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267B1 -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267B1
KR101898267B1 KR1020170052638A KR20170052638A KR101898267B1 KR 101898267 B1 KR101898267 B1 KR 101898267B1 KR 1020170052638 A KR1020170052638 A KR 1020170052638A KR 20170052638 A KR20170052638 A KR 20170052638A KR 101898267 B1 KR101898267 B1 KR 101898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xed
product
movable
hexahed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복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에이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5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10Devices for clamping workpieces of a particular form or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과, 고정측 받침블럭과, 이동측 받침블럭 및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각 받침블럭은 제품을 면접촉으로써 파지되도록 하여 그 파지시 흠집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이로 인한 흠집 제거를 위한 또 다른 면삭 공정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한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육면체 블럭의 각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러한 가공시 야기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jig assembly for processing an hexahedron type blocks}
본 발명은 지그 어셈블리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육면체 블럭의 각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러한 가공시 야기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각종 장비용 부품의 경우 화학 약품에도 그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면서도 매우 우수한 가공 정밀도로 제공되어야 함과 더불어 표면 손상이 없어야만 하는 부품이 많이 사용된다.
예컨대, 반도체의 제조시 냉각 유체의 공급 유동을 안내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피팅조인트(첨부된 도 1 참조)(10)의 경우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육면체의 블럭형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1)의 표면 및 이 몸체부(11)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여타 유로관로에 연결되는 연결관(12)의 표면이 매우 정밀하게 가공되어야 함과 더불어 이러한 몸체부(11)의 외표면에는 기스 등의 흠집이 존재하지 않아야만 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피팅 조인트와 같은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경우는 각 표면의 가공을 위해 서로 마주보는 두 면을 척(chuck) 혹은, 클램프(clamp)가 서로 대향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파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파지면에 가압으로 인해 야기되는 흠집이 잔존할 수밖에 없었고, 이로써 각 표면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면 별도의 표면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연마를 수행하여야만 하였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53051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8592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29938호, 등록특허 제10-0340604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피팅조인트(10)와 같은 소형의 육면체 블럭형 제품을 가공하기 위해 다수의 장비가 순차적으로 제공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비싸질 뿐 아니라 각 가공을 위한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53051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8592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29938호 등록특허 제10-0340604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육면체 블럭의 각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러한 가공시 야기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적어도 어느 한 부위가 육면체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제품의 표면 면삭 가공을 위한 지그 어셈블리에 있어서, 평면의 상측 표면을 제공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측 표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육면체 블럭 중 어느 한 모서리 및 이 모서리를 기점으로 서로 인접한 두 벽면의 일부를 면접촉으로 받쳐주도록 고정측 모서리홈이 요입 형성된 고정측 받침블럭; 상기 테이블의 표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육면체 블럭 중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에 의해 받쳐지는 어느 한 모서리와는 반대측의 다른 한 모서리 및 이 모서리를 기점으로 서로 인접한 두 벽면의 일부를 면접촉으로 받쳐주도록 이동측 모서리홈이 요입 형성된 이동측 받침블럭;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은 그의 이동측 모서리홈이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의 고정측 모서리홈과 대칭되게 위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측 모서리홈을 향해 이동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의 고정측 모서리홈의 모서리 및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의 이동측 모서리홈의 모서리에는 상하로 관통된 회피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육면체 블럭의 모서리가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 및 이동측 받침블럭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 및 이동측 받침블럭의 저면은 상기 테이블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 및 이동측 받침블럭의 높이는 상기 육면체 블럭의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 및 이동측 받침블럭은 육면체 블럭의 각 표면 중 적어도 1/3 이상의 면적에 접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는 제품의 가공된 면에 면접촉으로 밀착되면서 가압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품의 가공된 면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이로써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는 회피홈에 따른 구성과 각 받침블럭을 제품과 차이나는 높이로 형성함에 따라 머시닝센터를 이용하는 가공 도중 제품의 각 모서리 부위에 대한 면취 작업 역시 함께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수작업에 의한 면취 작업이 아닌 자동화된 공정에 의한 면취 작업이 수행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받침블럭의 모서리 부위와 제품의 모서리 부위가 서로 만나는 접촉에 의한 손상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는 제품의 어느 한 면을 밀면서 고정측 받침블럭에 밀착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이웃한 두 면을 동시에 밀면서 고정측 받침블럭의 고정측 모서리홈 내에 해당 제품의 모서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안착 불량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피팅조인트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를 나타내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가공 방법에 의한 각 과정별 제품을 설명하기 위해 각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를 이용한 단순한 육면체 블럭을 가공하기 위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가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가공 방법에 의해 가공되는 육면체 블럭형 제품은 육면체의 블럭형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1) 및 이 몸체부(11)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여타 유로관로에 연결되는 연결관(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첨부된 도 1의 피팅조인트(10)임을 그 예로 제시한다.
