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102B1 - 플로팅 베스트 및 그 부력재 - Google Patents

플로팅 베스트 및 그 부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102B1
KR101895102B1 KR1020140097011A KR20140097011A KR101895102B1 KR 101895102 B1 KR101895102 B1 KR 101895102B1 KR 1020140097011 A KR1020140097011 A KR 1020140097011A KR 20140097011 A KR20140097011 A KR 20140097011A KR 101895102 B1 KR101895102 B1 KR 10189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floating
buoyant
buoyancy material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395A (ko
Inventor
유우 구로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61172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7454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1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using solid buoya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41D2600/106F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부력재를 장착 가능하게 하는 플로팅 베스트는 착용자의 피트감이 부족하거나, 또한 부력재가 플로팅 베스트 내에서 미묘하게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플로팅 베스트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상기 부력재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고, 또한 적어도 상기 안감 또는 겉감의 한쪽은 신축성을 갖고 있고, 상기 부력재는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세로로 긴 판상체이고, 상기 수납부에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과 사다리꼴인 상기 부력재를 3개 이상, 또는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뿐인 상기 부력재를 3개 이상 조합하여 병렬로 수납되고, 상기 플로팅 베스트의 상기 수납부의 횡폭은 수납하는 상기 부력재를 병렬했을 때의 합계 최대폭보다도 약간 좁고, 3개 이상의 상기 부력재의 저변측을 상기 겉감측으로 하여 배열하고, 상기 부력재를 상기 겉감의 신축성에 저항하여 상기 수납부에 강제적으로 수납함으로써, 상기 플로팅 베스트 외형이 만곡된 형상으로 되는 플로팅 베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로팅 베스트 및 그 부력재{FLOATING VEST AND BUOYANT MATERIAL THEREOF}
본 발명은 구명을 위해 부력재를 구비한 플로팅 베스트 및 그것에 사용하기 위한 부력재에 관한 것이다.
플로팅 베스트는 좌우의 앞옷길 및 등을 지지하는 뒷옷길 등에, 발포 플라스틱제 등을 포함하는 부력재를, 겉감과 안감 사이에 형성한 수납부에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8이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단면 직사각형의 복수의 부력재를 몸의 라인에 맞도록 배치시켜, 겉감과 안감 사이에 수납시키고 있다. 단면 직사각형의 부력재는 겉감과 안감을 봉합하여 형성된 각 구획에 각각 수납함으로써, 그 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혹은 구획된 주머니 형상의 수납체에, 미리 각 부력재를 넣어 두고, 이 수납체를, 겉감과 안감 사이에 형성한 수납부에 출입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도 있다.
한편, 이 플로팅 베스트는 낚시꾼 등이 착용했을 때, 등부터 몸통 둘레에 걸쳐서 피트되도록, 자연스럽게 만곡되어 있는 쪽이 착용하기 쉽지만,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조에서는, 간단히 단면이 직사각형인 부력재가 복수개 삽입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각각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해, 플로팅 베스트 자체의 외형 형상까지도 만들어 낼 수는 없다.
