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091B1 -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091B1
KR101794091B1 KR1020170073219A KR20170073219A KR101794091B1 KR 101794091 B1 KR101794091 B1 KR 101794091B1 KR 1020170073219 A KR1020170073219 A KR 1020170073219A KR 20170073219 A KR20170073219 A KR 20170073219A KR 101794091 B1 KR101794091 B1 KR 101794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ortion
body plate
edge
wrench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명
Original Assignee
박양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명 filed Critical 박양명
Priority to KR102017007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04B35/522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0Aspects relating to the preparation, properties or mechanical treatment of green bodies or pre-forms
    • C04B2235/612Mach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 넓이를 가진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된 바디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1엣지부; 상기 제1엣지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반대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2엣지부;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면을 제1구역과 제2구역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1엣지부 및 상기 제2엣지부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분할턱; 각각 상기 제1엣지부에 나합되어 상기 제1엣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렌치볼트; 각각 상기 제2엣지부에 나합되어 상기 제2엣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렌치볼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고 바(bar) 형태로 형성된 보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가공용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 {JIG FOR PROCESSING GRAPHITE AND METHOD FOR PROCESSING GRAPHI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흑연은 고온환경에서 열변형이나 산화가 적으면서도 성형성이 뛰어나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복잡한 형상을 요구하는 공작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금형가공분야에서 금형 내 정밀하고 복잡한 형상을 구현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금형가공분야 등에 있어 흑연은 통상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는 원재료를 가공기를 통해 필요한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하나의 공작물을 대상으로 이와 같은 가공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뤄지다 보니 가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금형가공의 경우 상당히 작은 크기의 흑연 공작물을 다수개 가공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각 공작물을 하나씩 가공기에 투입하여 가공이 이뤄지다 보니 가공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복수의 공작물을 가공기로 한번에 투입하기 위해 임시적인 고정수단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고정수단은 복수의 지지편 등을 각 가공조건에 맞게 용접 접합하여 공작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임시적인 고정수단은 각 공작물의 규격에 따라 분해 및 재조립하는 과정이 요구되어 작업상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공작물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뤄지지 못해 경우에 따라서는 가공 불량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공작물을 고정 지지하여 가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의 공작물에 대응 가능하여 호환성이 우수한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 넓이를 가진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된 바디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1엣지부; 상기 제1엣지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반대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2엣지부;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면을 제1구역과 제2구역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1엣지부 및 상기 제2엣지부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분할턱; 각각 상기 제1엣지부에 나합되어 상기 제1엣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렌치볼트; 각각 상기 제2엣지부에 나합되어 상기 제2엣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렌치볼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고 바(bar) 형태로 형성된 보조블록;을 포함하는 흑연 가공용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정 넓이를 가진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된 바디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1엣지부; 상기 제1엣지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반대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2엣지부;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면을 제1구역과 제2구역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1엣지부 및 상기 제2엣지부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분할턱; 각각 상기 제1엣지부에 나합되어 상기 제1엣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렌치볼트; 및 각각 상기 제2엣지부에 나합되어 상기 제2엣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렌치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 플레이트는, 상기 상면에 복수의 레일홈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레일홈은, 각각 상기 제1엣지부 또는 상기 제2엣지부와 직교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렌치볼트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렌치볼트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레일홈에 체결되어 각각 상기 각 레일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드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블록은, 각각 소정의 좌우 폭을 가지고, 상기 각 레일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1슬라이드블록; 및 각각 상기 각 제1슬라이드블록의 좌우 폭보다 소정정도 큰 좌우 폭을 가지고, 상기 각 레일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2슬라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가공용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흑연 가공용 지그에 복수의 공작물을 배치하여 고정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흑연 가공용 지그를 가공기로 투입하여 상기 각 공작물을 소정 형상으로 가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연 가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은, 복수의 공작물을 흑연 가공용 지그에 배치 및 고정하여 가공기에 투입함으로써, 복수의 공작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은, 분할턱을 통해 상이한 좌우 폭의 제1, 2구역을 형성하고, 제1, 2렌치볼트를 통해 각 공작물을 고정 지지할 수 있으며, 보조블록이나 슬라이드블록을 통해 공작물의 다양한 크기나 규격에 대응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호환성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연 가공용 지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흑연 가공용 지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흑연 가공용 지그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흑연 가공용 지그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연 가공용 지그(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용 지그(100)는 바디 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는 대략 소정 넓이를 가진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는 전후 및 좌우로 소정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디 플레이트(110)는 상면(111) 및 하면(112)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의 상면(111)에는 가공을 위한 공작물이 배치될 수 있다. 공작물은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의 평면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의 재질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틸(steel)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는 일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제1엣지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디 플레이트(110)는 제1엣지부(120)와 대응되도록 반대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제2엣지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바디 플레이트(110)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 모서리에 각각 제1, 2엣지부(120, 1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엣지부(120)는 바디 플레이트(110)의 좌측 모서리에, 제2엣지부(130)는 바디 플레이트(110)의 우측 모서리에 도시되고 있다. 바람직하게, 제1, 2엣지부(120, 130)는 바디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2엣지부(120, 130)는 바디 플레이트(110) 상면(111)에 배치된 공작물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2엣지부(120, 130)는 위치가 일부 상이할 뿐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1엣지부(120)를 중심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엣지부(120)는 바디 플레이트(110) 상면(111)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엣지부(120)는 소정의 횡단면을 가지고 바디 플레이트(110)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제1엣지부(120)는 대략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제1엣지부(120)는 내측면(121) 및 외측면(122)을 구비할 수 있다. 내측면(121)은 바디 플레이트(110)의 내측 또는 제2엣지부(130)를 향해 배치된 면을 지칭하며, 외측면(122)은 그 반대면을 지칭한다.
