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159B1 - 소수성 및 친수성 오염물질에 대한 동시 흡착능을 가지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 Google Patents

소수성 및 친수성 오염물질에 대한 동시 흡착능을 가지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159B1
KR101897159B1 KR1020160039849A KR20160039849A KR101897159B1 KR 101897159 B1 KR101897159 B1 KR 101897159B1 KR 1020160039849 A KR1020160039849 A KR 1020160039849A KR 20160039849 A KR20160039849 A KR 20160039849A KR 101897159 B1 KR101897159 B1 KR 101897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norganic
alkoxysilane
organic hybrid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614A (ko
Inventor
김주영
김나혜
장원철
가명진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15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2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containing metals, e.g. organo-metallic compounds, coordination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34Compounds having one or more O-Si link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들 간에 서로 다분기(hyperbranched) 가교되고, 상기 양친성 전구체의 알콕시실란 관능기 일부가 실리카 입자 또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용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1403237-pat00022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A는 친수성 세그먼트와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OH)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CN)와 우레탄 결합(-OCONH-)이 형성되고;
상기 B는 소수성 세그먼트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CN)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는 상기 A의 하이드록시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C의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NHCONH-)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C는 하이드록시기와 알콕시실란기, 또는 아민기와 알콕시실란기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는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 결합이 형성되고;
n은 1이상의 정수이다.)

Description

소수성 및 친수성 오염물질에 대한 동시 흡착능을 가지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Inorganic-organic hybrid particles for absorbing simultaneously hydrophobic and hydrophillic pollutants from water}
본 발명은 소수성 오염물질과 친수성 오염물질에 대해 동시적으로 높은 흡착능을 가지며, 오염수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오염물질 제거용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용액 상의 독성 화합물, 미량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온교환법, 중화법, 역삼투압법, 침전법, 용매추출법, 흡착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Cai et al., 2014; Choi et al., 2011; Floch and Hideg, 2004; Juttner et al., 2000; Lin and Juang, 2009; Ozbelge et al., 2002). 이들 방법 중에서도 흡착법은 수용액 상의 독성 화합물의 제거효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낮은 오염 농도에서도 제거효율이 높으며, 경제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Chung et al., 2014).
일반적으로 흡착제로는 활성탄소, 변성토(modified clays), 생체흡착제(biosorbents), 고분자 수지, 제올라이트, 하이브리드 재료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Jin et al., 2011; Qu et al., 2013; Samiey et al., 2014; Zhao et al., 2011).
최근, 미량, 미세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 마이셀(surfactant micelles), 양친성 고분자 마이셀(amphiphilic polymer micelles), 사이클로덱스트린 나노입자 등과 같은 나노 크기 입자들의 흡착제가 시도된다(Juttner et al., 2000; Zhao et al., 2011). 이들 나노입자들은 매우 높은 표면적을 가져 저용량으로도 높은 흡착 능력을 보인다(Zhao et al., 2011). 이들 입자들은 내부 코어는 소수성을, 외부는 친수성을 띠는 셀(shell) 형태의 자가조립 나노구조(self-assembled nanostructure)로서 염료 또는 금속 이온을 흡착한다(Zhao et al., 2011). 그러나 이러한 나노 크기 흡착제가 높은 흡착능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오염물 흡착 후에도 침전되지 않아 용액으로부터 분리가 어려워 실제 현장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Jin et al., 2011; Qu et al., 2013; Samiey et al., 2014).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공성 실리카 입자, 이산화 티타늄 입자, 금속산화물 입자와 같은 무기물 입자에 흡착능을 가지는 분자를 접합(conjugated)시켜 분리능을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있으나(Jin et al., 2011; Kango et al., 2013; Park et al., 2010; Qu et al., 2013; Rozenberg and Tenne, 2008; Samiey et al., 2014; Shin et al., 2008), 상기 기술은 무기물 입자에 대한 유기 분자의 접합율이 전통 방식으로는 매우 낮고, 접합율을 높이기 위한 ATRP(atom-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방식이나 RAFT(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chain transfer polymerization) 방식과 같은 매우 복잡한 공정이 요구된다(Park et al., 2010; Rozenberg and Tenne, 2008). 상기 이러한 방식은 제조비용이 높아 실제 현장 사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무기물 입자 표면의 반응기에 반응하는 다분기능(hyperbranched)을 가지는 고분자는 매우 비싸고, 대량 생산이 어려워 대량 스케일의 환경공정에 이용에 제한이 있다(Jin et al., 2011).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효율 및 용이한 분리능을 가진 새로운 흡착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소수성 오염물질 뿐 아니라 친수성 오염물질에 대해서도 동시적으로 고효율의 흡착능을 가지며, 오염물 흡착 후에 오염 용액으로부터 쉽게 흡착제 분리가 가능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들 간에 서로 다분기(hyperbranched) 가교되고, 상기 양친성 전구체의 알콕시실란 관능기 일부가 실리카 입자 또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용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140323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A는 친수성 세그먼트와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OH)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CN)와 우레탄 결합(-OCONH-)이 형성되고;
