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707B1 - 베어링 취출기 - Google Patents

베어링 취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707B1
KR101899707B1 KR1020170008892A KR20170008892A KR101899707B1 KR 101899707 B1 KR101899707 B1 KR 101899707B1 KR 1020170008892 A KR1020170008892 A KR 1020170008892A KR 20170008892 A KR20170008892 A KR 20170008892A KR 101899707 B1 KR101899707 B1 KR 10189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earing
take
hammer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317A (ko
Inventor
탁준
김기선
Original Assignee
탁준
김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준, 김기선 filed Critical 탁준
Priority to KR1020170008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7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25D1/16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having the impacting head in the form of a sleeve slidable on a shaft, e.g. hammers for driving a valve or draw-off tube into a bar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 취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출기의 선단에 구비된 클램프는 베어링 내측으로 삽입된 후 간단한 조작으로 클램프가 베어링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베어링 취출기{Bearing Remover}
본 발명은 베어링 취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출기의 선단에 구비된 취출구는 베어링 내측으로 삽입된 후 간단한 조작으로 취출구가 베어링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하우징에 고착된 베어링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우징 또는 샤프트 등의 회전체에는 다양한 형태의 베어링이 설치되어 회전체를 지지함과 더불어 작동시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등의 회전체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됨으로, 회전체에 작용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베어링의 내부의 볼이나 롤러 등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어 새로운 베어링으로 교체 설치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새로운 베어링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으로부터 손상된 베어링을 분리하고 새로운 베어링을 결합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베어링은 통상 하우징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취출하기 위해 종래에는 베어링을 절단기나 정 등으로 절단하여 분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베어링을 절단하다보면 하우징의 손상되기 쉽고 작업이 매우 불편하므로 이를 취출해 내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기가 개발되어 등록 실용신안 제20-0144566호에 개시된 바있다.
상기 취출기는 소정길이로 이루어진 취출봉(1)의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한 원통형의 해머(7)가 설치되고, 상기 취출봉(1)의 선단에는 베어링에 결합되는 취출구가 결합되고, 타측 끝단에는 해머(6) 후퇴시 타격되는 스토퍼(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취출구는 취출봉(1)의 선단에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그 선단부가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클램프(2)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클램프(2)를 확장시키는 밀핀(3)과 상기 밀핀(3)을 후퇴시키는 스프링(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취출봉(1) 선단의 나사부에 취출구를 설치한 후 상기 취출구 선단의 클램프(2)를 취출하고자 하는 베어링에 삽입하고, 상기 취출봉(1)을 회전시키면 밀핀(3)이 전진하면서 클램프(2)를 벌려주어 그 선단의 걸림턱(2a)이 베어링의 내측면에 걸려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해머(6)를 취출봉(1)의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켜 취출봉(1) 끝단의 스토퍼(7)를 타격하게 되면 스토퍼(7)에 가해지는 타격력이 취출봉(1) 및 취출구를 통해 베어링에 전달되어 간편하게 베어링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취출기는 클램프(2)를 벌려 클램프(2)의 걸림턱(2a)이 베어링에 걸림될 만큼 취출봉(1)을 회전시켜줘야 하는데 이는 베어링이 하우징 내측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정확하게 클램프가 베어링에 고정결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취출기는 그 선단의 클램프가 베어링에 밀착 고정된 것이 아니라 클램프(2) 선단의 걸림턱(2a)에 베어링의 내측면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베어링을 취출하기 때문에 해머(6)에 의해 타격력이 전달되면 상기 클램프(2)의 걸림턱(2a)이 베어링의 내측면과 부딪히면서 가해지는 충격력으로 인하여 클램프(2)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취출기는 취출봉(1)과 해머(6) 이외에도 클램프(2)와 밀핀(3), 스프링(4), 케이싱 등으로 구성된 취출구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제조원가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취출기의 취출구를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면서도, 취출기의 간단한 동작으로 클램프가 벌어지면서 베어링에 고정결합됨은 물론 벌어진 클램프를 오므라들게 하여 클램프에 고정결합된 베어링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취출봉과 상기 취출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해머와, 상기 취출봉의 선단에는 뭉치가 구비되고, 상기 뭉치와 받침편 사이로 뭉치가 삽입되는 내공간이 구비되도록 클램프가 구비되고, 이때 클램프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다수 개의 확경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가 벌어졌다가 오므라들 수 있도록 외주연으로 결합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클램프를 하우징 내측으로 구비된 베어링의 내주연에 삽입하고, 취출봉의 후단으로 구비된 스토퍼의 후퇴되는 해머가 타격하게 되면 이 타격력이 취출봉을 통해 뭉치가 후퇴되고,
