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895B1 - 찜질용 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찜질용 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895B1
KR100652895B1 KR1020040002854A KR20040002854A KR100652895B1 KR 100652895 B1 KR100652895 B1 KR 100652895B1 KR 1020040002854 A KR1020040002854 A KR 1020040002854A KR 20040002854 A KR20040002854 A KR 20040002854A KR 100652895 B1 KR100652895 B1 KR 100652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high temperature
natural
angelica
pine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5079A (ko
Inventor
신학식
Original Assignee
신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학식 filed Critical 신학식
Priority to KR102004000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8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류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천일염과 생약재를 섞어 고온에서 구어 내어 찜질용 약소금을 제공하는 것으로, 천일염과 두충, 솔잎, 쑥 당귀 등의 재료를 준비하고, 천일염을 솥에 넣고 600∼700℃의 고온에서 1차로 가열하며, 두충, 당귀 및 쑥 등을 넣고 6시간 정도 달이고, 생 솔잎은 갈아서 즙을 내어 혼합하여 약재를 준비한 후 뜨겁게 달구어진 천일염에 약재를 부어 혼합한 후 600∼700℃의 고온에서 3회 반복하여 구어서 되는 것으로 본 발명 동의염을 이용한 찜질에 의하면 인체의 자연 치유력을 높여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며 비만과 군살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찜질용 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salt for foment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s}
도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보인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은 찜질용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일염의 결정체 내부에 인체에 유익한 한약재를 고온에서 침투시킴으로 건강과 아름다움을 주는 찜질용 소금(이하 '동의염'이라 칭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소금은 성질이 따뜻하여 신경, 위경, 폐경에 작용하고 체내의 독을 풀어준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동의염(東醫鹽)'이란 '본초강목'이나 '동의보감'에 의거하여 천일염과 생약재를 섞어 고온에서 구어 낸 찜질용 약소금을 의미하는 것이다.
최근 경제의 성장과 더불어 건강에 많은 관심과 연구를 거듭하면서 각종 찜질문화가 발전하고 있으며 대도시뿐만 아니라 중소도시 및 시골에도 여러 가지 찜질방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찜질방에는 구들층의 상부에 황토와 쑥물과 솔잎 물을 가미하여 적절 하게 반죽하여 바닥 황토층 구조를 갖추어 가열하여 찜질할 때 원적외선과 쑥 및 솔잎 향을 발산시키는 것이 있었으나, 이는 솔잎 성분과 쑥 성분이 신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 빠른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 면적의 찜질공간에 솔잎, 약쑥, 인진쑥, 황귀 등이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조제된 환형태의 한약을 일정량 투입하여 이를 온 몸에 덮어 찜질할 수 있도록 하는 찜질방의 구조, 생 솔잎을 과립형으로 절단하고 여기에 목분, 철분, 충진제를 혼합하여 맛사지용 분말을 형성하는 찜질용 솔잎 팩에 대한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지만 이들은 단순히 소나무나 약쑥 등의 효능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효능이 제한적인 것이었다.
한편, 찜질용 조성물로서, 솔잎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에 소나무 목질부와 속껍질부를 분쇄한 분말을 혼합하고, 송진과 소금을 소정량 부가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직물 주머니에 넣고 목욕물에 담가 목욕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소금에 함유된 불순물이나 독성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기 때문에 위생적이지 못하고 소금의 결정체에 소나무 약제가 침투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순히 소나무 각 성분과 소금이 갖는 개별적 효능 외에 상승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류의 건강을 위하여 찜질용으로 이용된 상기한 여러 가지 종래 기술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일염과 생약재를 섞어 고온에서 구어 내어 찜질용 약소금(동의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 동의염을 이용한 찜질에 의하여 인체의 자연 치유력을 높여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며 비만과 군 살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실시예를 겸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찜질용 소금을 제조함에 있어서, 천일염과 두충, 솔잎, 쑥 당귀 등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천일염을 솥에 넣고 600∼700℃의 고온에서 1차로 가열하는 단계;
두충, 당귀 및 쑥 등을 넣고 6시간 정도 달이고, 생 솔잎은 갈아서 즙을 내어 혼합하는 약재 준비단계;
뜨겁게 달구어진 천일염에 약재를 부어 혼합한 후 600∼700℃의 고온에서 굽는 단계;
다시 상기한 약재가 혼합된 천일염을 600∼700℃의 고온에서 3회 반복하여 굽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용 소금 및 그 제조방법이다.
