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445B1 -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 - Google Patents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445B1
KR101897445B1 KR1020180092622A KR20180092622A KR101897445B1 KR 101897445 B1 KR101897445 B1 KR 101897445B1 KR 1020180092622 A KR1020180092622 A KR 1020180092622A KR 20180092622 A KR20180092622 A KR 20180092622A KR 101897445 B1 KR101897445 B1 KR 101897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lower cover
automobile
rim portion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신영
오풍우
Original Assignee
오풍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풍우 filed Critical 오풍우
Priority to KR102018009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자동차 실내 바닥에 놓여 사용되는 자동차 실내용 매트가 개시된다. 이 자동차 실내용 매트는, 자동차 실내 바닥 상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제1 테두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하부 커버; 오염물의 통과를 허용하는 메쉬부 및 상기 제2 테두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의 분리 가능한 부착 구조에 의해, 상기 하부 커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쉬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메쉬부를 통과한 오염물이 점착되는 하나 이상의 점착 시트를 갖는 오염물 점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Vehicle interior mats for capturing contaminants}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 바닥에 안착되어 사용되고, 흙, 먼지, 황사, 과자 부스러기 등 입자 크기가 큰 오염물은 물론이고, 에어콘 및/또는 히터 등의 사용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또는 자동차 자체에서 발생하는 미세 먼지와 같은 미세 입자 크기의 오염물까지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 실내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미세 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도 인체, 특히, 호흡기 에 유입되어 심각한 건강상의 폐해를 줄 수 있는 것이여, 본 발명은 이러한 미세 먼지의 포집 및 제거에 매유 유리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자동차 실내 바닥"은 본 발명의 실내용 매트가 안착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매트가 깔려 있지 않는 실내 바닥을 의미함은 물론이고,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미리 깔려 있는 다른 종류의 매트, 예컨대, 기성품 매트 또한 포함한다.
차량 내부에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을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동차 실내용 매트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자동차 실내용 매트는 눈에 보이는 오염물 제거에 역점을 두고 개발되어, 미세 먼지와 같이 눈에 잘 안 보이는 오염물 제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기존 자동차 실내용 매트는 에어 및 진공 청소기와 같은 청소기구 또는 세척에 의존한 청소 방법에 의해 청소된다. 또한, 기존 자동차 실내용 매트는, 포집된 오염물일 잡아두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다. 특히, 미세 먼지와 같이 눈에 잘 보이지 않거나 가벼운 오염물은 매트에 포집된 후에도 다시 부유하여 자동차 실내를 오염시키므로, 오히려 더 사람의 건강을 더 해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자동차 실내용 매트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차 실내용 매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 먼지의 포집 및 제거에 매유 유리하고, 포집된 오염물이 부유하여 자동차 실내를 2차 오염시키는 문제를 막을 수 있으며, 주기적인 세척이나 청소 기구를 이용한 청소가 요구되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자동차 실내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자동차 실내용 매트는. 자동차 실내 바닥 상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제1 테두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하부 커버; 오염물의 통과를 허용하는 메쉬부 및 제2 테두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의 분리 가능한 부착 구조에 의해, 상기 하부 커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쉬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메쉬부를 통과한 오염물이 점착되는 하나 이상의 점착 시트를 갖는 오염물 점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오염물 점착부는 양면에 점착면을 갖는 복수개의 점착 시트들과, 상하로 이웃하는 점착 시트들 사이에 개재된 중간 박리지와, 상기 점착 시트들 중 최상층의 점착 시트의 상면에 가부착된 상부 박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점착 시트들 중 최하층의 점착 시트는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점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쉬부는 상기 제2 테두리부의 내주에 결합된 채 서로 마주하는 제1 메쉬 원단 및 제2 메쉬 원단과, 상기 제1 메쉬 원단과 상기 제2 메쉬 원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메쉬 원단과 상기 제2 메쉬 원단 사이에 탄성적으로 확장 또는 수축되는 갭을 형성하는 탄성사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차 