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920B1 - 턴버클 - Google Patents

턴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920B1
KR101893920B1 KR1020160112608A KR20160112608A KR101893920B1 KR 101893920 B1 KR101893920 B1 KR 101893920B1 KR 1020160112608 A KR1020160112608 A KR 1020160112608A KR 20160112608 A KR20160112608 A KR 20160112608A KR 101893920 B1 KR101893920 B1 KR 101893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buckle
fastening
bolt
threads
cyli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658A (ko
Inventor
이승범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이승범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범, 김도현 filed Critical 이승범
Priority to KR102016011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9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를 연결한 양측의 턴버클 볼트를 턴버클 몸체에서 신속하게 결합하고 나사조임에 의해 인장작업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턴버클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제1 몸체와 제2, 제3 몸체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제3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에서 대향으로 축회전가능케 조립된 턴버클 몸체(100);
상기 제1 몸체의 일측과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타측과 제3 몸체가 각각 맞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의 제1 제2 체결너트로 체결되어 내주면에 서로 상이한 왼나사공과 오른나사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상이한 왼나사와 오른나사를 갖는 양측의 제1 턴버클 볼트(200) 및 제2 턴버클 볼트(210)가 각각 나사조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턴버클{TURNBUCKLE}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를 연결한 양측의 턴버클 볼트를 턴버클 몸체에서 신속하게 결합하고 나사조임에 의해 인장작업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턴버클에 관한 것이다.
턴버클(turnbuckle)은 각종 구조물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용 와이어로프 또는 지지용 구조물의 중간에 설치하여 나사조임에 의해 양단을 당기면서 회전하여 지지용 구조물을 당기거나 늦출 때, 인장력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연결부품이다.
이러한 턴버클(turnbuckle)은 2개의 동축(同軸) 상의 턴버클 볼트 사이에 턴버클 몸체가 나사조립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종래의 턴버클은 암나사부를 양단에 가지는 관형(管形)의 상기 턴버클 몸체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상기의 턴버클 볼트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나의 암나사부와 하나의 수나사부는 왼나사를, 다른 암나사부와 다른 수나사부는 오른나사를 갖게 되며, 상기 턴버클 몸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양측의 상기 턴버클 볼트는 턴버클 몸체로 조여들게 되거나 턴버클 몸체로부터 풀려나오게 되고, 상기 턴버클 볼트의 수나사부 대향측에 형성된 링 형상의 체결고리에 와이어로프 등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턴버클 몸체의 회전에 의해서 와이어로프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상태로 당기거나 풀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턴버클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1 내지 4를 예를 들 수 있다.
예시된 특허문헌 1 내지 4는 그 형상이나 구조에 있어 다소 차이는 있으나, 공통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양측의 턴버클 볼트와 이들 사이에 나사조립으로 연결하는 턴버클 몸체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물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턴버클 볼트가 연결된 와이어로프나 구조물 간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턴버클 몸체의 암나사부에 와이어로프를 연결한 턴버클 볼트를 1차적으로 나사조립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턴버클 몸체를 회전하여 양측의 턴버클 볼트 간을 조여들게 하여 강한 지지 인장력을 갖도록 하거나 해체 시에는 턴버클 몸체에 나사조립된 양측의 턴버클 볼트를 끝까지 나사풀음에 의해 가능함으로써 시간이 많이 들고 작업자가 많은 노고가 필요하다.
