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702B1 -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702B1
KR101896702B1 KR1020120010542A KR20120010542A KR101896702B1 KR 101896702 B1 KR101896702 B1 KR 101896702B1 KR 1020120010542 A KR1020120010542 A KR 1020120010542A KR 20120010542 A KR20120010542 A KR 20120010542A KR 101896702 B1 KR101896702 B1 KR 10189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article
rail member
brack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124A (ko
Inventor
이기창
송영욱
최민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7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에서 운전자나 탑승자가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물품을 보다 사용하기 쉽게 거치할 수 있는 물품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사용시 장착부 내측으로 삽입하여 은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컵 등의 음료용기 외에 휴대폰, 태블릿 PC, 수첩 등의 다양한 물품들을 거치할 수 있는 다용도 특성의 물품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마련된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부 내부로 삽입, 및 장착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이드 수단을 가지는 레일부재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레일부재의 가이드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품보관대를 포함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Article supppor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물품을 사용하기 쉽게 거치할 수 있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편의기구가 설치되고, 이러한 편의기구로는 물품들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박스 모양의 수납공간인 콘솔박스(console box)나, 캔, 병, 컵 등의 음료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cup holder),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밴드 등의 수납장치도 포함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 공간은 제한된 공간이므로 운전자나 탑승자가 물품을 수납하고 보관할 수 있는 장소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며, 차량 실내에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그럼에도 차량의 수납장치는 보관성 및 편의성과 더불어 외관이나 공간성, 확장성 등을 다양하게 고려함이 바람직한데, 수납된 물품이 드러나지 않도록 덮개를 밀폐할 수 있는 콘솔박스,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접어두거나 내부로 넣어 은폐시킬 수 있는 수납형 컵 홀더, 차량 내장재에 간편히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켓, 간단한 구성으로 돌출됨 없이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밴드 등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 즉 콘솔박스가 설치된 콘솔부에 콘솔박스와 더불어 컵을 꽂아 보관하는 별도의 컵 홀더나, 동전, 휴대폰, 펜 등의 소형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트레이 등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컵 홀더의 경우 센터페시아(center facia)나 콘솔박스 후단 등의 다양한 위치에 은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선행특허문헌으로는 공개특허 제2005-0061852(2005.06.23), 공개특허 제2010-0054203호(2010.05.25), 공개특허 제2007-0021438호(2007.02.23), 공개특허 제1997-0037125(199.07.22) 등이 있다.
한편, 콘솔박스, 트레이, 컵 홀더 등을 갖는 종래의 콘솔부는 수납공간의 구획이 불분명하고 공간의 용량이 작으며 수납된 여러 물품 중 정작 필요한 물품을 쉽고 빠르게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콘솔박스의 경우, 물품을 박스 공간 내에 단순히 넣어두는 형태로 사용되므로, 필요시에 원하는 물품을 신속히 찾거나 꺼내는데 불편함이 있고, 덮개를 열거나 닫는 동작, 물품을 찾아 꺼내는 동작 등이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되므로 이용에 있어서 다소 제한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많은 물품이 좁은 수납공간에 복잡하게 수납되므로 운전 중 필요한 물품을 찾고자 할 경우 운전의 방해 요인이 될 수 있고, 자주 사용하는 물품이나 운전자가 눈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놔두어야 하는 물품, 충전 등의 이유로 차량과의 연결이 필요한 물품 등을 넣어두기에는 곤란함이 있다.
또한 트레이의 경우, 휴대폰 등을 차량과 연결된 상태로 보관하기에는 적절하나 물품의 고정이나 안전한 보관 및 거치가 어렵다.
