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156B1 - 비상 분리형 커플링 - Google Patents

비상 분리형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156B1
KR101897156B1 KR1020157022176A KR20157022176A KR101897156B1 KR 101897156 B1 KR101897156 B1 KR 101897156B1 KR 1020157022176 A KR1020157022176 A KR 1020157022176A KR 20157022176 A KR20157022176 A KR 20157022176A KR 101897156 B1 KR101897156 B1 KR 101897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ical surface
collar
end flange
ring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852A (ko
Inventor
케이츠 안드레아스 폰
Original Assignee
케이츠 안드레아스 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츠 안드레아스 폰 filed Critical 케이츠 안드레아스 폰
Publication of KR2015010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4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a cut-off device in each of the two pipe ends, the cut-off devices being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18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emergency sh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15Couplings closed automatically when disengaging force exceeds preselected val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Gasket Seal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제1 및 제2 커플링 절반부(1; 2)에 시스템 밀봉식 단부 플랜지(11, 21)를 구비한 분리형 커플링. 단부 플랜지는 경사면 또는 원추면(15; 25)를 포함하고 그 경사면 또는 원추면을 링 세그먼트(3)들로 파지하여, 결과적으로 그 경사면 또는 원추면이 프리스트레스 부재(4)에 의해 압박되게 한다. 커플링 절반부(1; 2)에 견인력이나 인장력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경우에, 커플링 절반부가 프리스트레스 부재(4)의 힘을 이겨내어 분리된다.

Description

비상 분리형 커플링{EMERGENCY RELEASE COUPLING}
본 발명은 커플링의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과도한 견인력 또는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두 개의 라인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형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탱크에 유체를 채우거나 탱크에서 유체를 비우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두 개의 라인이 서로 결합하는데, 이를 위해 작동 가능한 커플링이 사용된다. 하나의 라인이 고정 위치에 있는 경우에, 다른 라인은 차량에 연결되고 움직일 수 있다. 자동차, 탱커 트럭, 모든 종류의 차량, 선박, 또한 항공기까지 차량으로 고려된다. 두 개의 라인이 작동가능한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차량이 움직이게 되면, 라인 연결이 해체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리형 커플링이 작동하는 연결 라인에 배치되며, 이 분리형 커플링은 과도한 견인력 또는 인장력에 의해 연결되어 있던 두 개의 라인이 서로 분리된다. 이 분리형 커플링은, 라인들이 분리되는 경우에 대응하며 각각의 라인을 차단하는 자동 폐쇄 유체 장벽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의 불필요한 동작이 환경을 훼손하는 긴급 상황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매우 차가운 매체, 예를 들면 액화 천연 가스(LNG)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라인을 통해 공급되어야 하고 전달되는 유체로서 고려된다. 이러한 연결된 라인에 있어서, 분리형 커플링은 매우 차가운 매체를 견뎌야만 한다.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긴급 분리형 안전 커플링은 독일 공개 공보 DE 91 1 400 5 U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두 개의 커플링 하프는, 외부에서부터 커플링 하프의 연결 가장자리의 환형 홈 안으로 결합되고 궁극적으로 유지 부재(retaining element)를 구성하는 유지 링 세그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밀봉부가 커플링 하프들을 압박함에 따라, 커플링부가 레이디얼 하중이 제거된 경우에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압박 밀봉부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 효과적이지 않다.
독일 공개 공보 DE 198 14 599 A1호는 단부면 위에서 서로 대향하게 놓인 칼라를 구비한 관형 연결이 개시되어 있고, 중간에 놓인 밀봉부(intermediate-lying seal)를 구비한 칼라는 분리가능한, 유체-밀봉식 연결을 형성하는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에 대하여 체결된다. O-링 또는 편평한 개스킷은 밀봉부로 불린다. 이러한 밀봉부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 효과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낮은 온도에서도 사용되기에 적합한 유형의 단단하고 간단히 제조될 수 있는 분리형 커플링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이 분리형 커플링을 해제시키는 힘은 이 분리형 커플링의 적절한 치수화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이 신규한 분리형 커플링은, 각각의 내부에 자동 폐쇄 유체 장벽을 포함하며 커플링의 대향하는 면에 시스템-밀봉식(system-tight) 단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커플링 하프를 포함한다.
