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595B1 -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595B1
KR101891595B1 KR1020160162503A KR20160162503A KR101891595B1 KR 101891595 B1 KR101891595 B1 KR 101891595B1 KR 1020160162503 A KR1020160162503 A KR 1020160162503A KR 20160162503 A KR20160162503 A KR 20160162503A KR 101891595 B1 KR101891595 B1 KR 10189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uction
main body
uni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624A (ko
Inventor
김수연
Original Assignee
김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연 filed Critical 김수연
Priority to KR1020160162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5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A01H1/02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7Apparatus for pol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6Skip or hopper conveyors
    • B65G2812/0609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618Skips, hopper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에 설치되어 사과, 배 및 복숭아 등 과수 농가에서 과수의 수정률을 높이기 위하여 개화기에 인공적으로 분말 형상으로 이루어진 화분(花粉:꽃가루)을 상공에서 분사하여 인공수분이 이루어지도록 한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론에 설치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분말이 수용되는 분말수납부와, 상기 분말수납부에 설치되어 분말을 이송시키는 분말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분말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분말을 흡입하는 분말흡입부와, 상기 분말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분말을 배출 분사시키는 분말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Powder spraying device for drone}
본 발명은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에 설치되어 사과, 배 및 복숭아 등 과수 농가에서 과수의 수정률을 높이기 위하여 개화기에 인공적으로 분말 형상으로 이루어진 화분(花粉:꽃가루)을 상공에서 분사하여 인공수분이 이루어지도록 한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 등 과실나무에 화분을 수정시키는 방법으로 착과를 시키는데, 수정은 벌과 같은 곤충이나 바람 등에 의한 자연 수정 방법과 작업자가 화분을 인위적으로 과실나무의 암술에 공급하는 인공수정 방법이 있다.
이때, 자연수정 방법은 별다른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나 착과율이 낮고, 인공수정 방법은 착과율을 높일 수 있으나 과도한 노동력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9272호 "화분 교배기"와 같이 인공적으로 수정시키기 위한 선행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 화분 교배기는 손잡이부에 화분 용기가 장착된 본체를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손잡이부로 송풍된 공기가 화분 용기로 제공되어 화분이 공기와 함께 파이프 노즐을 동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화분 교배기는 손잡이부에 화분 용기가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화분 용기로 제공되어 화분 용기 내부에서 혼합된 후 파이프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으로서, 공기 및 화분의 혼합비율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렵고, 공기량에 비하여 화분량이 과도하여 화분 소모량이 많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부에 화분이 수납된 화분 용기가 장착되기 때문에 화분 용기의 무게에 의해 작업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손잡이부에 장착된 분사 버튼부를 누르고 있어야만 화분이 분사되기 때문에 장시간 작업시 작업자의 피로도가 크게 증가함은 물론 작업자가 분사 버튼부를 누르는 정도에 따라 화분의 분사량이 변경되어 정확한 양으로 화분을 과실나무의 암술에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부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손잡이부 중 화분이 통과하는 통로에 화분이 뭉치거나 피착되기 쉽고, 통로에 뭉치거나 피착된 화분을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4402호 "화분 수정기"가 제시된 바 있다.
