를 고정하여, 단자(9)를 연직(鉛直) 방향 하향으로 삽입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했다. 그러나 베이스부(3)의 형상을, 단자 접속부의 구성부가 전체적으로 경사지도록 변형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단자대(101)의 측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처럼, 설치면에 대해, 수직이 아니라 경사진 면부(3a)에 통전 부재(6)를 배치하고, 평행이 아니라 경사진 면부(3b)에 단자 압압 부재(5)를 배치해도,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자 접속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와 같이, 베이스부(3)에 경사진 면부(3a, 3b)를 마련하고(양자가 이루는 각은, 예를 들면 직각.), 단자 접속부를 전체적으로 바로 앞측으로 기울어지게 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종래(설치면부가 수직면, 수평면인 경우)라면 상면측으로부터 밖에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없었던 배선이더라도, 단자대(101)의 전면(前面)측으로부터도 접속 작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수배전반이 소형이고 기중 차단기(100)의 상부에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나, 기중 차단기(100)가 수배전의 상부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도, 기중 차단기(100)로의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단자대(101) 및 기중 차단기(100)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단자대(101)의 측단면도이며, 단자 접속부에 단자(9)가 접속된 ON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구성의 단자대(101)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단자대(101)의 우측 부분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2는 캠(4)의 측면도이고, 다수의 캠편(4b)이, 축부(4a)가 신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단계적으로 변형된 형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캠(4)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캠편(4b)의 축부(4a)로의 고정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단자 압압 부재(5)를 통전 부재(6)로 누르는 압압력을 가압 부재(53)에 의해서 출력시키고 있었지만, 그 구성을 변경하여, 이 실시 형태 3과 같이, 단자 압압 부재(5)를 통전 부재(6)측으로 누르는 압압력을, 캠(4)에 의해서 출력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단자 압압 부재(5)의 제2 면부(5b)의 상측에 캠(4)이 배치되고, 제2 면부(5b)의 하측의, 베이스부(3)의 수평면과의 사이에, 단자 압압 부재(5)에 가압력을 주는 가압 부재(53)를 배치한 구성의 단자대(101)를 예시하고 있었지만, 이 실시 형태 3에서는, 제2 면부(5b)의 상측에 가압 부재(53)를, 제2 면부(5b)의 하측의, 베이스부(3)의 수평면과의 사이에 캠(4)을 배치한 단자대(101)에 대해 설명한다.
이 구성에서는, 제2 면부(5b)의 상방에, 베이스부(3)에 고정된 받이부(30)를 마련하여, 가압 부재(53)를 맞닿음시켜, 통전 부재(6)측으로부터 단자 압압 부재(5)의 제1 면부(5a)를 이격시키는 경우의 스프링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캠(4)의 회전에 따라서, 강체(剛體)인 캠편(4b)에 의해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측으로 꽉 눌러진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단자 압압 부재(5)에 의해서 눌러지는 단자(9)를, 통전 부재(6)측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그 접압력(接壓力)을 안정되게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자 압압 부재(5)의 제2 면부(5b)의 단부에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핸들링 조작부(5c)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 3의 단자대(101)에서는, 단자(9)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OFF 상태일 때, 핸들링 조작부(5c)를 밀어 올림으로써 개별적으로 단자 압압 부재(5)를 통전 부재(6)측으로 이동시켜 ON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핸들링 조작부(5c)의 조작은, 예를 들면 메인터넌스시에, 가압 부재(53)의 스프링력의 확인을 행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다.
여기서, 이 실시 형태 3의 캠(4)에 의한 단자 압압 부재(5)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단자대(101)가 OFF 상태가 되는 캠(4)의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단자 압압 부재(5)의 돌기부(51)에 단자(9)를 건 상태에서, 회전 조작부(1)를 회전시키면, 캠(4)이 연계하여 회전되어, 캠편(4b)이 축부(4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것처럼, 캠(4)이 단자 압압 부재(5)로 꽉 눌러진 상태가 되면, 가압 부재(53)를 압축함과 아울러 단자 압압 부재(5)가 눌러져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단자(9)가 통전 부재(6)와 접촉하는 ON 상태로 된다.