또한 종래의 컵 홀더는 장착부 내측으로 수납하여 은폐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컵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컵 전용의 기구로서 그 외의 물품을 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여러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다용도 특성을 가지지 못한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의 사용이 늘면서 개인이 휴대하는 물품의 수가 점차 늘어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콘솔부에 추가적인 수납공간이 필요한 상황이며,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운전에 방해됨 없이 물품을 더욱 쉽게 찾아 쓸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물품을 사용하기 쉽게 거치해둘 수 있는 수납기구의 필요가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 내에서 운전자나 탑승자가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물품을 보다 사용하기 쉽게 거치할 수 있는 물품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장착부 내측으로 삽입하여 은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컵 등의 음료용기 외에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수첩 등의 다양한 물품들을 고정 및 거치할 수 있는 다용도 특성의 물품 거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물품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는 물품 거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마련된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부 내부로 삽입, 및 장착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이드 수단을 가지는 레일부재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레일부재의 가이드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품보관대를 포함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물품 거치 장치는 상기 장착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재가 결합되어 안내되는 레일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콘솔박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물품보관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보관대는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물품보관대에 형성된 삽입부가 상기 브라켓의 결합홈에 끼움방식 또는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레일홈에 단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보관대는, 판상의 물품을 수납 및 고정, 거치하는 것으로서, 판상의 물품을 거치하도록 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곡선의 판상 구조로 일체 형성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슬릿을 가지는 곡면판부와; 상기 가이드 수단의 브라켓에 결합되는 부분이면서 횡방향을 따르는 끼움홈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을 통해 상기 곡면판부의 슬릿에 끼워져 결합되는 중간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브라켓의 끼움홈을 따라 곡면판부를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곡면판부과 일체로 된 지지대의 각도, 및 이에 거치된 물품의 거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부재는 각각 직선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호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두 직선부를 가지며, 각 직선부의 레일홈에 브라켓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부재는 나란한 두 직선부 끝단을 연결하면서 레일홈이 형성된 연결부를 가지며, 물품보관대가 두 직선부와 연결부에 걸쳐 연속된 레일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 및 연결부의 레일홈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전체 레일부재가 U자형으로 이루어지고, 레일홈에 삽입되는 브라켓이 직선부의 레일홈과 연결부의 레일홈에 걸쳐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보관대는 컵, 캔 또는 병을 수납할 수 있는 용기 형상의 컵 홀더와, 소품용 수납홈을 가진 거치대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물품 거치 장치에 의하면, 차량 실내에서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수납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운전 중 필요한 물품을 쉽게 찾도록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운전의 방해 요인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물품보관대를 이동시켜 필요한 위치에 물품을 수납 및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탈/부착 가능한 물품보관대의 선택 사용 및 조합을 통해 컵 등의 음료용기는 물론(추가적인 컵 홀더 제공) 휴대폰, 태블릿 PC, 수첩 등의 다양한 물품들을 고정 및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물품보관대의 위치나 각도,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물품을 더욱 사용하기 쉽게 거치할 수 있고, 사용자 범위 내에서 IT 기기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레일부재가 장착부에 삽입/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레일부재를 장착부 내측으로 삽입하여 은폐시키는 경우 외관 향상은 물론 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가 콘솔박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의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콘솔박스 내부에 레일가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에서 콘솔박스 내부와 외부로 출입하는 레일부재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에서 판상 물품류를 거치하는 물품보관대의 조립 상태도 및 설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에서 물품보관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에서 레일부재에 컵 홀더와 동전 거치대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의 여러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100)가 콘솔박스(10)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품 거치 장치(100)는 차량 실내에서 추가적인 물품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차량 실내에 마련된 장착부, 바람직하게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박스(10)에 설치될 수 있고, 콘솔박스(10) 내부로 삽입, 및 콘솔박스(10)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일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부재(110)는 후술하는 물품보관대(120a,120b,120c)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수단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물품보관대(120a,120b,120c)를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구성부가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일부재(110)의 가이드 수단은 레일홈(113), 및 이 레일홈(11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11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레일홈(113)은 레일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이 레일홈(113)에 삽입된 브라켓(115)을 매개로 하여 물품보관대(120a,120b,120c)가 레일홈(113)에 결합된다.