또한, 실시예의 설명 중 피팅조인트(10)의 가공을 위해 제공되는 소재와 원소재는 가공 순서에 따라 변동되는 형상만 일부 다를 뿐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써, 그 모두를 제품이라 칭하며, 도면 부호는 100번으로 통일하여 작성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를 나타내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이하, “지그 어셈블리”라 함)는 크게 테이블(210)과, 고정측 받침블럭(220)과, 이동측 받침블럭(230) 및 구동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각 받침블럭(220,230)은 제품(육면체 블럭, 원소재)(100)을 면접촉으로써 파지되도록 하여 그 파지시 흠집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이로 인한 흠집 제거를 위한 또 다른 면삭 공정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테이블(210)은 제품(100)이 얹히면서 해당 제품(100)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작업을 진행하도록 제공되는 영역이다.
이와 같은 테이블(210)은 베이스프레임(도시는 생략되)의 상면에 얹히면서 평면의 상측 표면을 제공하는 정반(定盤)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은 제품(100)의 어느 한 측 모서리를 받쳐주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고정측 받침블럭(220)은 상기 테이블(21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에는 상기 제품(100) 중 어느 한 모서리 및 이 모서리를 기점으로 서로 인접한 두 벽면의 일부를 면접촉으로 받쳐주도록 두 받침면(222,223)을 갖는 고정측 모서리홈(221)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모서리홈(221)은 제품(100)의 이동 방향측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의 고정측 모서리홈(221)의 모서리 부위에는 상하로 관통된 회피홈(224)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품(100)의 모서리가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품(100)이 후술될 이동측 받침블럭(230)에 의한 가압력을 제공받아 이동될 때 해당 제품(100)의 모서리와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을 이루는 고정측 모서리홈(221)의 모서리가 서로 정확히 일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품(100)의 모서리가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 발생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회피홈(224)의 추가 형성을 통해 전술된 모서리 부위의 손상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의 저면이 상기 테이블(210)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의 높이는 상기 제품(100)의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품(100)이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 및 이동측 받침블럭(230)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이러한 두 받침블럭(220,230)의 상측으로 상면 및 그 둘레의 일부가 동시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품(100)의 상면에 대한 면삭 가공 및 상면 둘레에 대한 면취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의 두 받침면(222,223)은 제품(100)의 각 표면 중 적어도 1/3 이상의 면적에 접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당 면의 전 부위로 가압력이 분산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품(100)의 특정 부위로 하중이 집중되면서 해당 부위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은 제품(100)의 다른 한 측 모서리(고정측 받침블럭이 받쳐주는 측 모서리와는 반대측의 모서리)를 받쳐주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이동측 받침블럭(230)은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에는 상기 제품(100) 중 다른 한 모서리 및 이 모서리를 기점으로 서로 인접한 두 벽면의 일부를 면접촉으로 받쳐주도록 두 받침면(232,233)을 갖는 이동측 모서리홈(231)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측 모서리홈(231)의 모서리 부위는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의 고정측 모서리홈(221)와는 대향되는 측에 위치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그 이동 방향 역시 상기 이동측 모서리홈(231)이 상기 고정측 모서리홈(221)을 향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의 이동측 모서리홈(231)의 모서리에는 상하로 관통된 회피홈(234)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품(100)의 모서리가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 역시 해당 모서리에 제품(100)의 모서리가 정확히 일치되지 않은 상태로 가압되면서 찌그러지는 손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의 저면은 상기 테이블(210)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의 높이는 상기 제품(100)의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품(100)이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 및 이동측 받침블럭(230)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상면 및 그 둘레의 일부가 동시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품(100)의 상면에 대한 면삭 가공 및 상면 둘레에 대한 면취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의 두 받침면(232,233)은 제품(100)의 각 표면 중 적어도 1/3 이상의 면적에 접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면접촉되는 면의 적어도 1/3이상 부위로 가압력이 분산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품(100)의 특정 부위로 하중이 집중되면서 해당 부위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구동부(240)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구동부가 유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유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진 구동부(240)의 구동에 의해 이동측 받침블럭(230)의 이동측 모서리홈(231)이 고정측 받침블럭(220)의 고정측 모서리홈(221)을 향해 정확히 수평 이동되면서 견고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빠른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 어셈블리에 대한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면체 블럭형 제품을 이루는 피팅조인트(10)는 최초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략 ‘ㄱ’자 형상의 주물 상태로 이루어진 제품(100)으로 제공된 후 선반 가공을 통해 일차적인 가공이 이루어진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일차적인 가공이라 함은 제품(100)의 몸체부(11) 중 서로 대칭되는 두 파지면(111,112)을 파지한 상태로 씨앤씨(CNC) 선반에서 인덱스(index) 가공을 통해 가공되며, 이러한 가공을 통해 상기 파지된 두 파지면(111,112)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면을 공차 범위내로 성형된 상태이다. 이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첨부된 도 9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저면도이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1차 가공된 제품(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 어셈블리에 고정 설치된다.
