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237B1 - 디버링 머신 - Google Patents

디버링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237B1
KR101896237B1 KR1020180028424A KR20180028424A KR101896237B1 KR 101896237 B1 KR101896237 B1 KR 101896237B1 KR 1020180028424 A KR1020180028424 A KR 1020180028424A KR 20180028424 A KR20180028424 A KR 20180028424A KR 101896237 B1 KR101896237 B1 KR 10189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urring
driving
brush
line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항모
구경모
Original Assignee
구항모
구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항모, 구경모 filed Critical 구항모
Priority to KR102018002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relating to fee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for travelling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산업 분야에서 금속소재나 기계부품 등을 가공하여 가공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가공면과 가공홀에 발생되는 버(burr)를 제거하는 디버링 머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공이 완료되고,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가공품을 중심으로 상하에 각각 순차적으로 회전 및/또는 직선운동하는 브러시를 통해 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버의 제거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디버링 머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버링 머신{DEBURRING MACHINE}
본 발명은 각종 산업 분야에서 금속소재나 기계부품 등을 가공하여 가공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가공면과 가공홀에 발생되는 버(burr)를 제거하는 디버링 머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공이 완료되고,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가공품을 중심으로 상하에 각각 순차적으로 회전운동 및/또는 직선운동하는 브러시를 통해 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버의 제거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디버링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분야에서 금속소재나 기계부품 등을 가공하여 가공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가공면(절단면)과 가공홀(천공홀)에 필연적으로 버(burr)가 발생된다. 이러한 버는 가공품의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한편, 가공이 완료된 완제품의 오작동을 유발시킴에 따라 버를 제거하기 디버링 공정(deburring)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디버링 공정시 사용되는 디버링 장치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1957호(등록일: 2007. 01. 15.)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375(등록일: 2010. 07. 02.) 등에서와 같이 고압분사나 와이어 브러시를 이용하여 가공홀이나 가공면의 버를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가공홀마다 디버링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 시간을 요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8903호(등록일: 2011. 10. 26.)에서는 디버링 롤러에 샌드페이퍼를 구비하고, 상기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금속박판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상기 샌드페이퍼가 금속박판의 상면에만 설치되어 금속박판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19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37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8903호 등과 같이 브러시 또는 샌드페이퍼 롤러가 가공품의 일측에 위치되어 버를 제거하는 방법에서 문제가 되는 낮은 버 제거율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1681호(등록일: 2012. 05. 24.) 등이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1681호(등록일: 2012. 05. 24.)에서는 자동차용 알루미늄 휠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자체 회전하는 상·하부 브러시를 구비하여 알루미늄 휠의 상·하면을 동시에 연마하여 버를 제거하는 디버링 머신이 제안되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8903호에 비해 버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1681호에서는 알루미늄 휠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배치된 상·하부 브러시의 회전 운동을 통해 가공품을 연마하여 버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버의 제거율을 기존에 비해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단지 브러시의 회전운동을 통해서만 버를 제거함에 따라 버의 제거율을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KR 10-0671957 B1, 2007. 01. 15. KR 10-0969375 B1, 2010. 07. 02. KR 10-1078903 B1, 2011. 10. 26. KR 10-1151681 B1, 2012. 05. 24.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가공품을 중심으로 상하에 각각 회전운동 및/또는 직선운동하는 브러시를 통해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가공품에 발생되는 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버의 제거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디버링 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가공품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디버링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디버링 장치는 상기 가공품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가공품을 중심으로 상기 가공품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운동하여 상기 가공품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 상기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와 대칭하도록 상기 가공품을 중심으로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운동하여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 상기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거나, 혹은 복수 개의 상기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품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도록 직선운동하여 상기 가공품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 상기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거나, 혹은 복수 개의 상기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품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도록 직선운동하여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 상기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와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를 구동하는 상부 구동부; 및 상기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와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버를 구동하는 하부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부는 상부에 나란하게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롤러가 설치된 상부 가이드; 상기 상부 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가이드의 각 롤러 사이에 위치되도록 교번적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의 롤러 사이에 롤러가 설치된 하부 가이드; 상기 상부 가이드의 롤러를 구동하는 상부 가이드 구동모터; 및 상기 하부 가이드의 롤러를 구동하는 하부 가이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품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와, 상기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상부 구동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와, 상기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하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하부 구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는 각각 하부에 와이어 브러시가 체결되는 브러시 체결구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상부 구동링크에 기어 결합되는 원형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는 각각 상부에 브러시가 체결되는 브러시 체결구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하부 구동링크에 기어 결합되는 원형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는 상기 상부 구동링크를 경계로 상기 가공품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구동링크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는 상기 하부 구동링크를 경계로 상기 가공품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구동링크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구동링크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부에는 상기 상부 