도 12에 캠(4)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것처럼, ON 상태가 되는 것은, 제2 면부(5b)의 하면측에 캠(4)이 배치된 상황하에 있어서, 캠편(4b)의 최대지름이 제2 면부(5b)에 맞닿는 경우이다. 즉, 도 12에서 언급한, 캠(4)의, 점 Fn으로부터 점 D에 이르기까지의 회전 범위(Fn-D 사이. 제2 회전 범위에 상당함. )에서 단자 압압 부재(5)를 제어하는 경우에, ON 상태로 할 수 있다. 점 D를 통과하면, 모든 단자(9)는 일제히 OFF 상태로 변화한다.
그리고 도 12의 캠(4)의 회전 범위(D-E 사이. 제1 회전 범위)에서 제어를 행하는 경우, 캠(4)은 제2 면부(5b)에 간섭하지 않고, 모든 단자 접속부가 OFF 한 상태로 된다.
이어서, 캠편(4b)의 돌출량이 d를 넘어, 최대 돌출량에 이르기까지의 E-F1 사이는, 스무스하게 캠편(4b)의 돌출량이 증대되어, 제1 면부(5a)와 통전 부재(6)와의 거리가 서서히 작아져 가는 반 닫힘 상태로 된다.
그리고 추가로 회전 조작부(1)를 회전시키면, F1-Fn 사이의 회전 범위(제3 회전 범위)에 있어서, 캠(4)의 회전에 따라서, 도 12의 지면 안쪽측의 캠편(4b)으로부터 바로 앞측을 걸쳐서 순서대로 ON 상태로 변화하고, 점 Fn에 있어서는, 모든 단자 압압 부재(5)가 ON 상태로 된다.
점 Fn을 통과하면, 모든 단자 압압 부재(5)가 일제히 OFF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단자(9)를 모두 떼어내는 경우는, Fn-D에 상당하는 캠편(4b)의 회전 범위에 있어서 단자 압압 부재(5)를 제어하면 된다.
또, 도 12에 캠(4)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것처럼, 캠(4)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상 가장 안쪽의 캠편(4b)의 점 F1이, 단자 압압 부재(5)에 맞닿을 때, 당해 캠(4)이 밀고 들어가는 단자 압압 부재(5)가 최초로 ON 상태로 되고, 지면상 가장 앞측의 캠편(4b)의 점 Fn이, 단자 압압 부재(5)에 맞닿을 때, 당해 캠(4)이 밀고 들어가는 단자 압압 부재(5)가 가장 늦게 ON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점 Fn에서 점 D까지의 동안에서, 단자 압압 부재(5)를 밀고 들어가는 동안, 모든 단자 압압 부재(5)가 ON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캠(4)의 캠편(4b) 형상에 따라서, 단자 접속부의 주구성부인 단자 압압 부재(5)의 제어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캠편(4b)의 형상은 예시한 것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예에서는, 단자 접속부가 모두 OFF인 상태에서, 한 개씩 순서대로 ON으로 변화시켜 모든 것을 ON 상태로 이행시키는 제어를 소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접속 단자부(단자 압압 부재(5))를 복수 개씩, 순서대로 OFF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로, 상술한 예에서는, 단자 접속부가 모두 ON인 상태에서, 모든 것을 일제히 OFF 상태로 이행시키는 제어를 소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OFF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캠(4)의 축부(4a)를 중심으로 한 회전 범위 중에, 제2 회전 범위로부터 제1 회전 범위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제4 회전 범위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캠(4)의 제4 회전 범위에 있어서의 단자 압압 부재(5)의 제어에 있어서, 일부의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측으로 눌러진 ON 상태로 되고, 나머지의 단자 압압 부재(5)가 통전 부재(6)측으로부터 이격된 OFF 상태로 되도록 제어된다.