단부 플랜지 간에 유체-밀봉식 연결을 얻기 위해, 시스템-밀봉 단부 플랜지는 일련의 링 세그먼트들에 의해 서로 밀착된다. 이 경우에, 서로 결합된 단부 플랜지는 링 세그먼트들에 의해 감싸지거나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과도한 인장력에 의해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링 세그먼트들은 방향이 설정된 원추면 또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분리형 커플링을 당기는 경우에 반경방향 힘이 프리스트레스 부재의 힘에 대응하도록 링-세그먼트 위에 발생한다.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링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힘이 프리스트레스 부재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힘을 초과하는 경우, 분리형 커플링이 해제된다. 프리스트레스 부재를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힘에 대하여 치수화하여, 긴급 분리가 발생되는 라인 위에 인장력 또는 견인력을 조정하는 수단을 얻는다.
매우 낮은 온도에 맞게 구성되기 위해, 분리형 커플링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도 상대 밀봉부에 확장 밀봉부의 밀봉 립을 밀착시키는 금속 확장 스프링을 구비한 확장 밀봉부를 포함한다. 매우 낮은 온도에서 취화되지 않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가 밀봉 립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을 기초로 설명된다.
도 1은 분리형 커플링을 통하는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링 세그먼트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별도의 링 세그먼트를 도시한다.
분리형 커플링은 일련의 링 세그먼트(3)에 의해 서로 결합된 제1 커플링 절반부(1)와 제2 커플링 절반부(2)를 포함한다. 링 세그먼트(3)들은 분리형 커플링의 주변부에서 프리스트레스 부재(4)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압박되어 서로 고정된다.
제1 커플링 절반부(1)는 제1 시스템-밀봉식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의 커플링 측(11a)을 포함하는 튜브형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제2 라인(secondary line)을 위한 연결용 나선부(12)가 제1 커플링 절반부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다. 제2 커플링 절반부(2)가 제1 커플링 절반부에 대해 대체로 거울면 대칭으로 형성되며, 제2 연결용 나선부(22)와 제2 시스템-밀봉식 말단 플랜지 또는 칼라(21)를 구비한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커플링 절반부는, 비상 해제가 시작되는 경우에 원추형 밀봉 시트(13 또는 23)와 함께 작동하는 구면 실링 부재(53 또는 63)과 스프링(51 또는 61)을 각각 포함하는 자동 폐쇄 유체 장벽(5 또는 6)을 각각 포함한다. 스프링(51 또는 61)은 튜브형 하우징(10 또는 20)의 받침대(crosspiece: 16 또는 26) 위에서 지지된다.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 21)는, 상호 잠금되는 커플링 측(11a 또는 21a)에서 서로 접한다. 이를 위해, 제1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가 리세스(14)를 구비하고, 제2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21)가 환형 축방향 돌출부(24)를 구비한다. 매우 낮은 온도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폐쇄 코일 스프링 형상의 확장 스프링(71)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의 거동이 이와 유사한 재료가 밀봉 립(72)에 적합하다.
커플링 측(11a 또는 21a)에서부터 먼 쪽에 있는 측에서,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 또는 21)가, 반경방향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볼 때 경사면이 서로 반대를 향하는 경사면(15 또는 25)에 해당하는 원추면을 각각 포함한다. 두 개의 형성된 원추의 원추형 끝(tip)이 장치의 축선 상에 놓이며 그 원추(cone)의 구멍의 각도는 65°내지 25°이고, 바람직하게는 더욱 한정하여 55° 내지 35°이다.
세 개 이상의 링 세그먼트(3)들은 장치의 원주 둘레에 일정하게 분배되어 있고, 서로 결합된 부분 원추면(15, 25)을 포함하는 단부 플랜지의 반경방향 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그 반경방향 내부면 위에 리세스(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리세스(30)의 가장자리(31, 32)의 경사면은 부분 원추면(15, 25)에 대응한다. 링 세그먼트(3)들은 프리스트레스 부재(4)가 결합되는 별개의 외부 리세스(34)를 포함하며, 이 링 세그먼트들은 원추면(15 또는 25)에 대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압박된다.
프리스트레스 부재(4)는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슬롯형 로크 와셔 또는 복수의 슬롯형 로크 와셔(slotted lock washer: 40, 41)가 프리스트레스 부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로크 와셔들은 단부에 인접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링 체결부로 구성되어서, 조립을 위해 로크 와셔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프리스트레스 부재는 또한 링 세그먼트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서로 고정시키는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프리스트레스 부재는 링 세그먼트들 둘레를 감싸는 하나 이상의 폐쇄 코일 스프링로 제작될 수도 있다. 링 세그먼트(3)들이 시스템 밀봉 플랜지 또는 칼라(11, 21)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박되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충분히 강한 힘을 발생하는 경우에, 프리스트레스 부재의 임의의 설계가 사용된다.
