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465B1 -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 Google Patents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465B1
KR101897465B1 KR1020160175982A KR20160175982A KR101897465B1 KR 101897465 B1 KR101897465 B1 KR 101897465B1 KR 1020160175982 A KR1020160175982 A KR 1020160175982A KR 20160175982 A KR20160175982 A KR 20160175982A KR 101897465 B1 KR101897465 B1 KR 10189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automobile
glare
filtering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401A (ko
Inventor
박재욱
문명성
이봉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6017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465B1/ko
Priority to US16/349,376 priority patent/US11499697B2/en
Priority to EP17884142.5A priority patent/EP3561377A4/en
Priority to PCT/KR2017/001341 priority patent/WO2018117330A1/ko
Publication of KR2018000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F21S41/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08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pecial conditions, e.g. adverse weather, type of road, badly illuminated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preventing the driver from being dazz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5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5Piper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55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70Prevention of harmful light lea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6Vehicle at a stop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는, LED 모듈에서 표출되는 광원 중,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흡수/차단 함으로써, S/P ratio를 제어하여 눈부심 방지 및 불쾌 글레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필터링 필름을 접착하여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AUTOMOBILE HEADLIGHT FOR IMPROVING VISIBILITY WHEN DRIVING A VEHIC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LED 모듈에서 표출되는 광원 중,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흡수/차단 함으로써, S/P ratio를 제어하여 눈부심 방지 및 불쾌 글레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필터링 필름을 접착하여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청색광이란 안과학에선 "고에너지 가시광선(High-Energy Visible Light, HEV Light)이라고 불리는 블루와 바이올렛 컬러의 400∼500nm 수준 가시광선 스펙트럼”을 뜻한다. HEV 라이트는 노인성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의심되어 왔다.
청색광의 위험성은 400∼500nm 대역 가시광선 파장에 노출되면 망막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말하는 것이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 연구는 2007년 기준으로는 아직 없었고 일부 설치류와 영장류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이 있었다.
정상적인 조건에선 빛이 망막의 수용체 세포(photoreceptor)에 도달하면 해당 세포는 대사과정을 통해 복구될 때까지 활동을 중단한다. 그런데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에서 430nm 파장 청색광이 세포 산화 손상의 잠재적 가능성을 높였다. 다른 연구에선 408nm 파장에 1∼2분 노출, 430nm에서 25분 노출을 통해 영구적인 수용체 세포 손상과 망막 상피 병변을 유발한다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청색광의 경우, 조사되는 사람으로 하여금 눈부심을 강하게 유발하고, 불쾌 글레어 현상을 나타내므로, 차단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다양한, 청색광 감소를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LED모듈 자체의 빛을 청색광을 제외한 빛을 발광하도록 하는 연구와 같은 청색광 감소 구조의 경우, 모듈자체의 가격 상승이나, 효과적으로 청색광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최근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전조등)에도 고급차 위주로 적용되고 있는 LED 헤드램프가 일반 자동차로 보편화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LED 헤드램프 시장이 급성장 하고 있으며, 보다 경쟁력 있는 광원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LED 헤드램프를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적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LED 헤드램프 자체의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그 후속으로 성능 향상을 위한 개발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안전사고의 예방 등을 위해서는 자동차의 시인성 향상이 필수적인데,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로써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특수 필름을 접착한 사례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고 있다.