상기에서, 천일염은 국산 천일염이 좋으며, 두충, 당귀, 쑥은 그늘에서 8∼12일간 건조시키는 것이 그 성분의 손실이 없어 약효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며, 솔잎은 국내산 적송에서 채취하는 것이 약효가 가장 좋은 것이며 두충, 솔잎, 당귀 및 쑥의 배합비율은 중량비로 40%, 30% 20% 및 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천일염과 혼합 약재의 비율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대하여 혼합 약재 20∼30중량부 가 좋다.
혼합 약재가 20중량부 미만이면 동의염의 약효가 낮아지며, 30중량부를 초과하여도 천일염에 약재가 모두 침투하지 못하므로 약효의 상승효과도 없으면서 약재만 낭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가되는 약재는 반드시 두충, 솔잎, 당귀 및 쑥만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뽕잎, 칡순, 냉이, 질경이 등의 산야초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인삼이나 버섯 등의 고가의 한약재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천일염을 1차 가열할 때는 뚜껑이 개방된 솥에 넣고 가열하는 것이 소금에 함유된 불순물과 염소가스 등의 독성 제거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뜨겁게 달구어진 천일염에 약재를 부어 혼합할 때는 레미콘 형식으로 서서히 회전하는 통에서 교반하면서 약재를 뿌려주는 것이 좋으며, 다시 600∼700℃의 고온에서 3회 반복하여 굽는 단계에서는 용기의 뚜껑을 덮어주는 것이 약재가 소금의 결정체에 잘 침투할 수 있는 것이며 굽는 온도가 600℃ 미만이면 소금의 결정체가 이완되지 않으므로 약재의 침투가 어렵게 되고, 700℃보다 높아지면 고온으로 소금이 녹아서 솥에 달라붙어 동의염을 제조하기 어렵게 되며, 3회 반복하는 이유는 보다 많은 약재가 소금에 침투되어 보다 효능이 좋은 동의염을 얻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찜질용 소금은 소금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생체의 활동력을 증진하여 인체의 자연 치유력을 높여주며, 특히 두충, 솔잎, 당귀 및 쑥 등의 한약재가 소금에 침투되어 있으므로 신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근육 속의 노폐물을 분해하여 제거하므로 거친 피부, 기미, 주근깨, 여드름, 처진 피 부 등의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각종 류마티스 등의 신경통, 근육통에도 효능이 좋을 뿐만 아니라 피부염, 습진 등의 피부병과 비만이나 군살 제거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찜질용 소금(동의염)의 사용방법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동의염을 40∼50℃로 가열하고, 깨끗한 물로 몸을 한번 씻은 후에 온 몸을 동의염으로 두텁게 덮는다(이때 기미, 주근깨, 여드름 등의 치료를 원할 때에는 얼굴까지 덮음).
찜질 시간은 20∼40분 정도가 좋으며 20분 미만이면 찜질효과가 적어지고 40분 이상이면 사람이 지칠 염려가 있는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 몸을 씻어내고 마지막으로 따뜻한 욕탕에서 5∼10분간 몸을 담그고 나온다.
