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506B1 -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506B1
KR101893506B1 KR1020170070658A KR20170070658A KR101893506B1 KR 101893506 B1 KR101893506 B1 KR 101893506B1 KR 1020170070658 A KR1020170070658 A KR 1020170070658A KR 20170070658 A KR20170070658 A KR 20170070658A KR 101893506 B1 KR101893506 B1 KR 10189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ok
trigger
slid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문
한희도
Original Assignee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조가 내부에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세척조 방향으로 걸림돌기 및 내벽이 형성된 도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방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트리거푸셔설치부, 후킹슬라이딩설치부 및 스위치설치부가 구비된 로커바디와; 상기 도어를 닫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의 내벽과의 접촉으로 상방으로 눌림 동작되도록 상기 로커바디의 트리거푸셔설치부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지지된 트리거스위치가 구비된 트리거스위칭부와; 상기 트리거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트리거스위치에 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로커바디의 트리거푸셔설치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푸셔와; 상기 트리거스위치가 눌림 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가 걸림 동작되면서 밀 경우 스프링력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로커바디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에 탄성지지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후크 및 슬라이더가 각각 구비된 후킹슬라이딩부와; 상기 로커바디의 스위치설치부에 설치되되, 상기 푸셔가 후방으로 이동시 ON 동작하는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상기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시 ON 동작하는 제2 마이크로스위치가 각각 구비된 스위칭감지부와; 상기 스위칭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ON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도어가 정상적으로 닫히고 잠긴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DOOR LOCKER FOR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스위칭수단을 통하여 도어의 개폐여부를 이중으로 감지하여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척조 내에 수납된 음식물찌꺼기나 기름 등이 묻어 있는 식기류를 세척수의 분사압에 의하여 자동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전방이 개구되면서 식기류가 수납되는 세척조가 내부에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개폐장치와, 상기 세척조 내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세척 및 건조가 보다 용이하도록 세제주입구 및 발열체를 더 포함한다.
특히,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개폐장치에 의해 원치않게 개방됨을 방지하고 닫힌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세척작업 도중 도어의 개방으로 인하여 세척수가 누수되거나 고온의 수증기에 의한 사용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는 도어의 개폐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일례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3593호에는 식기세척기용 도어 잠금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제안된 식기세척기용 도어 잠금장치는 세척기 본체(10)에 구비되는 래치유닛(30) 및 개폐도어(20)에 설치되면서 상기 래치유닛(30)에 구속되도록 걸림턱(41)이 형성된 락킹유닛(40)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유닛(40)은 세척기 본체(10)에 고정되면서 외관 몸체를 이룸과 더불어 내부에는 장착 공간이 형성된 래치몸체(310)와, 상기 래치몸체(310) 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후방측 끝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측 끝단에는 상기 락킹유닛(40)의 걸림턱(41)을 구속하는 구속단(322)이 하향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진 걸림부재(320)와, 상기 걸림부재(320)의 전진 이동시 압축됨과 더불어 걸림부재(320)의 후퇴 이동시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부재(320)의 후퇴 이동을 보조하는 복원부재(330)와, 상기 래치몸체(310) 내의 전방측 부위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락킹유닛(40)의 걸림턱(41)에 의해 후퇴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부재(320)의 구속단(322)을 점차 가압하여 상기 구속단(322)에 상기 걸림턱(41)이 걸려 구속되도록 하는 슬라이더(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기술은 단순히 기계적으로 개폐도어의 열림동작이 닫힘동작보다 더욱 큰 힘을 제공하여야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폐도어가 원치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도하였으나, 식기세척을 수행하도록 본체 내에 기설정된 식기세척 프로그램의 제어수단과는 전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이 포함된 바 없기 때문에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식기세척 버튼을 누르면 식기세척이 수행됨에 따라 상술한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세척작업이 수행되지 않도록 개폐도어의 개폐여부 감지를 위하여 식기세척 프로그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스위칭수단이 더 포함된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구조의 간소화를 위하여 1개의 스위칭수단을 사용하여 개폐도어의 걸림돌기와 같은 락킹유닛과의 접촉만으로 ON 동작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락킹유닛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위칭수단이 노출되어 사용자의 고의 또는 부주의로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되거나 완전히 닫히지 않더라도 상기 스위칭수단이 눌림 동작되면 상기 식기세척 프로그램은 개폐도어가 닫힌 것으로 인식하여 오작동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스위칭수단을 통하여 도어의 개폐여부를 이중으로 감지하여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는, 세척조가 내부에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세척조 방향으로 걸림돌기 및 내벽이 형성된 도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방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트리거푸셔설치부, 후킹슬라이딩설치부 및 스위치설치부가 구비된 로커바디와; 상기 도어를 닫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의 내벽과의 접촉으로 상방으로 눌림 동작되도록 상기 로커바디의 트리거푸셔설치부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지지된 트리거스위치가 구비된 트리거스위칭부와; 상기 트리거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트리거스위치에 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로커바디의 트리거푸셔설치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푸셔와; 상기 트리거스위치가 눌림 