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850B1 - 벽면 조경용 화분 - Google Patents

벽면 조경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850B1
KR101898850B1 KR1020180039426A KR20180039426A KR101898850B1 KR 101898850 B1 KR101898850 B1 KR 101898850B1 KR 1020180039426 A KR1020180039426 A KR 1020180039426A KR 20180039426 A KR20180039426 A KR 20180039426A KR 101898850 B1 KR101898850 B1 KR 10189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water
block
flow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평
이애순
Original Assignee
전태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5936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988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전태평 filed Critical 전태평
Priority to KR102018003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Abstract

벽면 조경용 화분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낱장의 종이 시트들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전면과 뒷면 방향으로 교대로 연속 반복적인 파형으로 돌출된 서로 대응되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하여 오목부가 사각면체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어긋나 교차되고 그 교차 지점에 접착제로 접촉되는 접촉면을 형성하고 틈새를 형성하는 복수의 종이 시트들이 연속 반복적으로 적층된 종이 화분블럭; 및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벽면에 형성된 홈;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상부에서 물을 급수하여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종이 시트들을 적셔주는 급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면 조경용 화분{Flowerpot for wall gardening}
본 발명은 벽면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물을 흡수한 후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식물을 생육시키는 화분은 주로 집안 관상용 또는 공기정화용으로 사용되는데, 사용시 재배되는 식물에 따라 화분의 종류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공통적으로 화분을 사용할 경우 화분을 바닥에 놓거나 거치대 등을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화분을 설치할 공간이 필요하다. 이와 다르게 화분을 바닥에 놓지 않고 벽에 걸거나 매달아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장소에 간단히 놓을 수 있도록 제안된 종이화분이 알려져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847949호 및 제10-1286949호에는 종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화분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 바, 종이화분은 세라믹 계열 재료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화분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사용 후 폐기시에도 자연분해 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이로 만든 화분은 수분을 흡수하였다가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잦은 물 공급에 따른 번거로운 불편을 해결하고 실내에서 가습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습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종이 화분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볼록하고 오목한 형상이 교대로 반복되는 종이 시트를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고, 교차점을 매개로 물이 종이블록 내부에서 확산되도록 하여 심어진 식물의 뿌리로 수분을 공급해주도록 한 종이로 만든 화분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돌출형 종이 시트로 이루어지는 종이 화분은 물을 공급하면 바로 흘러내려 종이에 흡수되거나 확산 되는 유량이 적고 이렇게 흡수되지 않은 물은 그대로 중력 방향으로 배수되어 별도의 방수 처리용 받침대를 필요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47949호(공고일 2008년07월22일)
특허문헌 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86949호(공고일 2013년07월2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을 흡수한 후 식물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낱장의 종이 시트들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전면과 뒷면 방향으로 교대로 연속 반복적인 파형으로 돌출된 서로 대응되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하여 오목부가 사각면체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어긋나 교차되고 그 교차 지점에 접착제로 접촉되는 접촉면을 형성하고 틈새를 형성하는 복수의 종이 시트들이 연속 반복적으로 적층된 종이 화분블럭; 및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벽면에 형성된 홈;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상부에서 물을 급수하여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종이 시트들을 적셔주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낱장의 종이 시트의 볼록부에 적층되는 상대측 종이 시트의 오목부가 직각으로 교차 접촉하여 접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이 시트에 형성되는 볼록부와 오목부의 직각 교차 접촉은 종이 화분의 변형을 억제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홈은, 바닥 수평면을 기준으로 30 내지 50도의 기울기 둠으로써, 식물의 낙하와 중력 방향 쳐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홈에 심어지는 식물의 뿌리와 홈 사이에는 부직포, 천, 스폰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2차 흡수층을 구비함으로써, 홈의 주변부의 물을 흡입력으로 모아서 식물 생육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급수부는, 종이 화분블럭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조,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상부에 설치된 분배판, 상기 분배판에 물을 급수하는 분배관 및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하여 유로를 통해 상기 분배관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함으로써, 회수된 물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종이 화분블럭의 상부에서 고르고 균일한 분포로 종이 화분블럭을 적셔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분배판은, 부직포, 천, 스폰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됨으로써, 급수되는 물을 종이 화분블럭에 고르고 균일한 분포로 급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종이 화분블럭을 셀 단위로 구성하고, 셀 단위의 종이 블럭화분을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가로세로 방향으로 복수로 정렬함으로써, 벽면 사이즈에 대응되는 자유로운 사이즈의 조경 화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은, 종이 화분블럭의 상부로부터 균일한 분포로 수분을 지연 시차를 두고 급수하도록 하여 종이 시트에 물을 고르게 흡수 확산시킨 후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물의 급수 잦은 급수 없이 식물 생육에 필요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은, 벽면 사이즈에 맞추어 종이 화분블럭을 셀 단위로 제작한 후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가로세로 방향으로 복수로 정렬함으로써, 벽면 사이즈에 대응되는 자유로운 사이즈의 조경 화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의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의 표면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의 급수부가 구성된 평면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을 구성하는 낱장 종이 시트의 적층 상태의 예시이다.