분리형 커플링의 작동에 있어서, 두 개의 원추면(15, 25)와 함께 작동하기 위해 경사면에 해당하는 가장자리(31, 32) 모두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오직 하나의 원추면이 요구되며 원통형 가장자리가 다른 원추면 대신에 형성될 수 있다. 링 세그먼트(3)들 안의 리세스(3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설치 보조기(mounting aid)로 사용되는 다른 외부 경사면(33)이 링 세그먼트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은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형성될 수 있다.
분리형 커플링의 작동 방식은 아래와 같다:
분리형 커플링이 이동되는 경우에, 링 세그먼트(3)가, 프리스트레스 부재(4)에 의해 가해지는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힘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 21)를 파지한다. 분리형 커플링의 반경방향으로 대칭인 구성에 의해, 그 분리형 커플링은 라인의 단부와 함께 라인에 형성된 갭으로 나사고정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이동 차량과 탱크 (또는 그 반대로) 사이에 라인 연결이 완성되는 작동가능한 커플링이 라인 안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제, 의도하지 않게 과도한 견인력이 라인 위에 작용하는 경우에, 원추면(15 또는 25)이 최소한 리세스(30)의 기울어진 반대면(32)에 압력을 가하고, 제거력(removal force)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반경방향 힘이 일련의 링 세그먼트(3)들에 작용한다. 이러한 힘이 내측으로 향하는 프리스트레스 부재(4)의 유지력을 초과하는 경우, 이 프리스트레스 부재(4)가 확장되며,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 또는 21)가 리세스(3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는 경우, 커플링 절반부(1, 2)가 서로 분리된다. 이때 유체 장벽(5 또는 6)이 작동한다. 즉, 이러한 유체장벽의 스프링이 밀봉 원추를 할당된 밀봉 시트(13 또는 23)에 대하여 이동시킨다. 따라서, 원치않는 유체의 누출이 방지된다.
분리형 커플링은 프리스트레스 부재(4)를 좌우로 당기고(spreading apart) 커플링 절반부(1, 2)를 함께 움직이고 프리스트레스 부재(4)를 해제하여 재조립되되, 링 세그먼트(3)가 결합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 또는 21)의 반경방향 가장자리를 파지하고 분리형 커플링이 다시 제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단단하고 간단히 제조되는 분리형 커플링은, 설명되고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커플링 절반부(1, 2) 상의 시스템-밀봉식 단부 플랜지(11, 21)를 포함한다. 단부 플랜지(11, 21)는, 경사면 또는 원추면(15, 25)을 포함하고, 프리스트레스 부재(4)에 의해 경사면 또는 원추면(15, 25)에 대해 압박되는 링 세그먼트(3)에 의해 파지된다. 커플링 절반부(1, 2) 위에 견인력이 과하게 작용하는 경우, 커플링 절반부는 프리스트레스 부재(4)의 힘에 대항하여 분리될 수 있다.

Claims (7)

  1. 제1 커플링 면과 제2 커플링 면 사이에서 분리 면에 걸쳐서 견인력 또는 인장력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경우에 2개의 라인을 분리하는 분리형 커플링으로,
    - 원통 주연부를 구비하는 튜브형 하우징(10)과 상기 튜브형 하우징(10) 내부에 자동 폐쇄 유체 장벽(5)을 구비하며, 제1 시스템 밀봉식 커플링 측(11a)을 형성하는 제1 커플링 절반부(1),
    - 원통 주연부를 구비하는 튜브형 하우징(20)과 상기 튜브형 하우징(20) 내부에 자동 폐쇄 유체 장벽(6)을 구비하며, 제2 시스템 밀봉식 커플링 측(21a)을 형성하는 제2 커플링 절반부(2),
    - 서로 결합되어 있는 시스템 밀봉식 커플링 측(11a, 21a)들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 단면을 가진 일련의 링 세그먼트(3)들을 포함하며,
    - 상기 시스템 밀봉식 커플링 측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커플링의 분리 면에 대하여 외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 또는 원추면(15, 25)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측을 파지하는 단면의 상기 링 세그먼트(3)들은 각각 상기 경사면 또는 원추면(15, 25)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 또는 원추면(31, 32)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 또는 원추면(31, 32)은 커플링 절반부가 서로 연결되면, 대응하는 커플링 측의 경사면 또는 원추면(15, 25) 위에 놓이고,
    - 상기 분리형 커플링은 링 세그먼트(3)를 파지하고 시스템 밀봉식 커플링 측(11a, 21a)들의 상기 경사면 또는 원추면(15, 25)에 대하여 상기 링 세그먼트(3)를 압박하는 프리스트레스 부재(4)를 구비하는 분리형 커플링에 있어서,
    - 상기 분리형 커플링은 제1 시스템 밀봉식 커플링 측(11a) 및 제2 시스템 밀봉식 커플링 측(21a) 각각의 상기 튜브형 하우징의 각 원통 주연부를 넘어 돌출하는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 21)로, 상기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 21)에는 상기 경사면 또는 원추면(15, 25)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 21)를 구비하고,
    - 제1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의 리세스(14) 안에 놓인 확장 밀봉부(7)가 상대 밀봉부인 제2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2)의 축방향 환형 돌출부(24)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면과 함께 작동하며,