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가 걸림 동작되면서 밀 경우 스프링력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로커바디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에 탄성지지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후크 및 슬라이더가 각각 구비된 후킹슬라이딩부와; 상기 로커바디의 스위치설치부에 설치되되, 상기 푸셔가 후방으로 이동시 ON 동작하는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상기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시 ON 동작하는 제2 마이크로스위치가 각각 구비된 스위칭감지부와; 상기 스위칭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ON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도어가 정상적으로 닫히고 잠긴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내벽은, 상기 도어를 닫는 동작에 따라 상기 트리거스위칭부의 트리거스위치가 눌림 동작된 다음에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후킹슬라이딩부에 걸림 동작되면서 후방으로 밀도록 상기 걸림돌기의 후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스위칭부는, 상기 트리거스위치를 탄성지지하도록 일측이 트리거핀을 매개로 상기 트리거스위치에 고정된 트리거스프링과, 상기 트리거스프링의 타측이 고정되고, 상기 로커바디의 트리거푸셔설치부에 결합된 트리거스프링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스위치는, 눌림 동작에 따라 상기 푸셔의 전방과 접촉하여 상기 푸셔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와, 눌림 동작에 따라 상기 후킹슬라이딩부의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함몰 형성된 단속홈에 걸림 동작하는 단속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킹슬라이딩부의 후크는,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가 걸림 동작하도록 전방에 형성되고, 전방이 후방으로 하향 경사져 뾰족하게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후방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가 상기 슬라이더를 후방으로 밀 경우 상기 걸림턱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푸쉬홈이 각각 함몰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고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킹슬라이딩부의 슬라이더는, 상기 후크의 걸림턱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푸쉬판과, 상기 푸쉬판의 후방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핀홀이 전후 방향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에 의해 밀릴 경우 상기 후크의 푸쉬홈에 삽입된 상태로 밀면서 상기 후크의 걸림턱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푸쉬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의 핀수용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킹슬라이딩부는, 상기 후크를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걸림턱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은 상기 로커바디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의 스프링고정단 각각에 고정된 후크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지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로커바디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로커바디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핀홀에 삽입된 슬라이더핀에 끼워져 상기 핀수용단의 후방에 고정된 슬라이더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킹슬라이딩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가 상기 후크의 걸림턱 및 상기 슬라이더의 푸쉬판 사이에 걸림 동작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의 푸쉬판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후크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로커바디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가 상기 후크 및 슬라이더 사이에 걸림 동작된 상태로 상기 후크를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후크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로커바디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의 전방으로 원위치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커바디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는, 전방에 후크단속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걸림턱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턱의 상부 후방이 상기 후크단속턱에 걸림 동작되거나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기세척기에 마련된 식기세척버튼을 누름 동작시 기설정된 식기세척 프로그램에 따라 사전에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ON 동작신호를 수신한 경우 식기세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어느 하나라도 ON 동작신호가 미수신된 경우 상기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식기세척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는, 트리거스위칭부, 푸셔, 후킹슬라이딩부와 함께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칭감지부와 제어부를 통하여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도어의 닫힘상태 및 잠김상태를 이중으로 감지하여 식기세척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도어 잠금장치를 식기세척기에 설치한 모습 및 분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의 본체 및 개방된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의 본체 및 폐쇄된 도어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에 구성된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실시예의 후크 및 슬라이더가 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전방 원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5 및 6의 실시예의 트리거스위칭부, 푸셔 및 후킹슬라이딩부의 동작에 따른 스위칭감지부의 ON 동작이 표시되도록 로커바디를 제외한 결합상태에서 트리거스위칭부, 푸셔 및 후킹슬라이딩부의 동작을 화살표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 및 6의 실시예의 스위칭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 간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50)는, 도 3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11)가 내부에 구비된 본체(10) 및 상기 본체(10)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세척조 방향으로 걸림돌기(21) 및 내벽(22)이 형성된 도어(20)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상기 도어(20)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로커바디(100), 트리거스위칭부(200), 푸셔(300), 후킹슬라이딩부(400), 스위칭감지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어(20)의 내벽(22)은 상기 도어(20)를 닫는 동작에 따라 상기 트리거스위칭부(200)의 트리거스위치(210)가 눌림 동작된 다음에 상기 걸림돌기(21)가 상기 후킹슬라이딩부(400)에 걸림 동작되면서 후방으로 밀도록 상기 걸림돌기(21)의 후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면서 형성된다.
