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099B1 - 다기능 지팡이 - Google Patents

다기능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099B1
KR101893099B1 KR1020170100950A KR20170100950A KR101893099B1 KR 101893099 B1 KR101893099 B1 KR 101893099B1 KR 1020170100950 A KR1020170100950 A KR 1020170100950A KR 20170100950 A KR20170100950 A KR 20170100950A KR 101893099 B1 KR101893099 B1 KR 101893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dle
impact
shape
groove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남
Original Assignee
(주) 애니설리반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애니설리반학교 filed Critical (주) 애니설리반학교
Priority to KR1020170100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팡이는 땅을 짚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측에 구비되는 손잡이 및 상기 지지대로 전해지는 충격량을 완화시켜주도록 지지대의 중앙에 구비되는 충격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충격완화부를 기준으로 각각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상단지지대 및 하단지지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지팡이{Multifunctional cane}
본 발명의 다기능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손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감소시키고, 주변의 돌이나 자갈, 지형변화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거동에 끼치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지팡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다양한데, 특히나 노인, 다리를 다친 환자들, 시각장애인이 주로 사용하게 된다.
거동이 불편한 상기 사용자들이 지팡이에 의지해서 거동을 하게 되는 데, 이러한 경우에 지면이 평탄하지 않고, 자갈, 돌부리 등에 노출될 경우 지팡이 자체가 흔들리게 되어 지팡이에 의지해 거동하던 사용자가 더 큰 부상을 당할 염려가 있어왔다.
종래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4867호는 상기의 흔들림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지팡이의 길이를 다단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등산용 지팡이를 기재하고 있어, 일반 노인이나 시각장애인,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4867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감소시키고, 주변의 돌이나 자갈, 지형변화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거동에 끼치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지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지팡이는 땅을 짚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측에 구비되는 손잡이 및 상기 지지대로 전해지는 충격량을 완화시켜주도록 지지대의 중앙에 구비되는 충격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충격완화부를 기준으로 각각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상단지지대 및 하단지지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단에 구비되며, 원뿔형상으로 끝단 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요입부; 상기 하단지지대의 상단은 상기 요입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요홈부 및 상기 요입부 및 요홈부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스프링, 고무밴드, 스폰지,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 하측에 다수 개로 구비되는 흔들림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흔들림방지부는,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구비되며, 요홈이 형성된 압축부; 상기 압축부의 요홈에 삽입되며, 'I'형태로 구비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삽입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지지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지팡이는, 상기 흔들림방지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씌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지팡이는, 하단에 구비되는 압전센서; 상기 압전센서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지팡이는, 상기 손잡이의 형태를 변화시켜주는 변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손잡이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상단지지대와 상기 손잡이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며, 탄성을 갖는 부재로 구비되는 연결부재; 상기 회전축에 의해 손잡이가 회전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손잡이가 상기 상단지지대에 'l'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손잡이 양단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 및 상기 손잡이가 상기 상단지지대에 'T'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손잡이 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은 상기 가이드홈보다 깊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팡이는, 자갈, 돌부리, 지형변화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어 사용자가 안정감 있게 지팡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손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가 변형될 수 있어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팡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충격완화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지팡이에 흔들림방지부 및 캡의 구성을 추가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흔들림방지부의 구성 확대도 및 사용 예시도이다.
도 4는 압전센서와 LED의 연동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지팡이 손잡이의 형태를 변화시켜주는 변형부에 의한 손잡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a),(b)이다.
도 6의 (a) 및 (b)도면은 도 5에 도시된 변형부에 의한 손잡이 변형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팡이는 지지대(100), 손잡이(200), 충격완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는 땅을 짚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도면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나타내었으나,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팡이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보편화되어 있으며, 지팡이를 이동시키거나 어딘가를 짚을 때 원기둥형태가 편리하므로 원기둥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대(100)는 도면에는 미도시 처리하였지만, 접이식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방식으로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미 사용 시에는 길이를 조절하여 보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손잡이(200)는 사용자가 지지대(100)에 의지할 수 있도록 돕는 구성이다.
또한, 손잡이(200)의 형태는 지지대(100)와 일직선이 될 수 있는 'l'형태와 지지대(100)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T'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00)의 형태에 관한 설명은 상세하게 후술할 것이다.