    - 링 세그먼트(3)를 파지하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4)가 상기 분리형 커플링의 상기 분리 면에서 단부 플랜지 또는 칼라(11, 21)의 경사면 또는 원추면(15, 25)을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커플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4)는 슬롯형 로크 와셔(slotted lock washer: 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커플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4)는, 링 세그먼트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링 세그먼트들을 고정하는 인장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커플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4)는, 링 세그먼트(3)들을 파지하는 하나 이상의 폐쇄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커플링.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면(15, 25)의 구멍의 각도는 65°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커플링.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세그먼트(3)들은 외부 경사면(33)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경사면(33)은 링 세그먼트(3)의 인접하는 내부 경사면 또는 원추면(32) 반대편에 있으며 설치 보조기로 유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커플링.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밀봉식 커플링 측(11a, 21a)에서부터 먼 쪽에 있는 상기 커플링 절반부(1, 2)의 단부에 제2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나선부(12, 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커플링.
KR1020157022176A 2013-01-17 2014-01-03 비상 분리형 커플링 KR101897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0485.7 2013-01-17
DE102013100485.7A DE102013100485A1 (de) 2013-01-17 2013-01-17 Nottrennkupplung
PCT/EP2014/050051 WO2014111279A1 (de) 2013-01-17 2014-01-03 Nottrennkupp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852A KR20150107852A (ko) 2015-09-23
KR101897156B1 true KR101897156B1 (ko) 2018-09-11

Family

ID=4994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176A KR101897156B1 (ko) 2013-01-17 2014-01-03 비상 분리형 커플링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677697B2 (ko)
EP (1) EP2946134B1 (ko)
JP (1) JP6147361B2 (ko)
KR (1) KR101897156B1 (ko)
CN (1) CN104968984B (ko)
CA (1) CA2897893C (ko)
DE (1) DE102013100485A1 (ko)
ES (1) ES2700726T3 (ko)
HK (1) HK1211678A1 (ko)
PL (1) PL2946134T3 (ko)
WO (1) WO2014111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783B1 (ko) * 2016-07-13 2017-10-10 디케이락 주식회사 Lng 벙커링용 안전 분리형 커플러의 시험 장치
KR101717218B1 (ko) * 2016-10-04 2017-03-17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어획량 자동 추정 장치
DE102016120446B4 (de) 2016-10-26 2023-03-30 Andreas Von Keitz Kupplungsvorrichtung zur Kopplung von Leitungen für den Außenbereich
CN106763964B (zh) * 2016-12-29 2019-01-15 重庆良工科技有限公司 一种拉断阀
CN107725935A (zh) * 2017-09-29 2018-02-23 贵州新安航空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飞机应急保护装置自密封脱落接头
KR102027284B1 (ko) * 2017-12-26 2019-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커플링 장치
RU209148U1 (ru) * 2021-08-13 2022-02-03 Юрий Вячеславович Глушков Муфта разрывна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2015A1 (en) * 2000-11-22 2002-05-30 Plymovent Ab Safety coupling
US20100041287A1 (en) * 2008-08-12 2010-02-18 Woodrow Woods Gasketed connection of marine engine exhaust outlet to exhaust condui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9304A (en) 1919-10-13 1921-02-22 Schram Carl Coupling
US2659954A (en) * 1951-10-16 1953-11-24 Theodore A Woolsey Coupling clamp with constant spring loading
CH378112A (fr) 1959-10-28 1964-05-31 Gray Tool Co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deux éléments tubulaires
FR1528312A (fr) 1967-06-06 1968-06-07 Contraves Ag Raccord démontable pour tubes à haute pression
US4617975A (en) * 1982-07-23 1986-10-21 Charles Rabushka Tension actuated uncoupler