제1엣지부(120)는 내측면(121) 및 외측면(122)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나사공(12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나사공(123)에는 후술할 제1렌치볼트(150)가 나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나사공(123)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나사공(123)은 제1엣지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엣지부(120)에 총 6개의 제1나사공(123)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2엣지부(130)는 상술한 제1엣지부(12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엣지부(130)는 제1엣지부(120)에 대향하는 반대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나사공(133)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제2나사공(133)에는 후술할 제2렌치볼트(160)가 나합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는 제1엣지부(120)와 제2엣지부(130) 사이에 형성된 분할턱(140)을 구비할 수 있다. 분할턱(140)은 바디 플레이트(110) 상면(111)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횡단면을 가지고 제1엣지부(120) 또는 제2엣지부(130)와 대략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분할턱(140)은 대략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분할턱(140)은 제1엣지부(120)를 향해 배치된 제1측면(141)과, 제1측면(141) 반대측에서 제2엣지부(130)를 향해 배치된 제2측면(142)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할턱(140)은 바디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분할턱(140)은 제1엣지부(12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제2엣지부(13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분할턱(140)은 바디 플레이트(110) 상면(111)을 제1구역(S1)와 제2구역(S2)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1구역(S1)은 분할턱(140)과 제1엣지부(120) 사이의 구역을 지칭하며, 제2구역(S2)은 분할턱(140)과 제2엣지부(130) 사이의 구역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 분할턱(140)은 제1구역(S1)의 좌우 폭(W1)과 제2구역(S2)의 좌우 폭(W2)이 상이하도록 제1, 2엣지부(120, 130) 사이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분할턱(140)이 제1엣지부(120)에 좀 더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구역(S1)의 좌우 폭(W1)이 제2구역(S2)의 좌우 폭(W2)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1, 2구역(S1, S2) 간의 상이한 좌우 폭(W1, W2)은 보다 다양한 규격의 공작물이 바디 플레이트(110)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바디 플레이트(110) 상면(111)에는 다수의 미세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 플레이트(110) 일측에는 상기의 미세공(113)과 연통되어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주입구(114)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에어주입구(114)를 통해 압축공기가 주입되면, 상면(111)에 마련된 다수의 미세공(113)을 통해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분사된 압축공기는 이물질 제거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미세공(113)을 통해 압축공기가 분사됨으로써, 바디 플레이트(110)의 상면(111) 등에 잔여하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용 지그(100)는 제1렌치볼트(150) 및 제2렌치볼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치볼트(150)는 제1나사공(123)에 나합될 수 있으며, 제2렌치볼트(160)는 제2나사공(133)에 나합될 수 있다. 제1, 2렌치볼트(150, 160)는 복수개의 제1, 2나사공(123, 133)에 대응되도록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2나사공(123, 133)이 각각 6개씩 구비되고 있는바, 제1, 2렌치볼트(150, 160) 또한 이에 대응되는 각각 6개씩 구비되고 있다.