로커바디(100)는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방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후술할 트리거스위칭부(200), 푸셔(300), 후킹슬라이딩부(400) 및 스위칭감지부(500)가 설치되도록 트리거푸셔설치부(110),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 및 스위치설치부(130)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푸셔설치부(110),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 및 스위치설치부(130)는 상기 트리거스위칭부(200), 푸셔(300), 후킹슬라이딩부(400) 및 스위칭감지부(50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트리거스위칭부(200)는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를 닫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20)의 내벽(22)과의 접촉으로 상방으로 눌림 동작되도록 상기 로커바디(100)의 트리거푸셔설치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지지된 트리거스위치(2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트리거스위치(210)를 탄성지지하도록 일측이 트리거핀(221)을 매개로 상기 트리거스위치(210)에 고정된 트리거스프링(220)과, 상기 트리거스프링(220)의 타측이 고정되고, 상기 로커바디(100)의 트리거푸셔설치부(110)에 결합된 트리거스프링커버(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트리거스프링커버(230)는 체결나사(231)을 통하여 상기 트리거푸셔설치부(110)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스위치(210)는 눌림 동작에 따라 후술할 푸셔(300)의 전방과 접촉하여 상기 푸셔(300)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211)와, 눌림 동작에 따라 후술할 후킹슬라이딩부(400)에 구비된 슬라이더(420)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더(420)에 함몰 형성된 단속홈(421)에 걸림 동작하는 단속돌기(212)를 포함한다.
푸셔(300)는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스위치(210)의 눌림 동작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트리거스위치(210)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로커바디(100)의 트리거푸셔설치부(1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푸셔(300)는 상기 트리거스위치(210)의 눌림 동작에 따라 후술할 스위칭감지부(500)의 제1 마이크로스위치(510)를 ON 동작 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후킹슬라이딩부(400)는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스위치(210)가 눌림 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가 걸림 동작되면서 밀 경우 스프링력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로커바디(100)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에 탄성지지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후크(410) 및 슬라이더(420)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410) 및 슬라이더(420)가 상기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에 탄성지지되도록 후크스프링(430) 및 슬라이더스프링(440)이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410)는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가 걸림 동작하도록 전방에 형성되고, 전방이 후방으로 하향 경사져 뾰족하게 돌출 형성된 걸림턱(411)과, 상기 걸림턱(411)의 후방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가 상기 슬라이더(420)를 후방으로 밀 경우 상기 걸림턱(411)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푸쉬홈(413)이 각각 함몰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고정단(4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420)는 상기 후크(410)의 걸림턱(411)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푸쉬판(422)과, 상기 푸쉬판(422)의 후방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핀홀(424)이 전후 방향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에 의해 밀릴 경우 상기 후크(410)의 푸쉬홈(413)에 삽입된 상태로 밀면서 상기 후크(410)의 걸림턱(411)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푸쉬돌기(425)가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의 핀수용단(4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크스프링(430)은 상기 후크(410)를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걸림턱(41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은 상기 로커바디(100)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431)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410)의 스프링고정단(412) 각각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더스프링(440)은 상기 슬라이더(420)를 탄성지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로커바디(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로커바디(100)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핀홀(424)에 삽입된 슬라이더핀(441)에 끼워져 상기 핀수용단(423)의 후방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더핀(441)은 스톱링(442)을 통하여 상기 로커바디(100)에 고정 설치된다.