충격완화부(300)는 지지대(100)를 통해 그대로 전해지는 충격량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손으로 전해지는 떨림 및 충격을 감쇠시켜주는 구성이다.
여기서, 충격완화부(300)는 요입부(115), 요홈부(125), 충격완화부재(3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00)는 충격완화부(300)를 기준으로 각각 상단지지대(110)와 하단지지대(120)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충격완화부(300)는 지지대(10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충격완화부(3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요입부(115)는 상단지지대(1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아래를 향하도록 원뿔형상으로 제작되며, 원뿔의 끝단이 평평하게 제작된다.
즉, 정면에서 바라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기 구비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요홈부(125)는 요입부(115)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요홈부(125)는 요입부(115)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것에 따라 사다리꼴 형상으로 홈이 파인 형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요홈부(125)와 요입부(115)가 각각 경사면을 이룸을 통해서 충격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도록 약간의 흔들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요입부(115)와 요홈부(125) 사이에는 충격완화부재(3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충격완화부재(310)는 스프링, 고무밴드, 스폰지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충격완화부재(310)의 구비는 요입부(115) 끝단에 형성된 평평한 부분과 그에 대응되는 요홈부(125) 부분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그 외에 탄성계수를 조금 더 크게하여 탄성을 덜 줄 수 있도록 정면에서 바라볼 때 요입부(115)와 요홈부(125) 사이의 경사면 사이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팡이의 경우에는 주 목적인 지지하는 것에 따라 탄성을 많이 줄 수 없다.
만약, 탄성을 많이 주게 되면, 손잡이(200)와 연결된 상단지지대(110)가 불안정하게 흔들릴 것 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흔들림을 주어 충격량을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며, 그 경사면에 추가적으로 충격완화부재(310)가 구비되는 것이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팡이는 흔들림방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흔들림방지부(400)는 하단지지대(120)의 하면에 구비되며, 지팡이가 작은 작은 돌부리나 자갈 또는 작은 지형변화(S)나 자갈 또는 작은 지형변화 등에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흔들림방지부(400)의 구성은 압축부(410), 삽입부(420), 탄성부재(425) 및 지지심(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흔들림방지부(400)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축부(410)는 하단지지대(120)의 하면과 결합되며, 요홈(415)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에는 후술될 삽입부(420)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후술될 탄성부재(425)가 삽입부(420)를 따라 인입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탄성부재(425)를 압축하게 된다.
다음으로, 삽입부(420)는 'I'형태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압축부(410)에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420)는 외측에 탄성부재(42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탄성부재(425)에 의해 흔들림방지 효과를 볼 수 있다.
탄성부재(425)는 스프링과 같은 스크류형태를 가진 탄성부재(425)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420)의 하측에는 지지심(4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지지심(430)은 단단한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휘거나 부러지는 재질로 구비되지 않는 것이 좋다.
예로 들면, 탄소강, 주석합금, 오스뮴 등과 같은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마땅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흔들림방지부(400)는 하단지지대(120)의 하면에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흔들림방지부(400)의 구성과 사용 예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지지심(430)이 작은 작은 돌부리나 자갈 또는 작은 지형변화(S)나 자갈 또는 작은 지형변화에 닿을 경우 지지심(430)이 올라가고, 올라간 지지심(430)에 의해 삽입부(420)가 압축부(410)에 인입되면서 탄성부재(425)는 압축부(410)에 의해 가로막혀 압축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원리가 적용되면서 작은 작은 돌부리나 자갈 또는 작은 지형변화(S)나 자갈 또는 작은 지형변화에 의한 지팡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이에 의해 다치거나 불편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흔들림방지부(400) 구성은 작은 작은 돌부리나 자갈 또는 작은 지형변화(S)나 자갈 또는 작은 지형변화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계단, 턱과 같은 것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흔들림방지부(400)를 보호하거나, 미사용 시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인 보호캡(5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호캡(500)은 상기 하단지지대(120)의 직경보다 크고, 높이는 상기 흔들림방지부(400)의 구성을 포용할 수 있는 길이면 된다.