도 1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물품 거치 장치(100)가 콘솔박스(10)에 설치된 실시예로서, 레일부재(110)는 콘솔박스(10)의 전단부에서 콘솔박스(10) 내부로 삽입되거나, 콘솔박스(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설치된다.
즉, 물품 수납 및 거치시에는 상기 레일부재(110)를 콘솔박스(10) 전방으로 인출시켜 사용하며, 미사용시에는 레일부재(11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콘솔박스(10)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품보관대(120a,120b,120c)는 레일부재(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보다 명확히는 레일부재(110)의 레일홈(113)에 삽입된 브라켓(115)에 물품보관대(120a,120b,120c)가 쉽게 탈거 및 부착될 수 있게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물품보관대(120a,120b,120c)와 브라켓(115)의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레일부재(110)는 차량 실내 장착부(콘솔박스)로부터 사용시 인출되거나, 미사용시 장착부 내측으로 삽입하여 은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레일부재(110)를 장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인출한 뒤, 인출된 레일부재(110)에 물품보관대(120a,120b,120c)를 부착하고, 이어 물품보관대(120a,120b,120c)에 물품을 안전하게 수납하거나 거치하게 된다.
상기 레일부재(110)는 차량 실내의 장착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부 내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레일가이드(130)에 결합되는데, 레일가이드(130)는 레일부재(11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레일부재(110)를 쉽게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지지 및 안내해주는 구성부이다.
도 2는 레일부재(110)에 레일가이드(130)가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레일가이드(130)에 레일부재(110)가 전후방향으로(화살표로 나타냄)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의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레일가이드(130), (b)는 레일부재(110), (c)는 브라켓(115)을 각각 나타내며, (d)는 레일홈(113)이 형성된 구간에서 취한 레일부재(11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110)는 소정 길이의 봉(로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호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두 직선부(111)를 가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란한 양측의 두 직선부(111) 끝단을 곡선 형상의 연결부(112)가 일체로 연결하는 형상, 즉 전체 형상이 예시된 바와 같은 U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일부재(110)에서 레일홈(113)이 형성된 구간은 물품보관대(120a,120b,120c)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이 되며, 레일부재(110)의 가이드 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레일홈(113)이 직선부(111)와 연결부(112)에 걸쳐 U자형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는바, 물품보관대(120a,120b,120c)가 U자형의 레일홈(1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의 (d)에 나타낸 레일홈(113)의 단면 형상을 살펴보면, 레일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개구되는 개구부(113a)가 상부에 형성되고, 개구부(113a) 하측으로 브라켓(115)이 넣어지는 확장된 공간, 즉 홈부(113b)가 형성되며, 레일부재(110)의 단면상 상부에는 브라켓(115)이 홈부(113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게 되는 걸림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가이드(130)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부재(110)의 나란한 직선부(11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평행 배치되는 가이드부(131)와, 나란한 좌우 양측의 가이드부(131) 사이를 전후 각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콘솔박스(10) 내측으로 레일가이드(130)가 고정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콘솔박스(10)가 박스 모양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레일가이드(130)가 콘솔박스(10)의 본체부(11) 상단 내측에 고정되며, 이때 고정방식은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볼트고정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콘솔박스(10) 전방에서 콘솔박스(10) 내측의 레일가이드(130)로부터 레일부재(110)가 출입하여야 하므로, 도면상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레일가이드(130)의 전단은 콘솔박스(10) 전면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구조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100)에서 장착부인 콘솔박스(10)의 내부와 외부로 출입하는 레일부재(110)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레일부재(110)가 콘솔박스(10)의 전단부에서 전후 슬라이딩 되는 상태, 즉 삽입 및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a)는 