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468B1 - 대성금강단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성금강단 환 - Google Patents

대성금강단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성금강단 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468B1
KR101891468B1 KR1020180055383A KR20180055383A KR101891468B1 KR 101891468 B1 KR101891468 B1 KR 101891468B1 KR 1020180055383 A KR1020180055383 A KR 1020180055383A KR 20180055383 A KR20180055383 A KR 20180055383A KR 101891468 B1 KR101891468 B1 KR 101891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ethyst
stone
white
amorphous silica
amorph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림
윤기묘자
Original Assignee
최동림
윤기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림, 윤기묘자 filed Critical 최동림
Priority to KR102018005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 환의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물 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 환의 법제방법은 유황, 구리솥, 백금 막대 및 은 막대를 준비하고, 상기 유황을 구리솥에 넣은 후 백금 막대 및 은 막대를 상기 구리솥에 함께 넣은 후 가열함으로써 상기 유황으로 상기 구리솥을 제독하며, 상기 제독된 유황을 분리한 후 분쇄하여 유황 가루를 제조하고,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철망 위에 적층한 후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가열하여 구우며, 상기 구워진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식초에 침지시킨 후 냉각한 후 분쇄하여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제조하고,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항아리에 투입한 후 항아리를 밀봉하며,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항아리를 가열하고, 상기 가열한 항아리 내에 수용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숙성하며, 상기 숙성 후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항아리를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항아리로부터 분리한 후 분쇄하며, 상기 보리가루 및 꿀은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에 보리가루 및 꿀을 혼합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각종 약성 광물을 가열하고 숙성하여 광물 환을 제조함으로써 원기회복, 혈액 순환 및 소화를 촉진하고 피로 회복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광물 환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성금강단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성금강단 환{PROCESSING METHOD FOR KUMGANGDAN AND KUMGANGDAN PILL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광물 환의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물 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약성 광물을 가열하고 숙성하여 광물 환을 제조함으로써 원기회복, 혈액 순환 및 소화를 촉진하고 피로 회복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광물 환의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물 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식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고지방 및 인스턴트식품 등의 고칼로리식품의 섭취가 늘어난 반면, 섬유질 섭취나 운동량 부족으로 인하여 변비와 비만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급속한 생활의 변화로 말미암아 충분한 시간을 갖고 식사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대신 인스턴트식품으로 대체하거나 끼니를 건너뛰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여성들의 경우에는 무리한 다이어트를 함으로써 몸의 영양소의 불균형이 일어나고 그로 인하여 거식증, 폭식증, 생리불순, 또는 불임 등의 이상현상이 발병되는 경우가 많아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나 음주 및 흡연 등의 다양한 현대 사회의 문제로 인하여 고도비만, 혈액순환장애, 고혈압, 심장병, 장염, 두통이나 신경쇠약, 우울증, 불면증, 소화불량, 탈모현상 등의 성인병이 증가 되고 있고, 뿐만 아니라 간장기능저하 및 심폐질환 등의 문제가 발병되고 있다.
이러한 질병 등을 극복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이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시장 또는 홈쇼핑, 또는 방문판매 등으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능성 식품 등은 동의보감에 기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무수한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요즈음의 현대병에 적용할 때, 그 혼합비율이나 제조방법의 결과에 따라 원하는 효능이 나타나지 않거나 효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조상으로부터 대대로 내려온 비법을 중심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약성 광물을 가열하고 숙성하여 광물 환을 제조함으로써 원기회복, 혈액 순환 및 소화를 촉진하고 피로 회복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15333호(2008년 03월 13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094536호(2016년 08월 10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332321호(2013년 11월 18일 등록)
본 발명은 각종 약성 광물을 가열하고 숙성하여 광물 환을 제조함으로써 원기회복, 혈액 순환 및 소화를 촉진하고 피로 회복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광물 환의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물 환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이, 학생 및 성인 등 남녀노소의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 누구나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광물 환의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물 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 환의 법제방법은 유황, 구리솥, 백금 막대 및 은 막대를 준비하고, 상기 유황을 구리솥에 넣은 후 백금 막대 및 은 막대를 상기 구리솥에 함께 넣은 후 가열함으로써 상기 유황으로 상기 구리솥을 제독하며, 상기 제독된 유황을 분리한 후 분쇄하여 유황 가루를 제조하고,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철망 위에 적층한 후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가열하여 구우며, 상기 구워진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식초에 침지시킨 후 냉각한 후 분쇄하여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제조하고,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항아리에 투입한 후 항아리를 밀봉하며,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항아리를 가열하고, 상기 가열한 항아리 내에 수용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숙성하며, 상기 숙성 후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항아리를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항아리로부터 분리한 후 분쇄하며, 상기 보리가루 및 꿀은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에 보리가루 및 꿀을 혼합한다.