도 1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제2렌치볼트(160)는 바디 플레이트(110)에 배치된 공작물 또는 후술할 보조블록(170)을 접촉 지지하는 단부(161)를 구비할 수 있다. 단부(161)는 바디 플레이트(110)의 내측 또는 분할턱(140)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부(161)는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구형의 단부(161)는 접촉면적을 줄여 공작물 등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구형의 단부(161)는 후술할 보조블록(170)의 가이드홈(173)에 안착되어 보조블록(170) 등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렌치볼트(150) 또한 상술한 제2렌치볼트(16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반구형의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용 지그(100)는 보조블록(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블록(170)은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 바디 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되어 공작물이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보조블록(170)은 일종의 끼움편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보조블록(170)은 소정의 횡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조블록(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소정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단, 보조블록(170)은 필요에 따라 바디 플레이트(110)의 상면(111)에 안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 2엣지부(120, 130), 분할턱(140) 등과 달리 바디 플레이트(110)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조블록(17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보조블록(170)은 길이(L1, L2) 또는 폭(E1, E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작물의 규격에 따라 필요한 보조블록(170)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 폭(E1, E2)이 상이하게 형성된 2개의 보조블록(170)을 예시하고 있다.
보조블록(170)은 제1측면(171)과 그 반대면인 제2측면(17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측면(172)에는 대략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가이드홈(17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73)은 전술한 제1, 2렌치볼트(150, 160)의 반구형 단부(161)에 대응된다. 제1측면(171)에는 대략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접촉돌기(174)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돌기(174)는 공작물 등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2렌치볼트(150, 160)의 반구형 단부(161)와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홈(173)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홈(173)은 보조블록(170)의 제2측면(172)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가이드홈(173)은 복수의 제1렌치볼트(150) 또는 복수의 제2렌치볼트(160)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제1렌치볼트(150)가 이격된 간격(Q1) 또는 복수의 제2렌치볼트(160)가 이격된 간격(Q2)과 동일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가이드홈(173)이 이격된 간격(Q3), 복수의 제1렌치볼트(150)가 이격된 간격(Q1) 및, 복수의 제2렌치볼트(160)가 이격된 간격(Q2)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접촉돌기(174) 또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접촉돌기(174)는 보조블록(170)의 제1측면(171)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홈(173)과 대응되도록 복수의 가이드홈(173) 간 간격(Q3)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블록(170)은 자석부재(175)를 구비할 수 있다. 자석부재(175)는 보조블록(17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틸 재질로 형성된 바디 플레이트(110) 상면(111)에 자성 결합되어 보조블록(170)의 지지력을 보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흑연 가공용 지그(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용 지그(100)는 복수의 공작물(M)을 바디 플레이트(110) 상면(111)에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공작물(M)은 상이한 규격을 가진 것이라도 무방하며, 제1, 2렌치볼트(150, 160) 및 보조블록(170)의 사용을 통해 각 규격의 공작물(M)이 바디 플레이트(11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공작물(M)은 바디 플레이트(110) 상면(111)의 제1구역(S1) 또는 제2구역(S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구역(S1)의 좌우 폭(W1)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바, 제1구역(S1)에는 작은 규격의 공작물(M)이 제2구역(S2)에는 상대적으로 큰 규격의 공작물(M)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대적으로 큰 제2구역(S2)에는 보조블록(170)을 사용하여 매우 작은 크기의 공작물(M)이 복수개 배치될 수도 있다. 작업자는 이와 같이 작업조건에 따라 복수의 공작물(M)을 바디 플레이트(110)에 배치하게 된다.
배치된 공작물(M)은 제1, 2렌치볼트(150, 160)에 의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보조블록(170)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라 좀 더 설명하면, 제1구역(S1)에 배치된 공작물(M)은 제1렌치볼트(150)의 단부가 공작물(M) 일측을 접촉 지지함에 따라 바디 플레이트(11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작물(M)의 반대측은 분할턱(140)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좀 더 큰 규격의 공작물(M)은 제2구역(S2)에서 제2렌치볼트(160)를 통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제1, 2렌치볼트(150, 160)의 반구형 단부는 공작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접촉 부위에 이물질이 개재되지 않도록 한다.