즉, 등록특허 제10-1284402호는 화분통에 수용된 화분이 화분이송유닛에 구비된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포트로 배출되고, 이때 배출포트로 화분이 배출될 때 송풍유닛의 작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분사관을 통하여 화분과 공기가 배출되는 방식으로 화분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송풍유닛의 송풍에 의해 배출포트로 배출되는 화분이 공기와 함께 배출되어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송풍유닛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배출포트로 이동하여 분사관으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배출포트의 포트부를 통하여 화분통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동하여 배출포트로 배출되는 화분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284402호는 전자의 선행기술 실용신안등록 제20-0349272호와 동일하게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여 화분을 분사하는 것으로, 장시간 화분을 분사하는 작업을 수행시에는 작업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어 넓은 범위의 과수원에 화분을 분사하는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4305호 "SS기의 풍력을 이용한 고효율 화분 분사기"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1394305호 SS기가 진입할 수 있는 장소에 한정되어 화분을 분사할 수 있게 되고, 지면에서 화분을 분사함으로써, 높은 곳 및 넓은 범위까지 화분이 골고루 분사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92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44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430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드론에 분말 분사장치를 설치하여 드론이 비행하는 중에 화분을 분사하여 인공수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화분(이하 "분말"이라 함.)이 다수의 과수에 골고루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어 수정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드론을 이용하여 분말을 하늘에서 분사함으로써, 단시간에 넓은 범위로 분말을 분사하여 암술에 분말이 붙어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드론을 이용하여 화분을 하늘에서 분사함으로써,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피로감 없이 단시간 내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구동팬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분말과 공기가 흡입되어 분사부를 통하여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구동팬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가 분말이 수납된 수납통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납통에 수납된 분말이 용이하게 분사부로 이동하여 분사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에 구동팬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피동팬을 더 구비함으로써, 분사부를 통하여 분사되는 분말이 더욱 넓은 범위로 비산 및 확대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분말을 이송 공급하는 스크루축과 구동팬의 속도를 제어하여 분말의 공급량 및 송풍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분말의 분사 범위에 따라 자유롭게 작업자가 조절하여 분말을 분사함으로써, 분말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말이 수용되는 수납통은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말을 보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체부와, 분말수납부와, 흡입부 및 분사부는 각각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말 분사장치의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납부에 교반수단을 더 설치함으로써, 분말이 수납통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론에 설치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분말이 수용되는 분말수납부와, 상기 분말수납부에 설치되어 분말을 이송시키는 분말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분말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분말을 흡입하는 분말흡입부와, 상기 분말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분말을 배출 분사시키는 분말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일측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폭 방향 양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1결속날개가 형성된 본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는 폭방향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지지턱이 형성되고, 관통공과 근접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이 체결공과 이격되게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결속날개는 제1절개홈이 형성되고, 제1절개홈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서로 대응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에 회동되게 머리부가 결합 고정되되, 제1절개홈에 결속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말수납부는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이송통로가 형성되어 본체부의 본체 상부에 안착되는 분말수납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말수납통은 외측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이송통로가 형성된 동일 선상에는 이송통로와 연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분말수납통의 하부에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 고정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본체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말이송부는 분말수납부의 분말수납통에 형성된 이송통로에 설치되되, 일측부가 분말수납통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스크루축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본체에 결합 고정되어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는 감속기가 마련된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분말수납통의 결합공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본체의 관통공에 위치되는 이송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루축의 일측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감속기에는 고정홈에 결속되는 고정핀이 마련된 연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이송부재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분말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부 상단에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하단은 본체의 관통공에 위치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송부재의 공기흡입구에는 공기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말수납부에 설치되어 분말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분말을 교반시키는 분말교반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말교반부는 분말이송부의 스크루축에 맞물리게 구비되되, 분말수납부의 분말수납통 내주면에 회동되게 회동축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양측면에는 교반날개가 형성된 회동체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에 결속되어 양측 끝단부가 절곡 형성된 교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말흡입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본체에 결합 고정되고, 일측부가 절곡되어 관통공을 관통하여 분말이송부의 이송부재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되, 이송부재가 결합 고정된 방향에 다수개의 공기흡입공이 형성된 흡입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분말흡입부는 직선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부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분발이송부의 이송부재가 결합 고정되고, 이 이송부재가 결합된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공기흡입공이 