상기 유황은 1000 중량부가 준비되고, 상기 유황의 가열은 300 내지 35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유황 가루는 상기 제독된 유황을 3 내지 5kgf/cm2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10 내지 300㎛의 입경으로 분쇄되며,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은 각각 1000 중량부가 준비되고, 상기 준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의 가열은 1100 내지 120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진행되며, 상기 구워진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식초에 침지시킨 후 냉각한 후 분쇄하여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상기 식초는 1000 중량부의 식초를 가마솥에서 9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끓인 식초가 준비되고,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의 분쇄는 5 내지 10kgf/cm2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0.1 내지 30㎛의 입경으로 분쇄하고, 상기 숙성 후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항아리를 10 내지 20℃ 온도의 그늘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냉각하며, 상기 보리가루 및 꿀은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보리가루 5 내지 15 중량부 및 꿀 3 내지 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법제방법으로 제조된 광물 환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 환의 법제방법은 각종 약성 광물을 가열하고 숙성하여 금강단을 제조함으로써 원기회복, 혈액 순환 및 소화를 촉진하고 피로 회복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광물 환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광물 환은 어린이, 학생 및 성인 등 남녀노소의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 누구나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물 환의 법제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 환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유황, 구리솥, 백금 막대 및 은 막대를 준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황을 구리솥에 넣은 후 백금 막대 및 은 막대를 상기 구리솥에 함께 넣은 후 가열함으로써 상기 유황으로 구리솥을 제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황은 1000 중량부가 준비되고, 상기 유황의 가열은 300 내지 35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독된 유황을 분리한 후 분쇄하여 유황 가루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독된 유황의 분쇄는 예를 들어, 쇠덕구를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유황 가루는 상기 제독된 유황을 3 내지 5kgf/cm2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10 내지 300㎛의 입경으로 분쇄될 수 있다.
이어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준비할 수 있는데,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은 각각 1000 중량부가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자수정(紫水晶, amethyst)은 자수정이 화산 분출시 마그마 (용암) 식으면서 패그마 타이트 암석에서 생성되는데, 보통 6천만년 열수에 결정되는 약성광물로서 자석영(紫石英)이라고도 한다.
상기 자수정은 성분이 99%의 규소 성분으로 결정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고 원적외선 방사능력이나 음이온 기타 파동 그리고 생체 파동 육각 정계의 신비로운 힘이 알려지면서 화장품원료, 페인트원료, 자수정 신용카드, 자수정 콩나물, 자수정 식품용기 등과 같이 여러 가지 건강 신소재 바이오 원료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수정의 효능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는데, "동의보감"에 의하면 수정은 5가지 색이 있는데, 흰빛과 자줏빛 나는 2가지만을 약으로 사용한다고 하며, 자석영(자수정)은 따뜻하고 맛은 달고 매우며 독이 없다 심기를 보호하고 놀란 사람을 안정시키며 폐의 기운을 진정시키고 당뇨 초기를 부드럽게 하고 피부에 고름이 생겼을 때 진정시키고 물속에 자수정을 넣어 복용하면 잔병이 없고 피부가 곱게 피어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본초강목"에 의하면 자수정의 약효는 백수정의 2배라고 하면서,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고 매우며, 독이 없고, 심장에서 갈려 나온 경락과 간에 딸린 경락에 작용하며, 심장의 기가 부족한 것을 보하고, 경계증을 치료하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기를 내리고, 자궁을 따뜻하게 해주며, 얼굴에 윤기가 나게 하고, 폐의 기를 좋게 하고, 삼초중 하초(下焦)를 안정시키며, 소갈증을 멎게 하며, 또 냉으로 인한 불임증, 가슴이 뛰고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 증세가 있을 때 사용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백수정(clear crystal quartz)은 다른 빛깔이 섞이지 않은 희고 맑은 수정으로, 규소와 산소의 결합으로만 이루어지고 일반적인 수정을 대표하며 결정의 순도에 따라 투명도가 달라진다.