상기 B는 소수성 세그먼트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CN)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는 상기 A의 하이드록시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C의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NHCONH-)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C는 하이드록시기와 알콕시실란기, 또는 아민기와 알콕시실란기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는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 결합이 형성되고;
n은 1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물질 A는 친수성 세그먼트로서 아민기, 카르복실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질 B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메칠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질 C는 메톡시(폴리에틸렌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히드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따른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는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를 이용하여 졸-겔 반응의 단순한 방법으로 전구체 끼리 다분기(hyperbranched) 가교결합되고, 상기 전구체의 알콕시실란 관능기 일부는 무기물 입자와 견고한 화학결합을 이루어, 종래에 비해 유기 전구체와 무기물 입자 간의 접합율이 매우 높으며, 소수성 및 친수성 오염물질을 고효율로 동시에 흡착하고, 오염 용액으로부터 흡착제 제거가 매우 용이하며, 그 제조 비용 또한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 흡착용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분산 용액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부건조장치(Spray dryer)를 이용하여 제조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건조 분말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전자주사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유기성분과 무기성분의 중량%를 측정하기 위한 열중량분석(TGA) 데이터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들을 물속에 분산시킨 상태에서 급속 동결 건조하여 분산된 형태를 유지한 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Cryo-TEM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친수성 염료에 대한 흡착능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소수성(오일성) 염료에 대한 흡착능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페놀 오염수에 대한 흡착능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소수성 오염물질과 친수성 오염물질을 동시에 고효율로 흡착, 제거할 수 있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염물질 흡착 후 용액 상에서 침전되어 흡착제 분리가 용이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 공정에 비해 간단한 방법으로 고흡착능이 있는 유기화합물을 무기물 입자에 고밀도로 접합시킨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수성 세그먼트와 친수성 세그먼트를 동시에 가지고 양 말단에 다분기능을 가지는 알콕시실란이 도입된 양친성 전구체를 합성하고, 졸-겔 공정을 통해 상기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들 간에 서로 다분기(hyperbranched) 가교중합한 다음, 양친성 전구체의 알콕시실란 일부를 나노실리카 또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와 화학적 결합시킨 구조의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는 하기 화학식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A, B, C의 세 종류 물질이 화학결합되어 구성된 알콕시실란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1403237-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A는 친수성 세그먼트와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OH)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CN)와 우레탄 결합(-OCONH-)이 형성되고;
상기 B는 소수성 세그먼트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CN)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일부 이소시아네이트기는 상기 A의 하이드록시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고, 일부 이소시아네이트기는 상기 C의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NHCONH-)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C는 하이드록시기와 알콕시실란기, 또는 아민기와 알콕시실란기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는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 결합이 형성되고;
n은 1이상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질 A는 친수성 세그먼트와 양 말단에 하이드록시기(-OH)를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이다. 물질 A에서 친수성 세그먼트는 친수성을 가지는 아민기, 아세트기, 에틸렌글리콜기, 폴리에틸렌글리콜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친수성 세그먼트는 주쇄 또는 측쇄에 아민기, 아세트기를 포함한다. 상기 아민기는 1차 아민, 2차 아민, 3차 아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질 B는 소수성 세그먼트와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CN)를 포함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다. 물질 B에서 소수성 세그먼트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주쇄 또는 측쇄가 C2~C10의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방향족,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질 C는 일 말단에는 알콕시실란기를 포함하고, 다른 말단에는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구체 합성에 이용되는 물질 C는 원료화합물이 반응기로서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에폭시기를 포함하여 반응시 에폭시가 개환되면서 하이드록시기가 형성될 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물질 C는 -(B-A-B)n- 의 양친성 구조에 다분기 가교결합능을 가지는 알콕시실란기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므로, 물질 C의 주쇄 구조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대표적 물질 A를 하기 표 1에, 물질 B를 표 2에, 물질 C를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질 A
Figure 112016031403237-pat00003
N-메틸디에탄올아민
Figure 112016031403237-pat00004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부틸산
Figure 112016031403237-pat00005
(n=1~15)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물질 B
Figure 112016031403237-pat00006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Figure 112016031403237-pat00007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Figure 112016031403237-pat00008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Figure 112016031403237-pat00009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Figure 112016031403237-pat00010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Figure 112016031403237-pat00011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Figure 112016031403237-pat00012