형성된 흡입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재는 외주면에 본체의 제1결속날개에 대응되되, 제1절개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고정볼트가 결속되는 제2절개홈이 형성된 제2결속날개가 마련된 플랜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말분사부는 일측부가 분말흡입부의 흡입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분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부재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흡입부재에 결합 고정된 타측부에는 양측을 향하도록 한 쌍의 분사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분사부재의 분사구에는 피동팬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분말흡입부의 흡입부재에는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말분사부의 분사부재에는 결속홈에 결속 고정되는 결속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분말이송부와 분말흡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드론에 분말 분사장치를 설치하여 드론이 비행하는 중에 화분을 분사하여 인공수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화분(이하 "분말"이라 함.)이 다수의 과수에 골고루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어 수정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드론을 이용하여 분말을 하늘에서 분사함으로써, 단시간에 넓은 범위로 분말을 분사하여 암술에 분말이 붙어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론을 이용하여 화분을 하늘에서 분사함으로써,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피로감 없이 단시간 내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동팬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분말과 공기가 흡입되어 분사부를 통하여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구동팬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가 분말이 수납된 수납통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납통에 수납된 분말이 용이하게 분사부로 이동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에 구동팬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피동팬을 더 구비함으로써, 분사부를 통하여 분사되는 분말이 더욱 넓은 범위로 비산 및 확대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말을 이송 공급하는 스크루축과 구동팬의 속도를 제어하여 분말의 공급량 및 송풍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분말의 분사 범위에 따라 자유롭게 작업자가 조절하여 분말을 분사함으로써, 분말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말이 수용되는 수납통은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말을 보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부와, 분말수납부와, 흡입부 및 분사부는 각각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말 분사장치의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부에 교반수단을 더 설치함으로써, 분말이 수납통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부를 보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분말수납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분말이송부를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분말교반부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분말흡입부를 보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분말분사부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는 분제형 농약 등과 같이 분말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든 것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분말 형상으로 이루어진 화분(花粉:꽃가루)을 상공에서 분사하여 인공수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분말수납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분말이송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분말교반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분말흡입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분말분사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100)는 드론에 설치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분말이 수용되는 분말수납부(210)와, 상기 분말수납부(210)에 설치되어 수납된 분말을 이송 공급하는 분말이송부(310)와, 상기 분말수납부(210)에 설치되고 분말이송부(310)에 의해 작동하는 분말교반부(410)와,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분말이송부(310)에 의해 이송되는 분말을 흡입하는 분말흡입부(510)와, 상기 분말흡입부(510)에 설치되어 흡입된 분말이 분사되는 분말분사부(6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부에 관통공(114)이 형성되고, 폭 방향 양측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116)이 형성되며, 관통공(114)이 형성된 타측 끝단부에는 단턱(118)이 형성된 본체(1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본체(112)는 관통공(114)이 형성된 방향의 폭 양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1결속날개(120)가 구비되되, 제1결속날개(120)에는 외측으로 개방되게 제1절개홈(122)이 형성되고, 제1절개홈(122)의 상단 외측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고정구(124)가 형성되며, 이 고정구(124)에 힌지핀 등 고정수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머리부가 결합 고정되어 제1절개홈(122)에 끼워지도록 고정볼트(126)가 구비되고, 이 고정볼트(126)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28)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12)의 상부, 즉 관통공(114)과 단턱(118)의 사이에는 체결공(130)과 안착홈(1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12)가 드론에 결합 고정되는 구성은 통상적인 나사고정, 별도의 지그를 이용하는 등의 고정방법에 의해 결속 고정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분말수납부(210)는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분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214)이 형성되고, 수납공간(214) 하단부에는 분말을 이송시키는 이송통로(216)가 형성되며, 이 이송통로(216)와 연통되게 일측부에 결합공(218)이 형성된 분말수납통(21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분말수납통(212)의 수납공간(214)으로 수납된 분말은 하부에 형성된 이송통로(216)를 통하여 분말이송부(310)의 작동에 의해 배출되어 분말흡입부(510)로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말수납통(212)의 하단부 일측에는 본체(112)의 체결공(130)에 결속되는 체결돌기(220)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안착홈(132)에 안착되는 안착돌기(2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말수납통(212)은 본체(112)에 형성된 체결공(130)에 체결돌기(220)가 결속 고정됨과 동시에 안착홈(132)에 안착돌기(222)를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분말수납통(212)은 본체(112)로부터 탈착 가능하여 용이하게 분말을 보충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분말수납통(212)의 외측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분말수납통(212)에 손잡이(23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분말수납통(212)을 본체(1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납공간(214)이 형성된 분말수납통(212)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24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말이송부(310)는 분말수납통(212)에 형성된 이송통로(216)에 설치되되, 일측부가 분말수납통(21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분말수납통(212)의 외측으로 돌출된 끝단부에는 고정홈(314)이 형성된 스크루축(31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2)의 단턱(118)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스크루축(312)의 고정홈(314)에 결속되는 고정핀(324)이 형성된 연결구(322)가 마련된 감속기(320)가 구비된다.