즉, 첨부된 도 2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1차 가공된 제품(100)을 테이블(210) 상의 고정측 받침블럭(220) 및 이동측 받침블럭(230) 사이에 안착시킨다.
이의 상태에서 구동부(240)인 유공압실린더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의 이동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러한 이동측 받침블럭(2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품(100)은 고정측 받침블럭(220)과 이동측 받침블럭(230)에 파지된다.
이때, 상기 제품(100)은 그의 네 둘레면이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220)의 두 받침면(222,223) 및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의 두 받침면(232,233)에 각각 면접촉되면서 파지된다.
특히,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은 그의 이동측 모서리홈(231)이 고정측 받침블럭(220)의 고정측 모서리홈(221)을 향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230)과 고정측 받침블럭(220) 사이에 제품(100)이 방향성에 관계없이 투입된다 하더라도 상기 제품(100)의 서로 대각되는 두 모서리는 상기 각 받침블럭(220,230)의 각 모서리홈(221,231)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각 받침블럭(220,230)의 각 모서리홈(221,231)에는 회피홈(224,234)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 받침블럭(220,230)에 의한 제품(100)의 파지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품(100)의 각 모서리 부위에 대한 손상 발생은 방지된다.
전술된 과정에 의해 제품(100)은 지그 어셈블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될 수 있으며, 이후 머시닝센터는 미리 입력된 동작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가공툴(도시는 생략됨)이 각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해당 제품(100)의 미가공된 상태로 상부로 노출된 어느 한 파지면(111)을 정밀 가공한다.
특히 상기한 파지면(111)의 가공시에는 해당 파지면(111)의 둘레측 모서리에 대한 면취 가공 역시 함께 수행하며, 이러한 면취 가공은 상기 제품(100)이 상기 각 받침블럭(220,230)으로부터 더욱 상측으로 돌출되게 노출됨에 따라 가능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각 회피홈(224,234)을 통해 면취용툴(250)를 삽입시킴으로써 해당 부위에 위치된 제품(100)의 둘레측 모서리에 대한 면취 가공도 함께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구동부(240)의 동작 제어를 통한 이동측 받침블럭(230)의 후퇴 이동을 통해 제품(100)을 자유롭게 한 다음 상기 제품(100)의 미가공된 또 다른 파지면(112)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뒤집은 후 상기 구동부(240)의 재동작에 의한 이동측 받침블럭(230)의 전진 이동을 통해 제품(100)을 재차 구속하며, 계속해서 상기 과정으로 상부로 노출된 다른 한 파지면(112)을 가공한다.
따라서, 전술된 각 과정을 통해 제품(100)의 둘레면 및 두 파지면(111,112)에 대한 모든 정밀 가공이 완료되며, 이러한 각 면의 가공이 완료되더라도 해당 제품(100)의 각 표면에는 그 파지를 위한 흔적이 전혀 존재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하나의 피팅조인트(10)가 완성된다.