1. KR 공개특허공보 10-2015-0123383 (2015.11.04) 2. KR 등록특허공보 10-0753660 (2007.08.23) 3. KR 등록특허공보 10-1395498 (2014.05.08)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LED모듈에서 표출되는 광원 중,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흡수/차단 함으로써, S/P ratio를 제어하여 눈부심 방지 및 불쾌 글레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청색광 흡수/차단 필터링 필름을 접착하여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을 통하여 운전 시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본 개시의 센서가 자동차의 액셀러레이터, RPM,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의 입력신호를 통하여 동작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시스템은, 상기 센서에서 상기 입력신호가 입력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되고, 이는 다시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결합된 조절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가 동작하는데, 상기 자동차가 정지하면, 상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조절 스위치를 작동,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전원을 끄게 되고, 상기 자동차가 출발하면, 상기 자동차의 액셀러레이터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조절 스위치를 작동,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백색광에 포함되어 있는 청색광을 흡수/차단 시키는 필터링 필름(220)을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모노머 25 ~ 90 중량부, 광개시제 4 ~ 30 중량부, 레벨링제 0.2 ~ 10 중량부, UV 흡수제 3 ~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필름(220)을 접착하여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에테르 개질 트리실록산 또는 실리콘계 레벨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V 흡수제는, 메톡시페닐 메틸렌기 또는 펜타메틸 피페리디닐기를 갖는 에스테르계 UV 흡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링 필름(220)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표면에 접착하는 라이너(221), 상기 라이너(221) 상면에 부착되는 필름 베이스(222), 상기 필름 베이스(222)와 라이너(221)의 결합을 수행하는 접착제(223, 도시하지 않음), 상기 필름 베이스(222)의 상면에 코팅되는 탑코팅면(224), 상기 탑코팅면(224)의 상면에 재코팅 되는 프로텍트면(2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는 상기 필터링 필름(220)을 포함한 렌즈가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덧씌워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백색 LED모듈에서 표출되는 광원 중,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흡수/차단 함으로써, S/P ratio를 제어하여 눈부심 방지 및 불쾌 글레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필터링 필름을 접착함으로써,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조도가 낮아도 더 선명하게 보이는 효과를 가져 시인성을 높여 준다.
도 1은 본 개시의 자동차 헤드라이트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개시의 자동차 헤드라이트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3는 색온도가 동일한 LED 조명의 색상에 따른 눈부심 주관평가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4은 S/P ratio 및 색온도 변화결과(4000K→4000K)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5는 S/P ratio 및 색온도 변화결과(5000K→4000K)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필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는 글레어 정도를 좌우하는 조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LED 조명의 색상 및 점멸에 따른 눈부심 주관평가 데이터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지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개시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는, 도 1에서와 같이 백색광에 포함되어 있는 청색광을 흡수/차단시키는 필터링 필름(220)을 렌즈에 접착하여 불쾌 글레어 제어 및 S/P ratio 상승으로 인한 시인성 향상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청색광의 위험성은 400 ∼ 500nm 대역 가시광선 파장에 노출되면 망막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으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쾌 글레어 현상은, 같은 휘도 40 cd/m2 일 경우 색상의 눈부심 지수가 Red 2.6, Green 2.8, Blue 4.1, 2700K 1.6, 6000K 2.7와 같이 나타나므로, Blue 파장계열이 눈부심 지수가 가장 높음으로 불쾌 글레어 현상의 주원인으로 지목된다.
글레어 현상이란, 시야 내에 매우 높은 휘도의 물체나 강한 휘도대비가 있으면 눈부심 현상이 일어나고 동시에 불쾌한 느낌을 받는다. 이는 눈에 잘 보인다고 느껴도 시야 중에 지나치게 높은 휘도나 강한 휘도대비로 인해 동공, 망막, 뇌 등의 조정이 과도하게 이루어지면서 불쾌감과 눈의 신경피로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위치 관계의 관점에서 눈부심의 원인이 되는 높은 휘도부분이 시야나 시선 가까이 있어 직접 눈에 들어오는 직접 글레어, 시선에서 떨어져 있으며 반사에 의한 경우를 반사 글레어라 한다. 또 기능상의 관점에서는 보는 데 방해가 되는 경우를 감능 글레어(disability glare), 불쾌감을 일으키는 불쾌 글레어(discomfort glare)로 분류된다. 글레어의 직접적인 요인은 글레어 광원과 시야내의 휘도이며, 도 6에서와 같이 주위의 어두움에 적응될수록, 광원의 휘도가 높을수록, 시선에 광원이 가까울수록, 겉보기의 크기가 클수록 눈부심이 커진다.