4,4'-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Figure 112016031403237-pat00013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
Figure 112016031403237-pat00014
메톡시(폴리에틸렌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Figure 112016031403237-pat00015
히드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Figure 112016031403237-pat00016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Figure 112016031403237-pat00017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Figure 112016031403237-pat00018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Figure 112016031403237-pat00019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A.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M- APAS )의 합성
제1단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친수성 세그먼트와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물질 A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물질 B를 촉매 존재하에서 교반시켜 물질 A와 물질 B 간에 우레탄 결합을 형성시킨다.
물질 A와 물질 B의 반응 몰비는 1:2 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촉매로는 우레탄 반응에 이용되는 공지의 촉매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디부틸주식 디라울산(Dibutyltindilaurate, DBTDL)이다. 상기 우레탄 반응은 실온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조건에 따라 반응 온도는 조정될 수 있다. 반응시간은 중합율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시간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30분 내지 12시간의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다.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화합물에 아민기와 알콕시실란기 또는 하이드록시기와 알콕시실란기를 동시에 가지는 물질 C를 반응시켜 B, C 간에 우레탄 또는 우레아 결합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화합물과 물질 C의 반응 몰비는 1:2 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상기 우레탄 반응은 실온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조건에 따라 반응 온도는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우레안 반응은 40~70℃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조건에 따라 반응 온도는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시간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30분 내지 12시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B. M- APAS를 이용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제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 흡착용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는 상기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를 사용하여 전형적인 졸-겔 공정을 통해 전구체끼리 가교결합(-Si-O-Si-)시키고, 상기 전구체의 일부 알콕시실란기를 무기물 입자와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제조된다.
상기 양친성 전구체는 알콜시실란기 간의 다분기 가교결합(hyperbranch cross-linked)에 의하여 소수성과 친수성을 동시에 가지는 거대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오염 용액 속의 소수성, 친수성 오염물은 그물망 구조 속으로 고효율로 흡착된다.
상기 무기물 입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친성 전구체가 가교된 고분자 화합물 속에 침투, 상기 양친성 전구체의 일분 알콕시실란기와 화학적 결합하여 클러스터 형태의 마이크로 크기 입자를 형성하게 되고, 오염물 흡착 후 오염 용액 상에서 고체로 침전되어 손쉬운 고/액 분리 공정으로 100% 분리, 회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기물 입자는 나노 크기 또는 마이크로 크기일 수 있으나, 높은 비표면적을 고려할 때 나노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나노입자 또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 또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는 표면에 알콕시실란기와 결합할 수 있는 반응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물 입자의 표면 반응기는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이다. 상기 실리카는 친수성 흄드 나노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흄드 나노입자로는 AerosilTM이 시판되고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로는 산화 티탄, 산화 지르코늄, 산화 아연, 산화 붕소, 산화 알루미늄 등을 포함한 공지의 금속산화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졸-겔 공정은 상기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와 상기 무기물 입자를 1회 실시하는 것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나, 상기 양친성 전구체끼리 일정 정도 가교결합시킨 다음, 상기 가교된 양친성 전구체와 무기물 입자와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얻어진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를 에탄올 또는 테트라히드로퓨란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1: 4~10 무게비로 상온에서 혼합한 후, 상기 용액에 적절한 농도의 암모니아 수용액을 서서히 적가시키면서 교반하여 상기 양친성 전구체의 알콕시실란 끼리 다분기 가교결합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실리카,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흄드 실리카 또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 수용액을 넣은 후 암모니아 수용액을 서서히 적가시키면서 교반하여 상기 양친성 전구체의 알콕시실란기와 무기물 입자의 반응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기를 가수분해 및 응축반응시켜 화학적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실시예 1: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를 이용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제조
[반응식 1]
Figure 112016031403237-pat00020
상기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A물질로 N-메틸디에탄올아민(MDEA, Aldrich Chemical사), B물질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Junsei Chemical사), C물질로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PTES, Aldrich Chemical사)을 이용하고, 촉매로는 디부틸주식 디라울산(Dibutyltindilaurate, Aldrich Chemical Co.)하여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M-APAS)를 제조하였다.
