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623B1 - 불고기 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고기 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623B1
KR101891623B1 KR1020170140432A KR20170140432A KR101891623B1 KR 101891623 B1 KR101891623 B1 KR 101891623B1 KR 1020170140432 A KR1020170140432 A KR 1020170140432A KR 20170140432 A KR20170140432 A KR 20170140432A KR 101891623 B1 KR101891623 B1 KR 101891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bulgogi
starch
powd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필
임상동
김병목
장혜진
이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10Meat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5Degradation products of starch, e.g. hydrolysates, dextrins; Enzymatically modified starch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고기 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양념된 생불고기,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단계; (B) 혼합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단계; (C) 조리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D) 건조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화시키는 단계; 및 (E) 분말을 큐브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풍미와 함께 장기 유통이 쉽고, 라면 스프, 카레, 스프 등 불고기 맛을 강화하기 위한 요리를 제조 시 쉽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불고기 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Bulgogi cube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우수한 풍미와 함께 장기 유통이 쉽고, 라면 스프, 카레, 스프(soup) 등 불고기 맛을 강화하기 위한 요리를 제조 시 쉽게 이용될 수 있는 불고기 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고기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이다.
상기 불고기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또는 오리고기를 양념이 잘 스며들게 얇게 썰어 채소와 함께 간장, 참기름, 마늘, 생강, 양파, 당류, 향신료 등의 갖은 양념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뒤 일정기간 숙성시킨 다음 뜨거워진 불판에 구워 먹는 음식이다.
상기 불고기는 고구려인이 즐기던 맥적(貊炙)에서 유래된 것으로 설야멱적(雪夜覓炙)에서 너비아니로 발전하여 지금의 불고기가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외국인들의 입맛을 만족시키면서 세계적인 음식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불고기는 통상적으로 가정이나 식당에서 조리하는 형태 이외에 공장에서 대량 제조한 후 냉장, 냉동 포장하여 대량 유통하므로 간편하게 조리하여 취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불고기의 형태는 전통조리법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제품으로 주로 레토르트 제품이나 냉동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는데 제조 후 유통 시 미생물 안전성 등에 따른 유통기한 확보를 위하여 레토르트 제품의 경우 과도한 열처리에 의한 품질저하 문제가 심각하며, 냉동 제품 또한 냉동 유통에 따른 냉동소 발생 및 해동 시 드립(Drip) 발생에 의한 가용성 성분의 손실과 급속한 부패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큐브형 식품은 이유식이나 즉석요리식품, 예를 들어 즉석국 등의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이의 일예로는 동결건조 큐브형 식품으로 뜨거운 물만 부으면 죽이나 국의 형태로 완성되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된 것이다.
이와 같은 큐브형 동결건조 식품의 경우는 재가수화성, 즉 물과 만나면 빠르고 쉽게 풀어져 죽이나 국의 형태로 전환되어 섭취할 수 있는 빠른 복원성이 요구된다.
종래 큐브형 동결건조 식품은 이와 같은 점에만 초점이 맞추어 제조됨에 따라서 큐브 자체가 부드럽고 잘 부스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용해 시간이 빨라 불고기 맛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식품에 이용될 수 있으며 우수한 풍미와 함께 장기 유통이 쉬울 뿐만 아니라 쉽게 부서지지 않아 상품성이 저하되지 않는 불고기 큐브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461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8473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풍미와 함께 장기 유통이 쉽고, 불고기 맛을 강화하기 위한 요리를 제조 시 쉽게 이용될 수 있는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불고기 큐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양념된 생불고기,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단계; (C) 상기 조리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건조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분말을 큐브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양념된 생불고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1 내지 20 중량부 및 말토덱스트린 5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말토덱스트린은 1 : 1 내지 6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혼합물에 포도당 1 내지 5 중량부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곡물가루는 찹쌀가루, 멥쌀가루, 보리가루 및 율무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전분은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옥수수전분 및 밀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건조는 -70 내지 -80 ℃에서 혼합물을 동결시켜 15 내지 30 Pa의 감압 조건으로 -40 내지 -50 ℃에서 60 내지 8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분쇄된 분말의 평균입경은 30 내지 50 메쉬일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는 분말을 50 내지 90 kN/m2의 압력을 가하여 큐브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 성형된 불고기 큐브의 경도는 7000 내지 10000 g/cm2 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고기 큐브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불고기 큐브는 우수한 풍미와 함께 장기 유통이 쉽고, 라면 스프, 카레, 스프(soup) 등 불고기 맛을 강화하기 위한 요리에 쉽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고기 큐브는 불고기 맛 단백질 강화식품 등에 첨가되어 불고기 맛을 음미할 수 있으며, 불고기 맛을 원하는 모든 식품에 첨가가 가능하므로 불고기 맛을 세계에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불고기 큐브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풍미와 함께 장기 유통이 쉽고, 라면 스프, 카레, 스프(soup) 등 불고기 맛을 강화하기 위한 요리를 제조 시 쉽게 이용될 수 있는 불고기 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부서지지 않는 불고기 큐브로 제조하기 위하여 양념된 생불고기에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말토덱스트린을 첨가한 후 조리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양념된 생불고기,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단계; (C) 상기 조리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건조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분말을 큐브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양념된 생불고기,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양념된 생불고기는 통상의 양념된 소 불고기, 돼지 불고기, 닭 불고기, 오리 불고기로서 조리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A)단계에서 양념된 생불고기 대신 조리된 양념 불고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후 (E)단계에서 높은 압력을 가하더라도 원하는 수준의 경도로 큐브 성형이 어렵다.