또한, 플로팅 베스트를, 낚시꾼의 몸을 따라서 피트되도록, 미리 그 외형 형상을 만곡시키려고 하면, 별도로 플라스틱제의 형틀을 넣거나, 혹은 특수이고 고가인 섬유 소재 등을 사용하여 만곡 형상을 만들어 내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07311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9299호 공보
본원 발명은 플로팅 베스트에 수납되는 부력재를 유효하게 활용함으로써, 낚시꾼 등이 착용하기 쉽고, 등으로부터 몸통 둘레에 걸쳐서 피트되도록, 플로팅 베스트의 외형을 만곡 형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적어도 등부와 몸통 둘레부에 부력재를 출입 가능하게 수납하는 플로팅 베스트이며, 상기 플로팅 베스트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상기 부력재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고, 또한 적어도 상기 안감 또는 겉감의 한쪽은 신축성을 갖고 있고, 상기 부력재는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세로로 긴 판상체이고, 상기 수납부에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과 사다리꼴인 상기 부력재를 3개 이상, 또는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뿐인 상기 부력재를 3개 이상 조합하여 병렬로 수납되고, 상기 플로팅 베스트의 상기 수납부의 횡폭은 수납하는 상기 부력재를 병렬했을 때의 합계 최대폭보다도 약간 좁고, 3개 이상의 상기 부력재의 저변측을 상기 겉감측으로 하여 배열하고, 상기 부력재를 상기 겉감의 신축성에 저항하여 상기 수납부에 강제적으로 수납함으로써, 상기 플로팅 베스트 외형이 만곡된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플로팅 베스트에 필요 불가결한 구성 부재인 부력재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별도로 플라스틱제의 형틀이나, 특수하고 고가인 섬유 소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플로팅 베스트의 등부터 몸통 둘레에 걸쳐서, 착용자에게 피트되도록 만곡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낚시를 종료한 후의 플로팅 베스트는 해수 등에 의해 젖어 있으므로, 행거 등에 걸쳐서 말릴 필요가 있었지만, 본원 발명에 따르면, 행거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바닥면 등에 자립하여 횡치할 수 있어, 이 상태로 건조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플로팅 베스트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도 2의 (a)는 부력재를 수납하는 수납 주머니, (b)는 부력재를 수납 주머니에 넣은 상태의 단면도, (c)는 저변과 사변의 각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부력재를 강제적으로 수납함으로써, 플로팅 베스트가 만곡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부력재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a)의 화살표 방향으로 볼 때 IVB-IVB선의 단면도, (c)는 (a)의 화살표 방향으로 볼 때 IVC-IVC선의 단면도.
도 5는 단면 직사각형과 단면 사다리꼴의 부력재를 조합하여 만곡시키는 각종예.
도 6은 부력재를 삽입한 플로팅 베스트를 낚시꾼이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본원 발명에서 정의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종래의 플로팅 베스트와 부력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플로팅 베스트(10)는 주로 낚시질용으로 사용된다. 플로팅 베스트(10)는 민소매의 윗도리이고, 좌우의 앞옷길, 등을 지지하는 뒷옷길 등에, 등을 지지하는 등부와, 상기 등부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부와, 상기 등부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부를 갖는다.
도 1의 (a)는 플로팅 베스트(10)를 개방하여, 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1의 (b)는 그 단면 모식도이다. 플로팅 베스트(10)의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는 부력재를 출입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부력재를 수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겉감(11)과 안감(12) 중 적어도 한쪽은 신축성을 갖고 있다. 물론, 겉감(11)과 안감(12)의 양쪽이 신축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신축성이라 함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력재를 압입하여 수납 가능할 정도로 신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부력재(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부에 사용하는 3개의 부력재(21)와, 또한 그 좌우의 몸통 둘레부에 사용하는 2개의 부력재(21)의 합계 5개의 부력재(21)로 구성된다. 이 5개의 부력재는 플로팅 베스트(10)의 수납부(20)에 수납하기 전에, 미리 각 부력재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주머니 형상의 수납 주머니(30)에 수납되어 있다. 이 수납 주머니(30)는 메쉬 소재로 이루어져, 각 부력재(21)가 삽입되는 부위마다 구획 정리되어 있다. 또한, 이 수납 주머니(3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각 부력재(21)끼리는 특히 밀착시키지 않는다. 또한, 부력재(21)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발포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판상의 것이지만, 부력재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면,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5개의 부력재(21)를 사용하고 있는 이유는, 등부의 중앙은 거의 평면으로 지지하고, 그곳으로부터 몸통 둘레 방향으로 서서히 만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몸에 피트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착용자의 등ㆍ몸통 둘레에 대해, 보다 미세하게 피트되도록 하고 싶은 경우에는, 각 부력재(21)의 폭을 좁게 하여, 그 수를 증가시키면 된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재(21)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로 되어 있고, 당해 사다리꼴 형상의 저변측을 플로팅 베스트의 겉감(11)측이 되도록 배열하고 있다. 사다리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2의 (c)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부력재(21)의 경사각 α와, 그것에 접하는 다른 쪽의 부력재(21)의 경사각 β의 합은 180도보다 작게 할(α+β<180도) 필요가 있다. 경사각이라 함은, 사다리꼴의 저변과 사변(수학상의 「사다리꼴의 다리」에 상당하는 변)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또한 사다리꼴이라 함은, 평행 사변형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부력재(21)를, 플로팅 베스트(10)의 수납부에 수납하는 동작과, 이에 의해 플로팅 베스트(10)가, 등부 및 몸통 둘레부에 자연스럽게 만곡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3의 (a)는 5개의 부력재(21)가, 도 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수납 주머니(30)에 넣고 배열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가 밀착되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이다.