반응기에 10분 동안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잔류 수분을 모두 제거한 후, 디부틸주석 디라울산(0.1 wt%)을 혼합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0.2 몰을 투입한 다음, N-메틸디에탄올아민(MDEA) 0.1 몰을 서서히 적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켰다.
상기 화합물에 상기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PTES) 0.2 몰을 투입하고, 55℃에서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은 FT-IR 분광측정기(iS5, Thermo Fisher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2270 cm-1 에서 NCO 스트레칭 피크가 사라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제조된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 5g을 에탄올 40g에 용해시킨 다음, 0.32M 암모니아수 2.5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1차로 졸-겔 반응시킨 다음, 상기 용액에 실리카 나노입자 Aerosil 200(Evonik사) 2.5g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초음파를 실시한 후, 0.32M 암모니아수 2.5g을 첨가하여 2차로 졸-겔 반응시켜 도 2(a)에 보이는 바와 같은 백색 현탁액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현탁액에 초순수(DDI water)를 혼합하여 도 2(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가 눈송이 형태로 분산된 용액을 얻었다.
상기 형성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들은 종이필터를 이용해 쉽게 분리하였으며, 상기 분리물을 초순수, 에탄올로 여러차례 수세하여 미반응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분산액을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분부건조장치(Spray dryer)를 이용하여 백색 파우더를 얻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전자주사현미경(SEM) 사진이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으로 제조하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0.2 몰과 N-메틸디에탄올아민(MDEA) 0.1 몰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으로 제조하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0.2 몰과 N-메틸디에탄올아민(MDEA) 0.1 몰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반응기에 10분 동안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잔류 수분을 모두 제거한 후, 디부틸주석 디라울산(0.1 wt%)을 혼합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0.2 몰을 투입한 다음,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부틸산 0.1 몰을 서서히 적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시켰다.
상기 화합물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2 몰을 투입하고, 55℃에서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제조된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 5g을 에탄올 40g에 용해시킨 다음, 0.32M 암모니아수 2.5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1차로 졸-겔 반응시킨 다음, 상기 용액에 실리카 나노입자 Aerosil 200(Evonik사) 2.5g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초음파를 실시한 후, 0.32M 암모니아수 2.5g을 첨가하여 2차로 졸-겔 반응시켜 백색 현탁액을 얻은 다음, 초순수(DDI water)로 수차례 수세하여 본 발명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M- APAS )의 GPC , 표면장력, 입자크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M-APAS)의 GPC, 표면장력, 입자크기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도시하였다.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M- APAS )의 GPC , 표면장력, 입자크기
Mna (g/mol) Mwb (g/mol) PDIc 표면장력 (N/m) 입자크기d (nm)
2M-APAS
(실시예1)
786 1262 1.6 35 240.8
4M-APAS
(실시예2)
1394 3191 1.8 36 101.5
6M-APAS
(실시예3)
1771 4645 3.3 35 40.03
a Mn 는 수평균 분자량.
b Mw 는 중량평균 분자량.
c PDI 는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Mw/Mn).
d 물에 분산된 M-APAS의 입자크기.