도 5는 도 4의 벽면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을 구성하는 종이 화분블럭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을 구성하는 종이 화분블럭에 식물이 식목된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 화분블럭에 형성되는 기울기 홈의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 화분블럭에 형성되는 기울기 홈에 식물을 식목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을 구성하는 종이 화분블럭의 단위 셀 배치의 예시이다.
(a)는 가로세로 사이즈가 대등한 종이 화분블럭의 적층 및 배치 상태의 예시이다.
(b)는 가로에 비해 세로 사이즈가 긴 장방형 종이 화분블럭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c)는 세로에 비해 가로 사이즈가 긴 장방형 종이 화분블럭의 적층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 화분블럭이 벽면 조경용 화분으로 설치된 상태의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은, 종이 화분블럭의 상부로부터 균일한 분포로 수분을 지연 시차를 두고 물을 급수하도록 하여 종이 시트에 물을 고르게 흡수 확산시킨 후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하고, 벽면 사이즈와 설치 환경에 맞추어 종이 화분블럭을 셀 단위로 제작한 후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가로세로 방향으로 정렬하여 벽면 사이즈에 대응되는 사이즈의 조경 화분으로 간단히 제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의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의 표면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의 급수부가 구성된 평면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을 구성하는 낱장 종이 시트의 적층 상태의 예시이다. 도 5는 도 4의 벽면 구조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은, 낱장의 종이 시트(110)(120)들은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면과 뒷면 방향으로 교대로 연속 반복적인 파형으로 돌출된 서로 대응되는 볼록부(111)(121)와 오목부(112)(122)를 포함하며, 볼록부와 오목부는 볼록부(111)(121)에 대하여 오목부(112)(122)가 사각면체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어긋나 교차되고 그 교차 지점에 접착제로 접촉되는 접촉면(P1)을 형성하고 틈새를 형성하는 복수의 종이 시트들이 연속 반복적으로 적층된 종이 화분블럭(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은, 종이 화분블럭(100)의 벽면에 형성된 홈(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은, 종이 화분블럭(100)의 상부에서 종이 화분블럭(100)에 형성되는 틈새를 포함하여 층을 이루는 종이 시트들을 적셔주는 급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을 구성하는 종이 화분블럭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이 화분블럭(100)은 낱장의 종이 시트들을 접착시킨 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서로 대면하는 4장의 종이 시트들 중 2장의 종이 시트를 도면 부호 '110'과 '120'으로 구분하여 종이 화분블럭(100)을 구성하는 종이 시트의 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2장의 종이 시트(110)(120)를 포함하여 종이 시트의 층구조를 형성하는 모든 낱장의 종이 시트들은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면과 뒷면 방향으로 교대로 연속 반복적인 파형으로 돌출된 볼록부(111)(121)와 오목부(112)(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종이 시트들을 층 구조로 접착시켜 구성되는 종이 화분블럭(100)은 도 4에 도시된 2장의 종이 시트(110)(120)와 같이 서로 대응되어 접착시켜서 구성될 수 있다.