특허문헌 1: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5514호 특허문헌 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28422호 특허문헌 3: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68457호 특허문헌 4: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43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원기술에서 문제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된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턴버클 볼트가 턴버클 몸체에서 최대한 당김상태로 세팅한 상태에서 턴버클 몸체의 나사 조임에 의해 인장력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턴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체, 수리 및 분리가 용이한 턴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소한 구조의 개선으로 작업자의 편리성 및 안전성 보장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턴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은,
크랭크형 지지간의 양단부에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왼나사가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1 체결원통 및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오른나사가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2 체결원통이 형성된 제1 몸체, 일자형 지지간의 일측단부에 상기 제1, 2체결원통에 대응하여 외주면에 각각 수나사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왼나사와 오른나가사 각각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3, 제4 체결원통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몸체의 크랭크형 지지간의 중간연결편의 양측과 각각의 일자형 지지간의 단부에 대향으로 형성된 힌지부에서 축핀 결합으로 회전가능케 조립된 제2, 제3 몸체로 구성된 턴버클 몸체;
상기 제1,3 체결원통의 왼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왼나사를 형성하고 각각의 외주면에 끼움되는 제1 체결너트를 구비한 제1 턴버클 볼트; 및,
상기 제2,4 체결원통의 오른나사에 나사결합은 오른나사를 형성하고 각각의 외주면에 끼움되는 제2 체결너트를 구비한 제2 턴버클 볼트;
를 포함하는 턴버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은, 구조물에 고정된 와이아로프의 지지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 볼트가 분할된 체결원통 중 일측의 체결원통을 회전한 상태에서 세팅 후에 체결너트의 나사조립후에 턴버클 몸체의 회전에 의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공되어 사용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은 구성부품의 수를 많이 증가하지 않고 간소한 구조로 제공되어 공업적 양산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의 구성요소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의 작동도로서,
도 4는 사용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결합 전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사용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결합하기 위한 턴버클 몸체에서 턴버클 볼트의 분리상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의 구성요소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턴버클은 턴버클 몸체(100)와 이 턴버클 몸체(100)의 양측에 결합하는 제1 및 제2 턴버클 볼트(200,210)로 크게 구성된다.
턴버클 몸체(100)는 제1 몸체(110)와 이 제1 몸체의 양측에 회전가능케 조립된 제2, 제3 몸체(111,112)에 의해 구성된다.
턴버블 몸체(100)는 제1 몸체(210)와 제2(211), 제3 몸체(212)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제3 몸체(211,212)는 상기 제1 몸체(210)에서 대향으로 축회전가능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몸체(110)의 일측과 제2 몸체(111), 상기 제1 몸체(110)의 타측과 제3 몸체(112)가 각각 맞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에서 제1, 제2 체결너트(202,212)로 체결되어 내주면에 서로 상이한 왼나사공과 오른나사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상이한 왼나사(201)와 오른나사(211)를 갖는 양측의 제1 턴버클 볼트(200)와 제2 턴버클 볼트(210)가 각각 나사조립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몸체(110)는 크랭크형 지지간(120)의 일측 단부에 외주면에 수나사(131)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왼나사(132)가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1 체결원통(130)이 형성되고, 크랭크형 지지간(120)의 타측 단부에 외주면에 수나사(141)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오른나사(142)가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2 체결원통(1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몸체(110)에는 상기 제1, 2체결원통(130,140)에 대응하여 일자형 지지간(150)의 일측단부에 외주면에 수나사(161)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왼나사(162)가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3 체결원통(160)을 구비한 제2 몸체(111)와 일자형 지지간(170)의 일측단부에 외주면에 수나사(181)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오른나사(182)가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4 체결원통(180)이 구비된 제3 몸체(112)가 회전가능케 조립된다.
이러한 제1 몸체(110)에서 상기 제2, 제3 몸체(111,112)의 회전 조립은, 상기 제1 몸체(110)의 크랭크형 지지간(120)의 중간연결편(120a)의 양측에 구비된 힌지부(120b)에 상기 제2, 3 몸체(111,112)의 각각의 일자형 지지간(150,170)의 단부에 대향으로 형성된 힌지부(150b,170b)에서 축핀(P) 결합으로 회전가능케 조립된다.
이렇게 구성된 턴버클 몸체(100)의 양측에는 제1 턴버클 볼트(200)과 제2 턴버클 볼트(210)이 나사조립으로 결합한다.
제1 턴버클 볼트(200)는 상기 제1,3 체결원통(130,160)의 왼나사(132,162)에 나사결합하는 왼나사(201)를 형성하고 외주면에 끼움되는 제1 체결너트(202)를 구비한다.
제2 턴버클 볼트(210)도 상기 제1 턴버클 볼트(2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4 체결원통(140,180)의 오른나사(142,182)에 나사결합은 오른나사(211)를 형성하고 외주면에 끼움되는 제2 체결너트(2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턴버클 볼트(200,210) 각각은 일측 끝단부에 와이어로프(W/R)가 연결되는 링형 체결고리(203,213)가 구비됨은 당연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턴버클 몸체(100)의 양측의 분할된 제1,3 체결원통(130,160)과 제2,4 체결원통(140,180)의 외주면에 가공된 수나사에 나사 조립된 체1, 제2 체결너트(202,212)의 나사를 풀고 제2, 제3 몸체(111,112)를 축핀(P)을 중심으로 벌려 회전하여 제1, 제2 턴버클 볼트(200,210)을 분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제2 턴버클 볼트(200,210)의 체결고리(203,213)에 와이어로프(W/R)의 끝단을 끼움하고 2가닥을 겹쳐 체결밴드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폐쇄의 연결고리를 형성하는 상태로 연결한다.