레일부재(11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b)는 레일부재(11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내부로 삽입, 은폐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의 (a)에서 도면부호 133은 레일부재(110)가 레일가이드(130)에서 전방으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부(133)로서, 이 스토퍼부(133)의 구성은 레일부재(110)가 레일가이드(130)로부터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 즉 레일부재(110)가 최대 인출된 상태에서 인출방향으로 레일부재(110)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이라면 특정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스토퍼부(133)의 구성을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레일가이드(130)의 내부통로로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돌출/삽입 작동하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레일부재(110)가 전방으로 최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가 레일부재(110) 하면의 홈이나 홀, 걸림턱 등에 걸리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는 레일부재(110)가 최대 인출된 위치에서 레일가이드(130)와 레일부재(110) 간의 상호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구조를 레일부재(110)와 레일가이드(130)에 각각 설치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
한편, 상기 브라켓(115)은 레일부재(110)의 레일홈(113)에서 물품보관대(120a,120b,120c)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 및 지지시키는 구성부로, 레일부재(110)의 레일홈(113) 내에 삽입된 상태로 레일부재(110) 및 레일홈(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한 일례로, 레일부재(110)의 직선부(111)와 곡선의 연결부(112)에 걸쳐 레일홈(113) 전 구간(즉, 나란한 두 직선 구간, 및 나란한 두 직선 구간을 연결하는 곡선 구간)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115)의 형상(평면 형상 및 횡단면의 형상)은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이 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15)은 물품보관대(120a,120b,120c)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지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브라켓(115)의 결합부는, 브라켓(115)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116)에 물품보관대(120a,120b,120c)의 삽입부(도 3, 6, 8에서 도면부호 126임)가 결합되는 결합홈(117)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15)의 돌출부(116)는 레일부재(110)에 형성된 레일홈(113)의 개구부(113a)에 삽입된 상태로 개구부(113a)를 따라 안내되며, 물품보관대(120a,120b,120c)의 삽입부(126)와 브라켓(115)의 결합홈(117) 간의 결합 방식은, 물품보관대(120a,120b,120c)를 브라켓(115)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방식, 예컨대 물품보관대(120a,120b,120c)의 삽입부(126)가 브라켓(115)의 결합홈(117)에 끼워지는 끼움방식, 또는 삽입부(126)가 결합홈(117)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방식 등이 될 수 있다.
나사체결방식이 적용되는 예의 경우,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물품보관대(120a,120b,120c)의 삽입부(126) 외주면과 브라켓(115)의 결합홈(117)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레일부재(110)의 레일홈(113)에 설치되는 브라켓(115)의 개수는 단수 또는 복수개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러한 브라켓(115)의 개수를 특정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개의 각 브라켓(115)이 레일부재(110)의 레일홈(113)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각 브라켓(115)에는 물품보관대(120a,120b,120c)가 설치되므로, 물품보관대(120a,120b,120c) 역시 브라켓(115)과 함께 레일부재(110)의 레일홈(113)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품 거치 장치(100)는 브라켓(115)에 결합되어 레일부재(110)의 레일홈(11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각 물품이 실질적으로 보관 및 거치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물품보관대(120a,120b,120c)를 포함한다.
도 3에서 (e)와 (f), (g)는 본 발명의 물품 거치 장치(1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물품보관대(120a,120b,120c)의 여러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e)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휴대 물품 중 판상의 물품류를 수납 및 고정, 거치하는 물품보관대(120a)의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판상의 물품류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는 물품, 예컨대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등의 스마트 기기, 수첩 등의 물품을 의미한다.