더하여, 도 7은 상기 후크(410) 및 슬라이더(420)가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로터바디(100)의 전방 원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도로서, (가)는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에 따른 원위치 상태를 나타내고, (나)는 상기 도어의 폐쇄상태에 따른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21)와 함께 상기 원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상기 트리거스위칭부(200), 푸셔(300) 및 후킹슬라이딩부(400)의 동작에 따른 스위칭감지부(500)의 ON 동작이 표시되도록 상기 로커바디(100)를 제외한 결합상태에서 상기 트리거스위칭부(200), 푸셔(300) 및 후킹슬라이딩부(400)의 동작을 화살표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일 예로 상기 도어(20)의 닫힘 동작 진행시에 따른 상기 트리거스위칭부(200), 푸셔(300) 및 후킹슬라이딩부(400)의 이동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한 것이다. 상술한 도 7 및 8을 비롯한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른 상기 후킹슬라이딩부(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도어(20)가 닫히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가 상기 후크(410)의 걸림턱(411) 및 상기 슬라이더(420)의 푸쉬판(422) 사이에 걸림 동작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420)의 푸쉬판(422)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후크(410)가 상기 슬라이더(420)와 함께 상기 로커바디(100)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때, 상기 트리거스위칭부(200)의 트리거스위치(210)는 상기 도어(20)가 닫히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보다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내벽(22)과의 접촉으로 눌림 동작된 다음 상기 후킹슬라이딩부(400)가 동작되는데 이는 상기 트리거스위치(210)의 눌림 동작으로 상기 슬라이더(420)에 함몰 형성된 단속홈(421)에 걸림 동작되어진 단속돌기(212)가 상기 슬라이더(420)의 단속홈(421)으로부터 이탈되어 탄성지지된 상기 슬라이더(420)가 상기 후크(41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대로, 상기 도어(20)가 열리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가 상기 후크(410) 및 슬라이더(420) 사이에 걸림 동작된 상태로 상기 후크(410)를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후크(410)가 상기 슬라이더(420)와 함께 상기 로커바디(100)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의 전방으로 원위치 복귀하고, 상기 도어(20)의 내벽(22)에 눌림 동작된 상기 트리거스위치(210)도 스프링력으로 원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20)가 열린 상태이거나 열림 동작 진행시 상기 후크(210)를 상기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의 전방 즉, 원위치에 위치시키거나 복귀하여 그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로커바디(100)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는 전방에 후크단속턱(12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410)는 상기 걸림턱(41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턱(411)의 상부 후방이 상기 후크단속턱(121)에 걸림 동작되거나 해제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도어(20)가 열린 상태일 경우 상기 후크(410)의 걸림턱(411)의 상부 후방이 상기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의 후크단속턱(121)에 걸림 동작된 상태이므로 상기 후크(410)는 상기 후크스프링(430)에 의해 상기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의 전방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20)의 닫힘 동작 진행시에는 먼저 상기 도어(20)의 내벽(22)에 의해 상기 트리거스위치(210)가 눌림 동작됨에 따라 상기 트리거스위치(210)의 단속돌기(212)가 상기 슬라이더(420)의 단속홈(421)으로부터 걸림 동작이 해제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가 상기 후크(410)의 걸림턱(411) 및 슬라이더(420)의 푸쉬판(422) 사이로 이동하여 걸림 동작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420)를 밀게되면 상기 슬라이더(420)의 푸쉬돌기(425)가 상기 후크(410)의 푸쉬홈(413)을 밀면서 상기 후크(410)의 전방이 하방으로 내려가다가 상기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의 후크단속턱(121)으로부터 걸림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를 걸림 동작시킨 상태로 스프링력으로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후크(410)가 상기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크(410)의 걸림턱(411)은 상기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의 후방으로 이동시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상기 슬라이더(420)의 푸쉬판(422) 보다 하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가 일정크기 이하의 외력으로부터는 걸림 동작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가 상기 도어(20)의 닫힘 및 잠김 상태로서 후술할 스위칭감지부(500)의 제1 마이크로스위치(510)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520)가 모두 ON 동작하여 후술할 제어부(600)로 스위치 ON신호가 전달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어(20)의 열림 동작 진행시에는 상술한 닫힘 동작 진행시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즉, 상기 도어(20)를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가 상기 후크(410)의 걸림턱(411) 및 슬라이더(420)의 푸쉬판(422) 사이에서 걸림 동작된 상태로 상기 후크(410)를 상기 로커바디(100)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의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420)의 푸쉬돌기(425)가 상기 후크(410)의 푸쉬홈(413)에 걸림 동작된 상태이므로 상기 슬라이더(420)는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 및 후크(410)와 함께 상기 로커바디(100)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후크(410)의 전방은 상기 로커바디(100)의 전방으로 이동할수록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상기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의 후크단속턱(121)에 걸림 동작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후크(410)의 걸림턱(411)은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상기 슬라이더(420)의 푸쉬판(422)과 하면의 높이가 같거나 높아짐에 따라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가 용이하게 걸림 동작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410)의 푸쉬홈(413) 및 상기 슬라이더(420)의 