또한, 상기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말토덱스트린은 함께 사용되어야 이후 (E)단계에서 큐브 형태로 성형되고, 완성된 큐브의 경도 및 질감이 매우 우수하다.
만약,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말토덱스트린을 (A)단계에서 첨가하지 않고, (C)단계 또는 (E)단계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높은 압력을 가하더라도 원하는 수준의 경도로 큐브 성형이 어렵다. 상기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말토덱스트린을 (C)단계에 첨가하는 것은 조리된 양념 불고기와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여 (C)단계의 건조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며, (E)단계에 첨가하는 것은 조리 후 분말화된 양념 불고기와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여 (E)단계의 큐브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말토덱스트린과 혼합되어 큐브의 경도를 높이고 질감을 우수하게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곡물가루로는 찹쌀가루, 멥쌀가루, 보리가루 및 율무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전분으로는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옥수수전분 및 밀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은 양념된 생불고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부이다.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큐브의 경도 및 질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말토덱스트린은 DE값이 1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0인 것으로서, 함량은 생불고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부이다. 말토덱스트린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건조 후의 수율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큐브의 경도 및 질감이 저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말토덱스트린은 1 : 1 내지 6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4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기준으로 말토덱스트린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건조 후의 수율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성형한 큐브의 경도가 매우 높아져 복원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혼합물에는 관능성 및 경도의 향상을 위하여 포도당이 생불고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부로 더 추가될 수 있다. 포도당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경도 및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성형한 큐브의 경도가 매우 높아져 복원되기 어렵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조리한다.
본 발명은 양념된 생불고기,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여 조리함으로써 큐브의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며, 제조된 큐브의 경도가 우수하여 모서리와 같이 탈락되기 쉬운 부분이 쉽게 탈락되지 않으며 질감이 거칠지 않고 부드럽다.
상기 혼합물은 통상의 가열방법으로 조리되며, 구체적으로 팬가열 방법으로 80 내지 110 ℃,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 ℃에서 5 내지 30분 동안 가열한다. 가열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물이 잘 섞이지 않아 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건조 수율 및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조리된 혼합물을 -70 내지 -80 ℃에서 동결시켜 15 내지 30 pa,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pa의 감압 조건으로 -4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 ℃에서 60 내지 80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 시 수행되는 동결 및 감압 조건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원하는 입경의 혼합물 분말을 수득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건조 방법으로 상기 진공동결방법 대신 자연건조, 냉풍건조, 열풍건조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압력을 가하더라도 큐브 형태로 성형될 수 없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건조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화시킨다.
상기 분쇄된 분말의 평균입경은 30 내지 50 메쉬(mesh),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메쉬이다. 분말의 평균입경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질감이 거칠고 큐브 형태로 성형되더라도 쉽게 부서질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큐브 형태로 성형되지 않고 큐브 형태로 성형되더라도 약한 압력에도 쉽게 부서져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분말에 50 내지 90 kN/m2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kN의 압력을 가하여 큐브형태로 성형한다.
