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284B1 -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284B1
KR102027284B1 KR1020170179066A KR20170179066A KR102027284B1 KR 102027284 B1 KR102027284 B1 KR 102027284B1 KR 1020170179066 A KR1020170179066 A KR 1020170179066A KR 20170179066 A KR20170179066 A KR 20170179066A KR 102027284 B1 KR102027284 B1 KR 10202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ing
load cell
pip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686A (ko
Inventor
전상배
김정
박태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2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4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a cut-off device in each of the two pipe ends, the cut-off devices being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커플링 장치를 제공한다. 커플링 장치는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이송관 및 상기 제 2 이송관을 흐르는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연결관과, 상기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간의 결합 변형 정도를 감지하는 로드 셀, 및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을 밀착시키고, 상기 로드 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의 밀착을 해제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플링 장치{Coup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와 같은 부유식 설비에서 LNG 운반선으로 LNG를 이송함에 있어서 호스가 이용될 수 있다. 호스는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로딩암(loading arm)에 지지되어 이용될 수 있다.
로딩암이 이용되는 경우 로딩암은 부유식 설비와 LNG 운반선간의 높이 차이에 대응하도록 동작하여 호스와 매니폴드간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0331호 (2015.07.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플링 장치의 일 면(aspect)은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이송관 및 상기 제 2 이송관을 흐르는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연결관과, 상기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간의 결합 변형 정도를 감지하는 로드 셀, 및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을 밀착시키고, 상기 로드 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의 밀착을 해제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 셀은 일측이 상기 제 1 연결관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 2 연결관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이송관은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송관은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의 밀착이 해제되면서 상기 로드 셀이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에서 분리된다.
상기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은, 상호간에 밀착된 경우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호간에 밀착 해제된 경우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유체 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과 그립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가 이송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드 셀이 연결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동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동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10)는 제 1 연결관(110), 제 2 연결관(120), 로드 셀(200) 및 그립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은 제 1 이송관 및 제 2 이송관에 각각 연결되고, 제 1 이송관 및 제 2 이송관을 흐르는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 1 이송관은 호스를 포함하고, 제 2 이송관은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와 같은 부유식 설비에서 LNG 운반선으로 LNG를 이송함에 있어서 호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부유식 설비의 호스가 LNG 운반선의 매니폴드에 연결되어 LNG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은 호스 및 매니폴드의 사이에 구비되어 호스와 매니폴드간에 흐르는 LNG와 같은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이송관 및 제 2 이송관과의 결합을 위하여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에는 볼트형 플랜지(111, 121)가 구비될 수 있다. 볼트형 플랜지(111, 121)에는 볼트 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볼트 홀은 제 1 이송관 및 제 2 이송관에 구비된 플랜지의 볼트 홀과 연통될 수 있다. 볼트가 연통된 볼트 홀을 관통하고 너트에 의하여 체결됨에 따라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은 각각 제 1 이송관 및 제 2 이송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은 상호간에 접하는 경사 플랜지(112, 122)를 구비할 수 있다. 경사 플랜지(112, 122)는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에 그립부(300)가 압력을 가함에 따라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이 밀착할 수 있게 된다.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의 결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로드 셀(200)은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에 결합되어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간의 결합 변형 정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로드 셀(200)의 결합을 위하여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의 경사 플랜지(112, 122)에는 결합 홈(CG)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CG)은 경사 플랜지(112, 122)의 가장자리에서 연결관(110, 120)의 몸체 표면에 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드 셀(200)은 일측이 제 1 연결관(110)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제 2 연결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로드 셀(200)과의 결합을 위하여 연결관(110, 120)의 몸체에는 결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 셀(200)에는 결합 핀이 구비되는데, 결합 핀이 결합 홀에 삽입됨에 따라 로드 셀(200)과 연결관(110, 120)간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립부(300)는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을 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그립부(300)는 제 1 그립 프레임(310) 및 제 2 그립 프레임(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그립 프레임(310) 및 제 2 그립 프레임(320)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 1 그립 프레임(310) 및 제 2 그립 프레임(320)은 상호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 1 그립 프레임(310)과 제 2 그립 프레임(320)이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의 경사 프레임을 압박함에 따라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이 밀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1 그립 프레임(310)과 제 2 그립 프레임(320)에 의한 경사 프레임의 압박이 해제되는 경우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의 밀착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립부(300)는 로드 셀(2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의 밀착을 해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로드 셀(200)의 특정 감지 결과가 발생된 경우 그립부(300)는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의 밀착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로드 셀(200)의 전기 신호의 크기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그립부(300)는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의 밀착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립부(300)에는 결합부(410, 420)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410, 420)는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410)는 제 1 그립 프레임(310)의 말단에 구비되고, 제 2 결합부(420)는 제 2 그립 프레임(320)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는 상호간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미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는 자력으로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미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에는 각각 제 1 전자석(411) 및 제 2 전자석(421)이 구비될 수 있다. 제 1 전자석(411) 및 제 2 전자석(421)은 상호간에 당기는 힘 또는 미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1 전자석(411) 및 제 2 전자석(421)이 상호간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는 경우 제 1 그립 프레임(310)과 제 2 그립 프레임(320)이 근접하게 되면서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의 경사 플랜지(112, 122)를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 1 전자석(411) 및 제 2 전자석(421)이 상호간에 미는 힘을 발생시키는 경우 제 1 그립 프레임(310)과 제 2 프레임이 멀어지면서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의 경사 플랜지(112, 122)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자력에 의한 결합부(410, 420)간의 결합 및 결합 해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이하, 자력에 의한 제 1 결합부(410)와 제 2 결합부(420)간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과 그립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립부(300)에 의하여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이 밀착될 수 있다.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은 각각 경사 플랜지(112, 1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에 구비된 경사 플랜지(112, 122)를 각각 제 1 경사 플랜지(112) 및 제 2 경사 플랜지(122)라 한다.