상기 판상의 물품류를 거치하는 물품보관대(120a)는 물품이 결합 및 지지되는 지지대(121)와, 상기 지지대(121)에 일체로 형성되어 레일부재(110)의 브라켓(115)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121)는, 사용자, 즉 운전자나 탑승자가 거치된 물품을 비스듬히 내려다 볼 수 있도록, 대략 경사방향으로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물품의 후면이 안착되는 판상의 지지대(121)를 경사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121)는 물품의 후면이 안착된 상태에서 물품의 하단부가 안착 지지되는 하단지지부(122)를 가지며, 이 하단지지부(122)는 도 3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121)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단지지부(122)가 전방으로 돌출된 후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도 3의 (e) 참조), 물품의 하단부가 하단지지부(122)의 상방 연장된 부분과 후방의 지지대(121) 사이에 넣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곡선의 판상 구조로 형성되고 슬릿(123a)이 형성된 곡면판부(123)와, 횡방향을 따르는 끼움홈(124a)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24a)을 통해 곡면판부(123)의 슬릿(123a)에 끼워져 결합되는 중간브라켓(124)으로 구성된다.
상기 곡면판부(123)는 지지대(121)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3의 (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1) 상단과 하단에서 후방으로 일체 연장 형성되는 곡면판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끼움홈(124a)을 통해 중간브라켓(124)이 끼워지는 슬릿(123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중간브라켓(124)은 대략 구(球)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중간브라켓(124)의 외주상에 상기 끼움홈(124a)이 형성되는바, 끼움홈(124a)을 통해 중간브라켓(124)이 곡면판부(123)의 슬릿(123a)에 결합되며, 곡면판부(123)와 중간브라켓(124)이 결합된 상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중간브라켓(124)의 하단에는 레일부재(110)에 설치된 브라켓(115)의 결합홈(117)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126)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115)의 돌출부(116)에 형성된 결합홈(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며, 곡면판부(123)에 결합된 중간브라켓(124)이 레일홈(113)에 설치된 브라켓(115)의 결합홈(117)에 결합됨으로써 물품지지대(121)가 레일부재(11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곡면판부(123)와 중간브라켓(124)을 가지는 물품보관대(120a)는 사용자의 시점(視點)에 맞게 물품의 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물품보관대로서, 물품이 지지되는 지지대(121)의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에서 물품보관대(120a)의 각도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물품을 보다 세운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예를(수평을 기준으로 경사각을 보다 크게 한 상태), (b)는 물품을 보다 눕힌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예(수평을 기준으로 경사각을 보다 작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110)의 브라켓(115)에 결합된 중간브라켓(124)을 기준으로 하여 중간브라켓(124)의 끼움홈(124a)에서 곡면판부(123)를 슬라이딩시킬 경우, 곡면판부(123)과 일체로 된 지지대(121)의 경사각도(기울임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물품보관대(120a)를 보다 세우거나, 보다 기울이는 것이 가능해지며,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신의 시점에 맞추어 물품의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서 (f)와 (g)는 본 발명의 물품 거치 장치(1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물품보관대(120b,120c)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f)는 컵 등의 음료용기나 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컵 홀더 형태의 보관대(120b)로 구성되는 것이며, (g)는 동전이나 열쇠, 펜 등의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동전 거치대(120c)로 구성되는 것이다.