구동링크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상기 상부 브러시 각각의 원형 기어와 치합되는 직선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구동링크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부에는 상기 하부 구동링크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상기 하부 브러시 각각의 원형 기어와 치합되는 직선 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구동부는 상부 구동모터와, 상기 상부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축 결합되어 상기 상부 구동링크를 구동하는 제1 상부 편심캠과, 상기 상부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상부 캠축과, 상기 상부 캠축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를 직선 운동시키는 제2 상부 편심캠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동부는 하부 구동모터와, 상기 하부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축 결합되어 상기 하부 구동링크를 구동하는 제1 하부 편심캠과, 상기 하부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하부 캠축과, 상기 하부 캠축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를 직선운동시키는 제2 하부 편심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품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브러시와,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브러시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브러시를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상부 구동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브러시와,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브러시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브러시를 반복적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하부 구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브러시는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구동링크가 삽입 결합되도록 관 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에는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브러시가 체결 고정되는 브러시 체결구가 마련되고,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브러시는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구동링크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관 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는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브러시가 체결 고정되는 브러시 체결구가 마련되고,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브러시와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브러시에는 각각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구동링크는 일단부에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대략 아령 또는 장구 형상을 갖는 결합구가 마련되어 상기 제2 상부 편심캠과 긴밀하게 결합되고,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구동링크는 일단부에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아령 또는 장구 형상을 갖는 결합구가 마련되어 상기 제2 하부 편심캠과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가공품을 중심으로 상하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되는 가공품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회전운동 및/또는 직선운동하는 브러시를 통해 연마하여 가공품의 상면과 하면에 발생되는 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가공품에 발생된 버의 제거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머신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버링 머신의 디버링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버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버링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버링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디버링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송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이송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이송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회전식 상·하부 디버링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회전식 상·하부 디버링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회전식 상·하부 디버링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회전식 상·하부 디버링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직선식 상·하부 디버링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직선식 상·하부 디버링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직선식 상·하부 디버링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머신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버링 머신의 디버링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머신(100)은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101)와, 본체(101)에 설치되어 가공품(1)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디버링 장치(2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1)의 상부에는 디버링 머신(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반(102)이 구비되고, 본체(101)의 하부에는 디버링 장치(20)에 의해 가공품(1)으로부터 분리된 버를 수집하는 집진기(10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머신(100)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송부(21)를 통해 이송되는 가공품(1)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 및/또는 절삭유를 공급하는 에어 및/또는 절삭유 공급펌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버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3은 사시도이고, 도 4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장치(20)는 가공품(1)을 이송하는 이송부(21)와, 이송부(21)를 통해 이송되는 가공품(1)을 중심으로 가공품(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가공품(1)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22)와,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22)와 대칭하도록 가공품(1)을 중심으로 상기 가공품(1)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가공품(1)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23)와,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22)를 구동하는 상부 구동부(24)와,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22)를 구동하는 하부 구동부(2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장치(20)는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22)와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23)에 의해 1차 디버링된 가공품(1)을 직선방향, 즉 가공품(1)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도록 직선 운동하여 1차 디버링된 후 제거되지 않은 가공품(1)의 버를 2차 제거하는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26)와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27)를 포함한다.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26)는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22)의 후단에 가공품(1)을 중심으로 가공품(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부 구동부(24)에 의해 가공품(1)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도록 직선운동하여 가공품(1)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한다.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27)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23)의 후단에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26)와 대칭하여 가공품(1)을 중심으로 가공품(1)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 구동부(25)에 의해 가공품(1)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도록 직선운동하여 가공품(1)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7은 사시도이고, 도 8은 평면도이고, 도 9는 측면도이고, 도 9는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부(21)는 선단부로 순차적으로 진입하는 가공품(1)을 후단부로 진입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로서, 상부에 나란하게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롤러가 설치된 상부 가이드(211)와, 상부 가이드(21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 가이드(211)의 각 롤러 사이에 각각 교번적으로 롤러가 설치된 하부 가이드(212)와, 상부 가이드(211)를 구동하는 상부 가이드 구동모터(213)와, 하부 가이드(212)를 구동하는 하부 가이드 구동모터(214)를 포함한다.
