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400B1 - 스터드 홀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스터드 홀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400B1
KR101892400B1 KR1020170161874A KR20170161874A KR101892400B1 KR 101892400 B1 KR101892400 B1 KR 101892400B1 KR 1020170161874 A KR1020170161874 A KR 1020170161874A KR 20170161874 A KR20170161874 A KR 20170161874A KR 101892400 B1 KR101892400 B1 KR 101892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tud hole
reference direction
slo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섭
김동일
김창훈
문영준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1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36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provided with mechanical cleaning tools, e.g. scrapers, with or without additional fluid j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는, 기준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기준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기준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파여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는 지지부; 및 상기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부가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터드 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세척부를 포함하여, 스터드 홀을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터드 홀 세척 장치 {CLEANING APPARATUS FOR REACTOR STUD HOLE}
본 발명은 원자로 스터드 홀의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원자로, 발전기, 터빈, 배관 등이 설치된다. 이 중 원자로를 구성하는 원자로 용기와 원자로 뚜껑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수단인 스터드 볼트가 사용된다. 체결수단인 스터드 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스터드 홀(stud hole)이, 원자로의 결합부 플랜지 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다.
스터드 홀에 스터드 볼트가 단단하게 체결되기 위해서, 스터드 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청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스터드 홀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나사산에 묻은 이물질을 쓸어 제거하는 청소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청소 장치를 이용하여 스터드 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 장치의 중심축을 스터드 홀의 중심축과 일치시켜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소 장치가 회전하면서 스터드 홀의 내주면의 일 영역과 충돌하게 된다. 충돌로 인해 청소 장치가 전복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청소 장치에서 청소가 이루어지는 부위까지의 거리가 정해져 있어, 청소가 이루어지는 부위와 스터드 홀 내주면간의 마찰이 강하게 일어난다. 이로 인해 청소 장치를 사용할 때, 스터드 홀에 의한 저항을 크게 받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스터드 홀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는, 기준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기준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기준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파여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는 지지부; 및 상기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부가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터드 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세척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스터드 홀에 대해 장치를 정확히 센터링하지 않고도, 스터드 홀의 내주면을 세척할 수 있다.
스터드 홀의 내주면에 의해 강한 저항을 받지 않고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회전 및 돌출하는 방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의 세척부가 돌출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의 세척부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가 스터드 홀에 삽입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1)는, 회전부(10)와, 지지부(20)와, 세척부(30)를 포함한다.
회전부(10)
회전부(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1)를 기준방향(D)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회전부(10)는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되고, 연장된 방향인 기준방향(D)을 따라 회전한다.
기준방향(D)은 도 1에 표시된 것과 같은 방향으로, 본 발명의 스터드 홀 세척 장치(1)의 회전의 기준이 되는 방향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로의 스터드 홀(S)이 연직방향을 따라 플랜지면에 하방으로 천설되므로, 기준방향(D)은 연직하방일 수 있다.
회전부(10)는 회전 샤프트(11)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1)는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되고, 기준방향(D) 반대측에서 구동부(13)와 연결되고, 중앙 영역에서 후술할 지지부(20)와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1)는 구동부(13)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기준방향(D)을 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축에 전달하기 위해, 구동부(13)는 모터 등의 동력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10)는, 다각형의 측면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키(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12)는 회전 샤프트(11)와 지지부(20)가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지지부(20)의 결합부(22)의 형상과 대응되는 다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각형의 종단면은, 기준방향(D) 또는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을 바라보는 측면이다. 따라서 다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으로 형성되는 키(12)와, 지지부(20)의 결합부(22)가 결합됨에 따라, 회전 샤프트(11)가 회전할 때 지지부(20)와의 관계에서 회전 샤프트(11)가 헛돌지 않고, 지지부(20)를 회전부(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11)의 일측에 너트(14)가 체결됨으로써, 지지부(20)의 기준방향(D) 또는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너트(14)는 지지부(20)가 회전부(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회전부(10)는 기준방향(D)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력을 받아 회전부(10)를 기준방향(D)을 따라 직선이동시키는 직선이동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10)가 기준방향(D)을 따라 직선이동 함에 따라, 회전부(10)에 결합된 지지부(20)도 회전부(1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기준방향(D)을 따라 직선운동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터드 홀(S)의 내주면에 접촉된 세척부(30)가 스터드 홀(S)의 내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20)
지지부(20)는 회전부(10)에 결합되고, 세척부(3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지지부(20)는 상술한 내용과 같이 회전부(10)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준방향(D)을 축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부(10)가 기준방향(D)을 따라 직선운동 할 수 있으므로, 회전부(1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20)도 직선운동 할 수 있다.