실험예 2: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중 유기성분 및 무기성분의 함량 분석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유기성분과 무기성분의 중량%를 측정하기 위하여 열중량분석기(TGA) SDT Q600TM V20.5 Build 15 Universal V4.4A (TA Instruments, USA)를 이용하여 10℃ min-1의 가열속도로 실온부터 800℃까지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M-APAS)의 무기물(실리카) 잔존량은 47.92 중량%, 실시예 2(4M-APAS)는 46.45 중량%, 실시예 3(6M-APAS)는 45.39 중량%이었다. 상기 결과로 부터 양친성 전구체 가교 유기고분자의 실리카 접합 효율(Grafting efficiency)은 50 ~ 55% 로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미세구조 및 분산성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미세구조 및 분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ryo-TEM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들을 물속에 분산시킨 상태에서 급속 동결 건조하여 분산된 형태를 유지한 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Cryo-TEM 사진이다. 도 6(a)는 Hydrolysis-condensation 반응시 양친성 반응성 전구체인 M-APAS 내에 존재하는 알콕시실란들 간의 반응을 통하여 형성된 다분기 가교된(hyperbranched)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로, 형성된 나노입자의 크기는 80 nm 정도였다.
도 6(b)는 실리카와 양친성 고분자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서 클러스터 형태의 복합입자 형태로 물속에서 분산되어서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양친성 반응성 전구체들이 실리카 나노입자 표면에 결합되기도 하며, 동시에 양친성 반응성 전구체들끼리 서로 중합하여서 양친성 고분자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실리카 나노입자 주변에 다분기 가교(hyperbranched) 형태로 양친성 고분자들이 결합된 매우 특이한 구조를 유지한 채로 물속에서 분산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입자 크기는 0.14 um 였다.
실험예 4: 수용성 염료(Reactive Orange 16)에 대한 흡착능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수용성 물질인 Reactive Orange 16에 대한 흡착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Reactive Orange 16 100mg을 1L 물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시판되는 실리카 Aerosil 200(대조구)와 본 실시예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들의 흡착 시험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a)는 100 mg/L Reactive Orange 16 수용액이고, 도 7(b)는 상기 수용액을 실리카 Aerosil 200으로 처리한 시료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206 mg, 도 7(d)는 676 mg, 도 7(e)는 1210 mg 으로 각각 흡착 시험한 사진이다.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대조구는 수용성 물질 흡착능을 보이지 않는 반면, 본 발명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는 흡착 Reactive Orange 16을 완전히 흡착한 후 바닥에 침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소수성 염료(Solvent blue 35)에 대한 흡착능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소수성(오일성) 물질인 Solvent blue 35에 대한 흡착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Solvent blue 35 10mg을 톨루엔 100g에 용해시킨 후, 시판되는 실리카 Aerosil 200(대조구)와 본 실시예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들의 흡착 시험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a)는 상기 용액을 실리카 Aerosil 200으로 처리한 시료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로 각각 흡착 시험한 사진이다.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대조구는 소수성 물질인 Solvent blue 35/톨루엔에 대해 흡착능을 보이지 않는 반면, 본 발명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는 Solvent blue 35/톨루엔과 격하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흡착 후 본 발명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는 바닥에 침전되었다.
실험예 6: 페놀 오염수에 대한 흡착능 시험
동해안에 위치한 제련소에서 채취한 페놀 오염수에 대하여 본 발명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흡착능을 시험하였다.
GC-MS를 이용하여 채취한 시료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도시하였다.
Compound
Phenol
Phenol, 2,3-dimethyl-
Phenol, 2,4,6-trimethyl-
Phenol, 2,6-dimethyl-
Phenol, 2-ethyl-5-methyl-
Phenol, 2-ethyl-6-methyl-
Phenol, 2-methyl-
Phenol, 3,4-dimethyl-
Phenol, 3-ethyl-
Phenol, 3-methyl-
Phenol, 4-ethyl-
Phenol, 2,4-dimethyl-
Phenol, 2-butyl-
Phenol, 2-propyl-
Phenol, 3,5-dimethyl-
Pyridine
Pyridine, 2,4-dimethyl-
Pyridine, 3-methyl-
Pyridine, 2,6-dimethyl-
Pyridine, 2-methyl-
Benzenamine, N,N-dimethyl-
Cyclopentanone
Cyclopentanone, 2-methyl-
2-Cyclopenten-1-one, 2-methyl-
2-Cyclopenten-1-one, 2,3-dimethyl-
1H-Inden-5-ol, 2,3-dihydro-
채취한 시료는 페놀 화합물 등 매우 유독한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채취한 시료를 본 발명의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0.2g, 0.4g, 0.6g, 0.8g, 1.0g을 혼합하여 흡착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진한 갈색의 폐놀 오염수의 유독 화합물이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문헌]
Bottcher, H., Hallensleben, M.L., Nuss, S. and Wurm, H. (2000) ATRP grafting from silica surface to creat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of grafts. Polymer Bulletin 44(2), 223-229.