실내 바닥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점탄성 돌기들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간 박리지 또는 상기 상부 박리지는, 일부분이 상기 점착 시트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더 나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실내용 매트는 미세 먼지의 포집 및 제거에 매유 유리하고, 포집된 오염물이 부유하여 자동차 실내를 2차 오염시키는 문제를 막을 수 있으며, 주기적인 세척이나 청소 기구를 이용한 청소가 필요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일반적인 자동차 실내용 매트, 즉, 기존의 매트는, 자동차 차종에 따른 실내 바닥 형상에 맞추어 제작되므로 범용으로 사용이 어려웠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실내용 매트는, 자동차 실내용 바닥에 맞추어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존 매트 위에 사용할 수 있어서, 형상이나 규격이 제한이 거의 없고, 구매자가 적당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 구매해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하여 많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사각형, 타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매트의 제작에 이용되는 메쉬 원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4의 "A"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실내용 매트의 작용 및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의 실제 예들을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실내용 매트(1)는, 자동차 실내 바닥에 놓여 사용되는 자동차 실내용 매트로서, 하부 커버(10)와, 상부 커버(30)와, 상기 하부 커버(10)와 상기 하부 커버(30) 사이에 개재된 오염물 점착부(20)를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용어 "자동차 실내 바닥"은 본 발명의 실내용 매트가 안착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매트가 깔려 있지 않는 실내 바닥을 의미함은 물론이고,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미리 깔려 있는 다른 종류의 매트, 예컨대, 기성품 매트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자동차 실내용 매트, 즉, 기존의 매트는, 자동차 차종에 따른 실내 바닥 형상에 맞추어 제작되므로 범용으로 사용이 어려웠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실내용 매트는, 자동차 실내용 바닥에 맞추어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존 매트 위에 사용할 수 있어서, 형상이나 규격이 제한이 거의 없고, 구매자가 적당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 구매해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하여 많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사각형, 타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커버(10)는 자동차 실내 바닥 상에 안착되는 대략 사각형의 안착부(12) 및 상기 안착부(12)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된 사각링형의 제1 테두리부(14)를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안착부(12)와 상기 제1 테두리부(14) 사이의 결합은 재봉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착부(12)는 전체적으로 막혀 있는 원단 재료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2)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 커버(10)가 자동차 실내 바닥에 미끄럼 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개의 점탄성 돌기(122)들이 형성된다. 상기 점탄성 돌기(122)들은 점탄성을 갖는 실리콘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탄성 돌기(122)가 자동차의 원바닥 또는 자동차의 원바닥에 미리 깔려 있는 매트 바닥에 밀착되므로, 상기 매트(1)가 사람의 발바닥에 밀려 움직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30)는 예컨대, 흙, 먼지, 황사, 과자 부스러기,미세 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의 통과를 허용하는 대략 사각형의 메쉬부(32)와, 상기 메쉬부(32)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된 사각링형의 제2 테두리부(34)를 일체로 포함한다. 상기 메쉬부(32)와 상기 제2 테두리부(34) 사이의 결합은 재봉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 커버(10)의 제1 테두리부(14)와 상기 상부 커버(30)의 제2 테두리부(34)는 서로 대응되게 마련된 것으로서, 이들에는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분리 가능한 부착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테두리부(14)와 상기 제2 테두리부(34)의 부착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테두리부(14)와 상기 제2 테두리부(34)가 부착되면, 상기 하부 커버(10)와 상기 상부 커버(30)는 상기 안착부(12)와 상기 메쉬부(32)가 떨어져 있는 상태로, 상기 하부 커버(10)와 상기 상부 커버(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버(10)와 상기 상부 커버(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12)와 상기 메쉬부(32) 사이에 오염물 점착부(20)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메쉬부(32)는 상기 제2 테두리부(34)의 내주에 결합된 채 서로 상하로 마주하는 제1 메쉬 원단(322) 및 제2 메쉬 원단(324)과, 상기 제1 메쉬 원단(322)과 상기 제2 메쉬 원단(32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메쉬 원단(322)과 상기 제2 메쉬 원단(324) 사이에 탄성적으로 확장 또는 수축되는 갭을 형성하는 탄성사 스프링(36)을 일체로 포함한다.