지지부(20)는 지지부(20)의 뼈대가 되는 지지부 판체(21)와, 결합부(22)와, 슬롯(23)을 구비한다. 지지부 판체(21)는 기준방향(D)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회전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지지부 판체(21)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형성된 구멍인 지지부 통공(24)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 판체(21)에는 결합부(22)가 형성된다. 결합부(22)는 회전부(10)와 지지부 판체(21)를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 전술한 키(12)의 형상과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다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2)와 키(12)가 결합됨에 따라, 회전부(10)의 회전 및 직선운동에 지지부(20)가 연동하여 회전 및 직선운동 할 수 있다. 결합부(22)는 지지부 판체(21)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슬롯(23)은 지지부 판체(21)에 오목하게 파이거나 일부 영역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홈으로, 기준방향(D)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슬롯(23)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기준방향(D)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 판체(21)가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슬롯(23)이 연장된 방향은 반경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2)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의 슬롯(2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롯(23) 중 인접한 슬롯(23)들이 서로 이격된 간격과, 인접한 슬롯(23)간에 형성하는 각도는 균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슬롯(23)이 형성되어, 인접한 슬롯(23)간에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었으나, 그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슬롯(23)은 후술할 세척부(30)의 양 방향으로 돌출된 축부재(32)가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축부재 슬롯(23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의 몸체(33)가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세척부 슬롯(231)의 양 측면에 축부재 슬롯(232)이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쌍을 이루는 두 축부재 슬롯(232)은 서로 마주보고,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파여서 형성되어, 서로 선대칭을 이룬다.
세척부 슬롯(231)은 지지부 판체(21)의 외주까지 이르러 지지부 판체(21)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지지부 판체(21)의 외주가 단절되도록 형성된다. 세척부(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지지부(20)보다 더 외부에 위치해서, 스터드 홀(S)의 내주면에 접촉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축부재 슬롯(232)은 지지부 판체(21)의 외주에 이르지 않는다. 축부재 슬롯(232)이 지지부 판체(21)의 외주에 이르면, 축부재(32)가 축부재 슬롯(232)을 따라 이동하여 지지부(20)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척부(30)
세척부(30)는 스터드 홀(S)의 내주면을 세척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세척부(30)는 스터드 홀(S)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세척부(30)는 슬롯(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세척부(30)는, 회전부(10)가 회전해서 지지부(20)가 회전부(10)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준방향(D)을 축방향으로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해 지지부(2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세척부(30)가 지지부(20)의 중심과 인접하게 위치하다가, 지지부(2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 스터드 홀(S)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세척부(30)는 베어링을 통해 슬롯(23)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부(30)는 슬롯(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세척부(30)는 슬롯(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세척부(30)의 회전은 세척부(30)의 이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다.
세척부(30)는 축부재(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부재(32)는 기준방향(D) 및 슬롯(23)이 연장된 방향에 동시에 수직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세척부(30)를 슬롯(23)에 연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축부재(32)는 기준방향(D) 및 슬롯(23)이 연장된 방향에 동시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축부재 슬롯(232)에 삽입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부재(32)는 지지부 판체(2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도록 도시하였다.
세척부(30)는 상기 슬롯(23)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슬롯(23)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슬롯(23)이 총 4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세척부(30) 역시 4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슬롯(23)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부재 슬롯(232)이 쌍을 이루어 세척부 슬롯(23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마주본 2개의 축부재 슬롯(232)에 각각 축부재(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세척부의 몸체(33) 중 축부재 슬롯(232)을 바라보는 2개의 면으로부터 축부재(32)의 양단이 각각 돌출되도록 축부재(3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축부재(32)의 양단이 각 축부재 슬롯(232)에 삽입되어, 축부재(32)가 슬롯(23)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축부재(32)는 세척부(30)를 슬롯(23)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슬롯(23)의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세척부(30) 전체가 회전하도록 한다. 세척부(30)는 스터드 홀(S)과의 마찰 등에 의해 자유회전 할 수 있다.
기준방향(D)으로, 축부재(32)와 수직하게 세척부(30)에 의해 지지부(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축부재(32)에 결합된 베어링이 지지할 수 있어, 세척부(30)가 지지부(20)에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터드 홀(S)의 내주면과 세척부(3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세척부(3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브러시(31)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31)는, 탄성력 있는 소재로 형성된 복수의 세척모가 세척부의 몸체(33)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형성된다. 브러시(31)는 스터드 홀(S)의 내주면에 접하여, 세척모가 스터드 홀(S)의 내주면에 위치한 이물질을 쓸어내려 세척 작업을 수행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1)의 세척부(30)가 돌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1)의 구성요소들이 회전 및 돌출하는 방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1)의 세척부(30)가 돌출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1)의 세척부(30)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1)의 회전부(10)가 구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회전부(10)의 회전 샤프트(11)는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연장된 방향인 기준방향(D)을 축방향으로 해서 회전한다.