순도가 높은 백수정은 맑고 투명함에 사람의 마음까지도 맑게 하여 고대로부터 귀하고 신비스럽게 여겨졌는데, 상기 백수정은 사람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머리가 맑아져 집중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적석지(赤石脂)(Halloysitum Rubrum)는 고령토의 장석이 열과 탄산함유수의 침윤으로 분해되어 생기는 홍색 괴상체로서, 주성분으로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및 카올리나이트(kaolinite)를 함유한다. 적석지의 성분은 채광지역에 따라 조성이 다를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상기 적석지는 산화규소 25.64중량%, 산화알루미늄 34.45중량%, 산화칼륨 0.30중량%, 산화나트륨 0.17중량%, 산화칼슘 0.40중량%, 산화마그네슘 0.28중량%, 산화철 37.65중량%, 산화망간 0.13중량%, 산화티탄 3.72중량%, 기타 수분 및 미량의 불순물로 조성될 수 있다.
상기 적석지는 정화력, 분해력, 제독력, 수렴작용, 독물질 흡착작용 및 궤양조직에서 지혈작용을 갖고 있으며 육아 조직을 신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적석지를 구성하는 점토 광물인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및 카올리나이트(kaolinite)는 비표면적, 표면전하 및 양이온교환 능력이 높기 때문에 많은 양의 금속이온을 흡착하며, 이러한 흡착특성은 식물약재 추출물에 미량으로 함유된 중금속의 농도를 저감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발효시 발생할 수 있는 잡균에 의한 오염방지 및 이상발효로 인해 생성될 수 있는 물질 등을 흡수함으로써 발효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양기석(陽起石)은 명문(命門)의 상화(相火)의 기운을 보태주고, 냉기(冷氣)를 제거하며, 뭉치거나 성질이 음(陰)적인 사기를 깨트려 풀어주는 효능이 있고, 음식이나 담음과 같은 것이 통하지 못하고 막혀서 정류된 것을 흩어서 잘 흐르게 하고, 양기(陽氣)를 도와주며, 명문(命門)을 보하고, 성기능을 튼튼히 하고, 배고픔을 없게 하는 효능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양기석은 화학식이 Ca2(Mg,Fe)5Si8O22(OH)2이고, 색은 무색, 백색, 회색, 암녹색이며, 결정 모양은 칼날 모양, 가는 막대 모양, 바늘 모양, 실 모양이고, 단사정계에 속하며 두 방향으로 쪼개지는 성질을 가지고 한약재, 장식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양기석은 약으로는 불에 벌겋게 달구어 식초나 술에 담그기를 여러번 거듭한 다음 수비(水飛)하여 쓰고, 맛은 짜고 성질은 따뜻하며, 신경(腎經)에 작용하며, 신장을 강화하고 또한 따뜻하게 한다.
또한, 상기 양기석은 하초(下焦)가 허한(虛寒)하여 허리와 무릎이 차고 아픈 데, 그 밖에도 음위, 징가, 부정자궁출혈과 자궁루혈(metrorrhagia and metrostaxis), 음부가 찬 데 등에 쓰이며, 신의 기를 보하여, 신의 기가 허하고 냉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 약재이고, 칼슘, 마그네슘, 철 따위를 함유한 규산염 광물로, 보신 장양의 효과가 있어 발기 불능(勃起不能), 조루(早漏)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쓰인다.
상기 석웅황(Realgar, 石雄黃)은 웅황이라고도 하며, 육산화사비소 (Tetraarsenic oxide, As4O6), 이황화비소(As2S2)또는 삼황화비소(As2S3)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성 한약재이다. 붉은색을 가지는 광물로 쪼개져 갈라진 면은 진주 광택이 나며, 계관석과 더불어 산출된다. 비소 및 비소 유도 화합물은 오래 전부터 동양에서 암이나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여러 질환에 약물로 사용되었다. 해독 작용과 살균 작용이 강해 악창, 종독, 습진, 옴, 파상독, 부스럼, 독사 물린 데, 독충 물린 데, 연주창, 치질 등 외과 질환 치료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철망 위에 적층한 후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가열하여 구울 수 있다.