조명기구나 창문의 밝게 빛나는 부분에서의 반사는 불쾌 글레어를 유발하는 주요 요소이다. 불쾌 글레어는 시야 내에 대상물보다 현저하게 밝은 부분이 있으면 단순히 보기 힘들어질 뿐만 아니라 그 존재가 불쾌하게 느껴짐으로써 발생한다.
눈부심은 불쾌감을 일으키며, 장시간의 작업에 있어서는 피로하고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불쾌 글레어의 감각은 일반적으로 글레어 광원의 휘도 및 면적이 클수록, 또 시선과의 각도 및 작업자의 순응휘도가 낮을수록 강하게 느껴진다.
불쾌 글레어는 조명환경에 대한 심리적인 반응의 하나이므로, 동일한 조명 자극을 준다고 하여도 환경에 따라 혹은 나이에 따라 다른 반응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고령자일수록 동공의 크기가 줄어들며 그만큼 감소된 빛이 눈에 들어 온다. 배경 휘도가 6cd/m2에 1도 광원을 이용하여 연구한 결과, 나이와 불쾌글레어의 민감도의 관계를 나타낸 실험 데이터에서 배경휘도나 광원크기에 따라 관계 기울기가 변화하였으며, 무엇보다도 나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변화가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S/P ratio란 망막의 2가지 광센서 중에서, 파란 빛(암소시)에 민감한 막대형 광 수용기와 노란 빛(명소시)에 민감한 원뿔형 광수용기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비율로써, 명소시 / 암소시 (S/P) 비율은 막대형과 원뿔형 광센서의 반응강도를 포착하는 것으로써 S/P는 ANSI 시험용 안정기(reference ballast) 상에서 광원의 명소시 광속량에 대한 암소시 광속량으로 측정되고, 쿨 라이트(cool light, 색온도가 높은 조명)일수록 웜 라이트(warm light, 색온도가 낮은 조명)에 비해 S/P 비율이 높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일 색을 발광하는 LED 조명인 경우 blue 파장의 빛이 눈부심 지수가 가장 높으며, White LED인 경우도 blue 파장의 빛 세기가 상대적으로 강한 높은 색온도의 것이 불쾌 글레어 지수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S/P ratio를 제어하기 위해 삼색 LED PKG를 사용하지만 형광체를 이용한 일반 White LED PKG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고 제품 가격이 상승되는 단점이 발생하고, 또한, 눈부심을 제어하기 위해 LED 등이 적절한 위치에 빛이 배광 되도록 해야하고, 눈부심은 대부분 연직각 60°~ 90° 사이의 전사광과 후사광에 의해 유발되므로 보행자가 눈부심을 느끼지 않도록 60°~ 90° 사이의 빛이 적게 배광 형태가 되도록 제어해야 한다.
도 4 및 도 5는 파장별 필터 투과율을 변화시키는 선행 연구결과 로써, 이를 통해 눈부심 지수가 높은 blue 파장의 빛과 암소시와 관련된 파장 빛을 감소시켜 높은 S/P ratio 및 불쾌 글레어를 억제하는 LED 조명 제작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불쾌 글레어 현상 저감 및 S/P ratio 제어를 위하여서는 청색광 계열의 파장의 빛 세기를 감소시켜야 하므로, 본 개시에서는 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백색 LED 모듈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백색 LED 모듈이 표출하는 백색광 중, 청색광의 파장의 빛을 흡수/차단하는 필터링 필름(220)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 반대 차선의 자동차의 빛이나 눈의 피로 등에 의해 운전 시 시인성이 떨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시인성(visibility, 視認性)이란, 모양, 색을 인지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하는데, 대상물의 존재 또는 모양이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쉬운 성질을 뜻한다. 흔히 눈에 잘 띄어 사람들이 잘 구분해 낼 수 있을 경우, '색의 시인성이 높다'라는 표현을 쓴다.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백색광에서 나오는 청색광의 존재는 운전 시 시인성이 저감되는 원인의 하나로 작용된다. 이에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청색광 흡수/차단 필터링 필름을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접착하게 되면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백색광에서 나오는 청색광의 파장의 빛을 흡수/차단하게 되므로, 운전 시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백색광에 포함된 청색광을 흡수/차단하는 필터링 필름(220)을 접착하여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필터링 필름(220)의 경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모노머 25 ~ 90 중량부, 광개시제 4 ~ 30 중량부, 레벨링제 0.2 ~ 10 중량부, UV 흡수제 3 ~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광개시제는,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이며,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에테르 개질 트리실록산 또는 실리콘계 레벨링제이고, 상기 UV 흡수제의 경우,