제 1 경사 플랜지(112) 및 제 2 경사 플랜지(122)는 경사면(SF)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경사면(SF)에 대응하는 경사 홈(SG)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 플랜지(112, 122)의 경사면(SF)이 경사 홈(SG)에 삽입되면서 그립 플랜지가 압력을 가함에 따라 제 1 경사 플랜지(112)와 제 2 경사 플랜지(122)가 서로 밀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가 이송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플링 장치(10)는 이송관(21, 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송관(21, 22)을 연결할 수 있다.
제 1 이송관(21) 및 제 2 이송관(22)은 커플링 장치(10)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이송관(21) 및 제 2 이송관(22)의 사이를 흐르는 유체는 커플링 장치(10)를 통하여 흐를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드 셀이 연결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로드 셀(200)은 연결관(110, 120)에 결합될 수 있다.
로드 셀(200)에는 2개의 결합 핀(210)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 핀(210) 중 하나는 제 1 연결관(110)의 결합 홀(113)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 2 연결관(120)의 결합 홀(123)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핀(210)과 결합 홀(113, 123)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직경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에, 결합 핀(210)이 결합 홀(113, 123)에 삽입된 경우 로드 셀(200)은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드 셀(200)은 몸체의 변형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의 변형이 적은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전기 신호가 출력되고, 몸체의 변형이 큰 경우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전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로드 셀(20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통하여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간 결합 변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로드 셀(200)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전기 신호가 출력된 경우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간의 결합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로드 셀(200)에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전기 신호가 출력된 경우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간의 결합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간의 결합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로 결합 중인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는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는 서로 당기는 힘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간의 결합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로 결합 중인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는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는 서로 미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는 각각 제 1 전자석(411) 및 제 2 전자석(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자석(411) 및 제 2 전자석(421)을 상호간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미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1 전자석(411)과 제 2 전자석(421)이 상호간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킴에 따라 제 1 결합부(410)와 제 2 결합부(420)가 결합되고, 제 1 전자석(411)과 제 2 전자석(421)이 상호간에 미는 힘을 발생시킴에 따라 제 1 결합부(410)와 제 2 결합부(42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는 선택적으로 결합 핀(422) 및 결합 홀(41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제 1 결합부(410)에 결합 홀(412)이 구비되고, 제 2 결합부(420)에 결합 핀(422)이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결합 핀(422)이 결합 홀(412)에 삽입됨에 따라 제 1 결합부(410)와 제 2 결합부(420)의 올바른 결합 위치가 결정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결합부(410) 및 제 2 결합부(420)는 분리될 수 있다. 제 1 전자석(411)과 제 2 전자석(421)이 상호간에 미는 힘을 발생시킴에 따라 제 1 결합부(410)와 제 2 결합부(420)가 강제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제 1 결합부(410)와 제 2 결합부(420)가 분리됨에 따라 제 1 그립 프레임(310)과 제 2 그립 프레임(320)이 멀어지고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의 밀착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드 셀(200)은 결합부(410, 42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제 1 그립 프레임(310)에 로드 셀(200)이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결합부(410)와 제 2 결합부(420)가 분리되는 경우 제 1 그립 프레임(310)과 제 2 그립 프레임(320)을 멀어지게 하는 강제적인 힘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힘으로 인하여 로드 셀(200)이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의 밀착이 해제되면서 로드 셀(200)이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동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동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은 유체 이동 제어부(510, 52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에 구비된 유체 이동 제어부(510, 520)를 각각 제 1 유체 이동 제어부(510) 및 제 2 유체 이동 제어부(520)라 한다.
유체 이동 제어부(510, 520)는 상호간에 밀착된 경우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호간에 밀착 해제된 경우 유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에 구비된 유체 이동 제어부(510, 520)를 각각 제 1 유체 이동 제어부(510) 및 제 2 유체 이동 제어부(520)라 한다.