나아가, 본체(112)의 하단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감속기(320)에 결속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32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26)에 의해 감속기(320)가 작동함과 동시에 이 감속기(320)에 결합 고정된 스크루축(312)이 회동동작을 하면서 분말수납통(212)에 수납된 분말이 일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아울러,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말수납부(210)의 일측부, 즉, 분말수납통(212)에 형성된 결합공(218)에 일측부가 이송통로(216)와 연계되게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본체(112)의 관통공(114)에 위치되는 이송부재(3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330)는 "T"자 관으로 형성되어 분말수납통(212)의 결합공(218)에 결합 고정되는 방향에는 분말이 유입되는 분말유입구(330a)가 형성되고, 이 분말유입구(330a)가 형성된 타측 상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330b)가 형성되며, 공기흡입구(330b)가 형성된 하부에는 공기와 분말이 배출되는 배출구(330c)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루축(312)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된 분말은 이송부재(330)의 분말유입구(330a)를 통하여 유입됨과 동시에 분말흡입부(510)의 작동에 의해 공기흡입구(330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분말이 배출구(330c)를 통하여 배출되어 분말흡입부(510)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말교반부(410)는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크루축(312)에 맞물린 상태로 분말수납통(212)의 내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412)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회동체(4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체(414)의 양측면 각각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다수개의 교반날개(416)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회동체(414)의 양측부에 위치되게 회동축(412)에 결합 고정되어 회동체(414)의 회동동작에 의해 동일하게 회동동작을 수행하는 교반부재(418)가 구비되되, 이 교반부재(418)의 양측 끝단부는 일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루축(312)의 회동동작에 의해 회동체(414)가 회동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이 회동체(414)에 형성된 교반날개(416) 및 교반부재(418)에 의해 분말수납통(212)에 수납된 분말의 교반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분말의 교착 현상이나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스크루축(312)의 동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분말수납통(212)의 내주면 하단부에 걸림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회동체(414)의 회전시 교반부재(418)가 화전하면서 이 교반부재(418)의 끝단부에 형성된 절곡부가 걸림돌기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분말수납통(212)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분말수납통(212)에 수납된 분말이 용이하게 하부에 형성된 이송통로(216)에 쌓이게 된다.
또한, 상기 분말흡입부(51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12)에 결합 고정되되, 일측부가 절곡 형성되어 본체(112)의 관통공(114)에 결합 고정되고, 이 관통공(114)에 결합 고정된 일측부에 이송부재(330)의 일측부, 즉 이송부재(330)에 형성된 배출구(330c) 방향이 결합 고정되고, 이 이송부재(330)가 결합 고정된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공기흡입공(513)이 형성된 흡입부재(5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재(512)의 외주면에는 본체(112)의 제1결속날개(120)에 밀착되게 절곡 형성된 제2결속날개(522)가 형성되고, 제2결속날개(522)에는 제1절개홈(122)에 대응되게 제2절개홈(524)이 형성된 플랜지(5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결속날개(120)에 결속 고정된 고정볼트(126)를 회동시켜 제1,2절개홈(122)(524)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2결속날개(5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볼트(126)에 너트(128)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흡입부재(512)를 본체(112)에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본체(112)로부터 흡입부재(512)를 용이하게 분해/조립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흡입부재(512)의 내측부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동팬(53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팬(530)의 작동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흡입력에 의해 이송부재(330)의 공기흡입구(330b) 및 흡입부재(512)의 공기흡입공(513)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분말유입구(330a)를 통하여 공급된 분말이 배출구(330c)를 통하여 흡입부재(512)의 내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팬(530)의 작동에 의해 흡입부재(512)에 형성된 공기흡입공(513)과 이송부재(330)의 공기흡입구(330b)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동시에 흡입되게 되어 공기가 흡입될 때 압력이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공기가 흡입되면서 분말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말분사부(61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분말흡입부(510)의 흡입부재(512)에 밴드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분사부재(6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부재(612)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흡입부재(512)에 결합 고정된 타측부에는 양측부를 향하도록 개방된 한 쌍의 분사구(6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말흡입부(510)의 구동팬(530)의 작동에 의해 흡입된 분말은 분말분사부(610)의 분사부재(612)로 이동하여 분사구(614)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분사부재(612)의 분사구(614)에는 구동팬(530)의 작동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되는 풍력에 의해 동작하는 피동팬(6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팬(530)의 