(f)의 컵 홀더(120b)는 콘솔부에 설치된 기존의 컵 홀더 외에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예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은 컵 등의 음료용기가 수납될 수 있는 원통형의 용기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g)의 동전 거치대(120c)는 동전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125)을 가지며, 동전을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f)의 컵 홀더(120b) 역시 음료용기가 수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컵 홀더(120b) 및 동전 거치대(120c) 역시 레일부재(110)의 브라켓(115)에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각각의 하부에는 브라켓(115)의 결합홈(117)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126)가 하방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에서 컵 홀더(120b)와 동전 거치대(120c)가 레일부재(11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컵 홀더(120b)를, (b)는 동전 거치대(120c)를 나타내며, 각각의 삽입부(126)를 레일부재(110)의 브라켓(115)에 결합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예시한 예의 물품보관대(120a,120b,120c) 외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형상 및 타입의 물품보관대가 사용될 수 있고, 예시된 물품보관대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물품보관대를 상술한 예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거치 장치(100)에서 물품보관대(120a,120b,120c)는 레일부재(110)의 브라켓(115)에 쉽게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1 종 또는 2종 이상의 물품보관대(120a,120b,120c)를 선택하여 레일부재(110)에 장착한 뒤 물품을 보관 및 거치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라면 레일부재로부터 필요 없는 물품보관대를 탈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동일한 물품보관대 복수개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물품보관대(120a,120b,120c)는 레일부재(110)의 브라켓(115)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므로 방향 조절이 가능한데, 특히 판상 물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물품보관대(120a)의 경우, 휴대폰이나 스마트 기기, 수첩 등의 판상 물품류를 거치한 뒤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수첩 내용을 쉽게 눈으로 볼 수 있는 방향으로 물품보관대(120a)를 회전시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 물품보관대(120a,120b,120c)는 U자형의 레일부재(110)(레일홈 전 구간)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방향은 물론 위치까지도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거치 장치(100)에 물품을 수납할 필요가 없을 경우, 물품보관대(120a,120b,120c)를 모두 탈거한 뒤 레일부재(110)를 장착부인 콘솔박스(10) 내부로 삽입하여, 콘솔박스(10) 주변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 장치(100)의 여러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판상 물품류 거치용 물품보관대(120a) 2개에 휴대폰(1)과 수첩(2)을 각각 거치하고, 컵 홀더(120b)에는 음료용기(3)를, 동전 거치대(120c)에는 펜(4)을 수납한 예를 나타낸다.
상기 2개의 판상 물품류 거치용 물품보관대(120a)는 각각 사용자가 보기 편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b)는 레일부재(110)의 나란한 두 직선부(111)에 판상 물품류 거치용 물품보관대(120a)를 전후방향 기준으로 동일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두 물품보관대(120a)를 동시에 사용하여, 넓은 면적의 스마트 기기, 예컨대 태블릿 PC(스마트 패드)(5)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두 물품보관대(120a)를 모두 전후 이동시켜 동일 위치로 위치를 조절하면 물품을 원하는 위치에 거치할 수 있다.
(c)는 동전 거치대를 탈거하고 판상 물품류 거치용 물품보관대(120a)와 컵 홀더(120b)만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며, 이 컵 홀더(120b)는 차량에 기 구비된 컵 홀더 외에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제공하며, 기존의 컵 홀더 부족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콘솔박스 100 : 물품 거치 장치
110 : 레일부재 111 : 직선부
112 : 연결부 113 : 레일홈
115 : 브라켓 116 : 돌출부
117 : 결합홈 120a : 물품보관대
120b : 물품보관대(컵 홀더) 120c : 물품보관대(동전 거치대)
121 : 지지대 122 : 하단지지부
123 : 곡면판부 123a : 슬릿
124 : 중간브라켓 124a : 끼움홈
125 : 수납홈 126 : 삽입부
130 : 레일가이드

Claims (12)

  1. 차량 실내에 마련된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부 내부로 삽입, 및 장착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이드 수단을 가지는 레일부재(110)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레일부재(110)의 가이드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레일부재(1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품보관대(120a,120b,120c);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레일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물품보관대(120a,120b,120c)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레일홈(113)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재(110)는, 각각 직선의 레일홈(113)이 형성되고 상호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두 직선부(111)와, 상기 나란한 두 직선부(111)의 끝단을 연결하면서 레일홈(113)이 형성된 연결부(112)를 가지며, 물품보관대(120a,120b,120c)가 두 직선부(111)와 연결부(112)에 걸쳐 연속된 레일홈(11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물품보관대(120a)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슬릿(123a)을 가지는 곡면판부(123)와; 상기 가이드 수단에 결합되는 부분이면서, 횡방향을 따르는 끼움홈(124a)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24a)을 통해 상기 슬릿(123a)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곡면판부(123)가 