성형 시 압력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큐브 형태로 성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큐브 형태로 다른 식품에 첨가 시 쉽게 용해되지 않고 단가가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불고기 큐브의 경도는 7000 내지 10000 g/cm2로서, 경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쉽게 부서져 상품성이 떨어지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용해되기 어려워 상품성이 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양념된 생불고기 제조
소고기 55.4 중량%, 당근 6.7 중량%, 양파 13.3 중량%, 표고버섯 3.3 중량%, 간 사과 6.7 중량%, 간 배 6.7 중량%, 참기름 0.5 중량%, 올리고당 1.7 중량%, 다진 마늘 1.1 중량%, 후추 0.2 중량% 및 간장 4.4 중량%를 혼합하여 양념된 생불고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불고기 큐브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양념된 생불고기 100 중량부, 찹쌀가루 10 중량부 및 덱스트린 DE18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 ℃에서 15분 동안 가열하여 조리한 다음 -75 ℃에서 동결시켜 20 pa의 감압 조건으로 -45 ℃에서 72 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평균입경이 40 메쉬인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을 성형틀에 투입 후 80 kN/m2의 압력을 가하여 큐브형태로 성형함으로써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였다(도 1).
실시예 2. 불고기 큐브_포도당 추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조리하기 전의 혼합물에 포도당 3 중량부를 추가하여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찹쌀가루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찹쌀가루를 사용하지 않고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덱스트린 DE18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덱스트린 DE18을 사용하지 않고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찹쌀가루 및 덱스트린 DE18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찹쌀가루 및 덱스트린 DE18을 사용하지 않고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함량 변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찹쌀가루 2 중량부 및 덱스트린 DE18 20 중량부(1:10 중량비)를 사용하여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건조단계에 찹쌀가루 및 덱스트린 DE18 첨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양념된 생불고기를 100 ℃에서 15분 동안 가열하여 조리한 다음 조리된 불고기에 찹쌀가루 및 덱스트린 DE18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75 ℃에서 동결시켜 20 pa의 감압 조건으로 -45 ℃에서 72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큐브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에 찹쌀가루 및 덱스트린 DE18 첨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양념된 생불고기를 100 ℃에서 15분 동안 가열하여 조리한 다음 -75 ℃에서 동결시켜 20 pa의 감압 조건으로 -45 ℃에서 72 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평균입경이 40 메쉬인 분말을 수득한 후 상기 불고기 분말에 찹쌀가루 및 덱스트린 DE18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성형틀에 투입 후 80 kN/m2의 압력을 가하여 큐브형태로 성형함으로써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성형 시 압력_30 kN/m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성형 시 30 kN/m2의 압력을 가하여 큐브형태로 성형함으로써 불고기 큐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동결건조수율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 후 수율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수율(%) 60.7 62.2 40.1 39.6 35.3 42.6 44.8 35.3 60.7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불고기 큐브는 비교예 1 내지 7에 비하여 건조 후의 수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큐브 형상을 육안으로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큐브 형태로 성형 한 후 형상을 육안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육안측정 × × × × ×
◎: 큐브 성형 아주 잘됨. △: 큐브 성형 어느 정도 가능. ×: 큐브 안됨.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불고기 큐브는 큐브의 형상으로 잘 성형되었으나, 비교예 4 및 비교예 7은 완전한 큐브의 형태로 제조되지 않았다.
더욱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은 큐브 형태로 성형되지 않았다. 이에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비교예 5 및 비교예 6으로는 시험 데이터 측정을 수행할 수 없었다.
시험예 3. 경도 측정 및 용해 시간 측정
3-1. 경도(g/cm2): 불고기 큐브의 경도를 TA(texture analyzer) 분석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2. 용해 시간(초): 300 ml을 끓는 물에 불고기 큐브를 넣고 서서히 저으면서 고형물이 없이 용해될 때까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4 비교예 7
경도 7950 8800 4200 2850
용해 시간 15 20 25 10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불고기 큐브는 7000 내지 10000 g/cm2사이의 경도를 나타내었고, 끓는 물에서 20초 이내에 용해되었다. 그러나 찹쌀가루의 함량을 낮추고 덱스트린의 함량을 높인 비교예 4는 경도가 낮음에도 용해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성형압력을 낮춘 비교예 7은 용해 시간이 짧아졌지만 경도가 낮아 쉽게 부서지는 문제가 있었다.