JPS60101284U (ja) * 1983-12-16 1985-07-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管接続部の構造
ATE177831T1 (de) * 1991-06-03 1999-04-15 Keitz Robert Von Kg Not-trenn-sicherheitskupplung
DE9114005U1 (ko) * 1991-11-12 1992-01-02 Robert Von Keitz Kg, 6250 Limburg, De
JPH0735069B2 (ja) * 1991-07-09 1995-04-19 株式会社佐藤鉄工所 流路接続装置
US5564715A (en) * 1993-10-15 1996-10-15 Corrosion Control Corp. Tandem seal device for flow line applications
DE4430132C1 (de) * 1994-08-25 1995-09-28 Guenter Rathje Abreißkupplung
US5660417A (en) * 1995-06-05 1997-08-26 Chevron U.S.A. Inc. Indicator for maintaining seals in flange assemblies
JPH10306889A (ja) * 1997-05-02 1998-11-17 Nok Corp 配管継手
DE19814559A1 (de) * 1997-12-04 1999-06-17 Fischer Georg Rohrleitung Rohrverbindung
DE20007117U1 (de) * 2000-04-11 2000-06-21 Roman Seliger Gmbh & Co Kg Abreißkupplung
DE20113541U1 (de) * 2001-08-15 2001-12-06 Roman Seliger Gmbh & Co Kg Abreißkupplung
US7086131B2 (en) * 2004-05-14 2006-08-08 Victaulic Company Deformable mechanical pipe coupling
DE102005011601A1 (de) * 2005-03-08 2006-09-14 Roman Seliger Gmbh Abreißkupplung
JP2007071361A (ja) * 2005-09-09 2007-03-22 Mitsuwa Seisakusho:Kk 配管継手
US9291292B2 (en) * 2006-03-02 2016-03-22 Eaton Corporation Keyed coupling assembly and k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2015A1 (en) * 2000-11-22 2002-05-30 Plymovent Ab Safety coupling
US20100041287A1 (en) * 2008-08-12 2010-02-18 Woodrow Woods Gasketed connection of marine engine exhaust outlet to exhaust cond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11678A1 (en) 2016-05-27
CN104968984B (zh) 2017-10-17
US20160084416A1 (en) 2016-03-24
EP2946134B1 (de) 2018-10-17
JP6147361B2 (ja) 2017-06-14
CA2897893A1 (en) 2014-07-24
US9677697B2 (en) 2017-06-13
CN104968984A (zh) 2015-10-07
JP2016510387A (ja) 2016-04-07
PL2946134T3 (pl) 2019-04-30
WO2014111279A1 (de) 2014-07-24
CA2897893C (en) 2018-12-18
EP2946134A1 (de) 2015-11-25
ES2700726T3 (es) 2019-02-19
KR20150107852A (ko) 2015-09-23
DE102013100485A1 (de)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156B1 (ko) 비상 분리형 커플링
JP6082455B2 (ja) 流体導通ライン同士を接続するカップリング
US9745926B2 (en) Fluid line coupling
EP3387313B1 (en) Tubular joint
US20170051852A1 (en) Fluid connector with annular groove and seal
EP3341640B1 (en) Pipe coupling including a foldable seal for range of pipe diameters
CA2897002C (e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a self-resetting retention mechanism
KR20110094081A (ko) 메탈 시일 링 및 그 메탈 시일 링을 사용한 도관 장치
US11187356B2 (en) Non-preloaded threaded pipe connection for temporary high pressure piping
US9611949B2 (en) Bi-directional hose break-away assembly
US7273237B1 (en) Union coupler assembly for coolant lines
JP2022167982A (ja) 流体管路装置
WO2017124182A1 (en) Sewer pipe fitting assembly
US1888260A (en) Pipe coupling for plain end pipes
CN111373185B (zh) 软管连接器组件
US20190331283A1 (en) Encapsulation sleeve gasket assembly with detachable inner layer
US2454555A (en) Combination cap and plug
US9140399B2 (en) Quick coupling
EP2626611B1 (en) Coupling system for connecting a pressure tube to a valve body
US580607A (en) Alexandre edmond thomine
US20170059071A1 (en) Pipe connector for connecting a fuel line of a fuel supply for a motor vehicle engine
US10662854B2 (en) Exhaust sealing joint
US20120086198A1 (en) Connecting device for two pipes overlapping in sections
NO20161899A1 (en) An arrangement for separating a connection between two pressurized flanged tube sections
US1019717A (en) Clamping device for pipe-jo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