따라서 후퇴되는 뭉치의 경사면으로 인하여 받침편에 받침 된 클램프는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베어링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고정결합되고,
이때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해머를 전후방향으로 연속반복 이동하면서 스토퍼를 타격하면 베어링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받침편의 테두리에 구비된 수용부의 클램프 일단이 결합되고,
이때 클램프에 고정결합된 베어링을 분리하기 위하여, 해머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전단에 위치된 스토퍼의 타격을 가하면, 클램프의 내측으로 삽입된 뭉치만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뭉치가 분리된 클램프는 외주연의 결합된 탄성밴드로 인하여 오므라들게 되고 이는 클램프의 결합된 베어링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기의 클램프를 벌려주기 위한 별도의 밀핀을 사용하지 않고도, 취출구의 구조개선으로 쉽게 클램프의 벌어짐은 물론 오므라들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베어링 취출기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6 내지 9은 하우징에 결합된 베어링을 분리하는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취출기에 대해,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취출봉(10)과, 상기 취출봉(10)의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해머(70)가 구비되고, 상기 해머(70)가 취출봉(10)의 결합된 상태에서 단속될 수 있도록 취출봉(10)의 전단과 끝단에 스토퍼(12)가 구비되고, 이때 선단에 구비된 스토퍼(12a)의 이면으로 베어링(200)과 고정결합되는 취출구가 구비된 것이다.
이때 취출구는 취출봉(10) 선단의 결합되는 뭉치(30)와 상기 뭉치(30)가 삽입되는 내공간(20a)이 구비되도록 클램프가 구비되고, 이때 클램프(20)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다수 개의 확경편(21)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클램프(20)의 외주연으로 클램프(20)가 벌어졌다가 오므라들 수 있도록 탄성밴드(22)가 결합된 것이다.
또한 상기 뭉치(30)는 원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클램프(2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용이함은 물론 클램프(20)를 벌려주기 용이하도록 원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램프(20)의 내측으로 뭉치(30)가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클램프의 내공간(20a)은 상광하엽의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뭉치(30)가 삽입하면 할수록 클램프(20)가 외측으로 벌어지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클램프(20)의 확경편(21)은 두 개 또는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두 개로 이루어질 경우 베어링(200)의 중심과 동일한 축상으로 맞춰 고정결합하기 어려워 확경편(21)이 파손되기 싶고, 다섯 개 이상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경우 베어링(200)의 중심으로 동일한 축상으로 맞추기는 쉬우나 확경편(21)의 강도가 약해져 쉽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확경편(21)은 세 개 또는 네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를 하우징(300) 내측으로 구비된 베어링(200)의 내주연에 삽입하고, 취출봉(10)의 후단으로 구비된 스토퍼(12b)의 후퇴되는 해머(70)가 타격하게 되면 이 타격력이 취출봉(10)을 통해 뭉치(30)가 후퇴되고,
이때 후퇴되는 뭉치(30)는 클램프(20)의 내공간으로 삽입되면서 받침편(40)에 받침 된 클램프(20)는 외측방향으로 벌려지게 되어 베어링(200)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200)의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해머(70)를 전후방향으로 연속반복 이동하면서 스토퍼(12b)를 타격을 가하면 베어링(200)이 하우징(3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클램프(20)의 일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후렌지(20b)가 구비되고, 상기 후렌지(20b)의 측벽으로 고정밴드(2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띠 형상의 내입홈테(20c)가 구비되고, 이러한 내입홈테(20c)의 결합된 고정밴드(23)로 인하여 더 견고하게 취출봉(10)의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편(40)의 테두리로 수용부(42)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42)는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클램프(20) 후렌지(20b)가 상기 수용부(42)의 결합되는 것이다.
즉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된 베어링(200)을 클램프(2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해머(7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전단에 위치된 스토퍼(12a)를 타격하게 되면 타격력에 의해 클램프(20)의 후렌지(20b)가 받침편(40)에 단속되어 클램프(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던 뭉치(3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클램프(20)가 오므라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취출기(100)의 클램프(20)를 벌려주기 위한 별도의 밀핀을 구비하지 않고, 취출구의 구조를 개선으로 하나의 작동 방식으로 클램프(20)가 벌려져 베어링(200)에 고정결합되도록 하면서 하우징(300)에 고착된 베어링(20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된 베어링(200)은 클램프(20)에 위치되고 이때 클램프(20)에서 베어링(200)을 분리하기 위하여 벌어졌던 클램프(20)를 쉽게 오므라들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300) 내측에 고착된 베어링(200)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기(100)를 적용된 일 실시예로 도시하였으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샤프트와 같이 축으로 이루어진 외측으로 고착된 베어링(200)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기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취출봉 12:스토퍼
12a:전단 스토퍼 12b:후단 스토퍼
20:클램프 20a:내공간
20b:후렌지 20c:내입홈테
21:확경편 22:탄성밴드
23:고정밴드
30:뭉치
40:받침편 42:수용부
70:해머
100:취출기
200:베어링
300:하우징