시험예 4. 관능 검사
상기 실시예 1 및 2, 비교예 4 및 7의 불고기 큐브를 300 ml을 끓는 물에 용해하고, 이들의 관능특성을 9점 평점법으로 20명의 잘 훈련된 관능검사패널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질감 종합적인 기호도
실시예 1 6.9±0.11 7.1±0.13 7.0±0.24 6.9±0.30
실시예 2 7.2±0.15 7.4±0.09 7.2±0.17 7.2±0.22
비교예 4 6.8±0.21 6.0±0.16 5.1±0.23 6.0±0.16
비교예 7 6.8±0.19 7.0±0.08 4.0±0.11 5.1±0.24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불고기 큐브는 비교예 4 및 7에 비하여 향, 맛, 질감 및 종합적인 기호도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7은 향, 맛이 실시예 1과 유사하였으나 질감에서 차이가 현저히 크게 나타나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도 실시예 1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다.

Claims (12)

  1. (A) 양념된 생불고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단계;
    (C) 상기 조리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건조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평균입경이 30 내지 50 메쉬인 분말로 분말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분말을 50 내지 90 kN/m2의 압력으로 가하여 큐브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단계에서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말토덱스트린은 1 : 2 내지 6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 큐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양념된 생불고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곡물가루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1 내지 20 중량부 및 말토덱스트린 5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 큐브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혼합물에 포도당 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 큐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곡물가루는 찹쌀가루, 멥쌀가루, 보리가루 및 율무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 큐브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전분은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옥수수전분 및 밀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 큐브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건조는 -70 내지 -80 ℃에서 혼합물을 동결시켜 15 내지 30 pa의 감압 조건으로 -40 내지 -50 ℃에서 60 내지 80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 큐브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분쇄된 분말의 평균입경은 35 내지 45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 큐브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는 분말을 70 내지 80 kN/m2의 압력을 가하여 큐브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 큐브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성형된 불고기 큐브의 경도는 7000 내지 10000 g/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 큐브의 제조방법.
  11.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불고기 큐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불고기 큐브의 경도는 7000 내지 10000 g/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 큐브.
KR1020170140432A 2017-10-26 2017-10-26 불고기 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32A KR101891623B1 (ko) 2017-10-26 2017-10-26 불고기 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32A KR101891623B1 (ko) 2017-10-26 2017-10-26 불고기 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623B1 true KR101891623B1 (ko) 2018-08-24

Family

ID=6345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432A KR101891623B1 (ko) 2017-10-26 2017-10-26 불고기 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6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739B1 (ko) 2007-03-29 2009-04-15 윤효미 블록형 동결건조 스낵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558B1 (ko) * 2016-12-02 2017-04-05 김인배 해장국 큐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739B1 (ko) 2007-03-29 2009-04-15 윤효미 블록형 동결건조 스낵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558B1 (ko) * 2016-12-02 2017-04-05 김인배 해장국 큐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885B1 (ko) 간장 숙성소스 제조방법 및 그 간장 소스
KR101647679B1 (ko) 왕만두의 제조 방법
KR20180059025A (ko) 삼계탕 레토르트 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삼계탕 레토르트 식품
KR20160021105A (ko) 냉동 조리된 면류의 제조 방법
CN105658085A (zh) 加工米饭的制造方法及加工米饭
KR101798909B1 (ko) 갈릭 풍미가 장기간 보존되는 냉동 볶음밥의 제조방법
KR101221326B1 (ko)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1623B1 (ko) 불고기 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8249A (ko) 현미누룽지 국수와 그 제조방법
KR20170133906A (ko) 냉동 포장 만두의 제조 방법
KR101927835B1 (ko) 즉석 미역된장국의 제조방법
EP2984937B1 (en) Process for producing frozen gratin
KR101138383B1 (ko) 쌀을 기재로한 카스타드 크림 프리믹스 및 이를 이용한 카스타드크림 제조 방법
KR101860559B1 (ko) 얼음을 이용하여 식감을 개선한 미트칩 및 그 제조방법
KR101944218B1 (ko) 복분자 분말이 코팅된 냉동 볶음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8830B1 (ko) 통밀을 이용한 루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30686A (ko) 조리과정 없이 뿌려서 바로 먹을 수 있는 카레의 제조 방법
KR20210057573A (ko) 찰옥수수 양갱이의 제조방법
JP5202445B2 (ja) 再加熱用グラタン類
JPH10117707A (ja) 改良された成型飯及び成型粥
KR20160058252A (ko) 찹쌀과 알파 왁시콘 전분을 사용한 라이스번스와 그 제조방법
EP2999356B1 (en) Methods for inhomogeneous sodium distribution
KR101865844B1 (ko) 이스트를 이용하여 식감을 개선한 미트칩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87967A (ko) 냉 떡볶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95003B1 (ko) 냉 떡볶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