물론 이러한 작업은 상기 제1, 제2 턴버클 볼트(200,210)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작업후에 나머지 하나를 순차적으로 작업함은 당연하다.
이렇게 와이어로프(W/R)을 연결 고정한 상태에서 제1, 제2 턴버클 볼트(200,210) 중 제1 턴버클 볼트(200)의 왼나사(201)를 턴버클 몸체(100)의 제1 체결원통(130)의 내주면에 가공된 왼나사(132)에 세팅한 상태에서 제2몸체(111)을 축핀(P)를 중심으로 제3 체결원통(160)의 왼나사(201)에 내주면에 가공된 왼나사(162)을 맞대는 상태로 회전 위치시키어 세팅하고 제1 체결너트(202)을 상기 제1 체결원통(130)과 제3 체결원통(160)의 수나사(131,161)에 나사조임하여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11)를 결속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와이어로프(W/R)와 연결된 제2 턴버클 볼트(210)의 오른나사(211)를 턴버클 몸체(100)의 제2 체결원통(140)의 내주면에 가공된 오른나사(142)에 세팅한 상태에서 제3 몸체(112)를 축핀(P)를 중심으로 제4 체결원통(180)의 내주면에 가공된 오른나사(182)을 맞대는 상태로 회전 위치시키어 세팅하고 제2 체결너트(212)을 상기 제2 체결원통(140)과 제4 체결원통(180)의 수나사(141,181)에 나사조임하여 제1 몸체(110)와 제3 몸체(112)를 결속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턴버클 몸체(100)을 회전하게 제1 몸체(110)의 양측에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제1, 제2 턴버클 볼트(200,210)는 턴버클 몸체(100)로 조여들게 되어 링 형상의 체결고리(203,213)에 연결된 와이어로프(W/R)가 체결된 상태에서 당기어서 구조물과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와이어로프(W/R)가 결합된 제1, 제2 턴버클 볼트(200,210)를 턴버클 몸체(100)에 간단히 결합함으로써, 와이어로프(W/R)의 인장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와이어로프(W/R)나 본 발명의 교체작업시에는 제1 제2 체결너트(2002,212)를 나사풀음하고 제1 턴버클볼트(200)과 제2 턴버클볼트(210)의 분리 및 턴버클 몸체(100)를 간단히 분리하여 교체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턴버클 몸체 110: 제1 몸체
111: 제2 몸체 112: 제3 몸체
120: 크랭크형 지지간 130: 제1 체결원통
140: 제2 체결원통 150, 170: 일자형 지지간
160: 제3 체결원통 180: 제4 체결원통
200: 제1 턴버클 볼트 210: 제2 턴버클 볼트
202: 제1 체결너트 212: 제2 체결너트
P: 축핀 W/R: 와이어로프

Claims (4)

  1. 제1 몸체와 제2, 제3 몸체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제3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에서 대향으로 축회전가능케 조립된 턴버클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과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타측과 제3 몸체가 각각 맞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의 제1 제2 체결너트로 체결되어 내주면에 서로 상이한 왼나사공과 오른나사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상이한 왼나사와 오른나사를 갖는 양측의 제1 턴버클 볼트 및 제2 턴버클 볼트가 각각 나사조립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턴버클 볼트는 상기 제1,3 체결원통의 왼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왼나사를 형성하고 각각의 외주면에 끼움되는 제1 체결너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턴버클 볼트는 상기 제2,4 체결원통의 오른나사에 나사결합은 오른나사를 형성하고 각각의 외주면에 끼움되는 제2 체결너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턴버클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 몸체는 크랭크형 지지간의 양단부에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왼나사가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1 체결원통 및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오른나사가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2 체결원통이 형성된 상기 제1 몸체와,
    일자형 지지간의 일측단부에 상기 제1, 2체결원통에 대응하여 외주면에 각각 수나사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왼나사와 오른나가사 각각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3, 제4 체결원통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몸체의 크랭크형 지지간의 중간연결편의 양측과 각각의 일자형 지지간의 단부에 대향으로 형성된 힌지부에서 축핀 결합으로 회전가능케 조립된 제2, 제3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턴버클.