Claims (7)

  1.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취출봉(10)과 상기 취출봉(10)의 상단에 뭉치(30)와 상기 뭉치(30)의 승강으로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진 내공간(20a)이 형성된 클램프(2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스토퍼(12)가 형성되고 ,상기 취출봉(10)에 형성된 클램프(20)와 스토퍼(12) 사이에 슬라이드 작동되어 클램프(20)와 스토퍼(12)를 타격하는 해머(70)가 장착되어 상기 해머(70)의 타격에 의해 뭉치(30)가 클램프(20)의 내공간(20a)으로 내입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클램프(20)가 벌어짐과 오므림으로 베어링(200)의 내주연과 밀착으로 고정되어 베어링(200)을 취출하는 베어링 취출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다수 개로 분할된 확경편(21)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원통형상으로 조립되고, 상기 확경편(21)의 하단에는 상하로 이격된 후렌지(20b)를 형성하여 상기 후렌지(20b) 사이에 내입홈테(20c)를 형성하여 상기 내입홈테(20c)와 상단의 후렌지(20b)에 고정밴드(23)를 이중으로 결합하여 조립된 확경편(21)이 분리되지 않도록 간단하게 조립되면서 베어링(200)의 취출을 위하여 승강되는 뭉치(30)에 의해 다수 개로 분할 조립된 확경편(21)으로 이루어진 클램프(20)가 고정밴드(23)의 탄성력으로 벌어짐과 오므림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해머(70)의 슬라이드 작동만으로 베어링(200)의 취출이 용이하게 작동되고,
    다수 개의 상기 확경편(21)이 조립된 클램프(20)의 하단에는 해머(70)의 타격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켜 파손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조립된 클램프(20)가 분해되지 않도록 보강해주는 받침편(4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취출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08892A 2017-01-18 2017-01-18 베어링 취출기 KR10189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92A KR101899707B1 (ko) 2017-01-18 2017-01-18 베어링 취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92A KR101899707B1 (ko) 2017-01-18 2017-01-18 베어링 취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317A KR20180085317A (ko) 2018-07-26
KR101899707B1 true KR101899707B1 (ko) 2018-10-04

Family

ID=6304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892A KR101899707B1 (ko) 2017-01-18 2017-01-18 베어링 취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9085B (zh) * 2018-09-30 2021-02-26 东营仁合石油机械设备有限公司 撞击装置
CN109604558B (zh) * 2018-12-28 2020-12-11 肇庆鸿泰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模具顶针拔出装置
KR102482709B1 (ko) * 2022-07-11 2022-12-30 (주)한신엔지니어링 베어링 분리 툴 어셈블리
KR102599501B1 (ko) * 2023-02-07 2023-11-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직펌프 베어링 지지대 인출장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67Y1 (ko) * 2001-05-03 2001-10-12 김영권 베어링 착탈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67Y1 (ko) * 2001-05-03 2001-10-12 김영권 베어링 착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317A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707B1 (ko) 베어링 취출기
KR200456403Y1 (ko) 앵커볼트
US20190118364A1 (en) Percussion tool
CN104781049B (zh) 工具机
KR970703226A (ko) 손잡이식 천공기계, 특히 해머드릴용의 공구홀더 및, 공구홀더를 갖는 손잡이식 천공기계(Tool holder for a handhold type boring machine, in particular hammer drill, and handhold type boring machine including the tool holder)
US20170225312A1 (en) Tent peg hammer assembly
KR100869138B1 (ko) 맨드렐 척
US20090236867A1 (en) Apparatus facilitating the collection of marker cones
US4183133A (en) Hinge pintle removal tool
US20140259584A1 (en) End Effector
KR200239767Y1 (ko) 베어링 착탈기
JP5150286B2 (ja) カートリッジ押圧部材及びカートリッジ装着治具
KR100975718B1 (ko) 분리식 헤드를 구비한 망치
DE102017209924A1 (de) Handwerkzeugmaschine und Werkzeugvorsatz
BG109958A (bg) Ударен механизъм за електрически преносими ударно-пробивни машини
KR100597248B1 (ko) 볼트 헤드부 성형용 고정장치
US20210245270A1 (en) Hole saw assembly
KR102565259B1 (ko) 간접활선 작업용 타격공구
US7485055B1 (en) String clamping device
JP7079475B2 (ja) 拡径孔部の穿孔装置
US3341213A (en) Tool holder
CN210790820U (zh) 石墨轴承拆卸工具
KR101785281B1 (ko)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
CN220747903U (zh) 可伸缩pe把手
CN218324319U (zh) 一种淋浴房拉手及一种淋浴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