제2구역(S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보조블록(170)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보조블록(170)은 제2렌치볼트(160)와 공작물(M) 사이에 배치되거나, 인접한 공작물(M) 사이에 배치되어 각 공작물(M)의 규격이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공작물(M)이 바디 플레이트(110)에 적절히 고정 지지되면, 흑연 가공용 지그(100)는 공작물(M)의 가공을 위한 가공기(미도시)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각 공작물(M)은 가공기 내에서 기 설계된 형상으로 절삭 가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종래와 유사하나,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용 지그(100)가 사용됨에 따라 복수의 공작물(M)이 한꺼번에 가공기에 투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공 속도나 작업 효율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흑연 가공용 지그(200)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용 지그(200)는 바디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210)는 제1엣지부(220), 제2엣지부(230) 및 분할턱(2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의 바디 플레이트(110)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디 플레이트(210)는 상면(211)에 레일홈(21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의 바디 플레이트(110)와 구별된다. 레일홈(215)은 분할턱(240)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레일홈(215)은 바디 플레이트(120) 상면(211)에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레일홈(215)은 바디 플레이트(210)의 상면(211)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일부 구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레일홈(215)은 제1구역(S1) 및 제2구역(S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레일홈(215)은 상대적으로 좌우 폭이 넓게 형성된 제2구역(S2)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이 레일홈(215)이 제2구역(S2)에 마련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확보된 제2구역(S2)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레일홈(215)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레일홈(215)은 바디 플레이트(210)의 상면(211)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레일홈(215)의 개수는 제1렌치볼트(250) 또는 제2렌치볼트(25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레일홈(215)의 위치는 각각의 제1렌치볼트(250) 또는 제2렌치볼트(26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6개씩의 제1, 2렌치볼트(250, 260)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6개의 레일홈(215)이 제2구역(S2)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 바디 플레이트(210)의 상면(211)에는 각 레일홈(215)을 따라 눈금부(216)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눈금부(216)는 바디 플레이트(210)에 배치된 공작물이나 후술할 슬라이드블록(28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렌치볼트(250, 260)를 통한 위치 조정 또한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용 지그(200)는 제1렌치볼트(250) 및 제2렌치볼트(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렌치볼트(250, 260)는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어 제1, 2엣지부(220, 230)에 나합될 수 있으며, 반구형의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렌치볼트(250, 260)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1, 2렌치볼트(150, 16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용 지그(200)는 슬라이드블록(28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블록(280)은 레일홈(215)에 체결되어 레일홈(215)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블록(280)은 레일홈(215)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레일홈(215)에 2개씩의 슬라이드블록(280)이 구비되어 총 12개의 슬라이드블록(280)이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블록(280)은 전술한 실시예의 보조블록(170)을 대체할 수 있다.
슬라이드블록(280)은 하나의 레일홈(215)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레일홈(215)에 슬라이드블록(280)이 2개씩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편의상, 각 레일홈(215)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슬라이드블록(281)은 제1슬라이드블록(281)으로 지칭하고, 우측에 배치된 슬라이드블록(282)은 제2슬라이드블록(282)으로 지칭한다. 이에 의하면, 슬라이드블록(280)은 제1, 2슬라이드블록(281, 28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레일홈(215)에 마련된 복수의 제1슬라이드블록(281) 및 제2슬라이드블록(282)은 각각 하나의 블록셋트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각 레일홈(215)에 마련된 6개의 제1슬라이드블록(281)은 제1블록셋트(B1)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레일홈(215)에 마련된 6개의 제2슬라이드블록(282)은 제2블록셋트(B2)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슬라이드블록(28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드블록(281)은 분할턱(240)을 향하는 제1측면(281a)과 그 반대면인 제2측면(281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측면(281a)에는 대략 반구형의 돌기(281c)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측면(281b)에는 대응되는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홈(281d)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281c) 및 홈(281d)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보조블록(170)에 형성된 접촉돌기(174) 및 가이드홈(173)과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돌기(281c) 및 홈(281d)은 제1슬라이드블록(281)과 제2슬라이드블록(282) 간 결합을 안내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즉,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 좌우로 배치된 제1슬라이드블록(281)과 제2슬라이드블록(282)을 겹쳐 공작물 지지에 사용하는 