Cai, J.X., Bennici, S., Shen, J.Y. and Auroux, A. (2014) Study of Phenol and Nicotine Adsorption on Nitrogen-Modified Mesoporous Carbon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225(9).
Choi, J.-W., Chung, S.-G., Cho, K.-Y., Baek, K.-Y., Hong, S.-W., Kim, D.-J. and Lee, S.-H. (2011)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hlorophenol Compounds using Poly Aromatic Star Copolymer. Water, Air, & Soil Pollution 223(3), 1437-1441.
Chung, S.G., Ryu, J.C., Song, M.K., An, B., Kim, S.B., Lee, S.H. and Choi, J.W. (2014) Modified composites based on mesostructured iron oxyhydroxide and synthetic minerals: a potential material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toxic heavy metals and its toxicity. J Hazard Mater 267, 161-168.
Floch, J. and Hideg, M. (2004) Application of ZW-1000 membranes for arsenic removal from water sources. Desalination 162(1-3), 75-83.
Jin, X., Yu, C., Li, Y., Qi, Y., Yang, L., Zhao, G. and Hu, H. (2011) Preparation of novel nano-adsorbent based on organic-inorganic hybrid and their adsorption for heavy metals and organic pollutants presented in water environment. J Hazard Mater 186(2-3), 1672-1680.
Juttner, K., Galla, U. and Schmieder, H. (2000) Electrochemical approaches to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process industry. Electrochimica Acta 45(15-16), 2575-2594.
Kango, S., Kalia, S., Celli, A., Njuguna, J., Habibi, Y. and Kumar, R. (2013) Surface modification of inorganic nanoparticles for development of organic-inorganic nanocomposites-A review. Progress in Polymer Science 38(8), 1232-1261.
Kennedy, L.J., Vijaya, J.J., Kayalvizhi, K. and Sekaran, G. (2007) Adsorption of phenol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mesoporous carbon prepared by two-stage proces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32(1-3), 279-287.
Khoonsap, S., Supanchaiyamat, N., Hunt, A.J., Klinsrisuk, S. and Amnuaypanich, S. (2015) Improving water selectivity of poly (vinyl alcohol) (PVA) - Fumed silica (FS) nanocomposite membranes by grafting of poly (2-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on fumed silica particles. Chemical Engineering Science 122, 373-383.
Kim, J. (2012) Bridged organosilica precursor having amphiphilic polymeric chain and nano particle using thereof, Korea.
Kim, J. and Kim, N. (2013) Hydrophobic valuable compounds encapsulated 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nano-capsules prepared using nonionic amphiphilic reactive precursors and their preparation method, Korea.
Kuo, P.L., Liang, W.J. and Lin, C.L. (2002) Solid polymer electrolytes, 2 - Preparation and ionic conductivity of solid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segmented polysiloxane-modified polyurethane. Macromolecular Chemistry and Physics 203(1), 230-237.
Lin, S.H. and Juang, R.S. (2009) Adsorption of phenol and its derivatives from water using synthetic resins and low-cost natural adsorbents: a review. J Environ Manage 90(3), 1336-1349.
Liu, J., Ma, Y., Zhang, Y. and Shao, G. (2010) Novel negatively charged hybrids. 3. Removal of Pb2+ from aqueous solution using zwitterionic hybrid polymers as adsorbent. J Hazard Mater 173(1-3), 438-444.