푸쉬돌기(425)는 상기 로터바디(100)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120) 내에서 상기 후크(410)가 전방으로 이동시에는 전방이 올라가고, 후방으로 이동시에는 전방이 내려가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스위칭감지부(500)는 도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커바디(100)의 스위치설치부(130)에 설치되되, 상기 푸셔(300)가 후방으로 이동시 ON 동작하는 제1 마이크로스위치(510) 및 상기 슬라이더(420)가 후방으로 이동시 ON 동작하는 제2 마이크로스위치(520)가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510)는 상기 트리거스위치(210)의 눌림 동작에 따라 상기 푸셔(300)를 통하여 ON 동작하는 스위치로 상기 도어(20)가 상기 본체(10)에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함이고, 상기 제2 마이크로스위치(520)는 상기 도어(20)의 걸림돌기(21)가 상기 후크(410) 및 슬라이더(420)에 걸림 동작된 상태로 상기 후크(410) 및 슬라이더(4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시 ON 동작하는 스위치로 상기 도어(20)가 상기 본체(10)에 잠김 상태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510) 및 제1 마이크로스위치(520)를 통하여 상기 도어(20)의 닫힘 상태 및 잠김 상태를 이중으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6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감지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510)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520)로부터 ON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도어(20)가 정상적으로 닫히고 잠긴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식기세척기에 마련된 식기세척버튼을 누름 동작시 기설정된 식기세척 프로그램에 따라 사전에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510)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520)로부터 ON 동작신호를 수신한 경우 식기세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510)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520)로부터 어느 하나라도 ON 동작신호가 미수신된 경우 상기 도어(20)가 비정상적으로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식기세척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는, 트리거스위칭부(200), 푸셔(300), 후킹슬라이딩부(400)와 함께 제1 마이크로스위치(510)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520)가 구비된 스위칭감지부(500)와 제어부(600)를 통하여 도어(2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도어(20)의 닫힘상태 및 잠김상태를 이중으로 감지하여 식기세척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세척조
20 : 도어 21 : 걸림돌기
22 : 내벽 50 : 도어개폐장치
100 : 로커바디 110 : 트리거푸셔설치부
120 : 후킹슬라이딩설치부 130 : 스위치설치부
200 : 트리거스위칭부 210 : 트리거스위치
220 : 트리거스프링 230 : 트리거스프링커버
300 : 푸셔 400 : 후킹슬라이딩부
410 : 후크 420 : 슬라이더
430 : 후크스프링 440 : 슬라이더스프링
500 : 스위칭감지부 510 : 제1 마이크로스위치
520 : 제2 마이크로스위치 600 : 제어부

Claims (10)

  1. 세척조가 내부에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세척조 방향으로 걸림돌기 및 내벽이 형성된 도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방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트리거푸셔설치부, 후킹슬라이딩설치부 및 스위치설치부가 구비된 로커바디와;
    상기 도어를 닫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의 내벽과의 접촉으로 상방으로 눌림 동작되도록 상기 로커바디의 트리거푸셔설치부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지지된 트리거스위치가 구비된 트리거스위칭부와;
    상기 트리거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트리거스위치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로커바디의 트리거푸셔설치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푸셔와;
    상기 트리거스위치가 눌림 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가 걸림 동작되면서 밀 경우 스프링력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로커바디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에 탄성지지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후크 및 슬라이더가 각각 구비된 후킹슬라이딩부와;
    상기 로커바디의 스위치설치부에 설치되되, 상기 푸셔가 후방으로 이동시 ON 동작하는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상기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시 ON 동작하는 제2 마이크로스위치가 각각 구비된 스위칭감지부와;
    상기 스위칭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ON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도어가 정상적으로 닫히고 잠긴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스위치는,
    눌림 동작에 따라 상기 푸셔의 전방과 접촉하여 상기 푸셔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와,
    눌림 동작에 따라 상기 후킹슬라이딩부의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함몰 형성된 단속홈에 걸림 동작하는 단속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벽은,
    상기 도어를 닫는 동작에 따라 상기 트리거스위칭부의 트리거스위치가 눌림 동작된 다음에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후킹슬라이딩부에 걸림 동작되면서 후방으로 밀도록 상기 걸림돌기의 후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스위칭부는,
    상기 트리거스위치를 탄성지지하도록 일측이 트리거핀을 매개로 상기 트리거스위치에 고정된 트리거스프링과,
    상기 트리거스프링의 타측이 고정되고, 상기 로커바디의 트리거푸셔설치부에 결합된 트리거스프링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슬라이딩부의 후크는,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가 걸림 동작하도록 전방에 형성되고, 전방이 후방으로 하향 경사져 뾰족하게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후방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가 상기 슬라이더를 후방으로 밀 경우 상기 걸림턱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푸쉬홈이 각각 함몰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고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슬라이딩부의 슬라이더는,
    상기 후크의 걸림턱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푸쉬판과,
    상기 푸쉬판의 후방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핀홀이 전후 방향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에 의해 밀릴 경우 상기 후크의 푸쉬홈에 삽입된 상태로 밀면서 상기 후크의 걸림턱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푸쉬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의 핀수용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슬라이딩부는,