5개의 부력재(21)는 수납 주머니(30)에 넣어진 상태에서 플로팅 베스트(10)의 수납부(20)에, 수납구(25)를 개방하여 압입하게 되지만, 수납부(20)의 폭은,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부력재(21)의 저변의 합계 폭보다 약간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구(25)는 버튼이나 파스너 등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력재(21)를 수납부(20)에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로팅 베스트(10)의 수납부(20)를 구성하는 적어도 안감(12)[또는 겉감(11)]은 신축성을 갖고 있고, 수납 주머니(30)에 넣어진 5개의 부력재(21)는 안감(12)[또는 겉감(11)]을 확대하도록 하여 강제적으로 수납된다. 이때, 신축성이 있는 안감(12)[또는 겉감(11)]은 줄어드는 방향으로 압축력이 발생하고 있고, 이 압축력이 5개인 부력재(21)의 이웃끼리를 밀착시키도록 압박한다.
압축력을 받은 5개의 부력재는 각각이 단면 사다리꼴 형상이므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부력재의 사변끼리가 접근하여 밀착하도록 움직여, 전체적으로 만곡된 형상(휜 형상)으로 밸런스하게 된다. 또한 엄밀하게 말하면, 이웃하는 사변끼리의 사이에, 수납 주머니(30)의 메쉬 소재가 개재되어 있다.
이 결과, 만곡된 5개의 부력재(21)의 형상에 따라서, 플로팅 베스트(10)의 외형 형상도 만곡되어, 착용자의 몸통 둘레를 따르도록 형성되게 된다. 또한, 안감(12)[또는 겉감(11)]의 신축력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부력재(21)끼리의 밀착 균형이 깨질 가능성도 있으므로, 신축력과 경사각은 적절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부력재(21)를 수납부(20)에 수납했을 때에 발생하는 「휨」이, 플로팅 베스트(10)의 외형 형상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부력재(21)의 경사각은 75도부터 87도의 범위가 적절하지만, 물론, 이 각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력재(21)의 경사각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한쪽의 부력재(21)의 경사각 α와, 다른 쪽의 부력재(21)의 경사각 β의 합이 180도보다 작은(α+β<180도) 것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제조의 용이함만을 생각하면, 경사각 α, β는 동일한 각도로 하면 되지만, 보다 몸의 형상에 피트시키려고 하는 경우, 경사각 α, β는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인간의 몸의 등은 거의 평탄하고, 등부터 옆구리를 향하는 몸통 둘레에 있어서 갑자기 원호를 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라인을 따라서 부력재(21)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부력재(21)와 그 좌우의 부력재(21)가 접하는 경사각은 크고, 그리고 몸통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부력재(21)의 경사각을 서서히 작게 하면 된다.