  2. 삭제
  3. 삭제
  4. 크랭크형 지지간의 양단부에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왼나사가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1 체결원통 및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오른나사가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2 체결원통이 형성된 제1 몸체, 일자형 지지간의 일측단부에 상기 제1, 2체결원통에 대응하여 외주면에 각각 수나사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왼나사와 오른나가사 각각 형성된 반원통형의 제3, 제4 체결원통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몸체의 크랭크형 지지간의 중간연결편의 양측과 각각의 일자형 지지간의 단부에 대향으로 형성된 힌지부에서 축핀 결합으로 회전가능케 조립된 제2, 제3 몸체로 구성된 턴버클 몸체;
    상기 제1,3 체결원통의 왼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왼나사를 형성하고 각각의 외주면에 끼움되는 제1 체결너트를 구비한 제1 턴버클 볼트; 및,
    상기 제2,4 체결원통의 오른나사에 나사결합은 오른나사를 형성하고 각각의 외주면에 끼움되는 제2 체결너트를 구비한 제2 턴버클 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KR1020160112608A 2016-09-01 2016-09-01 턴버클 KR101893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608A KR101893920B1 (ko) 2016-09-01 2016-09-01 턴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608A KR101893920B1 (ko) 2016-09-01 2016-09-01 턴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658A KR20180025658A (ko) 2018-03-09
KR101893920B1 true KR101893920B1 (ko) 2018-08-31

Family

ID=6172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608A KR101893920B1 (ko) 2016-09-01 2016-09-01 턴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8693A (zh) * 2018-12-14 2019-03-29 日照德信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防拧脱管式花兰及其制备方法
CN111473093B (zh) * 2020-06-02 2021-09-07 苏州知遇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螺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5616A (ja) * 2006-03-24 2007-10-04 Tateishi Denki:Kk ターンバック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2667U (ko) * 1975-12-19 1977-06-20
JPS5868506U (ja) * 1981-11-02 1983-05-10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ブレ−ス材
JPS6246810U (ko) * 1985-09-11 1987-03-23
KR20100005514U (ko)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강산 와이어 고정용 턴버클
KR101128422B1 (ko) 2010-07-12 2012-03-27 주식회사 신화엔지니어링 무대장치의 흔들림 방지용 턴버클
KR101268457B1 (ko) 2013-01-16 2013-06-04 김수진 마찰접합식 턴버클
KR20150034335A (ko) 2013-09-26 2015-04-03 김상원 신호등용 와이어 연결단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5616A (ja) * 2006-03-24 2007-10-04 Tateishi Denki:Kk ターンバッ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658A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2962B2 (ja) クランプ装置ならびにそのためのエジェクタおよび円錐リング
JP5361360B2 (ja) 螺合部のためのナット、詳細にはセグメント化されたナット
RU2010141979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многопоясковые инструменты с закрепленными бобинами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й сварки трением с перемешиванием множества параллельных стенок между деталями
KR101893920B1 (ko) 턴버클
US11859652B2 (en) Bolts and bolt and nut fasteners
KR20170038177A (ko) 나사 연결체를 위한 인장 디바이스, 나사 연결체를 조이기 위한 방법 및 나사산구비 너트
CN107725565A (zh) 一种自动锁紧螺母
CN107588078B (zh) 一种便于锁紧且能防松的螺栓
CN103939444A (zh) 一种快速连接件、模板快速固定结构及快速连接方法
US7036858B2 (en) Hoist ring
JP2014119000A (ja) 緩み止めダブルナット
CN104416510A (zh) 用于螺纹连接件的拆装工具
JP2014088951A (ja) ねじの緩み止部材
KR101178518B1 (ko) 양방향 고정금구
CN208663618U (zh) 一种万能扳手
JP2017047485A (ja) 軸取付部材抜き工具用補助具
US2618495A (en) Pulley
US10161125B2 (en) Spatial structure
CN205331137U (zh) 便于螺纹紧配合快速拆卸的轴向弹性卡箍结构
KR20140068448A (ko) 용접 캐리지의 토치 각도 조절장치
KR101714638B1 (ko) 개스킷 조립용 볼트
KR101656584B1 (ko) 토크 부가형 볼트 및 너트 조립 모듈
CN203527349U (zh) 用于螺纹连接件的拆装工具
US603692A (en) Thomas h
FI12206U1 (fi) Vedin ja vetimen asennussar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