제 1 유체 이동 제어부(510) 및 제 2 유체 이동 제어부(520)는 각각 차단부(511, 521), 탄성부(512, 522) 및 지지부(513, 5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단부(511, 521)는 유체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511, 521)가 연결관(110, 120)의 개구에 밀착한 경우 연결관(110, 120)을 통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탄성부(512, 522)는 차단부(511, 52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탄성부(512, 522)는 일측이 지지부(513, 523)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이 차단부(511, 52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이 밀착한 상태에서 제 1 유체 이동 제어부(510) 및 제 2 유체 이동 제어부(520)의 차단부(511, 521)는 서로를 밀 수 있다. 이에 차단부(511, 521)는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의 개구에서 이격되고,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간의 유체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이 분리된 경우 탄성부(512, 522)의 탄성력에 의하여 차단부(511, 521)는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의 개구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511, 521)가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의 개구를 차단하여, 제 1 연결관(110)과 제 2 연결관(120)간의 유체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 연결관(110) 및 제 2 연결관(120)간의 유체 흐름이 차단됨에 따라 호스 및 매니폴드에서 외부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커플링 장치 21: 제 1 이송관
22: 제 2 이송관 110: 제 1 연결관
111, 121: 볼트형 플랜지 112, 122: 경사 플랜지
113, 123: 결합 홀 120: 제 2 연결관
200: 로드 셀 210: 결합 핀
300: 그립부 310: 제 1 그립 프레임
320: 제 2 그립 프레임 410: 제 1 결합부
411: 제 1 전자석 412: 결합 홀
420: 제 2 결합부 421: 제 2 전자석
422: 결합 핀 510: 제 1 유체 이동 제어부
511, 521: 차단부 512, 522: 탄성부
513, 523: 지지부 520: 제 2 유체 이동 제어부

Claims (5)

  1. 제 1 및 제 2 이송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이송관 및 상기 제 2 이송관을 흐르는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연결관;
    상기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간의 결합 변형 정도를 감지하는 로드 셀; 및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을 압박하여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을 밀착시키고, 상기 로드 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의 밀착을 해제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셀은 일측이 상기 제 1 연결관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 2 연결관에 결합되는 커플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관은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송관은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의 밀착이 해제되면서 상기 로드 셀이 상기 제 1 연결관과 상기 제 2 연결관에서 분리되는 커플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은,
    상호간에 밀착된 경우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호간에 밀착 해제된 경우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유체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KR1020170179066A 2017-12-26 2017-12-26 커플링 장치 KR102027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066A KR102027284B1 (ko) 2017-12-26 2017-12-26 커플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066A KR102027284B1 (ko) 2017-12-26 2017-12-26 커플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686A KR20190077686A (ko) 2019-07-04
KR102027284B1 true KR102027284B1 (ko) 2019-10-01

Family

ID=6725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066A KR102027284B1 (ko) 2017-12-26 2017-12-26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2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4447A1 (de) 2005-02-09 2006-08-17 Von Keitz, Andreas Not-trenn-sicherheitskupplung
JP2013040647A (ja) * 2011-08-15 2013-02-28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フランジのガスケット締代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365A (ko) * 2002-11-27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의 드래그 저감 장치
DE102013100485A1 (de) * 2013-01-17 2014-07-17 Andreas von Keitz Nottrennkupplung
KR101540331B1 (ko) * 2013-10-18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4447A1 (de) 2005-02-09 2006-08-17 Von Keitz, Andreas Not-trenn-sicherheitskupplung
JP2013040647A (ja) * 2011-08-15 2013-02-28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フランジのガスケット締代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686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8352B2 (ja) 緊急分離カップリング
US5507530A (en) Plural male and female fluid coupler connecting mechanism and method
CN105491868B (zh) 部件放置设备及用于拾取部件并将部件置于基底上的方法
US8733187B2 (en) Pipe inspection system
US11285592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parating, feeding and mounting O-rings
US5342098A (en) Multiple coupling device
WO1995033949A1 (en) Apparatus for gripping and sealing on the external surface of a fluid conductor
US10086914B2 (en)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 between a ship and a facility, such as a client ship
JP6863582B2 (ja) ロボットアームカップリング装置
US10385992B2 (en) Modular buoyancy element
KR102027284B1 (ko) 커플링 장치
TW200422150A (en) Hydraulic cylinder
CN217502987U (zh) 一种大流量快速接头
CN215851354U (zh) 一种异形件运输装置
CN105382723A (zh) 用于固定工件的夹紧装置
CN101939144B (zh) 用于连接模制件的方法以及装置
CN114096777B (zh) 管道气密装置
US11009133B2 (en) Vacuum release valve
JP2015077674A (ja) ホースクランプ取り外し用工具
JP4551271B2 (ja) 管継手連結装置
KR101601884B1 (ko) 철도 차량용 연결기
CN203215070U (zh) 一种气路对接结构
TWI831550B (zh) 取料裝置
US11440170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parating, feeding and mounting O-rings
CN218671073U (zh) 一种气瓶阀门用快速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