상기 제1 메쉬 원단(322) 및 상기 제2 메쉬 원단(324) 각각은, 섬유사를 그물망 형태로 제작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오염물이 통과할 수 있는 타원형, 평행사변형, 사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의 구멍(302, 304)들이 형성된다. 또한, 메쉬부(30)는, 사람의 발에 밟히는 부분으로서, 탄성사 스프링(36)에 의해 충분한 쿠션력이 확보된다. 탄성 스프링(36)은 양단이 상기 제1 메쉬 원단(322)과 상기 제2 메쉬 원단(324)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수지 탄성사들을 포함하며, 이 수지 탄성사들이 상기 제1 메쉬 원단(322)과 상기 제2 메쉬 원단(324) 사이에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갭을 확보해준다. 또한, 탄성사 스프링(36)은 아래로 빠진 오염물들이 다시 부유되어 빠져나는 것을 막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30)는 상기 탄성사 스프링(36)을 포함하는 쿠션 구조에 의해 신발 바닥에 반발 특성을 제공하며, 이 반발 특성에 의해, 신발 바닥에 붙어 있는 오염물을 쉽게 신발 바닥으로부터 떨어뜨리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염물 점착부(20)는 상기 하부 커버(10)와 상기 상부 커버(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쉬부(32)와 상기 안착부(12)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메쉬부(32)를 통과한 오염물(2)이 점착되는 복수개의 점착 시트(21, 22, 23, 24, 25)들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점착 시트로는 코팅 수지 시트의 양면에 오염물을 점착할 수 있는 점착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물 점착부(2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면에 점착면을 갖는 복수개의 점착 시트(21, 22, 23, 24, 25)들을 포함하되, 상하로 이웃하는 점착 시트들(21과 22, 22와 23, 24와 25) 사이에 개재된 중간 박리지(3a)와, 상기 점착 시트들(21, 22, 23, 24, 25) 중 최상층의 점착 시트(25)의 상면에 가부착된 상부 박리지(3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점착 시트들(21, 22, 23, 24, 25) 중 최하층의 점착 시트(21)는 상기 안착부(12)의 상면에 점착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매트를 이용하기 전에는 전술한 점착 시트들(21, 22, 23, 24, 25)과 박리지(3a, 3b)를 포함하는 오염물 점착부(20)가 상기 하부 커버(10)와 상기 상부 커버(3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데, 이때, 오염물 점착부(20)의 최하층 점착 시트(21)는 안착부(12)의 상면에 점착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상태는 도 6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박리지(3a)들 또는 상기 상부 박리지(3b)는, 일부분이 상기 점착 시트(21, 22, 23, 24 또는 25)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더 나와 있도록, 상기 점착 시트(21, 22, 23, 24, 25)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매트를 이용하기 위해, 하부 커버(10)와 상부 커버(30)를 분리한 상태로, 상기 하부 커버(10)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점착부(20)의 최상면, 즉, 복수개의 점착 시트들(21, 22, 23, 24, 25) 중 최상층 점착시트(25)의 상부 점착면에 가부착되어 있는 상부 박리지(3b)를 떼어내고, 다시 하부 커버(10)와 상부 커버(30)를 결합한 후,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배치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용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오염물(2)들이 상기 메쉬부(30)의 제1 메쉬 원단(322) 및 제2 메쉬 원단(324)에 형성된 구멍(302, 304)들을 통과하여 오염물 점착부(20)의 최상면, 즉, 복수개의 점착 시트들(21, 22, 23, 24, 25) 중 최상층 점착 시트(25)의 상부 점착면에 점착된다. 오염물(2)들이 최상층 점착 시트(25)에 허용치 이상으로 쌓여 더 이상 충분한 점착 능력을 가지지 못한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층 점착 시트(25)와 그 아래에 있는 중간 박리지(3a)를 제거하여, 그 아래에 있는 점착 시트(24)의 상부 점착면을 노출시킨다.
중간 박리지(3a)를 그 아래에 있는 점착 시트(24)의 점착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그 중간 박리지(3a)의 상면에 점착되어 있던 최상층의 점착 시트(25)도 함께 분리된다. 상측으로 노출된 점착 시트의 점착 능력이 떨어질 때마다, 점착 능력이 떨어진 점착 시트와 중간 박리지를 함께 제거하는 것을 반복한다. 최하층의 점착 시트(21)까지 모두 수명을 따하면, 새로운 오염물 점착부를 하부 커버(10)의 안착부(12) 상면에 다시 부착하여 사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의 실제 예들을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10: 하부 커버 20: 오염물 점착부
21, 22, 23, 24, 25: 점착 시트
30: 상부 커버 322: 제1 메쉬 원단
324: 제2 메쉬 원단 36: 탄성사 스프링

Claims (5)

  1. 자동차 실내 바닥에 놓여 사용되는 자동차 실내용 매트로서,
    자동차 실내 바닥 상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제1 테두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하부 커버;
    오염물의 통과를 허용하는 메쉬부 및 제2 테두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의 분리 가능한 부착 구조에 의해, 상기 하부 커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쉬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메쉬부를 통과한 오염물이 점착되는 하나 이상의 점착 시트를 갖는 오염물 점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쉬부는 상기 제2 테두리부의 내주에 결합된 채 서로 마주하는 제1 메쉬 원단 및 제2 메쉬 원단과, 상기 제1 메쉬 원단과 상기 제2 메쉬 원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메쉬 원단과 상기 제2 메쉬 원단 사이에 탄성적으로 확장 또는 수축되는 갭을 형성하는 탄성사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매트.