도 10과 같이, 상부 가이드(211)와 하부 가이드(212)는 이들 롤러 사이로 가공품(1)이 진입하여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서로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공품(1)은 상부 가이드(211)와 하부 가이드(212)의 롤러 사이로 진입된 후 상부 가이드 구동모터(213)와 하부 가이드 구동모터(214)에 의해 구동되는 상부 가이드부(211)와 하부 가이드부(212)의 롤러에 의해 후단부로 이송된다.
상부 가이드 구동모터(213)와 하부 가이드 구동모터(214)는 상부 가이드부(211)와 하부 가이드부(212)의 각 롤러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연결부재(215, 216)를 통해 상부 가이드부(211)와 하부 가이드부(212)의 각 롤러의 축과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재(215, 216)로는 벨트 또는 체인, 바람직하게는 벨트를 사용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22)는 상부 가이드(211)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어 상부 가이드(211)와 하부 가이드(212) 사이를 통과하는 가공품(1)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221)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22)는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221)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부 구동부(2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221)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상부 구동링크(222)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23)는 도 3과 같이,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22)와 상하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 가이드(212)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고, 상부 가이드(211)와 하부 가이드(212) 사이를 통과하는 가공품(1)의 하면에 밀착되어 가공품(1)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231)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23)는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231)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부 구동부(2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231)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하부 구동링크(232)를 포함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식 상·하부 디버링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1은 사시도이고, 도 12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측면도이고, 도 14는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부 브러시(221)는 각각 하부에 와이어 브러시(미도시)가 체결되는 브러시 체결구(221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부에는 상부 구동링크(222)에 기어 결합되는 원형 기어(221b)가 설치된다. 이때, 브러시 체결구(221a)는 하부가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대략 깔때기 또는 나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브러시(231)는 도 11과 같이, 상부 브러시(221)와 이송부(21)를 경계로 상하로 서로 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브러시(231)는 각각 상부에 금속 재질의 브러시(미도시), 예를 들면 와이어 브러시가 체결되는 브러시 체결구(231a)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하부 구동링크(232)에 기어 결합되는 원형 기어(231b)가 설치된다.
물론, 브러시 체결구(231a) 또한 하부 브러시(231)에 보다 많은 금속 재질의 브러시를 고정하기 위해 하부가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나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221)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부 구동링크(222)를 경계로 가공품(1)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부 구동링크(222)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부 구동링크(222)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부에는 상부 구동링크(222)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상부 브러시(221) 각각의 원형 기어(221b)와 치합되는 직선 기어(222a)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231)는 상부 브러시(221)와 마찬가지로, 하부 구동링크(232)를 경계로 가공품(1)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부 구동링크(232)의 양측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 구동링크(232) 또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부에는 하부 구동링크(232)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하부 브러시(231)의 각각의 원형 기어(231b)와 치합되는 직선 기어(232a)가 형성된다.
상부 구동링크(222)는 도 12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일단부가 상부 구동부(24)와 결합되어 상부 구동부(24)에 구동력에 따라 가공품(1)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그리고, 하부 구동링크(223) 또한 길이방향으로 일단부가 하부 구동부(25)와 결합되어 하부 구동부(25)의 구동력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한다.
도 3 및 도 11과 같이, 상부 구동링크(222)를 직선운동시키는 상부 구동부(24)는 상부 구동모터(241)와, 상부 구동모터(241)의 구동축과 축 결합되어 상부 구동링크(222)를 구동하는 제1 상부 편심캠(242)과, 상부 구동모터(241)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상부 캠축(243)과, 상부 캠축(243)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26)를 직선 운동시키는 제2 상부 편심캠(244)을 포함한다.
또한, 도 3 및 도 11과 같이, 하부 구동링크(223)를 직선 운동시키는 하부 구동부(25)는 하부 구동모터(251)와, 하부 구동모터(251)의 구동축과 축 결합되어 하부 구동링크(232)를 구동하는 제1 하부 편심캠(252)과, 하부 구동모터(251)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하부 캠축(253)과, 하부 캠축(253)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27)를 직선운동시키는 제2 하부 편심캠(253)을 포함한다.