회전부(10)가 회전하면, 결합부(22)를 통해 회전부(10)와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20)가 회전부(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지지부(20)는 회전부(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이므로, 회전부(10)와 동일하게 기준방향(D)을 축방향으로 회전한다.
지지부(20)가 기준방향(D)을 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결합부(22)로부터 기준방향(D)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원심력이 생긴다. 따라서 세척부(30)가 원심력을 받아, 슬롯(23)을 따라 결합부(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의 상태에 있던 세척부(30)가,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세척부(30)가 축부재(3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홀 세척 장치(1)가 스터드 홀(S)에 삽입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의 과정은 본 발명의 스터드 홀 세척 장치(1)가 스터드 홀(S)의 내부에 삽입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스터드 홀(S)의 내부에 스터드 홀 세척 장치(1)가 삽입된 후, 회전부(10)의 회전에 의해 세척부(30)가 결합부(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합부(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세척부(30)가 스터드 홀(S)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세척부(30) 역시 회전 샤프트(11)를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하고 있는 중이므로, 스터드 홀(S)의 내주면에 위치한 이물질을 쓸어 세척한다.
스터드 홀(S)의 중심축과 스터드 홀 세척 장치(1)의 중심축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스터드 홀 세척 장치(1)가 스터드 홀(S)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스터드 홀 세척 장치(1)의 센터링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스터드 홀(S)의 내주면의 상태에 따라, 복수의 세척부(30)가 적절한 압력으로 스터드 홀(S)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세척부(30)가 동일한 거리만큼 지지부(20)에서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부(20)와 스터드 홀(S)의 내주면이 얼마나 가까운지에 따라 세척부(30)가 각각 돌출되는 정도가 결정되는 것이다. 세척부(3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각각의 세척부(30)가 지지부(20)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스터드 홀(S)의 내주면의 일부 영역에 비해 지지부(20)에서 보다 가까운 스터드 홀(S)의 내주면의 일부 영역이, 스터드 홀 세척 장치(1)에 의해서 더 많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터드 홀 세척 장치(1)에 과한 저항이 발생하여 장치의 파손이 일어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세척부(30)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어 적절한 압력으로 스터드 홀(S)의 내주면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스터드 홀(S)의 내주면이 균일하게 세척될 수 있다.
회전부(10)가 기준방향(D)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하는 와중에, 기준방향(D)을 따라 회전부(10)를 직선운동 시키면, 스터드 홀(S)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세척부(30)도 이에 연동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세척부(30)는 슬롯(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터드 홀(S)의 내주면과의 마찰에 의해서, 기준방향(D) 및 슬롯(23)이 연장된 방향에 동시에 수직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한다. 세척부(30)가 직선이동시 회전 가능하므로, 스터드 홀(S)의 내주면과 세척부(30)의 마찰에 의한 저항이 저감될 수 있다. 세척부(30)가 직선이동 하면서, 접촉된 스터드 홀(S)의 내주면의 일부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스터드 홀 세척 장치 10 : 회전부
11 : 회전 샤프트 12 : 키
13 : 구동부 14 : 너트
20 : 지지부 21 : 지지부 판체
22 : 결합부 23 : 슬롯
24 : 지지부 통공 30 : 세척부
31 : 브러시 32 : 축부재
33 : 세척부의 몸체 231 : 세척부 슬롯
232 : 축부재 슬롯 S : 스터드 홀
D : 기준방향

Claims (8)

  1. 기준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기준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기준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파여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는 지지부; 및
    상기 슬롯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부가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터드 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기준방향 및 상기 슬롯이 연장된 방향에 동시에 수직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기준방향 및 상기 슬롯이 연장된 방향에 동시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는, 스터드 홀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스터드 홀의 내주면에 접촉할 때, 회전할 수 있는, 스터드 홀 세척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전부가 직선이동 할 때, 상기 세척부는 상기 스터드 홀의 내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스터드 홀 세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탄성력 있는 소재로 형성된 복수의 세척모를 포함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스터드 홀 세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이 연장된 방향은, 상기 기준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스터드 홀 세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롯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각각 서로 나란하지 않은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슬롯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슬롯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스터드 홀 세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다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으로 형성되는, 스터드 홀 세척 장치.