[화학식 1]
Figure 112016125874503-pat00001
상기 화학식 1 구조를 갖는 것으로써, 본 개시에서, UV 흡수제를 첨가하여 도막을 형성한 결과, 자외선뿐만 아니라 380~450nm 파장 범위에 있는 청색광 영역의 광까지 흡수가 가능하여, 블루 라이트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는데, 이는 메톡시페닐 메틸렌기, 펜타메틸 피페리디닐기 등의 복합 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UV 흡수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UV 흡수제의 첨가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UV 흡수제의 첨가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효과 없이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필터링 필름(220)은,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표면에 접하는 라이너(221); 상기 라이너(221) 상면에 부착되는 필름 베이스(222); 상기 필름 베이스(222)와 라이너(221)의 결합을 수행하는 접착제(223, 도시하지 않음); 상기 필름 베이스(222)의 상면에 코팅되는 탑코팅면(224); 상기 탑코팅면(224)의 상면에 재코팅 되는 프로텍트면(225);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 필름(220)은, 라이너(221), 필름 베이스(222), 탑코팅면(224), 프로텍트면(225)의 4중 구조로서, 상기 각 라이너(221), 필름 베이스(222), 탑코팅면(224) 및 프로텍트면(225)은 PET(Polyethylene phthalate) 또는 PC(polycarbonate)의 필름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210)의 표면에 다중 코팅된다.
이 때, 상기 각 상기 각 라이너(221), 필름 베이스(222), 탑코팅면(224) 및 프로텍트면(225)은 표면에 다수의 미세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 그루브의 패턴으로 인하여 편광 효과를 추가 적용 할 수 있으며, 상기 미세 그루브에 상기 UV 흡수제를 추가적으로 결합시켜 청색광 차단효과를 상승 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청색광을 흡수/차단하는 필터링 필름(220)을 포함하는 별도의 렌즈를 제작하여,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 전면에서 승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렌즈를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덧씌우는 구조로 개선이 가능하다.
상기 렌즈는 외부환경을 감지하는 센서와 함께 구비되어, 상기 센서가 감지하는 외부환경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는 날씨 등의 외부환경을 감지하여, 눈, 비 또는 흐린 날씨에서 상기 렌즈가 자동차 헤드라이트 전면에서 승강하도록 동작한다. 이는 상기 센서와 자동차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하여 동작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센서는 자동차의 기어와 연결되어 자동차 기어의 동작을 신호로 하여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점멸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가 자동차의 액셀러레이터, RPM,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의 입력신호를 통하여 동작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에서 자동차의 액셀러레이터, RPM,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신호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되고, 이는 다시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결합된 조절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가 동작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동차가 정지하였을 경우, 자동차의 브레이크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조절 스위치를 작동,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전원을 끄게 되고, 자동차가 출발하였을 경우, 자동차의 액셀러레이터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조절 스위치를 작동,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전원을 켜게 된다.