작동에 의해 분사부재(612)로 이동하여 분사구(614)를 통하여 분사되는 과정에서 피동팬(620)을 통과하여 분사될 때 분사되는 풍력에 의해 피동팬(620)이 회동 동작을 함으로써, 피동팬(620)의 작동에 의해 분사되는 분말이 넓게 분사됨과 동시에 멀리 분사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본체(112) 하단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분말이송부(310)의 구동모터(326)와 분말흡입부(510)의 구동팬(530)을 제어하는 제어부(71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710)는 구동모터(326)와 구동팬(530)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326) 및 구동팬(530)의 ON/OFF가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구동모터(326) 및 구동팬(530) 속도의 강, 약을 조절함으로써, 분말을 분사하는 분사범위에 따라 구동모터(326) 및 구동팬(530)의 속도를 제어하여 분말을 분사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100)는 먼저, 드론의 다리부 또는 몸체부 등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드론이 비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드론이 비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부(710)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326)와 구동팬(530)이 작동하게 되고, 이 구동모터(326)의 작동에 의해 분말수납통(212)에 수납된 분말은 스크루축(312)의 회동동작에 의해 이송부재(3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리고 구동팬(530)의 작동에 의해 이송부재(330)의 공기흡입구(330b) 및 흡입부재(512)의 공기흡입공(513)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루축(312)의 회동동작에 의해 회동체(414)가 회동하게 되고, 이 회동체(414)의 회동에 의해 교반날개(416) 및 교반부재(418)에 의해 분말수납통(212)에 수납된 분말이 뭉치거나 분말수납통(212)의 내주면에 달라붙는 피착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용이하게 스크루축(312)의 작동에 의해 이송부재(330)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루축(312)에 의해 이송부재(330) 방향으로 이동하는 분말은 분말유입구(330a)를 통하여 이송부재(330)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이 이송부재(330)의 내측으로 유입된 분말은 구동팬(530)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흡입구(330b) 및 흡입부재(512)의 공기흡입공(513)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이송부재(330)의 배출구(330c)를 통하여 배출되어 흡입부재(512)의 내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흡입부재(512)의 내측으로 공급된 공기 및 분말은 분사부재(612)의 분사구(614)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부재(612)의 분사구(614)를 통하여 분사되는 풍력에 의해 분사부재(612)의 분사구(614)에 구비된 피동팬(620)이 회동하게 됨으로써, 분사부재(612)의 분사구(614)를 통하여 분사되는 분말의 분사범위가 확대되에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326) 및 구동팬(530)의 작동 속도가 제어되어 분말을 분사할 분사범위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여 분말을 분사함으로써, 분말을 분사할 범위에만 최대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분사되는 분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말수납통(212)은 본체(112)로부터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말수납통(212)으로 분말을 보충시키는 보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에 설치되는 분사장치(100)를 드론에 설치한 상태에서 드론이 하늘을 비행하는 과정에서 분말을 분사함으로써, 지상에서 분말을 분사할 때보다 단시간에 넓은 범위로 분말을 분사하는 분사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과수의 수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근 들어 봄철 일기가 불안정하고, 냉해 등으로 수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과수 농가의 1년 농사를 망치는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점을 극복하여 개화된 꽃에 드론을 활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수정 작업을 함으로써, 인정적인 농가 소득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재(330)의 공기흡입구(330b)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332)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절밸브(332)의 조작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분말의 분사 범위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하여 분말을 분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이송부재(330)의 공기흡입구(330b)에 공기조절밸브(332)를 구비함으로써, 공기흡입구(330b)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에 따라 분말이 분사되는 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상기 흡입부재(512)의 일측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결속홈(514)이 형성되고, 분사부재(612)의 일측 내주면에는 결속홈(514)에 결속되는 결속돌기(61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부재(612)의 결속돌기(616)를 흡입부재(512)에 형성된 결속홈(514)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분사부(612)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흡입부재(512)에 분사부재(612)가 결속된 상태가 유지되고, 분사부재(612)를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결속홈(514)으로부터 분사부재(612)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흡입부재(512)로부터 분사부재(612)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흡입부재(512)에 구비된 구동팬(530)의 청소작업 및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말흡입부(510)는 직선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되, 일측부가 본체(112)의 관통공(114)에 결합 고정되고, 이 관통공(114)에 결합 고정된 방향에는 이송부재(330)의 일측부, 즉 이송부재(330)에 형성된 배출구(330c) 방향이 결합 고정되고, 이 이송부재(330)가 결합 고정된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공기흡입공(513)이 형성된 흡입부재(512a)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재(51a2)의 외주면에는 본체(112)의 제1결속날개(120)에 