경우, 제1슬라이드블록(281)에 형성된 홈(281d)에 제2슬라이드블록(282)에 형성된 돌기(282c)가 안착되어 제1, 2슬라이드블록(281, 282) 간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제2슬라이드블록(282) 또한 전술한 제1슬라이드블록(281)과 유사하게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제1측면에 돌기(282c) 및 반대면인 제2측면에 홈(282d)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1슬라이드블록(281)과 제2슬라이드블록(282)은 좌우 폭(T1, T2)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슬라이드블록(281)의 좌우 폭(T1)이 제2슬라이드블록(282)의 좌우 폭(T2)에 비해 작게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 폭(T1, T2)이 상이한 제1, 2슬라이드블록(281, 282)은 보다 다양한 크기의 공작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제1슬라이드블록(281)과 제2슬라이드블록(282)은 외면이 상이한 색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좌우 폭(T1)을 가지는 제1슬라이드블록(281)은 외면이 제1색상으로 표시되고, 그보다 좌우 폭(T2)이 크게 형성된 제2슬라이드블록(282)은 상기의 제1색상과 상이한 제2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색 구분은 각 슬라이드블록(281, 282)의 규격을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흑연 가공용 지그(2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용 지그(200)는 전술한 실시예의 흑연 가공용 지그(100)와 유사하게 복수의 공작물(M)을 바디 플레이트(210) 상에 배치하여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용 지그(200)는 전술한 보조블록(170)의 기능을 슬라이드블록(280)을 통해 대체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공작물(M)의 크기나 규격에 따라 제1슬라이드블록(281) 또는 제2슬라이드블록(282)을 적절히 선택하여 공작물(M)을 바디 플레이트(210) 상에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제1, 2슬라이드블록(281, 282)이 좌우로 겹쳐져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들의 흑연 가공용 지그(100, 200)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흑연 가공용 지그(100, 200)에 복수의 공작물(M)을 배치시켜 고정 지지하는 단계와, 복수의 공작물(M)이 고정 지지된 흑연 가공용 지그(100, 200)를 가공기에 투입하여 각 공작물(M)을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흑연 가공방법에 있어 복수의 공작물을 흑연 가공용 지그(100, 200)에 고정 지지하는 단계는 전술한 바 있으며, 각 공작물(M)을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는 종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흑연 가공용 지그(100, 200)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은, 복수의 공작물(M)을 흑연 가공용 지그(100, 200)에 배치 및 고정하여 가공기에 투입함으로써, 복수의 공작물(M)에 대한 가공작업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흑연 가공용 지그(100, 200)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은, 분할턱(140, 240)을 통해 상이한 좌우 폭(W1, W2)의 제1, 2구역(S1, S2)을 형성하고, 제1, 2렌치볼트(150, 160, 250, 260)를 통해 각 공작물(M)을 고정 지지할 수 있으며, 보조블록(170)이나 슬라이드블록(280)을 통해 공작물(M)의 다양한 크기나 규격에 대응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호환성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흑연 가공용 지그 110: 바디 플레이트
120: 제1엣지부 130: 제2엣지부
140: 분할턱 150: 제1렌치볼트
160: 제2렌치볼트 170: 보조블록
200: 흑연 가공용 지그 210: 바디 플레이트
220: 제1엣지부 230: 제2엣지부
240: 분할턱 250: 제1렌치볼트
260: 제2렌치볼트 280: 슬라이드블록

Claims (5)

  1. 소정 넓이를 가진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된 바디 플레이트(110);
    상기 바디 플레이트(110)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1엣지부(120);
    상기 제1엣지부(120)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110)의 반대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2엣지부(130);
    상기 바디 플레이트(110)의 상면(111)을 제1구역(S1)과 제2구역(S2)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1엣지부(120) 및 상기 제2엣지부(130)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분할턱(140);
    각각 상기 제1엣지부(120)에 나합되어 상기 제1엣지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렌치볼트(150);
    각각 상기 제2엣지부(130)에 나합되어 상기 제2엣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렌치볼트(160);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110)의 상기 상면(111)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L1, L2) 및 폭(E1, E2)을 가지고 바(bar) 형태로 형성된 보조블록(170);을 포함하되,
    상기 바디 플레이트(110)는, 상기 상면(111)에 복수의 미세공(113)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복수의 미세공(113)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주입구(114)가 마련되고,
    상기 분할턱(140)은, 상기 제1구역(S1)의 좌우 폭(W1)이 상기 제2구역(S2)의 좌우 폭(W2)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1엣지부(120) 및 상기 제2엣지부(1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 플레이트(110), 상기 제1엣지부(120), 상기 제2엣지부(130) 및 상기 분할턱(140)은, 스틸(steel) 재질로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1렌치볼트(150) 및 상기 제2렌치볼트(160)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110) 내측을 향해 배치된 단부(161)가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블록(170)은, 제1측면(171) 및 상기 제1측면(171)의 반대면인 제2측면(172)을 구비하되, 상기 제1측면(171)에는 각각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의 접촉돌기(174)가 상기 보조블록(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측면(172)에는 각각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복수의 가이드홈(173)이 상기 보조블록(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하면에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110)의 상기 상면(111)에 자성 결합되는 자석부재(175)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가공용 지그.