상기 준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의 가열은 1100 내지 120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진행될 수 있는데, 상기 가열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진행되는 추후 공정에서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분쇄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의 상승이 어렵고 물성이 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구워진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식초에 침지시킨 후 냉각한 후 분쇄하여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초는 1000 중량부의 식초를 가열용기(예를 들어, 가마솥)에서 9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끓인 식초가 준비될 수 있고,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의 분쇄는 5 내지 10kgf/cm2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0.1 내지 30㎛의 입경으로 분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용기(예를 들어, 항아리)에 투입한 후 용기(항아리)를 밀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섞어 질그릇 항아리에 투입한 후, 상기 항아리 입구를 세겹의 삼베 헝겊으로 밀봉하고, 상기 항아리 전체를 지푸라기(지푸라기로 꼬아 제조된 새끼줄)로 감은 후 상기 항아리 전체에 황토흙을 개서 바르고, 15 내지 25℃ 온도의 그늘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숙성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용기(항아리)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용기(항아리)를 항아리 직경의 다섯 배 크기의 흙구덩이에 앉히고 왕겨를 1 내지 1.5m의 두께로 감싸 덮은 후 소나무 장작을 쌓고, 이후 상기 소나무 장작에 들깨 나무 및 참깨 나무를 1 내지 1.5m의 두께로 덮은 후 14 내지 16일 동안 불을 붙여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은 낮에는 소나무 장작을 이용하고 밤에는 참나무 장작을 이용하여 가열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가열한 용기(항아리) 내에 수용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숙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숙성은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용기(항아리) 상에 흙을 덮은 후 5 내지 15℃의 온도에서 14 내지 16일 동안 흙구덩이에 보관함으로써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숙성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숙성 후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용기(항아리)를 10 내지 20℃ 온도의 그늘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냉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용기(항아리)로부터 분리한 후 다시 한번 분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분쇄는 쇠절구를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에 보리가루 및 꿀을 혼합하여 환 모양의 광물 환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리가루 및 꿀은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보리가루 5 내지 15 중량부 및 꿀 3 내지 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환 모양의 광물 환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물 환의 법제방법에 대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유황, 구리솥, 백금 막대 및 은 막대를 준비한 후, 상기 유황을 구리솥에 넣은 후 백금 막대 및 은 막대를 상기 구리솥에 함께 넣은 후 가열함으로써 상기 유황을 제독하였다.
이때, 상기 유황은 1000 중량부가 준비되고, 상기 유황의 가열은 300 내지 35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독된 유황을 분리한 후 분쇄하여 유황 가루를 제조하였는데, 상기 제독된 유황의 분쇄는 쇠덕구를 이용하고, 상기 유황 가루는 상기 제독된 유황을 3 내지 5kgf/cm2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10 내지 300㎛의 입경으로 분쇄하였다.
그 다음으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각각 1000 중량부를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철망 위에 적층한 후 1100 내지 120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가열하여 구웠다.
이어서, 상기 구워진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식초에 침지시킨 후 냉각한 후 분쇄하여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식초는 1000 중량부의 식초를 가마솥에서 9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끓여 준비하였고,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의 분쇄는 5 내지 10kgf/cm2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0.1 내지 30㎛의 입경으로 분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항아리에 투입한 후 항아리를 밀봉하였고, 상기 항아리를 가열한 후 숙성시켰으며, 상기 숙성 후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항아리를 10 내지 20℃ 온도의 그늘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냉각하였고, 냉각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다시 한번 분쇄한 후 보리가루 및 꿀을 혼합하여 환 모양으로 성형함으로써 광물 환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환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1에서는 각각 1000 중량부의 자수정, 백수정 및 적석지를 이용하였다.
< 비교예 2 >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환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각각 1000 중량부의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이용하였다.
< 비교예 3 >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환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3에서는 각각 1000 중량부의 자수정, 적석지 및 석웅황을 이용하였다.