밀착되게 절곡 형성된 제2결속날개(522)가 형성되고, 제2결속날개(522)에는 제1절개홈(122)에 대응되게 제2절개홈(524)이 형성된 플랜지(5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결속날개(120)에 결속 고정된 고정볼트(126)를 회동시켜 제1,2절개홈(122)(524)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2결속날개(5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볼트(126)에 너트(128)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흡입부재(512a)를 본체(112)에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본체(112)로부터 흡입부재(512a)를 용이하게 분해/조립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흡입부재(512a)의 내측부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동팬(53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팬(530)의 작동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흡입력에 의해 이송부재(330)의 공기흡입구(330b) 및 흡입부재(512a)의 공기흡입공(513)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분말유입구(330a)를 통하여 공급된 분말이 배출구(330c)를 통하여 흡입부재(512a)의 내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팬(530)의 작동에 의해 흡입부재(512)에 형성된 공기흡입공(513)과 이송부재(330)의 공기흡입구(330b)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동시에 흡입되게 되어 공기가 흡입될 때 압력이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공기가 흡입되면서 분말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2)에 결합 고정된 타측부, 즉 흡입부재(512a)의 하단부에는 분말이 분사되는 분말부사부(60)가 결합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해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분말흡입부(510)의 흡입부재(512a)를 수직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구동팬(530)의 작동에 의해 이송부재(330)의 배출구(330c)를 통하여 배출되는 분말이 저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분말분사부(610)로 공급되어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분말 분사장치 110 : 본체부
112 : 본체 114 : 관통공
116 : 지지턱 118 : 단턱
120 : 제1결속날개 122 : 제1절개홈
124 : 고정구 126 : 고정볼트
128 : 너트 130 : 체결공
132 : 안착홈 210 : 분말수납부
212 : 분말수납통 214 : 수납공간
216 : 이송통로 218 : 결합공
220 : 체결돌기 222 : 안착돌기
230 : 손잡이 340 : 뚜껑
310 : 분말이송부 312 : 스크루축
314 : 고정홈 320 : 감속기
322 : 연결구 324 : 고정핀
326 : 구동모터 330 : 이송부재
330a ; 분말유입구 330b :공기흡입구
330c : 배출구 332 : 공기조절밸브
410 : 분말교반부 412 : 회동축
414 : 회동체 416 : 교반날개
418 : 교반부재 510 : 분말흡입부
512, 512a : 흡입부재 513 : 공기흡입공
514 : 결속홈 520 : 플랜지
522 : 제2결속날개 524 : 제2절개홈
530 : 구동팬 610 : 분말분사부
612 : 분사부재 614 : 분사구
616 : 결속돌기 620 : 피동팬
710 ; 제어부

Claims (21)

  1. 드론에 고정설치되고, 일측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분말이 수용되는 분말수납부와,
    상기 분말수납부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본체의 관통공에 위치되는 이송부재가 구비되어 분말을 이송시키는 분말이송부와,
    일측이 절곡되는 관 형상 또는 직선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본체의 관통공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분말이송부의 이송부재와 연통되도록 결합 고정되며, 상기 이송부재가 결합된 외측부에 다수개의 공기흡입공이 형성된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팬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분말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분말을 흡입하는 분말흡입부와,
    상기 분말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분말을 배출 분사시키는 분말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폭 방향 양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결속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속날개는 제1절개홈이 형성되고, 제1절개홈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서로 대응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에 회동되게 머리부가 결합 고정되되, 제1절개홈에 결속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부재는 외주면에 본체의 제1결속날개에 대응되되, 제1절개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고정볼트가 결속되는 제2절개홈이 형성된 제2결속날개가 마련된 플랜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수납부는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이송통로가 형성되어 본체 상부에 안착되는 분말수납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폭방향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지지턱이 형성되고, 관통공과 근접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이 체결공과 이격되게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분말수납통의 하부에는 본체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 고정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본체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수납통은 외측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이송통로가 형성된 동일 선상에는 이송통로와 연통되게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이송부는 분말수납부의 분말수납통에 형성된 이송통로에 설치되되, 일측부가 분말수납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크루축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 결합 고정되어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는 감속기가 마련된 구동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축의 일측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감속기에는 고정홈에 결속되는 고정핀이 마련된 연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공에 결합되는 분말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부 