일제히 모든 단자(9)를 단자대(101)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단자(9)에 연결되는 배선의 다발의 낙하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상기와 같이, 캠편(4b)에, 단계적으로 OFF 상태의 단자 접속부가 증가하는 제4 회전 범위를 마련하여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차례로 OFF 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 적어도 ON 상태의 제어 단자부가 하나는 남아 있기 때문에, 배선의 다발이 높은 곳으로부터 낙하하는 일이 없어, 작업시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도 8, 도 10에 예시한 캠(4)의 캠편(4b)은 점 B1…Bn, 점 D에 있어서 축부(4a)로부터의 돌출량이 크게 변화하여, 그 위치에 있어서 축부(4a)의 역회전을 억제시키는 구성이었지만, 캠편(4b)의 형상을 평활화했을 경우에는, 역회전에 의한 제어도 가능해져, 캠(4)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 형태를 자유롭게 조합하거나, 각 실시 형태를 적당히 변형,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8)

  1. 단자대의 베이스부에 마련된 통전(通電) 부재,
    상기 통전 부재에 접속되는 단자를,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 눌러서 접속시키는 단자 압압(押壓) 부재,
    상기 단자대의 내부에 마련되고, 축과, 상기 축에 고정되며, 상기 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축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단자 압압 부재의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의 압압 상태를 변화시키는 캠편(片)으로 이루어지는 캠을 구비하고,
    하나의 상기 통전 부재에 대해서, 하나의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캠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제1 회전 범위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부터 이격된 OFF 상태로 되도록 상기 단자 압압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회전 범위와는 상이한 제2 회전 범위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 눌러져 ON 상태로 되도록 상기 단자 압압 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은 일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상기 통전 부재와 평행하게 상기 축이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축에 고정된 복수의 상기 캠편을 구비하고,
    하나의 상기 단자 압압 부재에 대해서, 하나의 상기 캠편이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단자 압압 부재는, 상기 캠의 복수의 상기 캠편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3. 단자대의 베이스부에 마련된 통전 부재,
    상기 통전 부재에 접속되는 단자를,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 눌러서 접속시키는 단자 압압 부재,
    상기 단자대의 내부에 마련되고, 축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단자 압압 부재의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의 압압 상태를 변화시키는 캠을 구비하고,
    하나의 상기 통전 부재에 대해서, 하나의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캠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제1 회전 범위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부터 이격된 OFF 상태로 되도록 상기 단자 압압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회전 범위와는 상이한 제2 회전 범위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 눌러져 ON 상태로 되도록 상기 단자 압압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단자 압압 부재는 일단부에 핸들링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단자 압압 부재의 상기 핸들링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상기 단자 압압 부재를 OFF 상태로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의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범위 중에, 상기 제1 회전 범위로부터 상기 제2 회전 범위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제3 회전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캠의 상기 제3 회전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압압 부재의 제어에 있어서, 일부의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부터 이격된 OFF 상태로 되고, 나머지의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 눌러진 ON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캠의 상기 제3 회전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압압 부재의 제어에 있어서,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서, 복수의 상기 단자 압압 부재 중의 한 개씩이 차례로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를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 누르는 압압력은, 상기 단자 압압 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된 가압 부재에 의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를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 누르는 압압력은, 상기 캠에 의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는 상기 통전 부재와 접촉하는 제1 면부와, 상기 제1 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캠과의 접촉부를 구성하는 제2 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와의 접속 부분을 회동축으로 하여, 상기 캠과의 접촉 상태에 따라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는, 상기 회동축에 있어서,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단부가 각도를 가지고 맞대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가 이루는 각은 예각(銳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면부에는, 상기 캠을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는, 상기 제1 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통전 부재에 마련된 구멍부에 삽입 통과되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는 상기 제1 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단자의 표면을 압압하는, 상기 돌기부보다도 돌출량이 작은 단자 누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전 부재의 상기 단자와 접촉하는 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설치면에 수직이 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전 부재의 상기 단자와 접촉하는 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설치면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의 상기 축의 일단에 마련된 제1 베벨 기어, 상기 제1 베벨 기어에 연동하는 제2 베벨 기어, 상기 제2 베벨 기어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캠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회전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조작부는 상기 단자대의 외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7. 단자대의 베이스부에 마련된 통전 부재, 상기 통전 부재에 접속되는 단자를,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 눌러서 접속시키는 단자 압압 부재, 상기 단자대의 내부에 마련되고, 축과, 상기 축에 고정되며, 상기 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축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단자 압압 부재의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의 압압 상태를 변화시키는 캠편으로 이루어지는 캠을 구비하고, 하나의 상기 통전 부재에 대해서, 하나의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캠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제1 회전 범위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부터 이격된 OFF 상태로 되도록 상기 단자 압압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회전 범위와는 상이한 제2 회전 범위에 있어서, 상기 단자 압압 부재가 상기 통전 부재측으로 눌러져 ON 상태로 되도록 상기 단자 압압 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를 구성 요소로서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차단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상기 기중 차단기의 상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차단기.