상부 캠축(243)은 스프로킷을 통해 상부 구동모터(241)의 구동축과 결합되고, 하부 캠축(253) 또한 스프로킷을 통해 상부 구동모터(241)의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 구동모터(241)와 하부 구동모터(251)는 감속기 모터로서, 구동축이 체인을 통해 상·하부 캠축(243, 253)의 일단부와 결합된 스프로킷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회전식 상·하부 디버링부(22, 23)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하부 구동모터(241, 251)를 동시에 동작시키면, 상·하부 구동모터(241, 251)의 구동력, 즉, 회전력은 제1 상·하부 편심캠(242, 252)을 통해 상·하부 구동링크(222, 232)로 전달되어 상·하부 구동링크(222, 232)를 직선운동시킨다.
도 12와 같이, 상·하부 구동링크(222, 232)가 가공품(1)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면, 상·하부 구동링크(222, 232)의 직선 기어(222a, 232a)에 치합된 상·하부 브러시(221, 231)는 상·하부 구동링크(222, 232)에 의해 회전운동하여 이송부(21)를 통해 이송되는 가공품(1)의 상·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직선식 상·하부 디버링부를 설명하기 위해 복수 개의 직선식 상·하부 디버링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들로서, 도 15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평면도이고, 도 17은 측면도이다.
도 3,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26)는 상부 가이드(211)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어 상부 가이드(211)와 하부 가이드(212) 사이를 통과하는 가공품(1)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브러시(261)와, 상부 브러시(261)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부 구동부(2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부 브러시(261)를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상부 구동링크(262)를 포함한다.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27)는 도 3 및 도 15와 같이,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26)와 상하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27)은 하부 가이드(212)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어 상부 가이드(211)와 하부 가이드(212) 사이를 통과하는 가공품(1)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브러시(271)와, 하부 브러시(271)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 구동부(2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하부 브러시(271)를 반복적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하부 구동링크(272)를 포함한다.
상부 브러시(261)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부 구동링크(26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부 브러시(261)는 상부 구동링크(262)가 삽입 결합되도록 관 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에는 상부 브러시(2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브러시(미도시)가 체결 고정되는 브러시 체결구(261a)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브러시(271)는 상부 브러시(261)와 마찬가지로, 상부 구동링크(26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관 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브러시(미도시)가 체결 고정되는 브러시 체결구(271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 브러시(261)와 하부 브러시(271)에는 상부 브러시(261)와 하부 브러시(271)를 각각 상부 구동링크(262)와 하부 구동링크(272)로부터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해 손잡이(261b, 271b)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손잡이(261b, 271b)는 상부 브러시(261)와 하부 브러시(27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 구동링크(262)는 도 15와 같이, 관 형상의 상부 브러시(261)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대략 아령 또는 장구 형상을 갖는 결합구(262a)가 마련되어 제2 상부 편심캠(244)과 긴밀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상부 편심캠(244)의 구동력은 손실없이 상부 구동링크(262)로 전달될 수 있다.
하부 구동링크(272)는 도 15와 같이, 관 형상의 하부 브러시(271)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대략 아령 또는 장구 형상을 갖는 결합구(272a)가 마련되어 제2 하부 편심캠(254)과 긴밀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하부 편심캠(254)의 구동력은 손실없이 하부 구동링크(272)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직선식 상·하부 디버링부(26, 27)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15와 같이, 상·하부 구동모터(241, 251)를 동시에 동작시키면, 상·하부 구동모터(241, 251)의 구동력, 즉, 회전력은 상·하부 캠축(243, 253)으로 전달되어 상·하부 캠축(243, 253)을 회전시켜 제2 상·하부 편심캠(244, 254)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일단부가 제2 상·하부 편심캠(244, 254)에 결합된 상·하부 구동링크(262, 272)는 제2 상·하부 편심캠(244, 254)에 의해 직선운동하게 된다.