낱장의 종이 시트들에 형성되는 볼록부(111)(121)와 오목부(112)(122)는 볼록부(111)(121)에 대하여 오목부(112)(122)가 사각면체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사선 방향으로 어긋나 상호 연속 반복적으로 교차하도록 낱장의 종이 시트들을 적층시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낱장의 종이 시트의 볼록부에 적층되는 대응되는 종이 시트의 오목부가 직각 방향으로 접촉하여 접촉면(P1)을 형성하는 예로 나타나 있다. 낱장의 종이 시트의 볼록부에 적층되는 대응되는 종이 시트의 오목부를 직각으로 접촉시키도록 접촉면(P1)을 형성하는 경우 직각 접촉이 아닌 경우에 비해 종이 시트의 변형을 줄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면(P1)은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관련 없이 전면과 뒷면 방향으로 돌출된 선단면이 접촉하게 되므로 각각의 돌출 종단 표면이 평면인 경우를 제외하면 점 접촉으로 접촉면(P1)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첨부된 도면은 접촉면(P1)이 면접촉 보다는 점접촉에 가까운 접촉을 이루고 있는 예를 대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낱장의 종이 시트(110)(120)의 접착 강도를 증가시키려면 접촉면(P1)을 형성하는 볼록부와 오목부의 돌출 표면 자체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나 낱장의 종이 시트(110)(120)들을 접착시켜 접촉면(P1)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낱장의 종이 시트(110)의 오목부(112)에 대응되는 다른 낱장의 종이 시트(120)의 볼록부(122)를 접촉시켜 접촉면(P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접촉면(P1)에는 접착제(미도시)를 스며들게 하거나 또는 돌출된 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낱장의 시트(110)(120)들의 접착면(P1)을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연속 반복적인 종이 시트들을 층 구조로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종이 시트들이 적층된 종이 화분블럭(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을 구성하는 종이 화분블럭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을 구성하는 종이 화분블럭에 식물이 식목된 예시이다.
종이 화분블럭(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되는 종이 시트의 전면 표면을 따라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홈(200)을 가공하여 종이 화분(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종이 화분블럭(100)의 전면 벽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구멍을 내어 홈(200)을 갖는 종이 화분블럭(100)으로 구성한 예이다.
종이 화분블럭(100)에 형성되는 홈(200)은 토사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고 이곳을 통해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한다. 홈(200)은 종이 화분블럭(100)의 벽면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므로 물을 상부에서 공급하면 급수되는 물이 홈(200)까지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다. 종이 화분블럭(100)에 형성되는 볼록부와 오목부의 층 구조는 틈새가 확보되므로 상부 방향의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하면 홈(200)의 주변부까지 쉽게 도달될 수 있다. 이렇게 상부 방향에서 홈(200)에 공급되는 물은 직접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지 않더라도 종이 시트에 흡수되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낱장의 종이 시트의 볼록부에 대응되는 종이 시트의 오목부를 접촉시켜 접촉면(P1)을 형성하고 접착제로 접착시켜 적층 하는 경우 바람직한 접착제로는 아교 또는 아교풀(animal glue)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교 또는 아교풀은 동물 및 어류의 뼈에서 추출된 성분이므로 다른 접착제들에 비해 충분한 접착 강도를 가지며 검증된 무해성이 있고, 토양에 분해되어 친환경적 종이 화분을 제조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 화분블럭에 형성되는 기울기 홈의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 화분블럭에 형성되는 기울기 홈에 식물을 식목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 블럭화분(100)에 형성되는 홈(2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향 기울기 30 내지 50도의 기울기 두는 경우 식물의 낙하와 중력 방향 쳐짐 및 더 나아가 수분의 낙하를 방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5도 내외의 각도가 식물의 낙하와 쳐짐을 방지하는 바람직한 각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 블럭화분(100)에 형성되는 홈(200)과 식물 사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 천, 스폰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2차 수분 흡수층(350)을 구비함으로써, 홈(200)의 주변부의 물을 흡입력으로 모아서 식물 생육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2차 수분 흡수층(350)은 바람직하게는 함수율이 높으면서도 식물의 뿌리를 감싸아 간단히 홈(200)에 식모할 수 있는 부직포가 바람직한 소재로 선택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을 구성하는 급수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3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 화분블럭을 벽면 조경용 화분으로 배치하고 급수부가 설치된 상태의 예시이다.
급수부는, 종이 화분블럭(100)의 하부에 수조(500)를 구비할 수 있다. 캐비넷(C)을 설치하는 경우 수조(500)는 캐비넷(C)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조(500)는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받을 수 있도록 전면부로 일부가 돌출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00)의 윗면은 종이 화분블럭(100)의 틈새를 따라 낙하되는 물을 수조(500) 안으로 보내는 유도 플레이트(5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유도 플레이트(510)에는 다수의 드레인 홀(520)들을 두어 낙하되는 물을 수조(500) 안으로 유도할 수 있다.