KR1020170045256A 2016-12-20 2017-04-07 단자대 및 기중 차단기 KR101900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6154A JP2018101520A (ja) 2016-12-20 2016-12-20 端子台および気中遮断器
JPJP-P-2016-246154 2016-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915A KR20180071915A (ko) 2018-06-28
KR101900601B1 true KR101900601B1 (ko) 2018-09-19

Family

ID=6260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256A KR101900601B1 (ko) 2016-12-20 2017-04-07 단자대 및 기중 차단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8101520A (ko)
KR (1) KR101900601B1 (ko)
CN (1) CN108206338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9829A (ja) * 2008-04-15 2009-11-05 General Electric Co <Ge> 固定形回路遮断器用二次回路端子台の設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0637B2 (ja) * 1994-12-15 1998-04-15 日東工業株式会社 端子装置
JP2000048875A (ja) * 1998-04-22 2000-02-18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電線接続装置
KR100860530B1 (ko) 2007-07-12 2008-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차단기
JP5043697B2 (ja) * 2008-01-25 2012-10-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路遮断器
CN204315493U (zh) * 2015-01-30 2015-05-06 浙江天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微型断路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9829A (ja) * 2008-04-15 2009-11-05 General Electric Co <Ge> 固定形回路遮断器用二次回路端子台の設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01520A (ja) 2018-06-28
CN108206338B (zh) 2019-06-28
KR20180071915A (ko) 2018-06-28
CN108206338A (zh)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4192B2 (en) Terminal having a clamping spring
JP5059934B2 (ja) 4極配線用遮断器の回転ピン補正装置
US6531938B1 (en) 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 module
KR101900601B1 (ko) 단자대 및 기중 차단기
EP2869326B1 (de) Thermostateinheit
US20180131165A1 (en) Interlock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EP3242305A1 (en) Electrical enclosure, and switching assembly and transfer assembly therefor
CA2947944A1 (en) Connect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device
JP6066009B1 (ja) ガス絶縁開閉装置用操作器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絶縁開閉装置
US9773630B2 (en) Apparatus for remotely operating handle of circuit breaker
US20110308921A1 (en) Contact block with interlock
US20170138606A1 (en) Gas burner arrangement, cooktop and stove
JP2008010327A (ja) 接地型断路器
EP2064721B1 (de) Schaltgerät mit integriertem hauptstrombahn-abgriff
US11145479B2 (en) Electrical switchgear
EP2312602A1 (en) Gas insulated medium voltage switchgear
EP2889964A1 (en) Spring connection terminal with actuation lever
KR101193450B1 (ko) 습동부 밀착하중 균일화를 위한 가동접촉자 어셈블리
KR200478315Y1 (ko) 배선용차단기의 단자 기구
JP4854600B2 (ja) 接地用具
WO2023195045A1 (ja) 開閉装置
US11295877B2 (en) Potentiometer for controlling electrical circuits
US11557443B2 (en) Door handle coupler
KR101864762B1 (ko) 3 포지션 조작장치
KR101323606B1 (ko) 배선용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점 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