결국, 본 발명의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는 제품(100)의 가공된 면에 면접촉으로 밀착되면서 가압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품(100)의 가공된 면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이로써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는 회피홈(224,234)에 따른 구성과 각 받침블럭(220,230)을 제품(100)과 차이나는 높이로 형성함에 따라 머시닝센터를 이용하는 가공 도중 제품(100)의 각 모서리 부위에 대한 면취 작업 역시 함께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수작업에 의한 면취 작업이 아닌 자동화된 공정에 의한 면취 작업이 수행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받침블럭(220,230)의 모서리 부위와 제품(100)의 모서리 부위가 서로 어긋나게 만나는 접촉에 의한 손상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는 제품(100)의 어느 한 면을 밀면서 고정측 받침블럭(220)에 밀착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품(100)의 이웃한 두 면을 동시에 밀면서 고정측 받침블럭(220)의 고정측 모서리홈(221) 내에 해당 제품(100)의 모서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100)의 안착 불량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피팅조인트(10)의 가공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데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육면체 블럭형의 제품에 대한 면삭 가공 및 면취 가공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용이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10. 피팅조인트 11. 몸체부
12. 연결관 100. 제품
111,112. 파지면 210. 테이블
220. 고정측 받침블럭 221. 고정측 모서리홈
230. 이동측 받침블럭 231. 이동측 모서리홈
222,223,232,233. 받침면 224,234. 회피홈
240. 구동부 250. 면취용툴

Claims (5)

  1.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적어도 어느 한 부위가 육면체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제품의 표면 면삭 가공을 위한 지그 어셈블리에 있어서,
    평면의 상측 표면을 제공하도록 정반(定盤)으로 이루어진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측 표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육면체 블럭 중 어느 한 모서리 및 이 모서리를 기점으로 서로 인접한 두 벽면의 일부를 면접촉으로 받쳐주도록 고정측 모서리홈이 요입 형성된 고정측 받침블럭;
    상기 테이블의 표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육면체 블럭 중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에 의해 받쳐지는 어느 한 모서리와는 반대측의 다른 한 모서리 및 이 모서리를 기점으로 서로 인접한 두 벽면의 일부를 면접촉으로 받쳐주도록 이동측 모서리홈이 요입 형성된 이동측 받침블럭;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 및 이동측 받침블럭의 저면은 상기 테이블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 및 이동측 받침블럭의 높이는 상기 육면체 블럭의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 및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의 각 부위 중 상기 육면체 블럭의 각 모서리가 위치되는 부위에는 상하로 관통된 회피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육면체 블럭의 각 모서리가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 및 이동측 받침블럭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측 받침블럭은 그의 이동측 모서리홈이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의 고정측 모서리홈과 대칭되게 위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측 모서리홈을 향해 이동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받침블럭 및 이동측 받침블럭은 육면체 블럭의 각 표면 중 적어도 1/3 이상의 면적에 접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KR1020170052638A 2017-04-25 2017-04-25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KR101898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638A KR101898267B1 (ko) 2017-04-25 2017-04-25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638A KR101898267B1 (ko) 2017-04-25 2017-04-25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267B1 true KR101898267B1 (ko) 2018-09-13

Family

ID=6359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638A KR101898267B1 (ko) 2017-04-25 2017-04-25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7533A (zh) * 2019-07-23 2019-11-26 同济大学 具有在线检测功能的立方体反射镜超精密车削加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121A (ja) * 2003-06-24 2005-01-20 Honda Motor Co Ltd 被加工物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121A (ja) * 2003-06-24 2005-01-20 Honda Motor Co Ltd 被加工物保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7533A (zh) * 2019-07-23 2019-11-26 同济大学 具有在线检测功能的立方体反射镜超精密车削加工方法
CN110497533B (zh) * 2019-07-23 2021-03-26 同济大学 具有在线检测功能的立方体反射镜超精密车削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703685U (zh) 一种机械自动化加工固定夹具
KR101877501B1 (ko)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입체가공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입체가공방법
KR101898267B1 (ko)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CN215510021U (zh) 一种斜面快速定位装置
JP2017170551A (ja) 全自動ドリル装置
KR20110117867A (ko) 글라스 커버 가공용 센터링 지그
KR20170009060A (ko) 터닝 센터의 소재 교환 장치
US11241771B2 (en) Auto-positioning hydraulic pneumatic fixture
CN105195798A (zh) 三头四工位钳子刃口错位加工铣床及其夹具
CN210435728U (zh) 5g通讯滤波器盖板快速定位互换工装
KR101884889B1 (ko)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취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CN213531735U (zh) 基于零点定位器的异形件快换精度调整装置
JPH05177377A (ja) レーザ切断および/または溶接装置
US11872664B2 (en) Technological equipment for tank track moving supports
CN113333803A (zh) 一种大型工件的一面两销定位工装
KR20180118982A (ko)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가공 방법
CN211681691U (zh) 一种机械加工用夹具
KR101608041B1 (ko) 대형 디스크제품 가공보조용 지그장치
KR101794091B1 (ko)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
KR200475774Y1 (ko) 절삭 가공용 바이스
CN209811741U (zh) 夹持治具
CN214418230U (zh) 一种加工箱体类工件的通用夹具
WO2023077362A1 (en) Fixture and method of clamping a plurality of frame-shaped workpieces
JP2021191604A (ja) 加工機のゼロ点位置決め機構
KR0173295B1 (ko) 플렉시블 생산 시스템에서의 팰릿 공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