KR1020170161874A 2017-11-29 2017-11-29 스터드 홀 세척 장치 KR101892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874A KR101892400B1 (ko) 2017-11-29 2017-11-29 스터드 홀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874A KR101892400B1 (ko) 2017-11-29 2017-11-29 스터드 홀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400B1 true KR101892400B1 (ko) 2018-08-27

Family

ID=6345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874A KR101892400B1 (ko) 2017-11-29 2017-11-29 스터드 홀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4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48B1 (ko) * 2019-10-05 2020-02-25 정우현 레벨러 도어의 잔탄 처리 장치
KR102081546B1 (ko) * 2019-10-05 2020-02-25 정우현 레벨러 도어의 적치 원료 제거 장치
KR102081551B1 (ko) * 2019-10-05 2020-02-25 이광택 레벨러 도어의 잔탄 처리 장치
KR102081547B1 (ko) * 2019-10-05 2020-02-25 정우현 코크스 오븐의 누적탄 제거 장치
KR102081549B1 (ko) * 2019-10-05 2020-02-25 이광택 레벨러 도어의 적치 원료 제거 장치
KR102081550B1 (ko) * 2019-10-05 2020-02-25 이광택 코크스 오븐의 누적탄 제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00U (ja) * 1992-06-25 1994-01-2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スタッドボルトの清掃装置
JP2511109B2 (ja) * 1988-06-22 1996-06-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ボルト孔清掃装置
JPH08179082A (ja) * 1994-12-22 1996-07-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貫通孔清掃装置
KR20070105434A (ko) * 2006-04-26 2007-10-3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스터드 홀 자동화 크리닝, 검사 및 이력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1109B2 (ja) * 1988-06-22 1996-06-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ボルト孔清掃装置
JPH064700U (ja) * 1992-06-25 1994-01-2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スタッドボルトの清掃装置
JPH08179082A (ja) * 1994-12-22 1996-07-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貫通孔清掃装置
KR20070105434A (ko) * 2006-04-26 2007-10-3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스터드 홀 자동화 크리닝, 검사 및 이력 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48B1 (ko) * 2019-10-05 2020-02-25 정우현 레벨러 도어의 잔탄 처리 장치
KR102081546B1 (ko) * 2019-10-05 2020-02-25 정우현 레벨러 도어의 적치 원료 제거 장치
KR102081551B1 (ko) * 2019-10-05 2020-02-25 이광택 레벨러 도어의 잔탄 처리 장치
KR102081547B1 (ko) * 2019-10-05 2020-02-25 정우현 코크스 오븐의 누적탄 제거 장치
KR102081549B1 (ko) * 2019-10-05 2020-02-25 이광택 레벨러 도어의 적치 원료 제거 장치
KR102081550B1 (ko) * 2019-10-05 2020-02-25 이광택 코크스 오븐의 누적탄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400B1 (ko) 스터드 홀 세척 장치
RU26628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крутильных колебаний
CN106133387B (zh) 具有导向元件的离心力摆装置
US9683653B2 (en) Combined transmission shaft and rotating device having combined transmission shaft
WO2015187107A1 (en) Rotary connection mechanism carrying cable in the wind turbines
EP3266342B1 (en) Brush construction for motor vehicle washing systems
RU200612640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мпфирования вибраций осевого стопорного кольца для фиксации лопаток вентилятора турбомашины, вращающийся диск и стопорное кольцо, содержащие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турбомашина с таким вращающимся диском
RU2717440C1 (ru) Приводимое во вращение устройство инструмента
CN103982575A (zh) 具有防止轴落下功能的电磁制动器、电动机以及机械设备
KR101475272B1 (ko)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KR20180060264A (ko) 다관절 로봇의 스토퍼장치
JP4740370B2 (ja) 可変な伸長方向を特徴とするアングルコネクタ
CN105299069B (zh) 联轴器
JP2013220197A (ja) 円板型ブラシ
JP6367463B2 (ja) ホイールディスク組立体
JP5341444B2 (ja) アウタロータ型回転電機回転子
KR101838740B1 (ko)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
JP2011236922A (ja) 回転支持装置及び回転支持装置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KR102213205B1 (ko) 항공기용 고정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체결 장치
US11346410B2 (en) Brake mechanism, joint actuator, and robot
CN111022360A (zh) 风扇摇头机构及具有其的风扇
JP6471400B2 (ja) 発電装置
JP7023401B1 (ja) 回転電機の回転子
KR102163652B1 (ko) 미소절삭장치의 정직진형 절삭헤드
KR101569409B1 (ko) 링 타입의 절삭 대상물을 다수의 링으로 절단하는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