Liu, L., Watanabe, H., Shirai, T., Fuji, M. and Takahashi, M. (2012) Grafting hyperbranched polyurethane onto silica nanoparticle via one-pot "A2+CBn" condensation approach to improve its dispersion in polyurethane.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396, 35-40.
Moreno-Castilla, C. (2004) Adsorption of organic molecules from aqueous solutions on carbon materials. Carbon 42(1), 83-94.
Mukherjee, S., Kumar, S., Misra, A.K. and Fan, M.H. (2007) Removal of phenols from water environment by activated carbon, bagasse ash and wood charcoal.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29(1-3), 133-142.
Ozbelge, T.A., Ozbelge, O.H. and Baskaya, S.Z. (2002) Removal of phenolic compounds from rubber-textile wastewaters by physico-chemical methods. Chemical Engineering and Processing 41(8), 719-730.
Park, H.B., Kim, C.K. and Lee, Y.M. (2002) Gas separation properties of polysiloxane/polyether mixed soft segment urethane urea membranes. Journal of Membrane Science 204(1-2), 257-269.
Park, J.T., Seo, J.A., Ahn, S.H., Kim, J.H. and Kang, S.W. (2010) Surface modification of silica nanoparticles with hydrophilic polymers.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16(4), 517-522.
Peleka, E.N. and Deliyanni, E.A. (2009) Adsorptive removal of phosphates from aqueous solutions. Desalination 245(1-3), 357-371.
Qu, X., Alvarez, P.J. and Li, Q. (2013) Applications of nanotechnology i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Water Res 47(12), 3931-3946.
Rozenberg, B.A. and Tenne, R. (2008) Polymer-assisted fabrication of nanoparticles and nanocomposites. Progress in Polymer Science 33(1), 40-112.
Samiey, B., Cheng, C.H. and Wu, J.N. (2014) Organic-Inorganic Hybrid Polymers as Adsorbents for Removal of Heavy Metal Ions from Solutions: A Review. Materials 7(2), 673-726.
Sanchez, C., Rozes, L., Ribot, F., Laberty-Robert, C., Grosso, D., Sassoye, C., Boissiere, C. and Nicole, L. (2010) "Chimie douce": A land of opportunities for the designed construction of functional inorganic and hybrid organic-inorganic nanomaterials. Comptes Rendus Chimie 13(1-2), 3-39.
Shin, Y., Lee, D., Lee, K., Ahn, K.H. and Kim, B. (2008) Surface properties of silica nanoparticles modified with polymers for polymer nanocomposite applications.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14(4), 515-519.
Tsubokawa, N., Saitoh, K. and Shirai, Y. (1995) Surface Grafting of Polymers onto Ultrafine Silica -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ed by Benzylium Perchlorate Groups Introduced onto Ultrafine Silica Surface. Polymer Bulletin 35(4), 399-406.
Wu, F., Zhang, B., Yang, W., Liu, Z.Y. and Yang, M.B. (2014) Inorganic silica functionalized with PLLA chains via grafting methods to enhance the melt strength of PLLA/silica nanocomposites. Polymer 55(22), 5760-5772.
Zhao, X., Lv, L., Pan, B., Zhang, W., Zhang, S. and Zhang, Q. (2011) Polymer-supported nanocomposites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 A review.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70(2-3), 381-394.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알콕시실란 관능화된 양친성 전구체들 간에 서로 다분기(hyperbranched) 가교되고, 상기 양친성 전구체의 알콕시실란 관능기 일부가 실리카 입자 또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용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화학식 1]
    Figure 112016031403237-pat0002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A는 친수성 세그먼트와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OH)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CN)와 우레탄 결합(-OCONH-)이 형성되고;
    상기 B는 소수성 세그먼트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CN)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는 상기 A의 하이드록시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C의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NHCONH-)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C는 하이드록시기와 알콕시실란기, 또는 아민기와 알콕시실란기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는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 결합이 형성되고;
    n은 1이상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친수성 세그먼트로서 아민기, 카르복실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가지는 것인,
    오염물질 제거용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메칠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인,
    오염물질 제거용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는 메톡시(폴리에틸렌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히드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용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KR1020160039849A 2016-03-31 2016-03-31 소수성 및 친수성 오염물질에 대한 동시 흡착능을 가지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KR101897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849A KR101897159B1 (ko) 2016-03-31 2016-03-31 소수성 및 친수성 오염물질에 대한 동시 흡착능을 가지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849A KR101897159B1 (ko) 2016-03-31 2016-03-31 소수성 및 친수성 오염물질에 대한 동시 흡착능을 가지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614A KR20170112614A (ko) 2017-10-12
KR101897159B1 true KR101897159B1 (ko) 2018-09-12

Family

ID=6014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849A KR101897159B1 (ko) 2016-03-31 2016-03-31 소수성 및 친수성 오염물질에 대한 동시 흡착능을 가지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1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72B1 (ko) * 2001-03-16 2004-03-04 김주영 비이온성 양쪽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나노 복합체.