  2. 삭제
  3. 소정 넓이를 가진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된 바디 플레이트(210);
    상기 바디 플레이트(210)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1엣지부(220);
    상기 제1엣지부(220)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210)의 반대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2엣지부(230);
    상기 바디 플레이트(210)의 상면(211)을 제1구역(S1)과 제2구역(S2)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1엣지부(220) 및 상기 제2엣지부(230)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분할턱(240);
    각각 상기 제1엣지부(220)에 나합되어 상기 제1엣지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렌치볼트(250); 및
    각각 상기 제2엣지부(230)에 나합되어 상기 제2엣지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렌치볼트(260);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 플레이트(210)는, 상기 상면(211)에 복수의 레일홈(215)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레일홈(215)은, 각각 상기 제1엣지부(220) 또는 상기 제2엣지부(230)와 직교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렌치볼트(250) 또는 상기 복수의 제2렌치볼트(26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레일홈(215)에 체결되어 각각 상기 각 레일홈(215)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드블록(28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블록(280)은,
    각각 소정의 좌우 폭(T1)을 가지고, 상기 각 레일홈(215)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1슬라이드블록(281); 및
    각각 상기 각 제1슬라이드블록(281)의 좌우 폭(W1)보다 소정정도 큰 좌우 폭(W2)을 가지고, 상기 각 레일홈(215)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2슬라이드블록(282);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플레이트(210)는, 상기 각 레일홈(215)을 따라 표시된 눈금부(216)를 구비하고,
    상기 제1렌치볼트(250) 및 상기 제2렌치볼트(260)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210) 내측을 향해 배치된 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블록(281) 및 상기 제2슬라이드블록(282)은, 제1측면(281a) 및 상기 제1측면(281a)의 반대면인 제2측면(281b)을 구비하되, 상기 제1측면(281a)에는 반구형의 돌기(281c)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281b)에는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홈(281d)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블록(281) 및 상기 제2슬라이드블록(282)은, 외면이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가공용 지그.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3 중 어느 한 항의 흑연 가공용 지그에 복수의 공작물(M)을 배치하여 고정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흑연 가공용 지그를 가공기로 투입하여 상기 각 공작물(M)을 소정 형상으로 가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연 가공방법.
KR1020170073219A 2017-06-12 2017-06-12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 KR101794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219A KR101794091B1 (ko) 2017-06-12 2017-06-12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219A KR101794091B1 (ko) 2017-06-12 2017-06-12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091B1 true KR101794091B1 (ko) 2017-11-06

Family

ID=6038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219A KR101794091B1 (ko) 2017-06-12 2017-06-12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99B1 (ko) * 2021-01-29 2021-04-30 김득일 씨엔씨 가공용 방전전극홀더의 고정지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567Y1 (ko) 2007-04-20 2007-09-10 김화연 와이어 방전 가공용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567Y1 (ko) 2007-04-20 2007-09-10 김화연 와이어 방전 가공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99B1 (ko) * 2021-01-29 2021-04-30 김득일 씨엔씨 가공용 방전전극홀더의 고정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93885B1 (en) Punching apparatus for stamp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993821B2 (en) Manufacturing cell using tooling apparatus
KR101794091B1 (ko) 흑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흑연 가공방법
JP2004209638A (ja) ツーリング装置
JP4575662B2 (ja) 金属加工用モジュール式ツーリング装置
US20090020937A1 (en) Vise understop
JP5096717B2 (ja) ワーク取付具及びワークの加工方法
CN215510021U (zh) 一种斜面快速定位装置
US8408527B2 (en) Multiple jaw vis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12635038U (zh) 一种汽车塑料样件cnc铣削工装
CN109079527A (zh) 定位结构及具有其的机床
CN203696815U (zh) 一种t型槽工装夹具
CN101913094B (zh) 与数控机床工作台连接的多功能基础板
KR200488840Y1 (ko) T홈 커버
KR101518404B1 (ko) 공작기계용 바이스
KR101898267B1 (ko)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삭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KR101884889B1 (ko) 육면체 블럭형 제품의 면취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CN105436932A (zh) 一种通用快速装夹夹具
KR20190057597A (ko) 공작기계용 지그 어셈블리
KR20150053482A (ko) 씨엔씨 가공 방전전극 지그장치
KR101716383B1 (ko) 터보팬 엔진 안내날개의 제조방법
KR200475774Y1 (ko) 절삭 가공용 바이스
KR102115339B1 (ko) 절삭가공물 집합체 고정지그
JPH0723151Y2 (ja) 両頭フライス盤用のワークのクランプ装置
KR20220106909A (ko) 푸쉬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