상단에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하단은 본체의 관통공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부재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의 공기흡입구에는 공기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수납부에 설치되어 분말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분말을 교반시키는 분말교반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교반부는 분말이송부의 스크루축에 맞물리게 구비되되, 분말수납부의 분말수납통 내주면에 회동되게 회동축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양측면에는 교반날개가 형성된 회동체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에 결속되어 양측 끝단부가 절곡 형성된 교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분사부는 일측부가 분말흡입부의 흡입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분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재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흡입부재에 결합 고정된 타측부에는 양측을 향하도록 한 쌍의 분사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재의 분사구에는 피동팬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흡입부의 흡입부재에는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말분사부의 분사부재에는 결속홈에 결속 고정되는 결속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분말이송부와 분말흡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60162503A 2016-12-01 2016-12-01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KR101891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503A KR101891595B1 (ko) 2016-12-01 2016-12-01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503A KR101891595B1 (ko) 2016-12-01 2016-12-01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624A KR20180062624A (ko) 2018-06-11
KR101891595B1 true KR101891595B1 (ko) 2018-08-27

Family

ID=6260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503A KR101891595B1 (ko) 2016-12-01 2016-12-01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667A (ko) * 2021-07-01 2023-01-10 강희정 드론용 인공수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9071B (zh) * 2018-12-12 2021-05-25 合肥翼飞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无人机悬挂农药箱装置
KR102090279B1 (ko) * 2019-10-10 2020-03-17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살포기 및 이를 이용한 무인 살포 장치
CN112706920A (zh) * 2019-10-26 2021-04-27 清远市飞凡创丰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药粉烟雾喷药低空药物浮沉方法及无人机喷药系统
CN112544395B (zh) * 2020-12-07 2022-05-27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基于无人机监测的水利灌溉装置
WO2022195587A1 (en) * 2021-03-16 2022-09-22 Tamir Yair A device for releasing insects from an aerial vehicle and us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701Y1 (ko) * 2004-02-05 2004-04-29 김종헌 수동식 커피 믹서기
KR101668981B1 (ko) * 2016-07-14 2016-10-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한무인항공서비스 무인항공 살포기 및 그를 이용한 살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1228A (ja) * 1996-04-08 1997-10-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施肥装置
KR200349272Y1 (ko) 2004-02-03 2004-05-04 남경진 화분 교배기
KR100979902B1 (ko) * 2008-07-29 2010-09-03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주철관 제조용 분말 또는 주철관 코팅용 분체도료 공급장치
KR101284402B1 (ko) 2011-03-18 2013-07-09 박문규 화분 수정기
KR101394305B1 (ko) 2014-02-14 2014-05-13 김대환 Ss기의 풍력을 이용한 고효율 화분분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701Y1 (ko) * 2004-02-05 2004-04-29 김종헌 수동식 커피 믹서기
KR101668981B1 (ko) * 2016-07-14 2016-10-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한무인항공서비스 무인항공 살포기 및 그를 이용한 살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667A (ko) * 2021-07-01 2023-01-10 강희정 드론용 인공수분기
KR102564313B1 (ko) * 2021-07-01 2023-08-04 강희정 드론용 인공수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624A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595B1 (ko) 드론용 분말 분사장치
KR101844414B1 (ko) 농약 살포용 드론과 이를 이용한 농약살포방법
JP3217561U (ja) ドローン搭載噴霧装置
JP5923587B2 (ja) 高速噴射機を用いた高効率花粉噴射機
CN209330979U (zh) 一种智能喷药机
JP2018014929A (ja) 人工授粉機
WO2019205140A1 (zh) 农业无人机
CN213677142U (zh) 多旋翼无人飞行器的机架及农业植保无人机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101775833B1 (ko) 드론 및 이를 이용한 농약 공급 방법
ITRN20060021U1 (it) Irroratrice di liquidi di trattamento su colture agricole
KR101790922B1 (ko) 교반부재가 구비된 화분분사기.
CN112136791B (zh) 一种农作物种植用喷洒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101940520B1 (ko) 수리 보수가 용이한 어류용 사료급여기
CN110973099A (zh) 一种园林绿化农药喷洒装置
KR101982541B1 (ko) 어깨끈 결합이 쉬운 자동분무형 휴대용 농약 분무장치
KR20230114089A (ko)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CN211721344U (zh) 一种大面积的农作物浇灌装置
KR200457502Y1 (ko) 대용량 비료살포기
KR102564313B1 (ko) 드론용 인공수분기
CN216533450U (zh) 一种果树虫害处理用喷药装置
KR20170025008A (ko) 다목적 수동 살포기
KR200381823Y1 (ko) 캐빈 방제차량용 분무장치
CN214824153U (zh) 一种喷农药的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