한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TEST 1은 주변밝기의 변화에 따른 눈부심에 대한 주관평가를 시행하였다. 배경밝기가 100lx에서 0lx로 감소할 때 평균 눈부심 지수는 거의 두 배에 가까운 증가량을 보였다. 따라서 인공조명의 휘도가 1,000cd/m²에서 500cd/m²로 감소하면 같은 눈부심을 갖는 배경밝기는 60lx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도출해 냈다. 5가지 색상에 대한 눈부심을 주관평가 한 TEST 2에서는 5가지 색상 중 눈부심의 순서는 B >G > 6,000K > R > 2,700K와 같게 나타났고 백색광은 원색광에 비해 낮은 눈부심으로 느꼈다. TSET 2에서의 각 색상에 대한 눈부심 정도와 6,000K의 눈부심 정도의 차이를 비교한 TEST 3의 결과 B는 6,000K색상에서 TEST 2의 휘도 40cd/m²와 약 8배 차이가 난다. 또한 G의 경우에는 약 3배, R은 약 2배의 차이를 나타냈다. TEST 4에서는 점멸속도와 색상에 따른 눈부심과 거슬림에 대한 주관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TEST 2의 결과처럼 더 높은 눈부심을 느끼는 색상과 더 높은 휘도에서 눈부심을 느꼈으며 점멸속도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거슬림에서는 더 큰눈부심을 느끼는 색상과 더 높은 휘도에서 더 큰 거슬림을 느꼈고 점멸속도가 빠를수록 더 거슬림을 느꼈으나 고휘도에서는 점멸속도와 크게 상관없이 거슬림을 느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해보면 상대적으로 어두운 주거지역에서는 같은 휘도라도 상대적으로 배경밝기가 더 밝은 상업지역에서보다 눈부심을 더 강하게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같은 휘도에서도 색상에 따라 크게 8배까지 눈부심 차이가 있었고 점멸속도에 따른 거슬림도 1.5배에서 2배까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빛 방사 허용기준을 개선하거나 기타조명환경 휘도 기준을 적립할 경우, 빛의 색깔의 눈부심 영향과 점멸속도와 배경밝기와 광원간의 휘도대비에 대한 영향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20 : 필터링 필름
221 : 라이너
222 : 필름 베이스
223 : 접착제
224 : 탑코팅면
225 : 프로텍트면

Claims (7)

  1. 센서가 자동차의 액셀러레이터, RPM,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의 입력신호를 통하여 동작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서 상기 입력신호가 입력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되고, 이는 다시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결합된 조절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가 동작하는데,
    상기 자동차가 정지하면, 상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조절 스위치를 작동,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전원을 끄게 되고,
    상기 자동차가 출발하면, 상기 자동차의 액셀러레이터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조절 스위치를 작동,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백색광에 포함되어 있는 청색광을 흡수/차단 시키는 필터링 필름(220)을 접착하고,
    상기 필터링 필름을 포함한 렌즈를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 전면에서 승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덧씌워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시스템.
  2. 백색광에 포함되어 있는 청색광을 흡수/차단 시키는 필터링 필름(220)을 접착한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필름(220)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모노머 25~90중량부, 광개시제 4~30중량부, 레벨링제 0.2~10중량부, UV 흡수제 3~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필름을 포함한 렌즈를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 전면에서 승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덧씌워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필름을 접착하여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필름을 접착하여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에테르 개질 트리실록산 또는 실리콘계 레벨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필름을 접착하여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V 흡수제는, 메톡시페닐 메틸렌기 또는 펜타메틸 피페리디닐기를 갖는 에스테르계 UV 흡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필름을 접착하여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필름은,자동차 헤드라이트 표면에 접착하는 라이너(221);
    상기 라이너(221) 상면에 부착되는 필름 베이스(222);
    상기 필름 베이스(222)와 라이너(221)의 결합을 수행하는 접착제(223, 도시하지 않음);
    상기 필름 베이스(222)의 상면에 코팅되는 탑코팅면(224);
    상기 탑코팅면(224)의 상면에 재코팅 되는 프로텍트면(2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링 필름을 접착하여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7. 삭제
KR1020160175982A 2016-06-30 2016-12-21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KR10189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982A KR101897465B1 (ko) 2016-06-30 2016-12-21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US16/349,376 US11499697B2 (en) 2016-06-30 2017-02-07 Vehicle headlight for improving visibility during operation
EP17884142.5A EP3561377A4 (en) 2016-06-30 2017-02-07 VEHICLE HEADLIGHTS TO IMPROVE VISIBILITY DURING THE DRIVE
PCT/KR2017/001341 WO2018117330A1 (ko) 2016-06-30 2017-02-07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204 2016-06-30