    상기 후크를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걸림턱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은 상기 로커바디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의 스프링고정단 각각에 고정된 후크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지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로커바디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로커바디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핀홀에 삽입된 슬라이더핀에 끼워져 상기 핀수용단의 후방에 고정된 슬라이더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슬라이딩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가 상기 후크의 걸림턱 및 상기 슬라이더의 푸쉬판 사이에 걸림 동작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의 푸쉬판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후크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로커바디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의 걸림돌기가 상기 후크 및 슬라이더 사이에 걸림 동작된 상태로 상기 후크를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후크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로커바디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의 전방으로 원위치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바디의 후킹슬라이딩설치부는,
    전방에 후크단속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걸림턱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턱의 상부 후방이 상기 후크단속턱에 걸림 동작되거나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기세척기에 마련된 식기세척버튼을 누름 동작시 기설정된 식기세척 프로그램에 따라 사전에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ON 동작신호를 수신한 경우 식기세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어느 하나라도 ON 동작신호가 미수신된 경우 상기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식기세척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KR1020170070658A 2017-06-07 2017-06-07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KR10189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658A KR101893506B1 (ko) 2017-06-07 2017-06-07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658A KR101893506B1 (ko) 2017-06-07 2017-06-07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506B1 true KR101893506B1 (ko) 2018-08-30

Family

ID=6345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658A KR101893506B1 (ko) 2017-06-07 2017-06-07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5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4426A (zh) * 2019-02-22 2019-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家用电器门锁组件及洗碗机
WO2022045409A1 (ko) * 2020-08-27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30063708A (ko) * 2021-11-02 2023-05-09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용 도어 자동 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532A (ja) * 1996-02-15 1997-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等の蓋ロック装置
KR101549340B1 (ko) * 2014-05-29 2015-09-11 주식회사 동양매직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101603593B1 (ko) * 2015-12-24 2016-03-15 (주)청호시스템 식기 세척기용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532A (ja) * 1996-02-15 1997-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等の蓋ロック装置
KR101549340B1 (ko) * 2014-05-29 2015-09-11 주식회사 동양매직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101603593B1 (ko) * 2015-12-24 2016-03-15 (주)청호시스템 식기 세척기용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4426A (zh) * 2019-02-22 2019-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家用电器门锁组件及洗碗机
WO2022045409A1 (ko) * 2020-08-27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30063708A (ko) * 2021-11-02 2023-05-09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용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2559906B1 (ko) * 2021-11-02 2023-07-26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용 도어 자동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07935B (zh) 洗碗机锁止系统
KR101893506B1 (ko) 식기세척기용 도어개폐장치
US7690700B2 (en) Door latch device for a domestic appliance, in particular for a dish washer
KR102512205B1 (ko) 도어 락킹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94024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6743986B2 (en) Door lock
KR101855470B1 (ko) 하트캠 방식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JP2002200025A (ja) 食器洗浄機
JP4650335B2 (ja) 食器洗い機
JP6226602B2 (ja) 食器洗浄機
CN115316906A (zh) 一种洗碗机、开门机构及其控制方法
KR100809357B1 (ko)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CN114098580A (zh) 家用洗碗机及其门闩
JP5872845B2 (ja) 食器洗浄機
JP2007007457A (ja) 食器洗い機
JP5032291B2 (ja) 食器洗浄機
US4750503A (en) Latch mechanism for front-loading commercial warewasher
JP5973327B2 (ja) 食器洗浄機
JP5263950B2 (ja) 食器洗浄機
JP2003088488A (ja) 食器洗い機
JP3129299B2 (ja) 食器洗浄機
KR10194024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59906B1 (ko) 식기세척기용 도어 자동 개폐장치
JP5048473B2 (ja) 食器洗浄機
JP4163371B2 (ja) ロック式の扉を有する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