100명의 대상자(연령 40세~80세)에게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환을 3개월 동안 복용하도록 한 후, 설문을 통해 원기회복, 혈액 순환, 소화 촉진, 피로 회복 및 건강 증진 여부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결과 원기회복, 혈액 순환, 소화 촉진, 피로 회복 및 건강 증진 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85% 원기회복, 혈액 순환, 소화 촉진, 피로 회복 및 건강 증진 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35% 원기회복, 혈액 순환, 소화 촉진, 피로 회복 및 건강 증진 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40% 원기회복, 혈액 순환, 소화 촉진, 피로 회복 및 건강 증진 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35%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물 환을 복용한 대상자는 3개월 동안 꾸준한 복용 후, 원기회복, 혈액 순환, 소화 촉진, 피로 회복 및 건강 증진 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85%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환을 복용한 대상자는 3개월 동안 꾸준한 복용 후, 원기회복, 혈액 순환, 소화 촉진, 피로 회복 및 건강 증진 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35 내지 40%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 유황, 구리솥, 백금 막대 및 은 막대를 준비하고,
    상기 유황을 구리솥에 넣은 후 백금 막대 및 은 막대를 상기 구리솥에 함께 넣은 후 가열함으로써 상기 유황으로 상기 구리솥을 제독하며,
    상기 제독된 유황을 분리한 후 분쇄하여 유황 가루를 제조하고,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철망 위에 적층한 후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가열하여 구우며,
    상기 구워진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식초에 침지시킨 후 냉각한 후 분쇄하여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제조하고,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항아리에 투입한 후 항아리를 밀봉하며,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항아리를 가열하고,
    상기 가열한 항아리 내에 수용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숙성하며,
    상기 숙성 후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항아리를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항아리로부터 분리한 후 분쇄하며,
    상기 보리가루 및 꿀은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에 보리가루 및 꿀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환의 법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황은 1000 중량부가 준비되고, 상기 유황의 가열은 300 내지 35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유황 가루는 상기 제독된 유황을 3 내지 5kgf/cm2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10 내지 300㎛의 입경으로 분쇄되며,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은 각각 1000 중량부가 준비되고,
    상기 준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의 가열은 1100 내지 120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진행되며,
    상기 구워진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을 식초에 침지시킨 후 냉각한 후 분쇄하여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상기 식초는 1000 중량부의 식초를 가마솥에서 9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끓인 식초가 준비되고,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의 분쇄는 5 내지 10kgf/cm2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0.1 내지 30㎛의 입경으로 분쇄하고,
    상기 숙성 후 상기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가 수용된 항아리를 10 내지 20℃ 온도의 그늘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냉각하며,
    상기 보리가루 및 꿀은 상기 분쇄된 자수정, 백수정, 적석지, 양기석 및 석웅황 가루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보리가루 5 내지 15 중량부 및 꿀 3 내지 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환의 법제방법.
  3. 삭제
KR1020180055383A 2018-05-15 2018-05-15 대성금강단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성금강단 환 KR101891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83A KR101891468B1 (ko) 2018-05-15 2018-05-15 대성금강단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성금강단 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83A KR101891468B1 (ko) 2018-05-15 2018-05-15 대성금강단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성금강단 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468B1 true KR101891468B1 (ko) 2018-08-23

Family

ID=6345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383A KR101891468B1 (ko) 2018-05-15 2018-05-15 대성금강단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성금강단 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4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22B1 (ko) 2012-07-04 2014-12-16 최민창 한약재를 주재로 한 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22B1 (ko) 2012-07-04 2014-12-16 최민창 한약재를 주재로 한 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5026A (ko) 천연약제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건강식품
KR100975669B1 (ko) 알칼리 이온수를 이용한 발효주 및 증류주의 제조방법.
KR20080095002A (ko) 대나무와 조릿대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사되는 연소용과 수용성 및 분말 첩부용 대나무뜸 제조방법
KR20080077439A (ko) 광물질과 토양 및 한약재를 이용한 온열 찜질용 조성물
KR20020097322A (ko) 바이오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CN113998925A (zh) 一种液体涂料及其制备方法
KR100807239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식음료 용기용 플라스틱수지 조성물
KR101891468B1 (ko) 대성금강단 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성금강단 환
KR101127419B1 (ko) 백토, 초유 및 발효한방활성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15577A (ko) 각종 영양성분이 첨가된 벌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5233A (ko) 올갱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7041A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미네랄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소금의 제조방법
CN1016314B (zh) 一种藏药(坐台药粉)的加工方法
KR100433380B1 (ko) 솔림욕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915145A (zh) 一种紫砂拔火罐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869910B1 (ko)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16729A (ko) 유황과 광물질을 소재로한 오리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조성물
KR100977650B1 (ko) 건식 효소욕 매질 및 그 제조방법
KR101067592B1 (ko) 황토, 대나무분말을 주로 하는 사료 보조제 및 비료의 제조방법
KR100614107B1 (ko) 세라믹의 제조 방법 및 세라믹의 용도
CN110559342A (zh) 养生灸贴药核的配方及其制作工艺
KR102270940B1 (ko) 가공 소금 숙성 저장식 탱크 제조용 조성물, 가공 소금 숙성 저장식 탱크, 가공 소금의 제조방법 및 가공 소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공 소금
JP3343716B2 (ja) 咽喉保健茶及びその製造法
KR100881274B1 (ko) 해수 지장수 추출장치
KR100652895B1 (ko) 찜질용 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