KR20160082204 2016-06-30
KR1020160175982A KR101897465B1 (ko) 2016-06-30 2016-12-21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01A KR20180003401A (ko) 2018-01-09
KR101897465B1 true KR101897465B1 (ko) 2018-09-12

Family

ID=6869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982A KR101897465B1 (ko) 2016-06-30 2016-12-21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99697B2 (ko)
EP (1) EP3561377A4 (ko)
KR (1) KR101897465B1 (ko)
WO (1) WO20181173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2190B (zh) * 2016-12-30 2019-07-05 宁波大榭开发区综研化学有限公司 防蓝光树脂组合物、硬化膜及制备方法、保护膜
JP7260341B2 (ja) * 2019-03-06 2023-04-1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の制御装置、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車両用灯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102Y1 (ko) * 1996-07-22 2001-11-22 이구택 역방향회전이가능한실린더의에어공급로터리조인트
KR0163400B1 (ko) 1996-07-31 1998-12-01 송오식 전조등 자동제어기
JPH1125709A (ja) * 1997-06-30 1999-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圧放電灯を用いた自動車用照明装置
KR20010077691A (ko) 2000-02-07 2001-08-20 정융호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장치
WO2006003595A1 (en) 2004-06-30 2006-01-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 system for a vehicle headlight unit
KR100753660B1 (ko) 2005-12-06 2007-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Led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5888015B2 (ja) 2012-03-09 2016-03-1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及び車両
WO2014184992A1 (ja) * 2013-05-14 2014-1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蛍光体および当該蛍光体を用いた発光装置、ならびに当該発光装置を備える投影装置および車両
KR101395498B1 (ko) 2014-01-15 2014-05-14 안병운 블루라이트 차단 글라스
CN105940260B (zh) * 2014-01-24 2021-08-31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
KR20150123383A (ko) 2014-04-24 2015-11-04 주식회사 웰코 블루라이트 유해파장을 차단시키는 보호필름의 코팅물질 제조방법
KR20160049101A (ko) * 2014-10-24 2016-05-09 유림특수화학 주식회사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우수한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도막 형성 방법
KR101639057B1 (ko) 2015-03-23 2016-07-12 김준혁 자동차 헤드라이트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복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68688A1 (en) 2019-12-05
KR20180003401A (ko) 2018-01-09
WO2018117330A1 (ko) 2018-06-28
EP3561377A4 (en) 2020-06-24
EP3561377A1 (en) 2019-10-30
US11499697B2 (en)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194B1 (ko) 자동차 운전자들 또는 승객들을 위한 적응형 안경
ES2743935T3 (es) Lente de gafas con filtros controlados para conducción nocturna
Mainster et al. Glare's causes, consequences, and clinical challenges after a century of ophthalmic study
US20220075211A1 (en) Spectral glare control eyewear for color blindness and low vision assistance
US9302568B2 (en) Sun tracking tint visor
KR101897465B1 (ko) 운전 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US5428409A (en) Night driving glasses
KR20090095695A (ko) 차량용 표시기기의 자동 휘도 조정 장치
KR100905345B1 (ko) 빛 눈부심 방지 장치
RU2541035C2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глаз водителя при ослеплении светом фар встреч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2506822A (ja) 車室内拡散照明用装置及び方法
JP2021505929A (ja) 運転状態を検出するための光学装置及び手段
CN205588946U (zh) 汽车遮阳镜
KR100579980B1 (ko) 자동차용 눈부심 방지 시스템
Veto Developments since the 2008 NHTSA Report to Congress on Headlight Glare
TWI768481B (zh) 具有光致變色區的隱形眼鏡
RU167570U1 (ru) Очки-антифары
KR102163953B1 (ko) 운전용 안경렌즈 처방용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204176516U (zh) 一种防止眩光的偏光装置
RU159507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 ослепления водителя
KR101694785B1 (ko)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RU2600509C2 (ru) Противоослеп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792656C1 (ru) Электронные очки
JP2011165341A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
CA2541218A1 (en) Safety light for use in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