급수부는, 종이 화분블럭(100)의 상부에 분배판(300)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배판(300)은 급수되는 물을 종이 화분블럭(100)의 상부(윗면)에 고르고 균일한 분포로 급수할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도 급수되는 물을 머금고 있다가 종이 화분블럭(100)의 상면을 따라 하부로 지연 시차를 두면서 서서히 확산되면서 종이 시트를 적시도록 유도한다.
분배판(300)으로는 종이 화분블럭(100)의 상면을 가릴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갖는 부직포를 종이 화분블럭(100)의 상면에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직포를 대신하여 천 또는 스폰지를 종이 화분블럭(100)의 상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다.
급수부는, 분배판(300)에 물을 급수하는 분배관(400) 및 수조(500)의 물을 펌핑하여 유로(531)를 통해 분배관(400)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배관(400)은 다수의 노즐(410)을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노즐(410)을 구비하는 분배관(400)은 노즐(410)을 통해 분배판(300)에 고르고 균일한 유량으로 물을 급수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의 급수부는,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조(500)로 받아 펌프(530)의 펌핑력으로 유로(531)를 통해 상부의 종이 화분블럭(100)까지 분배관(400)을 보낸 뒤 분배판(300)으로 다시 급수하는 물 순환 시스템으로 운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을 구성하는 종이 화분블럭의 단위 셀 배치의 예시이다.
(a)는 가로세로 사이즈가 대등한 종이 화분블럭의 적층 및 배치 상태의 예시이다. (b)는 가로에 비해 세로 사이즈가 긴 장방형 종이 화분블럭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c)는 세로에 비해 가로 사이즈가 긴 장방형 종이 화분블럭의 적층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조경용 화분은 도 11의 (a)(b)(c)의 대표적 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에 벽면(600) 사이즈에 맞추어 종이 화분블럭(100)을 셀 단위로 제작한 후 벽면 조경용 화분을 구성한 예로서, 가로(L1) 또는 세로(L2), 또는 가로/세로(L1)(L2) 방향으로 복수로 정렬함으로써, 벽면 사이즈에 대응되는 자유로운 사이즈의 벽면 조경 화분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으로 나타낸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종이 화분블럭 110.120: 종이 시트
111.121: 볼록부 112.122: 오목부
200: 홈 300: 분배판
350: 2차 수분 흡수층 400: 분배관
410: 노즐 500: 수조
510: 유로 플레이트 520: 드레인 홀
530: 펌프 531: 유로
600: 벽면

Claims (7)

  1. 낱장의 종이 시트들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전면과 뒷면 방향으로 교대로 연속 반복적인 파형으로 돌출된 서로 대응되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하여 오목부가 사각면체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어긋나 교차되고 그 교차 지점에 접착제로 접촉되는 접촉면을 형성하고 틈새를 형성하는 복수의 종이 시트들이 연속 반복적으로 적층된 종이 화분블럭; 및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상부에 설치된 분배판은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상부에서 물을 균일한 분포로 급수하여 지연시차를 두고 하부로 서서히 확산되면서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종이 시트들을 적셔주는 급수부;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벽면에 형성된 홈(200); 상기 홈에 심어지는 식물의 뿌리와 홈 사이에는 상기 식물의 뿌리를 감싸는 부직포, 천, 스폰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2차 수분 흡수층(350)이 구비된, 벽면 조경용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낱장의 종이 시트들의 볼록부에 적층되는 상대측 종이 시트의 오목부가 직각으로 교차 접촉하여 접촉면이 형성된, 벽면 조경용 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바닥 수평면을 기준으로 30 내지 50도의 기울기를 갖는, 벽면 조경용 화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종이 화분블럭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조, 상기 분배판에 물을 급수하는 분배관 및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하여 유로를 통해 상기 분배관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부직포, 천, 스폰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벽면 조경용 화분.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블럭화분이 셀 단위이고, 상기 셀 단위의 종이 블럭화분이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가로세로 방향으로 복수로 정렬된, 벽면 조경용 화분.