또한, 억지 끼움으로 씌울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내부에 걸림부재를 구비하여 하단지지대(120)의 외측면에 끼울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지팡이의 구성에 압전센서(600) 및 LED(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전센서(600)와 LED(650)는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전센서(600)는 하단지지대(12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압전센서(600)는 압전효과를 가진 소자를 이용한 센서로써, 압력센서라고도 불린다.
충격에 의해 전기가 생성되는 원리이다. 대신 아주 잠깐의 시간동안에만 발생되는 원리이다.
이때, 발생된 전기를 이용해 LED(650)를 점멸시킬 수 있다.
압전센서(6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LED(650)는 다기능 지팡이를 시각장애인이 사용할 때, 유용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대(100)를 땅에 짚을 때마다 압전센서(600)가 이를 감지하여 LED(650)를 점멸시키는데,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알려 지팡이에 걸려 다치는 일을 막을 수 있고, 야간에는 자전거 또는 자동차 운전자들이나 주변 보행자에게도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알릴 수 있어 시인성 부족으로 인한 사고유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 노인, 환자들이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압전센서(600)와 LED(650)를 이용함으로써, 다기능 지팡이의 사용자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까지도 안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지팡이는 손잡이(200)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변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변형부(700)는 회전축(710), 연결부재(720), 가이드홈(730), 제1 결함홈 및 제2 결합홈(7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부(7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회전축(710)은 손잡이(200) 내부 일측에 위치하며, 손잡이(200)가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720)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과 같은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손잡이(200) 내부 일측에 위치한 회전축(710)과 상단지지대(110) 일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손잡이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고정축이 상단지지대 내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720)는 회전축(710)에 의해 회동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되돌아오려는 성질을 이용하여 손잡이(200)의 형태를 'T'에서 'l'로 바꾸거나 역으로 'l'를 'T'로 변형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가이드홈(730)은 상기에서 설명한 연결부재(720)가 회전축(710)에 의해 회동되면서 지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200) 내측에 연결부재(720)의 두께 및 크기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결합홈(740)은 손잡이(200)가 상단지지대(110)와 일직선('l')이 되었을 때, 상단지지대(110)의 일단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손잡이(200)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750)은 손잡이(200)가 상단지지대(110)에'l'에서 'T'로 변형되어 결합될 때 상단지지대(110)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손잡이(200)의 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제1 및 제2 결합홈(750)은 가이드홈(730)이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나, 가이드홈(730) 보다는 깊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변형부(700)의 구성을 이용해 손잡이(200)가 변형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손잡이(200)의 양단에 상단지지대(110)의 일단이 인입되도록 형성되며, 'l'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200)부분을 위를 향해 잡아당기게 되면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720)가 늘어나면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회동된 후에 'T'형태로 변형되고, 연결부재(720)가 늘어났다가 다시 되돌아가려는 성질이 있어 제2 결합홈(750)에 자연스럽게 상단지지대(110)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다시 'T'에서 'l'형태로 바꿀 때에도 같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양단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홈(740)이 손잡이(200)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에 상단지지대(110)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지팡이는 일측에 거리센서와 진동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지지대(100) 일측에 구비되는 거리센서와 진동자가 연동되어 물체나 사람을 인지할 수 있게 도와주는 구성이다.
거리센서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시각장애인이 사용한다면 다기능 지팡이 일측에 구비된 거리센서로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면, 손잡이(200)부분에 장착된 진동자를 동작시켜 물체 또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시각장애인에게 상기 시켜줄 수 있다.