또한, 부력재(21)를, 인간의 몸의 어깨부터 허리에 걸친 라인을 따르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각이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작은 각도로 변화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예를 들어, 플로팅 베스트(10)를 입을 때에, 상측인 어깨의 측에서는, 도 4의 (c)에 있어서 좌측의 경사각 γ'와 우측의 경사각 θ'가 동일한 각도(γ'=θ')로 하고, 하측인 동측에서는, 도 4의 (b)에 있어서 좌측의 경사각 γ와 우측의 경사각 θ가 동일한 각도(γ=θ)로 할 수도 있다. 이때, 동측의 양 측면의 경사각 γ(=θ)는 어깨측의 양 측면의 경사각 γ'(= θ')보다 작은 각도가 된다[즉, 경사각 γ(=θ)<γ'(= θ')가 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5개 전체의 부력재(21)의 단면 형상을 사다리꼴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당연히, 부력재(21)는 단면 직사각형과 단면 사다리꼴의 것을 조합해도 된다. 도 5는 단면 직사각형과 단면 사다리꼴의 부력재를 조합하여 만곡시키는 각종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a)는 등 중앙에 위치하는 부력재(21)를 단면 직사각형으로 하고, 그 좌우에 위치하는 부력재(21)를 단면 사다리꼴로 한 예이다. 또한, 도 5의 (b)는 등 중앙에 위치하는 부력재(21)를 단면 사다리꼴로 하고, 그 좌우에 위치하는 부력재(21)를 단면 직사각형으로 한 예이다. 어떻게 하든, 복수 병렬시킨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과 직사각형인 부력재(21)가, 겉감(11)의 압축력에 의해 원호를 그린 것처럼 「휜 형상」으로 되면,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부력재(21)를 삽입한 플로팅 베스트(10)를, 낚시꾼이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각 부력재(21)의 사이가 약간 벌어져 있는 것은, 안감(12)[또는 겉감(11)]의 압축력에 저항하여 착용자의 몸을 따르도록 밀착하여 착용하고 있는 것에 의한다. 이와 같이, 부력재(21)의 「휨」에 저항하여 착용함으로써,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각 부력재(21)가 이격되는 경우가 있어도, 안감(12)[또는 겉감(11)]의 압축력에 의해 원래의 밀착한 상태로 복귀되므로, 플로팅 베스트(10)와 착용자의 밀착성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설명하는 부력재(21)의 단면 형상으로서의 「사다리꼴」이라 함은, 수학적으로 정확한 사다리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그 필요성도 없다. 즉, 본원 발명의 포인트는 플로팅 베스트(10)의 겉감 또는 안감의 신축성에 의해, 압축력을 받은 복수의 부력재의 사변끼리가 밀착하여, 전체적으로 만곡된 형상(휜 형상)으로 균형 잡으면 되는 것이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변과 사변 사이에 미묘한 단차가 있어도, 초기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 말하는 「사다리꼴 형상」이라 함은, 수학적으로 정확한 사다리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엄밀하게는 육각형)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형상에 있어서는, 상기한 경사각은 각각 저변과 사변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이상에 설명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부력재(21)를 미리 수납해 두는 수납 주머니(30)를, 간단히 부력재(21)의 대략의 위치 결정을 할 뿐인 기능으로 한정하고 있지만, 별도의 방법으로서는, 이 수납 주머니(30)에 플로팅 베스트의 수납부와 동일한 기능(수축성과 폭)을 갖게 하고, 이 수납 주머니(30)에 부력재(21)를 압입한 상태에서 만곡 상태를 완성시키고, 이를 수납부(20)에 출입하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 경우, 수납부(20)는 겉감 또는 안감의 신축성이나 폭의 제한을 받는 일은 없지만, 이 방법에서는 부력재(21)를 수납한 상태의 수납 주머니(30)가 만곡되어 휜 상태로 되므로, 밸런스가 나쁘고, 약간의 외력으로 뿔뿔이 흩어져, 취급이 불편하고, 또한 보관 장소를 취해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실용성에 문제가 남게 된다.
이상, 본원 발명에 따르면, 플로팅 베스트에 사용되는 부력재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플로팅 베스트의 외형 형상을 만곡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등부터 몸통 둘레에 걸쳐서 피트되기 쉬워짐과 함께, 행거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바닥면 등에 자립하여 세로로 두는 것도 가능해진다.