찜질이 끝난 후 생수, 죽염이나 깨소금, 비타민C 등을 섭취한다. 특히 찜질중에도 생수나 감잎차, 깨소금 등을 섭취하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찜질용 소금은 가열에 의하여 불순물과 염소가스 등의 독성물질이 제거되어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소금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생체의 활동력을 증진하여 인체의 자연 치유력을 높여주며, 특히 두충, 솔잎, 당귀 및 쑥 등의 한약재가 소금에 침투되어 있으므로 신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근육 속의 노폐물을 분해하여 제거하므로 거친 피부, 기미, 주근깨, 여드름, 처진 피부 등의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허리통증, 좌골신경통, 어깨 결림, 무릎 신경통, 디스크, 류마티스 등의 신경통, 근육통에도 효능이 좋을 뿐만 아니라 피부염, 습진 등의 피부병과 비만이나 군살 제거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찜질용 소금을 제조함에 있어서,
    천일염과 두충, 솔잎, 쑥, 당귀를 준비하는 단계;
    천일염을 솥에 넣고 600∼700℃의 고온에서 1차로 가열하는 단계;
    두충, 당귀 및 쑥을 넣어 6시간 달이고, 생 솔잎은 갈아서 즙을 내어 혼합하는 약재 준비단계;
    뜨겁게 달구어진 천일염에 약재를 부어 혼합한 후 600∼700℃의 고온에서 굽는 단계;
    다시 상기한 약재가 혼합된 천일염을 600∼700℃의 고온에서 3회 반복하여 굽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용 소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천일염은 국산 천일염을 600∼700℃의 고온에서 1차로 가열하여 사용하며, 두충, 당귀, 쑥은 그늘에서 8∼12일간 건조시켜 달이고, 솔잎은 국내산 적송에서 채취하여 사용하며, 두충, 솔잎, 당귀 및 쑥의 배합비율은 중량비로 40%, 30%, 20%, 10%로 하고, 천일염과 혼합 약재의 비율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대하여 혼합 약재 20∼30중량부로 하여 약재가 혼합된 천일염을 600∼700℃의 고온에서 3회 반복하여 구워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용 소금의 제조방법.
  3. 천일염을 600∼700℃의 고온에서 1차로 가열하여 사용하며 두충, 당귀, 쑥은 그늘에서 8∼12일간 건조시켜 달이고, 솔잎은 국내산 적송에서 채취하여 사용하며, 두충, 솔잎, 당귀 및 쑥의 배합비율은 중량비로 40%, 30%, 20%, 10%로 하여 혼합약재로 하고, 천일염과 혼합 약재의 비율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대하여 혼합 약재 20∼30중량부가 함유된 천일염을 600∼700℃의 고온에서 3회 반복하여 구워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용 소금.
KR1020040002854A 2004-01-15 2004-01-15 찜질용 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5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854A KR100652895B1 (ko) 2004-01-15 2004-01-15 찜질용 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854A KR100652895B1 (ko) 2004-01-15 2004-01-15 찜질용 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079A KR20050075079A (ko) 2005-07-20
KR100652895B1 true KR100652895B1 (ko) 2006-12-01

Family

ID=3726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854A KR100652895B1 (ko) 2004-01-15 2004-01-15 찜질용 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37B1 (ko) 2008-03-07 2010-06-2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초 함유 미용소금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75B1 (ko) * 2005-08-25 2007-03-09 김명식 죽염 또는 송염을 이용한 뜸용 쑥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37B1 (ko) 2008-03-07 2010-06-2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초 함유 미용소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079A (ko)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1939B2 (ja) 艾條、お灸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CN104770824B (zh) 一种补气养血保健冲料
CN103740560B (zh) 一种养身保健酒
CN101711804B (zh) 一种治疗白癜风病的中药膏
CN101385535A (zh) 一种猪肚鸭药膳及其备制方法
KR101178475B1 (ko) 흰이빨참갯지렁이를 이용한 혈행 개선 및 통증 완화제의 제조방법
KR100652895B1 (ko) 찜질용 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027220B (zh) 一种红小豆红枣款冬花羹及其制备方法
KR102205643B1 (ko) 송근, 송엽, 송목피 추출물과 구운소금을 주원료로 하는 입욕제조성물 제조방법 및 티백형입욕제
CN103845628B (zh) 一种用于治疗猫破伤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6137731A (zh) 一种单穴养生灸疗套装及其使用方法
KR20030075998A (ko) 목욕용 생약제 조성물
CN103830633B (zh) 一种藻类养生泡脚粉
KR100869910B1 (ko)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KR100493886B1 (ko) 온열 찜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온열 찜질요법
CN103816443B (zh) 一种藻类养生泡脚粉的制备方法
CN100377703C (zh) 凹凸棒中药材组合物的炮制方法
CN102240036A (zh) 一种健肾保健食品
CN106109228A (zh) 一种乳腺保养灸疗套装及其使用方法
CN109954097B (zh) 一种治疗偏头痛的中药组合物及其汤剂制备方法
CN106307189A (zh) 一种鳟鱼罐头及其制作方法
CN105997497A (zh) 一种腹背养生灸疗套装及其使用方法
CN104056170A (zh) 一种治疗小儿厌食的外用药物及其制备方法
CN106177659A (zh) 活力草本液
CN104435525A (zh) 防治细菌性心内膜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