또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거리센서에 의해 물체 또는 사람이 감지되면, 음성을 통해 알림을 줄 수도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S : 작은 돌부리나 자갈 또는 작은 지형변화
100 : 지지대
110 : 상단지지대
115 : 요입부
120 : 하단지지대
125 : 요홈부
200 : 손잡이
300 : 충격완화부
310 : 충격완화부재
400 : 흔들림방지부
410 : 압축부
415 : 요홈
420 : 삽입부
425 : 탄성부재
430 : 지지심
500 : 보호캡
600 : 압전센서
650 : LED
700 : 변형부
710 : 회전축
720 : 연결부재
730 : 가이드홈
740 : 제1 결합홈
750 : 제2 결합홈

Claims (9)

  1. 땅을 짚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측에 구비되는 손잡이 및
    상기 지지대로 전해지는 충격량을 완화시켜주도록 지지대의 중앙에 구비되는 충격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충격완화부를 기준으로 각각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상단지지대 및 하단지지대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 하측에 다수 개로 구비되는 흔들림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흔들림방지부는,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구비되며, 요홈이 형성된 압축부;
    상기 압축부의 요홈에 삽입되며, 'I'형태로 구비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삽입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지지심을 포함하는 다기능 지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단에 구비되며, 원뿔형상으로 끝단 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요입부;
    상기 하단지지대의 상단은 상기 요입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요홈부 및
    상기 요입부 및 요홈부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하는 다기능 지팡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스프링, 고무밴드, 스폰지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지팡이는,
    상기 흔들림방지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씌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지팡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지팡이는,
    하단에 구비되는 압전센서;
    상기 압전센서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LED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지팡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지팡이는,
    상기 손잡이의 형태를 변화시켜주는 변형부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지팡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손잡이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상단지지대와 상기 손잡이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며, 탄성을 갖는 부재로 구비되는 연결부재;
    상기 회전축에 의해 손잡이가 회전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손잡이가 상기 상단지지대에 'l'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손잡이 양단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 및
    상기 손잡이가 상기 상단지지대에 'T'형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손잡이 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은 상기 가이드홈보다 깊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팡이.
KR1020170100950A 2017-08-09 2017-08-09 다기능 지팡이 KR101893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950A KR101893099B1 (ko) 2017-08-09 2017-08-09 다기능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950A KR101893099B1 (ko) 2017-08-09 2017-08-09 다기능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099B1 true KR101893099B1 (ko) 2018-08-29

Family

ID=6343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950A KR101893099B1 (ko) 2017-08-09 2017-08-09 다기능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0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26B1 (ko) * 2005-01-07 2006-08-25 권정효 지팡이
JP2009183436A (ja) * 2008-02-06 2009-08-20 Jin Miyagi
JP2009233041A (ja) * 2008-03-26 2009-10-15 Univ Of Fukui 歩行補助用杖
JP2011010997A (ja) * 2009-07-06 2011-01-20 Craft Engi Kk 杖用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26B1 (ko) * 2005-01-07 2006-08-25 권정효 지팡이
JP2009183436A (ja) * 2008-02-06 2009-08-20 Jin Miyagi
JP2009233041A (ja) * 2008-03-26 2009-10-15 Univ Of Fukui 歩行補助用杖
JP2011010997A (ja) * 2009-07-06 2011-01-20 Craft Engi Kk 杖用発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6231A (en) Movable base for a baby walker
US9955760B2 (en) Adaptive pivoting and impact reduction tip assembly for walking aids
US10575607B2 (en) Shock absorbing walking cane
WO2005037162A8 (en) Ergonomic collapsible crutch
EP2949307A1 (en) Walking aid device
US9737121B2 (en) Adaptive pivoting and impact reduction tip assembly for walking aids
KR101893099B1 (ko) 다기능 지팡이
KR101278720B1 (ko)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US7657968B2 (en) Walker wheel interface
JP5656175B1 (ja) 石突及び杖
CN108836621B (zh) 一种眼科患者视力恢复保护装置
KR101630665B1 (ko) 비대칭 발판을 이용한 힌지 목발
CN212234862U (zh) 一种中医骨科腿部康复固定装置
KR101961561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JP2006239378A (ja) ステッキ転倒防止具
KR102054340B1 (ko) 회전형 목발
KR101389575B1 (ko) 완충 지팡이
JP2007105364A (ja) 杖や松葉杖の先端に取り付ける石突き部材
JP3515780B1 (ja) 杖の石突き装置
KR102136834B1 (ko) 보조받침대가 부가된 안마기
KR101226438B1 (ko) 손잡이 하부에 보조손잡이를 형성한 지팡이
JP6327743B2 (ja) ベッドガード
JP3204362U (ja) 杖の石突構造
US20230320922A1 (en) Ergonomic Crutch with Underarm Shock Absorber Support
JP2006102054A (ja) 自立可能な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