KR1020180039426A 2018-04-04 2018-04-04 벽면 조경용 화분 KR10189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26A KR101898850B1 (ko) 2018-04-04 2018-04-04 벽면 조경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26A KR101898850B1 (ko) 2018-04-04 2018-04-04 벽면 조경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850B1 true KR101898850B1 (ko) 2018-09-13

Family

ID=6359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426A KR101898850B1 (ko) 2018-04-04 2018-04-04 벽면 조경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8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147A (ko) * 2019-03-29 2019-04-17 전태평 공기 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
KR102103575B1 (ko) 2019-09-19 2020-04-23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모듈식 플랜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KR20200073732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갖춘 공조시스템
WO2021042138A1 (de) * 2019-09-07 2021-03-11 Tremmel Katharina Vertikales begrünungssystem zum tragen und bewässern von pflanzen
CN112840995A (zh) * 2021-01-13 2021-05-28 王和法 一种发酵谷壳制造林业用育苗基质装置及基质制备方法
KR102284174B1 (ko) 2021-01-05 2021-07-29 전태평 벽면 조경용 종이화분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49B1 (ko) 2007-01-26 2008-07-22 김용규 펄프몰드 종이화분 제조방법
KR20120014528A (ko) * 2010-08-09 2012-02-1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KR101286949B1 (ko) 2011-02-14 2013-07-23 경기도 분화작물용 친환경 종이화분
KR101538125B1 (ko) * 2014-09-04 2015-07-22 김성길 종이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49B1 (ko) 2007-01-26 2008-07-22 김용규 펄프몰드 종이화분 제조방법
KR20120014528A (ko) * 2010-08-09 2012-02-1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KR101286949B1 (ko) 2011-02-14 2013-07-23 경기도 분화작물용 친환경 종이화분
KR101538125B1 (ko) * 2014-09-04 2015-07-22 김성길 종이화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732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갖춘 공조시스템
KR102143486B1 (ko) * 2018-12-14 2020-08-11 대한민국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갖춘 공조시스템
KR20190040147A (ko) * 2019-03-29 2019-04-17 전태평 공기 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
KR102160879B1 (ko) * 2019-03-29 2020-09-28 전태평 공기 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
WO2021042138A1 (de) * 2019-09-07 2021-03-11 Tremmel Katharina Vertikales begrünungssystem zum tragen und bewässern von pflanzen
KR102103575B1 (ko) 2019-09-19 2020-04-23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모듈식 플랜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KR102284174B1 (ko) 2021-01-05 2021-07-29 전태평 벽면 조경용 종이화분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112840995A (zh) * 2021-01-13 2021-05-28 王和法 一种发酵谷壳制造林业用育苗基质装置及基质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850B1 (ko) 벽면 조경용 화분
EP0155143B1 (en) Watering system for areas for the growth of plants
US5974735A (en) Sodding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sodding
US20140370238A1 (en) System for Forming a Vegetative Textile Element
KR102098487B1 (ko)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종이화분 조립체
KR20140122514A (ko) 식생고정 프레임과 섬유질토양매트를 이용한 식생판 및 이를 이용한 입체녹화 구조물
JP2007074970A (ja) 植栽基盤用トレイおよび植栽基盤材
KR101982449B1 (ko) 공기 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
KR101187406B1 (ko) 이끼 패널과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JP2001505065A (ja) シート状の植生用物体
KR101218111B1 (ko)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JP2010017161A (ja) 壁面緑化パネル
JP6992278B2 (ja) 植栽基盤及び緑化装置
JPH0937663A (ja) 植木鉢ユニット
KR20100031184A (ko)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
KR20080101533A (ko) 장식용 식재장치
KR102057618B1 (ko) 종이 화분
JP5231134B2 (ja) 壁面緑化パネルとこれを用いた壁面緑化構造
JPH11289864A (ja) 屋上法面等緑化植栽パネル化工法
JP7369076B2 (ja) 植栽基盤及び緑化パネル
CN213603370U (zh) 一种生态建筑墙面绿化系统
JP5830322B2 (ja) 植物栽培用具及び植物栽培法
KR101187405B1 (ko)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KR20240059050A (ko) 벽체에 설치되는 식생구조체
KR101218385B1 (ko)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화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49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802

Effective date: 2020042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417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527

Effective date: 2020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