KR20040026281A (ko) * 2002-09-23 2004-03-31 김주영 은 나노입자를 함유한 폴리우레탄 나노복합체 필름의 제조.
KR101269074B1 (ko) * 2011-03-18 2013-05-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실리카/양친성 고분자 복합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69075B1 (ko) * 2011-08-24 2013-05-29 주식회사 제네웰 비이온성 양친성 반응성 전구체를 이용한 소수성 물질 담지능을 가진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 나노 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07455B1 (ko) * 2014-04-10 2016-04-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를 이용한 수분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수용성 절삭유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u-Young Kim 외 3인, Macromol. Chem. Phys. 2002, 203권, 2454-2462쪽
김현지 외 2인, 접착 및 계면 16권1호 2015, 6-14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614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hmoud et al. Nanocomposites of nanosilica-immobilized-nanopolyaniline and crosslinked nanopolyaniline for removal of heavy metals
Hassan et al. New effectiv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functionalized magnetic sporopollenin-based silica coated graphene oxide adsorbent for removal of Pb (II) from aqueous environment
EP2755747B1 (en) Nanocomposite polymer-carbon based nanomaterial filter for the simultaneous removal of bacteria and heavy metals
Liu et al. Thermosensitive graphene nanocomposites formed using pyrene‐terminal polymers made by RAFT polymerization
US5938934A (en) Dendrimer-based nanoscopic sponges and metal composites
Pourjavadi et al. Efficient removal of cationic dyes using a new magnetic nanocomposite based on starch-g-poly (vinylalcohol) and functionalized with sulfate groups
Cho et al. Use of hybrid composite particles prepared using alkoxysilane-functionalized amphiphilic polymer precursors for simultaneous removal of various pollutants from water
WO2014143758A2 (en) Oligomer-grafted nanofillers and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TWI728096B (zh) 氣體分離膜之製造方法
CN109641185B (zh) 含有异形二氧化硅纳米粒子的气体分离膜
WO2008000457A2 (de) Hydrophob beschichtetes molekularsieb
CN115151554A (zh) 纳米多孔多酚基配位聚合物框架的合成及其使用方法
CN110938282A (zh) 具有共价有机框架的核壳结构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kbari et al. Cube-octameric silsesquioxane (POSS)-capped 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for the efficient removal of methylene blue
US11332389B1 (en) Recylable multifunctional composites for metal ion removal from water
Lei et al. A novel one-step method for preparation of sulfonate functionalized nanodiamonds and their utilization for ultrafast removal of organic dyes with high efficiency: Kinetic and isotherm studies
Liu et al. Surface-initiated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of polyamine grafting from magnetic iron oxide submicroparticles for high adsorption capacity of cadmium in aqueous solution
CN112105447B (zh) 气体分离膜的制造方法
Alswieleh et al. Evaluation of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glycine-, iminodiacetic acid-, and amino propyl-functionalized silica nanoparticles for the removal of potentially toxic elements from contaminated water solution
KR101897159B1 (ko) 소수성 및 친수성 오염물질에 대한 동시 흡착능을 가지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WO2009147025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rganosolen
CN116510692A (zh) 一种磁性纳米吸附剂、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60095559A (ko) 고분자-자성입자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중금속 흡착제 조성물
Masoumi Composite and hybrid polymeric adsorbents
CN117085655A (zh) 一种水性聚氨酯-腐植酸交联生物质多孔材料的制备方法及其在亚甲基蓝吸附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