도 17과 같이, 상·하부 구동링크(262, 272)가 가공품(1)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직선운동하면, 상·하부 구동링크(262, 272)에 의해 상·하부 브러시(261, 271)는 상·하부 구동링크(262, 272)와 연동하여 직선운동하여 이송부(21)를 통해 이송되는 가공품(1)의 상·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한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품(1)의 버 제거 효율 측면을 고려하여 볼 때, 디버링 장치(20)에 회전식 상·하부 디버링부(22, 23)와 직선식 상·하부 디버링부(26, 27)가 함께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일례로서, 디버링 장치(20)는 회전식 상·하부 디버링부(22, 23) 또는 직선식 상·하부 디버링부(26, 27) 중 어느 하나만 구성될 수 있고, 그 개수 또한 제한을 두지 않고,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버링 장치(20)는 도 3과 달리, 직선식 상·하부 디버링부(26, 27)가 가공품(1)의 진입부(이송부(21)의 입구) 측에 배치되고, 회전식 상·하부 디버링부(22, 23)는 가공품(1)의 배출부(이송부(21)의 배출구)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직선식 상·하부 디버링부(26, 27)와 회전식 상·하부 디버링부(22, 23)가 각각 하나씩 교번적으로 설치되어 회전 방향 또는 직선 방향으로 버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디버링 머신 101 : 본체
102 : 조작반 103 : 집진기
20 : 디버링 장치 21 : 이송부
22 :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 23 :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
24 : 상부 구동부 25 : 하부 구동부
26 :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 27 :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
211 : 상부 가이드 212 : 하부 가이드
213 : 상부 가이드 구동모터 214 : 하부 가이드 구동모터
215, 216 : 연결부재 221, 261 : 상부 브러시
222, 262 : 상부 구동링크 231, 271 : 하부 브러시
232, 272 : 하부 구동링크 221a, 231a, 261a, 271a : 브러시 체결구
221b, 231b : 원형 기어 222a, 232a : 직선 기어
241 : 상부 구동모터 242 : 제1 상부 편심캠
243 : 상부 캠축 244 : 제2 상부 편심캠
251 : 하부 구동모터 252 : 제1 하부 편심캠
253 : 하부 캠축 254 : 제2 하부 편심캠
261b, 271b : 손잡이 262a, 272a : 결합구

Claims (7)

  1.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가공품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디버링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디버링 장치는,
    상기 가공품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가공품을 중심으로 상기 가공품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운동하여 상기 가공품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
    상기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와 대칭하도록 상기 가공품을 중심으로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운동하여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
    상기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거나, 혹은 복수 개의 상기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품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도록 직선운동하여 상기 가공품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
    상기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거나, 혹은 복수 개의 상기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품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도록 직선운동하여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
    상기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와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를 구동하는 상부 구동부; 및
    상기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와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버를 구동하는 하부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부에 나란하게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롤러가 설치된 상부 가이드;
    상기 상부 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가이드의 각 롤러 사이에 위치되도록 교번적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의 롤러 사이에 롤러가 설치된 하부 가이드;
    상기 상부 가이드의 롤러를 구동하는 상부 가이드 구동모터; 및
    상기 하부 가이드의 롤러를 구동하는 하부 가이드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상부 디버링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품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와, 상기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상부 구동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하부 디버링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와, 상기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하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하부 구동링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는 각각 하부에 와이어 브러시가 체결되는 브러시 체결구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상부 구동링크에 기어 결합되는 원형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는 각각 상부에 브러시가 체결되는 브러시 체결구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하부 구동링크에 기어 결합되는 원형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상부 브러시는 상기 상부 구동링크를 경계로 상기 가공품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구동링크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하부 브러시는 상기 하부 구동링크를 경계로 상기 가공품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구동링크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구동링크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부에는 상기 상부 구동링크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상기 상부 브러시 각각의 원형 기어와 치합되는 직선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구동링크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부에는 상기 하부 구동링크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상기 하부 브러시 각각의 원형 기어와 치합되는 직선 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동부는 상부 구동모터와, 상기 