10 : 플로팅 베스트
11 : 겉감
12 : 안감
20 : 수납부
21 : 부력재
25 : 수납구
30 : 수납 주머니

Claims (6)

  1. 적어도 등부와 몸통 둘레부에 부력재를 출입 가능하게 수납하는 플로팅 베스트이며, 상기 플로팅 베스트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상기 부력재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고, 또한 적어도 상기 안감 또는 겉감의 한쪽은 신축성을 갖고 있고, 상기 부력재는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세로로 긴 판상체이고, 상기 수납부에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과 사다리꼴인 상기 부력재를 3개 이상, 또는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뿐인 상기 부력재를 3개 이상 조합하여 병렬로 수납되고, 상기 플로팅 베스트의 상기 수납부의 횡폭은 수납하는 상기 부력재를 병렬했을 때의 합계 최대폭보다도 약간 좁고, 3개 이상의 상기 부력재의 저변측을 상기 겉감측으로 하여 배열하고, 상기 부력재를 상기 겉감의 신축성에 저항하여 상기 수납부에 강제적으로 수납함으로써, 상기 플로팅 베스트 외형이 만곡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베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상기 부력재는 주머니 형상의 수납체에 미리 각각이 위치 결정되어 수납되고, 상기 주머니 형상의 수납체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베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인 상기 부력재를 복수 사용하는 경우, 그 저변과 사변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의 부력재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베스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인 상기 부력재는 저변과 사변이 이루는 각도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베스트.
  5. 삭제
  6. 삭제
KR1020140097011A 2013-07-31 2014-07-30 플로팅 베스트 및 그 부력재 KR101895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8543 2013-07-31
JPJP-P-2013-158543 2013-07-31
JPJP-P-2014-061172 2014-03-25
JP2014061172A JP6227454B2 (ja) 2013-07-31 2014-03-25 フローティングベス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395A KR20150015395A (ko) 2015-02-10
KR101895102B1 true KR101895102B1 (ko) 2018-09-04

Family

ID=5249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011A KR101895102B1 (ko) 2013-07-31 2014-07-30 플로팅 베스트 및 그 부력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5102B1 (ko)
CN (1) CN1043403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3126A (zh) * 2016-08-22 2017-01-04 福建祥宏户外用品科技有限公司 四季钓鱼服
CN113844622A (zh) * 2020-06-28 2021-12-28 东台浪鲨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内置结构可调式泡沫的救生衣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9930A (ja) * 2006-12-27 2008-08-07 Shimano Inc 浮力材付き釣り用上着
JP2009208519A (ja) * 2008-02-29 2009-09-17 Daiwa Seiko Inc 救命胴衣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39852A (en) * 1971-06-26 1973-12-05 Calverley H Buoyant garments
DE60015785D1 (de) * 1999-09-21 2004-12-16 Mullion Mfg Ltd Schwimmkleidung
JP2001207311A (ja) 2000-01-26 2001-08-03 Shimano Inc 浮力材付き衣服
JP5095282B2 (ja) 2007-07-11 2012-12-12 株式会社シマノ 浮力材付き釣り用上着
JP2009019298A (ja) * 2007-07-11 2009-01-29 Shimano Inc 浮力材付き釣り用上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9930A (ja) * 2006-12-27 2008-08-07 Shimano Inc 浮力材付き釣り用上着
JP2009208519A (ja) * 2008-02-29 2009-09-17 Daiwa Seiko Inc 救命胴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0345B (zh) 2017-04-12
KR20150015395A (ko) 2015-02-10
CN104340345A (zh)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6406S1 (en) Wearable fitness monitor
USD875261S1 (en) Waist belt
USD1018372S1 (en) Buckle
US6666361B1 (en) Baby-carrying bag
CA134337S (en) Hair clipper
CA184148S (en) Battery powered rechargeable handwarmer
CA179941S (en) Battery pack
USD904022S1 (en) Utility bag
CA187290S (en) Battery for a personal mobility vehicle
KR101895102B1 (ko) 플로팅 베스트 및 그 부력재
US2853709A (en) Equipment vest
US9210960B1 (en) Hair style accommodating hat device
JP6227454B2 (ja) フローティングベスト
CA130951S (en) Skin care device
USD630853S1 (en) Handbag
USD789686S1 (en) Handbag
USD863730S1 (en) Jacket with built-in backpack
KR101095684B1 (ko) 등받이를 지지하는 듀얼패드를 갖는 배낭
CA2764089C (en) Improved hiking pads
USD503017S1 (en) Microwave-heatable hair curler
USD828692S1 (en) Bag with attached pockets
JP2016214801A (ja) ウエストリュック
JP3222517U (ja) 釣り用の上着
USD868456S1 (en) Hairstylist utility belt holster
KR20130141312A (ko) 통풍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