끼움홈(124a)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중간브라켓(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재(110)가 결합되어 안내되는 레일가이드(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콘솔박스(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레일홈(11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물품보관대(120a,120b,120c)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품보관대(120a,120b,120c)는 브라켓(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물품보관대(120a,120b,120c)에 형성된 삽입부(126)가 상기 브라켓(115)의 결합홈(117)에 끼움방식 또는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5)은 레일홈(113)에 단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품보관대(120a는, 판상의 물품을 수납 및 고정, 거치하는 것으로서,
    판상의 물품을 거치하도록 된 지지대(121)와;
    상기 지지대(121)에 곡선의 판상 구조로 일체 형성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슬릿(123a)을 가지는 곡면판부(123)와;
    상기 가이드 수단의 브라켓(115)에 결합되는 부분이면서 횡방향을 따르는 끼움홈(124a)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24a)을 통해 상기 곡면판부(123)의 슬릿(123a)에 끼워져 결합되는 중간브라켓(124);
    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브라켓(124)의 끼움홈(124a)을 따라 곡면판부(123)를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곡면판부(123)과 일체로 된 지지대(121)의 각도, 및 이에 거치된 물품의 거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2), 및 연결부(112)의 레일홈(113)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전체 레일부재(110)가 U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수단의 레일홈(11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물품보관대(120a,120b,120c)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15)이 직선부(111)의 레일홈(113)과 연결부(112)의 레일홈(113)에 걸쳐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품보관대는 컵, 캔 또는 병을 수납할 수 있는 용기 형상의 컵 홀더(120b)와, 소품용 수납홈(125)을 가진 거치대(120c)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KR1020120010542A 2012-02-01 2012-02-01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KR10189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542A KR101896702B1 (ko) 2012-02-01 2012-02-01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542A KR101896702B1 (ko) 2012-02-01 2012-02-01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124A KR20130089124A (ko) 2013-08-09
KR101896702B1 true KR101896702B1 (ko) 2018-09-07

Family

ID=4921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542A KR101896702B1 (ko) 2012-02-01 2012-02-01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7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1960B1 (en) 2000-01-10 2001-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ashboard rail and steering column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249Y1 (ko) * 1994-07-13 1998-12-15 전성원 수납형 2중 받침대가 부설된 콘솔박스
JPH0840150A (ja) * 1994-07-28 1996-02-13 Eiichi Yoshida 自動車の携帯用品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1960B1 (en) 2000-01-10 2001-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ashboard rail and steering column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124A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291B2 (en) Assembly for supporting an article in a vehicle
US8714613B1 (en) Center console and tray assembly
US8939491B2 (en) Multiple container holder assembly
US8052190B2 (en) Multi-position cargo holder for use in vehicles
US7147259B2 (en) Console and object holder assembly for a vehicle
CN106274592B (zh) 用于车辆的能折叠桌组件
US6942267B1 (en) Multi-purpose object holder with selectable sizes
JP6001579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US9387786B2 (en) Storage module
CN107128226B (zh) 可折叠隐藏的盘桌
RU2668458C2 (ru) Узел для хранения (варианты) и внутренний отделочный уз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8740278B1 (en) Suspended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glove box
KR101896702B1 (ko) 차량의 물품 거치 장치
US10131263B2 (en) Folding console for motor vehicle seat
US20120112609A1 (en) Lcd monitor stand with note and storage areas
US20070051764A1 (en) Folding floor mounted console
US9222723B2 (en) Foldable rack for a refrigerator
US5628552A (en) Portable multi-compartment drawer
EP2773528A1 (en) Attachment system
US20120139279A1 (en) Storage unit with cup holder and storage tray that supports a digital media player
KR20100056881A (ko) 차량용 수납식 테이블
KR20150058912A (ko) 차량용 컵홀더
GB2532946A (en) Storage and entertainment unit for a motor vehicle
KR101568907B1 (ko)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10310162U (zh) 用于在车辆内部保持物品的容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