  2. 자동차 실내 바닥에 놓여 사용되는 자동차 실내용 매트로서,
    자동차 실내 바닥 상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제1 테두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하부 커버;
    오염물의 통과를 허용하는 메쉬부 및 제2 테두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 사이의 분리 가능한 부착 구조에 의해, 상기 하부 커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쉬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메쉬부를 통과한 오염물이 점착되는 하나 이상의 점착 시트를 갖는 오염물 점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물 점착부는 양면에 점착면을 갖는 복수개의 점착 시트들과, 상하로 이웃하는 점착 시트들 사이에 개재된 중간 박리지와, 상기 점착 시트들 중 최상층의 점착 시트의 상면에 가부착된 상부 박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점착 시트들 중 최하층의 점착 시트는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점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매트.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차 실내 바닥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점탄성 돌기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매트.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박리지 또는 상기 상부 박리지는, 일부분이 상기 점착 시트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더 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용 매트.
KR1020180092622A 2018-08-08 2018-08-08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 KR101897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622A KR101897445B1 (ko) 2018-08-08 2018-08-08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622A KR101897445B1 (ko) 2018-08-08 2018-08-08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445B1 true KR101897445B1 (ko) 2018-09-10

Family

ID=6359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622A KR101897445B1 (ko) 2018-08-08 2018-08-08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4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804B1 (ko) * 2020-04-09 2021-06-10 박완재 자동차용 매트
KR102342445B1 (ko) * 2020-06-17 2021-12-24 임종록 이물질 흡착기능을 갖는 자동차 실내용 매트
KR102486963B1 (ko) * 2022-06-22 2023-01-09 조미순 바닥 미끄럼 방지수단을 갖는 코일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478Y1 (ko) * 1999-11-30 2000-07-15 이진환 자동차용 매트
KR101183249B1 (ko) * 2011-04-25 2012-09-14 김도균 일회용 자동차 보조 깔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478Y1 (ko) * 1999-11-30 2000-07-15 이진환 자동차용 매트
KR101183249B1 (ko) * 2011-04-25 2012-09-14 김도균 일회용 자동차 보조 깔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804B1 (ko) * 2020-04-09 2021-06-10 박완재 자동차용 매트
KR102342445B1 (ko) * 2020-06-17 2021-12-24 임종록 이물질 흡착기능을 갖는 자동차 실내용 매트
KR102486963B1 (ko) * 2022-06-22 2023-01-09 조미순 바닥 미끄럼 방지수단을 갖는 코일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445B1 (ko) 오염물 포집을 위한 자동차 실내용 매트
RU2399363C2 (ru) Насадка пылесоса с одноразовой накладкой
JP5481758B2 (ja) フィルタ組立体
JP5464343B2 (ja) フィルタ組立体
US5956798A (en) Mat for removing dirts or dusts
KR101722848B1 (ko) 차량용 바닥매트
JP4927262B2 (ja) ろ過材及び該ろ過材を用いた使い捨て式防じんマスク
KR20200021646A (ko) 자동청소기능과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자동차 바닥매트
US2100374A (en) Filtering assembly for respirators
JPH119539A (ja) 塵埃除去具
KR101512671B1 (ko) 자동차용 매트
JP3279873B2 (ja) 除塵マット
KR101929167B1 (ko) 가정 또는 의료용 건강 매트리스
KR20120128861A (ko) 차량용 매트
KR20130058854A (ko) 자동차용 매트
TWM517566U (zh) 快速更換床單裝置
JPH081734Y2 (ja) マツト
KR101618060B1 (ko) 이중 매트
KR20150093538A (ko) 플로어 매트
CN109383346A (zh) 一种便于集尘和清理的汽车用脚垫装置
KR101619145B1 (ko) 차량용 매트
KR101629092B1 (ko) 차량용 매트
KR102480943B1 (ko) 다기능 마스크 제조 장치
TW201702095A (zh) 一體成型網狀之汽車腳踏墊
JPH11137701A (ja) 鼻用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