상부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축 결합되어 상기 상부 구동링크를 구동하는 제1 상부 편심캠과, 상기 상부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상부 캠축과, 상기 상부 캠축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를 직선 운동시키는 제2 상부 편심캠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동부는 하부 구동모터와, 상기 하부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축 결합되어 상기 하부 구동링크를 구동하는 제1 하부 편심캠과, 상기 하부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하부 캠축과, 상기 하부 캠축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를 직선운동시키는 제2 하부 편심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품의 상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브러시와,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브러시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브러시를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상부 구동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의 각 롤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가공품의 하면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브러시와,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브러시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브러시를 반복적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하부 구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브러시는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구동링크가 삽입 결합되도록 관 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에는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브러시가 체결 고정되는 브러시 체결구가 마련되고,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브러시는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구동링크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관 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는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브러시가 체결 고정되는 브러시 체결구가 마련되고,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브러시와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브러시에는 각각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직선식 상부 디버링부의 상부 구동링크는 일단부에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아령 또는 장구 형상을 갖는 결합구가 마련되어 상기 제2 상부 편심캠과 긴밀하게 결합되고,
    상기 직선식 하부 디버링부의 하부 구동링크는 일단부에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아령 또는 장구 형상을 갖는 결합구가 마련되어 상기 제2 하부 편심캠과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KR1020180028424A 2018-03-12 2018-03-12 디버링 머신 KR10189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24A KR101896237B1 (ko) 2018-03-12 2018-03-12 디버링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24A KR101896237B1 (ko) 2018-03-12 2018-03-12 디버링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237B1 true KR101896237B1 (ko) 2018-10-18

Family

ID=6413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424A KR101896237B1 (ko) 2018-03-12 2018-03-12 디버링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249B1 (ko) * 2018-11-15 2020-04-24 임태균 고효율 사각파이프 폴리싱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441A (ja) * 2003-02-12 2004-09-02 Nissan Motor Co Ltd 研削研磨装置
KR100671957B1 (ko) 2006-07-03 2007-01-19 (주) 엠하이텍 드릴구멍 디버링 장치
KR100969375B1 (ko) 2008-03-17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홀 디버링 장치
KR101063488B1 (ko) * 2008-10-30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캠 샤프트용 디버링 장치
KR101078903B1 (ko) 2009-05-12 2011-11-01 함수명 금속박판의 디버링 장치
KR101151681B1 (ko) 2010-04-05 2012-06-08 (주)디아이엠 디버링 머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441A (ja) * 2003-02-12 2004-09-02 Nissan Motor Co Ltd 研削研磨装置
KR100671957B1 (ko) 2006-07-03 2007-01-19 (주) 엠하이텍 드릴구멍 디버링 장치
KR100969375B1 (ko) 2008-03-17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홀 디버링 장치
KR101063488B1 (ko) * 2008-10-30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캠 샤프트용 디버링 장치
KR101078903B1 (ko) 2009-05-12 2011-11-01 함수명 금속박판의 디버링 장치
KR101151681B1 (ko) 2010-04-05 2012-06-08 (주)디아이엠 디버링 머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249B1 (ko) * 2018-11-15 2020-04-24 임태균 고효율 사각파이프 폴리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7025B1 (ko) 강판 스케일링 장치
CN103056739B (zh) 工件去毛刺设备
CN204035076U (zh) 齿轮清洗机
US8979614B2 (en) Deburring machine
KR20100047562A (ko)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재 연삭장치
JP5889471B1 (ja) 表面処理装置
CN105798613A (zh) 一种爬壁式焊接机器人
KR102124411B1 (ko) 디버링 자동화장치
KR101896237B1 (ko) 디버링 머신
CN209754181U (zh) 一种双头倒角机及传料装置
CN104551941A (zh) 一种双面砂带抛光机
KR20170011793A (ko) 다축 시프트 파이프 가공기
KR20200114360A (ko) 기어이 챔퍼가공기가 포함된 호빙머신장치 및 그 호빙머신장치를 이용한 기어가공방법
CN103619539A (zh) 用于工件的表面处理的工作腔系统
CN108098491A (zh) 齿轮去毛刺及抛光一体机
CN206216031U (zh) 齿轮去毛刺及抛光一体机
CN218837147U (zh) 一种玻璃双边磨边机
CN105666305A (zh) 一种产品抛光生产线
JP5603122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ワークの搬送方法
CN213888012U (zh) 一种螺钉加工的自清理型搓丝装置
CN107443193A (zh) 一种用于铝棒表层的毛刺及杂屑的打磨设备
CN212285221U (zh) 圆形零件清洗治具
CN114309349B (zh) 一种钢筋自动弯曲机器人调直除锈供料装置
CN219581925U (zh) 一种铸件加工装置
CN112025466A (zh) 高精度研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